KR101769572B1 -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위한 사출물 - Google Patents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위한 사출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69572B1 KR101769572B1 KR1020160126123A KR20160126123A KR101769572B1 KR 101769572 B1 KR101769572 B1 KR 101769572B1 KR 1020160126123 A KR1020160126123 A KR 1020160126123A KR 20160126123 A KR20160126123 A KR 20160126123A KR 101769572 B1 KR101769572 B1 KR 1017695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plate
- drain hole
- frame
- injec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2 die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70 easy-to-clea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8 mo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8—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water or ic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이 슬라이딩하게 되는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고, 본체함의 측면과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통해 레일홈에 고인 물을 배수시키고, 배수구멍을 통한 바람과 이물질의 실내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위한 사출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위한 사출물은, 육면체 형상의 본체함, 상기 본체함의 바닥면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하부지지대, 상기 본체함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배수구멍, 상기 본체함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2배수구멍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배수를 위해 조립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위한 사출물은, 육면체 형상의 본체함, 상기 본체함의 바닥면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하부지지대, 상기 본체함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배수구멍, 상기 본체함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2배수구멍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배수를 위해 조립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위한 사출물에 관한 것으로, 보자 상세하게는,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어 레일홈에 고인 물을 배수시키고, 배수구멍을 통한 바람과 이물질의 실내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위한 사출물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창틀에는 창문을 닫는다고 하더라도 가장 바깥쪽 하부프레임의 레일홈에는 빗물 등이 고이게 되고, 창틀에 고인 빗물은 배수가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레일을 타고 넘어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으며, 창틀에 물이 고이게 되는 경우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미생물이나 곤충들의 서식지가 되는 등 위생상으로도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창틀의 바깥쪽 하부프레임에 배수구멍을 뚫어 물을 배수시키도록 하고 있다.
특히 베란다와 같은 실외측에 설치된 창틀의 경우 레일홈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 등이 쉽게 쌓이게 되는데, 레일홈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청소작업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배수구멍은 항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배수구멍을 통해 바람과 빗물 및 곤충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실내로 손쉽게 침투하여 기밀성 및 배수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특허등록 제1055326호 "레일 은폐형 창호장치"와 같이 창틀의 레일홈이 노출되지 않는 구조이면서 기밀성 및 배수성을 향상시킨 창호를 개발하여 특허받았다. 하지만, 상기 특허는 상면이 평판인레일은폐체로 레일의 상부를 덮도록 장착한 것이므로 레일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서 레일홈에 이물질이 쌓이지 않고 외관이 미려하며 청소가 매우 간편하여 창호에 관한 많은 문제를 해결했지만, 창틀에 형성한 배수구멍을 통해 바람과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한편, 배수구멍을 통한 빗물과 이물질 등의 실내 유입 차단을 위해 특허등록 제1238218호 "기밀성이 우수한 창틀프레임의 배수장치"와 같은 기술이 출현했는데, 이는 최외측에 위치한 창틀프레임의 배수구멍에 공기유입차단판을 삽입 장착하여 창틀에 고인 빗물이나 청소시 사용한 물을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배출시킬 때는 공기유입차단판을 개방하고, 그 외에는 폐쇄하여 실내측으로 빗물이나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하지만, 공기유입차단판이 배수구멍을 개방하고 폐쇄하는 작동이 스스로 될 수 없어서 사람이 일일이 개폐시켜 주어야 하기 때문에 사람이 필요할 때마다 개폐시켜 주지 않으면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이 슬라이딩하게 되는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고, 본체함의 측면과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통해 레일홈에 고인 물을 배수시키고, 배수구멍을 통한 바람과 이물질의 실내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위한 사출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위한 사출물은, 육면체 형상이고, 레일판의 플레이트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레일판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본체함; 상기 본체함의 바닥면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하부지지대; 레일홈에 고인 빗물을 상기 본체함 내부로 배수시키기 위해 본체함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배수구멍; 상기 본체함 내부로 들어온 빗물을 본체함 하부로 배수시키기 위해 본체함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2배수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레일판과 사출물은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하도록 각각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위한 사출물의 제2실시예는, 육면체 형상이고, 상면이 레일판의 플레이트와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하여 설치되는 본체함; 레일홈에 고인 빗물을 상기 본체함 내부로 배수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함의 상면에 형성된 제1배수구멍; 상기 본체함 내부로 들어온 빗물을 배수시키기 위해 본체함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2배수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레일판과 사출물은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하도록 각각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물의 제3실시예는, 육면체 형상이고, 상면이 레일판의 플레이트와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하여 레일판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1본체함; 상기 제1본체함의 상부에 형성되며, 제1본체함의 폭방향 중앙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단(段)이지도록 형성된 육면체 형상의 제2본체함; 상기 제1본체함의 상면에 형성된 제1배수구멍; 상기 제1 및 제2본체함의 일측면에 각각 형성된 제2배수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레일판과 사출물은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하도록 각각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물의 제4실시예는, 레일판의 플레이트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는 판상(板狀)의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한쌍의 레일; 레일홈에 고인 빗물을 플레이트 하부로 배수시키기 위해 상기 레일과 레일 사이 및 레일과 하부프레임의 수직벽 사이의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1배수구멍; 상기 플레이트의 바닥면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하부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고, 레일판과 사출물은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하도록 각각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4실시예의 플레이트 하부로는 하부지지대 대신 함(函) 형상의 하부지지대를 형성되고, 하부지지대의 일측면에는 제2배수구멍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시예에서 본체함의 상부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한쌍의 레일이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위한 사출물은, 창문이 슬라이딩하게 되는 창틀의 하부프레임 양단(兩端) 또는 중간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기 때문에 하부프레임에서 분리시킬 수 있어서 창틀의 유지 관리가 매우 편리하고 레일홈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작업도 매우 수월하다. 또한, 사출물의 일측면과 바닥면에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프레임에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들이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배수구멍을 통해 외부에서 바람과 이물질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각 배수구멍의 실외측에 배수시에만 개방되어 체크밸브 기능을 하는 필름을 부착할 경우에는 배수구멍을 통해 유입되는 바람과 이물질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어서 창틀의 기밀성과 방풍기능을 현저히 상승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사출물이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사출물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배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사출물이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사출물이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사출물이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의 사출물이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사출물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배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사출물이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사출물이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사출물이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의 사출물이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위한 사출물의 기술적 특징은, 사출물이 창틀의 하부프레임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조립되므로 창틀의 유지 관리와 레일홈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게 했다는 점과, 사출물에 형성된 배수구멍의 실외측에 체크밸브와 같은 역할을 하는 필름을 부착하여 배수구멍을 통한 바람과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했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창틀프레임(10)은 양 수직프레임이 하부 및 상부프레임과 각각 45°이음부위를 갖도록 연결되며, 하부 및 상부프레임에는 레일이 프레임 본체와 일체로 제작되는데, 본 발명의 사출물(13)은 하부프레임(11)에 고인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사출물(13)은 하부프레임(11)에 분리 가능하도록 조립되며, 창문이 슬라이딩하게 되는 레일(142)이 형성된 레일판(14)이 하부프레임(11)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창틀프레임에 적용된다.
레일판(14)은 판상(板狀)의 플레이트(141)와, 플레이트(141)의 상면으로 돌출되게 한쌍의 레일(14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레일판(14)과 사출물(13)이 하부프레임(11)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창틀의 유지 관리도 쉬울 뿐만 아니라 레일(142)과 레일(142) 사이 및 레일(142)과 하부프레임(11)의 수직벽 사이에 형성된 레일홈(143)에 먼지나 이물질이 쌓였을 때는 레일판(14)과 사출물(13)을 위로 잡아당겨 간단히 분리하여 깨끗하게 청소한 다음 다시 결합시킬 수 있어서 관리면에서도 매우 편리하다.
사출물은 합성수지를 사출방식으로 제작하여 조립하거나, 압출방식으로 제작할 수도 있으며,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제작한 것인데, 본 발명은 사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 아니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어떤 재료를 사용하여 어떤 방식으로 제조했든 '사출물'이라고 명명하여 사용한다는 점을 밝혀둔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1실시예의 사출물(13)은 하부프레임(11)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레일판(14)의 양단(兩端)에 각각 조립 설치되고, 레일판(14)의 플레이트(141) 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위치하게 되는데, 사출물(13)은 육면체 형상의 본체함(131)과 하부지지대(135), 본체함의 일측면과 바닥면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배수구멍(133, 134)을 기본적인 구성으로 구비하며, 본체함(131)의 상부로는 한쌍의 레일(132)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함(131)은 육면체 형상인데, 육면체 형상에서 조립시 수직프레임(12)과 접하게 되는 면은 경사진 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도 1 내지 3 참조), 경사진 면으로 형성할 경우 수직프레임(12)과의 조립이 수월해진다. 또한, 조립시 수직프레임(12)과 접하게 되는 면은 개구(開口)된 면으로 하더라도 큰 문제는 없다. 높이면에서 봤을 때 본체함(131)은 하부프레임(11)에 조립되는 레일판(14)에서 판상(板狀)의 플레이트(141) 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위치하게 된다.
본체함(131)을 하부프레임(11)의 길이방향 양단(兩端)에 각각 조립했을 때 서로 대향하게 되는 일측면(즉, 조립시 커버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면을 말함)에 제1배수구멍(133)이 형성되며, 제1배수구멍(133)은 레일홈(143)('레일홈'은 레일과 레일 사이 및 레일과 하부프레임의 수직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말함. 본 명세서에서는 동일함)에 고인 빗물을 배수시켜야 하므로 레일홈이 형성된 부분마다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지지대(135)는 본체함(131)을 지지하여 하부프레임(11)의 바닥면에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인데, 본체함(131)의 바닥면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며, 하부지지대(135)를 본체함(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을 지나도록 1개만 형성할 수도 있고, 한쌍의 레일(132) 하부에 각각 형성할 수도 있으며, 본체함(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박스 형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본체함(131)의 바닥면에는 제2배수구멍(134)이 형성되어 있는데, 제1배수구멍(133)을 통해 본체함(131) 내부로 들어온 빗물을 제2배수구멍(134)을 통해 본체함(131) 하부로 배수하게 된다. 하부지지대(135)가 1개만 형성된 경우에는 본체함(131)의 바닥면에 하부지지대(135) 양측으로 제2배수구멍(134)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출물(13)이 하부프레임(11)의 길이방향에서 양단에 조립되고 길이가 짧기 때문에 창문이 슬라이딩하게 되는 레일이 형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아무 문제는 없으며, 레일(132)을 형성할 경우에는 본체함(131)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한쌍을 설치하여 레일판(14)에 형성된 레일(142)과 일직선상에서 연결되도록 하여야 한다.
레일홈(143)에 고인 물이 본체함(131) 측면에 형성된 제1배수구멍(133)과 바닥면에 형성된 제2배수구멍(134)을 통해 사출물(13)과 레일판(14)의 하부에 있는 하부프레임(11)의 공간으로 배수된 후 하부프레임의 실외측 수직벽에 형성된 측면배수구멍(1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사출물(13)과 레일판(14)에 형성되어 있는 각 레일(132, 142)은 높이가 동일하여야 하고, 사출물(13)의 본체함(131) 바닥면과 레일판(14)의 플레이트(141)는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사출물(13)의 측면에 형성된 제1배수구멍(133)의 하변은 레일판(14)의 플레이트(141) 높이와 동일하거나 약간 낮게 되므로, 레일홈(143)에 고인 물이 제1배수구멍(133)을 통해 잘 배출되게 된다.
배수구멍을 통해 바람이나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하부프레임(11)에 형성된 측면배수구멍(114)의 실외측 면에는 사각형상의 필름(15) 등을 부착할 수도 있는데, 필름(15)은 전체면을 하부프레임(11)에 접착시키는 것이 아니라 사각형상 중에서 상부 일변만 접착제와 같은 접착수단 또는 부착수단에 의해 접착 또는 부착시켜서 설치한다. 필름(15)의 재질이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이므로, 필름(15)은 하부프레임(11) 내부에 고인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때는 빗물의 미는 힘에 의해 측면배수구멍(114)을 개방시켰다가 배출이 끝나면 필름 재질이 갖는 탄력에 의해 측면배수구멍(114)을 자동적으로 폐쇄시키도록 작동된다. 이와 같이 필름(15)이 배수구멍을 일방향으로만 개방시키는 체크밸브와 같이 작동하기 때문에 물은 외부로 배출시키지만, 외부로부터 빗물, 바람 또는 곤충이나 벌레와 같은 이물질은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사출물(13)에 형성된 배수구멍에도 필름(15)을 부착할 수도 있는데, 사출물(13)에 형성된 제2배수구멍(134)의 하면에도 사각형상 필름을 더 부착하여 사출물(13) 내부에 고인 빗물을 배출시킬 때 개방되었다가 배출이 끝나면 제2배수구멍(134)을 폐쇄시키도록 작동하게 되며, 제1배수구멍(133)의 실외측면(물이 통과하는 방향으로 볼때 실외측에 위치하게 되는 면을 말함. 본 명세서에서는 동일함)에도 필름을 부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배수구멍(114)에서 제1 및 제2배수구멍(133, 134)으로 연결되는 선이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방향이 바뀌기 때문에 배수구멍에 필름(15)을 부착하지 않더라도 배수구멍을 통해서 빗물이나 바람 또는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어느 정도는 방지할 수 있는데, 배수구멍 중에서 일부 또는 모두에 필름(15)을 부착함으로써 배수구멍을 통해 빗물이나 바람 또는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제2실시예의 사출물(23)을 설명하면, 제2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본체함 하부에 형성된 하부지지대를 형성하지 않고, 1사출물의 본체함(231) 상면과 레일판(24)의 플레이트(241)가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조립된다는 것인데, 물론 본체함(231)의 높이를 낮춰서 본체함(231) 하부에 하부지지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다른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예는 도면부호를 '2'자로 시작했다는 점을 미리 밝혀둔다.
사출물(23)은 육면체 형상의 본체함(231)이 구비되어 본체함(231)의 상면이 레일판(24)의 플레이트(241)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고, 사출물(23)은 하부프레임(21)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수직프레임(22)과 각각 접하여 조립되게 되는데, 레일판(24)을 2등분하여 레일판(242)과 레일판(242) 사이에 조립할 수도 있다. 본체함(231) 상면에는 제1배수구멍(233)이 형성되어 있고, 본체함(231)의 일측면(즉, 조립시 레일판 쪽에 위치하게 되는 면을 말함)에는 제2배수구멍(2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사출물(23)을 조립했을 때 본체함(231)에서 하부프레임(21)의 수직벽에 형성된 측면배수구멍(214)이 형성된 위치와 접하는 면에는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은 기본적인 사항이다.
본체함(231)은 조립시 수직프레임(22)과 접하게 되는 면은 경사진 면으로 형성해도 상관없고, 조립시 수직프레임(22)과 접하게 되는 면 또는 하부프레임(22)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조립했을 때 서로 마주보는 면(제2배수구멍이 형성된 면)은 개구(開口)된 면으로 하더라도 큰 문제는 없고, 개구된 면으로 했을 때는 제2배수구멍(234)이 필요없게 된다.
또한, 본체함(231) 상부로는 한쌍의 레일(232)이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이때는 제1배수구멍(233)은 한쌍의 레일(232) 사이 및 레일(232)과 하부프레임(21)의 수직벽 사이에 형성되어야 한다. 사출물(23)과 레일판(24)에 형성되어 있는 각 레일(232, 242)은 높이가 동일하여야 하고, 사출물(23)의 상면과 레일판(24)의 플레이트(241)는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레일홈(243)에 고인 물이 사출물(23)의 상면에 형성된 제1배수구멍(233)을 통해 잘 배출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제3실시예의 사출물(33)을 설명하면, 제3실시예는 본체함(331)이 단(段)이지도록 형성되었다는 점이고, 제1 및 제2실시예의 일부씩을 혼합해 놓은 것이므로, 제1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한 설명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는 도면부호를 '3'자로 시작했다는 점을 미리 밝혀둔다.
사출물(33)은 육면체 형상의 제1 및 제2본체함(331, 331')이 일체로 형성되어 구비되는데, 제2본체함(331')은 제1본체함(331)의 상부에 형성되면서, 제1본체함(331)의 폭방향 중앙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단(段)이지도록 형성된다. 제1본체함(331)의 상면은 레일판(34)의 플레이트(341)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조립된다.
제1본체함(331)의 상면에는 레일홈(343)에 고인 빗물이 배수되는 제1배수구멍(333)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본체함(331, 331')의 일측면에는 제2배수구멍(334)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본체함(331')이 제1본체함(331) 상면과 단(段)을 이루고 있는 제2본체함(331')의 측벽에도 배수구멍을 형성하여 레일홈(343)에 고인 빗물을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 및 제2본체함(331, 331')의 상부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332)이 돌출되도록 각각 형성하여, 레일끼리 서로 쌍을 이루게 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제4실시예의 사출물(43)을 설명하면, 제4실시예는 육면체 형상의 본체함 대신 평판 상의 플레이트(431)를 형성하고 그 하부에 하부지지대(435)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제4실시예의 사출물(43)은 하부프레임(41)의 길이방향 양단(兩端)에 조립되는 것이 아니라 레일판(44)을 길이방향에서 2등분하여 레일판과 레일판 사이에 조립한 예이다. 사출물(43)이 하부프레임(41)의 길이방향에서 중간부분에 위치하게 조립된 경우에는 사출물(43)을 잡아당겨 빼낸 후 레일판(44)을 더욱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제4실시예는 도면부호를 '4'자로 시작했다는 점을 미리 밝혀둔다.
사출물(43)은 판상(板狀)의 플레이트(431)과, 플레이트(431)의 상부로 돌출 형성된 한쌍의 레일(432) 및 플레이트(431)의 하부로 돌출 형성된 하부지지대(435)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어, 하부지지대(435)로 지지되면서 하부프레임(41)의 양 수직벽 사이에 위치하도록 조립되게 된다. 하부지지대(435)는 길이방향을 따라 1개만 형성할 수도 있고, 레일(432)이 형성된 부분의 하부에 각각 형성하여 2개 또는 그 이상을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하부지지대(435)의 하부에 배수구멍을 형성하여 하부지지대(435)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빗물이 드나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출물(43)은 길이방향에서 봤을 때 하부프레임(41)의 중간부분, 즉 레일판(44)과 레일판(44) 사이에 위치하도록 조립될 수도 있고, 하부프레임(41)의 길이방향에서 양단(兩端), 즉 레일판(44)의 양단에만 조립될 수도 있으며, 양단과 중간 모두에 조립될 수도 있다.
사출물(43)은 판상(板狀)의 플레이트(431)가 레일판의 플레이트(441)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고, 레일(432)과 레일(432) 사이 및 레일(432)과 하부프레임의 수직벽 사이의 플레이트(431)에는 제1배수구멍(433)이 각각 형성되어 레일홈(443) 사이에 고인 빗물을 배수시키게 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배수구멍(433)은 사출물(43)의 플레이트(431)에 형성하지 않고 레일판(44)의 플레이트(441)에 형성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제5실시예의 사출물(53)을 설명하면, 제5실시예는 제4실시예에서 하부지지대를 함(函) 형상으로 형성했다는 점이고, 나머지 구성은 제4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 설명한다. 제5실시예는 도면부호를 '5'자로 시작했다는 점을 미리 밝혀둔다.
제5실시예의 사출물(53)에서 하부지지대(535)는 플레이트(531)를 하나의 면으로 하여 플레이트(531)의 하부에 함(函)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지지대(535)의 일측면에는 제2배수구멍(534)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부지지대(535)의 함 형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는 두 측면은 개방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런 경우에는 제2배수구멍(534)이 필요없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20, 30, 40, 50 : 창틀프레임
11, 21, 31, 41, 51 : 하부프레임
114, 214, 314, 414, 514 : 측면배수구멍
12, 22, 32, 42, 52 : 수직프레임
13, 23, 33, 43, 53 : 사출물 131, 231 : 본체함
331 : 제1본체함 331' : 제2본체함
431, 531 : 플레이트
132, 232, 332, 432, 532 : 레일
133, 233, 333, 433, 533 : 제1배수구멍
134, 234, 334, 534 : 제2배수구멍 135, 435, 535 : 하부지지대
14, 24, 34, 44, 54 : 레일판
141, 241, 341, 441, 541 : 플레이트
142, 242, 342, 432, 532 : 레일
143, 243, 343, 443, 543 : 레일홈
15, 25, 35, 45, 55 : 필름
11, 21, 31, 41, 51 : 하부프레임
114, 214, 314, 414, 514 : 측면배수구멍
12, 22, 32, 42, 52 : 수직프레임
13, 23, 33, 43, 53 : 사출물 131, 231 : 본체함
331 : 제1본체함 331' : 제2본체함
431, 531 : 플레이트
132, 232, 332, 432, 532 : 레일
133, 233, 333, 433, 533 : 제1배수구멍
134, 234, 334, 534 : 제2배수구멍 135, 435, 535 : 하부지지대
14, 24, 34, 44, 54 : 레일판
141, 241, 341, 441, 541 : 플레이트
142, 242, 342, 432, 532 : 레일
143, 243, 343, 443, 543 : 레일홈
15, 25, 35, 45, 55 : 필름
Claims (10)
- 창틀 하부프레임의 배수를 위해 하부프레임에 조립되는 사출물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은,
육면체 형상이고, 레일판의 플레이트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레일판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본체함;
상기 본체함의 바닥면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하부지지대;
레일홈에 고인 빗물을 상기 본체함 내부로 배수시키기 위해 본체함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배수구멍;
상기 본체함 내부로 들어온 빗물을 본체함 하부로 배수시키기 위해 본체함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2배수구멍;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레일판과 사출물은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하도록 각각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위한 사출물.
- 창틀 하부프레임의 배수를 위해 하부프레임에 조립되는 사출물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은,
육면체 형상이고, 상면이 레일판의 플레이트와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하여 설치되는 본체함;
레일홈에 고인 빗물을 상기 본체함 내부로 배수시키기 위해 본체함의 상면에 형성된 제1배수구멍;
상기 본체함 내부로 들어온 빗물을 배수시키기 위해 본체함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2배수구멍;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레일판과 사출물은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하도록 각각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위한 사출물.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함의 상부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한쌍의 레일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위한 사출물.
- 창틀 하부프레임의 배수를 위해 하부프레임에 조립되는 사출물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은,
육면체 형상이고, 상면이 레일판의 플레이트와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하여 레일판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1본체함;
상기 제1본체함의 상부에 형성되며, 제1본체함의 폭방향 중앙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단(段)이지도록 형성된 육면체 형상의 제2본체함;
상기 제1본체함의 상면에 형성된 제1배수구멍;
상기 제1 및 제2본체함의 일측면에 각각 형성된 제2배수구멍;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레일판과 사출물은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하도록 각각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위한 사출물.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본체함의 상부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레일이 돌출 형성되어, 레일끼리 서로 쌍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위한 사출물.
- 창틀 하부프레임의 배수를 위해 하부프레임에 조립되는 사출물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은,
레일판의 플레이트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는 판상(板狀)의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한쌍의 레일;
레일홈에 고인 빗물을 플레이트 하부로 배수시키기 위해 상기 레일과 레일 사이 및 레일과 하부프레임의 수직벽 사이의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1배수구멍;
상기 플레이트의 바닥면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하부지지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레일판과 사출물은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하도록 각각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위한 사출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은, 플레이트의 하부로는 하부지지대 대신 함(函) 형상의 하부지지대가 형성되고, 하부지지대의 일측면에는 제2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위한 사출물.
- 제7항에 있어서,
함 형상의 하부지지대에서 길이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는 두 측면은 개방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위한 사출물.
- 제1항, 제2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구멍 또는 제2배수구멍의 실외측면에는 필름이 부착되고, 상기 필름은 빗물을 배출시킬 때는 제1배수구멍 또는 제2배수구멍을 개방시켰다가 배출이 끝나면 폐쇄시키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위한 사출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구멍의 실외측면에는 필름이 부착되고, 상기 필름은 빗물을 배출시킬 때는 제1배수구멍을 개방시켰다가 배출이 끝나면 폐쇄시키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위한 사출물.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6123A KR101769572B1 (ko) | 2016-09-30 | 2016-09-30 |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위한 사출물 |
PCT/KR2017/000932 WO2018062640A2 (ko) | 2016-09-30 | 2017-01-26 |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위한 사출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6123A KR101769572B1 (ko) | 2016-09-30 | 2016-09-30 |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위한 사출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69572B1 true KR101769572B1 (ko) | 2017-08-18 |
Family
ID=59753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6123A KR101769572B1 (ko) | 2016-09-30 | 2016-09-30 |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위한 사출물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769572B1 (ko) |
WO (1) | WO2018062640A2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2265B1 (ko) * | 2019-04-15 | 2020-07-09 | 김순석 | 배수와 스토퍼 기능을 갖는 사출물을 사용하여 기밀성과 방풍성을 향상시킨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
KR20220151282A (ko) * | 2021-05-06 | 2022-11-15 | 최선정 | 기밀성과 방풍기능 향상 및 이물질 유입 방지를 위한 창틀하부프레임 구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3598Y1 (ko) * | 2003-05-29 | 2003-08-19 | 현우공업 주식회사 | 창틀용 배수구 |
JP2004169476A (ja) * | 2002-11-21 | 2004-06-17 | Tostem Corp | 開口部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00000186Y1 (ko) * | 1974-12-27 | 1980-03-07 | 요시다 다다오 | 건구용 밑틀의 배수장치 |
KR101575007B1 (ko) * | 2013-12-30 | 2015-12-07 | 주식회사 케이씨씨 | 담수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용 창틀 |
KR102020686B1 (ko) * | 2014-10-06 | 2019-09-10 | (주)엘지하우시스 | 물 유입 차단을 위한 창틀프레임 |
-
2016
- 2016-09-30 KR KR1020160126123A patent/KR10176957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01-26 WO PCT/KR2017/000932 patent/WO2018062640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69476A (ja) * | 2002-11-21 | 2004-06-17 | Tostem Corp | 開口部装置 |
KR200323598Y1 (ko) * | 2003-05-29 | 2003-08-19 | 현우공업 주식회사 | 창틀용 배수구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2265B1 (ko) * | 2019-04-15 | 2020-07-09 | 김순석 | 배수와 스토퍼 기능을 갖는 사출물을 사용하여 기밀성과 방풍성을 향상시킨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
KR20220151282A (ko) * | 2021-05-06 | 2022-11-15 | 최선정 | 기밀성과 방풍기능 향상 및 이물질 유입 방지를 위한 창틀하부프레임 구조 |
KR102655569B1 (ko) * | 2021-05-06 | 2024-04-08 | 최선정 | 기밀성과 방풍기능 향상 및 이물질 유입 방지를 위한 창틀하부프레임 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8062640A3 (ko) | 2018-09-07 |
WO2018062640A2 (ko) | 2018-04-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69263B1 (ko) | 하부프레임에 착탈식 레일판을 장착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 |
JPH05202679A (ja) | ドアの敷居 | |
KR101769572B1 (ko) |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위한 사출물 | |
KR101999086B1 (ko) | 레일 내장형 미닫이 창호 | |
KR101760014B1 (ko) | 폴딩도어용 하부 가이드프레임 | |
KR101817516B1 (ko) | 하부프레임의 레일판이 분리 가능하고 기밀·방풍기능을 갖는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 |
KR101769584B1 (ko) | 하부프레임에 착탈 가능한 커버판과 사출물을 구비하여 기밀성과 방풍기능을 향상시킨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 |
KR101769570B1 (ko) |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한 압출물을 장착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 |
WO2017057840A1 (ko) |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 |
KR101769578B1 (ko) | 분리 가능한 하부프레임을 구비하고 기밀성과 방풍기능을 갖는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 |
KR101753037B1 (ko) | 기밀성과 방풍기능을 갖는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 |
JP2009114781A (ja) | 建具 | |
KR20170055191A (ko) | 미서기창 창틀프레임에 형성된 배수구멍의 차폐구조 | |
JP2008111300A (ja) | サッシ | |
KR102034572B1 (ko) | 슬라이딩 개폐방식의 창호가 설치된 문틀의 원활한 배수 및 외풍방지를 위한 조립구조 | |
JP3911383B2 (ja) | 自動製氷機等の貯氷庫扉組立体 | |
KR102132265B1 (ko) | 배수와 스토퍼 기능을 갖는 사출물을 사용하여 기밀성과 방풍성을 향상시킨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 |
JP7425671B2 (ja) | 建具 | |
KR102601815B1 (ko) | 구조가 간단하면서 배수구조가 구비된 미서기창의 풍지판 | |
KR102534380B1 (ko) | 배수구조가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풍지판 | |
JP3232395B2 (ja) | スライディングサッシの下枠構造 | |
KR20140001381A (ko) | 슬라이드 개폐형 창틀의 집수 및 드레인 장치 | |
KR200490465Y1 (ko) | 창틀의 수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창틀프레임 | |
KR20160022013A (ko) | 청소 및 배수가 용이한 창틀프레임 | |
TWI687584B (zh) | 門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