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186Y1 - 건구용 밑틀의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건구용 밑틀의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186Y1
KR800000186Y1 KR740006701U KR740006701U KR800000186Y1 KR 800000186 Y1 KR800000186 Y1 KR 800000186Y1 KR 740006701 U KR740006701 U KR 740006701U KR 740006701 U KR740006701 U KR 740006701U KR 800000186 Y1 KR800000186 Y1 KR 8000001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plate
perforation
drain
windi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0067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우이치 호소오카
Original Assignee
요시다 다다오
요시다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다다오, 요시다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to KR7400067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1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1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186Y1/ko

Links

Landscapes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구용 밑틀의 배수장치
도면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도는 배수판의 사시도.
제2도 및 제3도는 배수판의 고정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및 그 종단면도.
제4도 및 제5도는 배수판의 이동시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미서기 창의 밑틀에 설치되는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밑틀을 청소할 때 또는 창짝을 떼어내거나 끼워 넣을 때에 배수판을 밑틀의 길이 방향으로 간단하게 이동할 수가 있고 평상시에는 밑틀의 소정위치에 간단하게 고정하여 레일사이에 고인 물을 배수할 수 있는 배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종래 미서기창의 밑틀 레일 사이에 접동(接動) 가능하게 설치하여 창짝을 떼어 내거나 끼워 넣을 때에 이동 가능하게 한 배수판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배수판은 밑틀 레일 사이에 단순히 접동이 가능하게 끼워 넣기만 한 것이었으므로 소정위치에 간단히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레일사이에 고인 물을 용이하게 배수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전기한 종래의 문제점에 대처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면 배수판은, 저부가 개방된 방형상자 모양의 배수판본체(1)의 좌우측면에 집수구(3)를 또 전면의 좌우에 배수구(4)을 두고 배수판본체(1)의 내부공간을 중앙의 분리판(2)으로 좌우 구분해서된 내부통로(S)에 의해서 연통되고, 배수구(4)의 주변에는 전방에 약간 돌출하는 돌연부(5)를 설치하고, 또 풍지판 본체(1)의 후면 좌우측부에 돌출부(6)를 설치하여 다시 그 돌출부사이에 돌출부끝보다 조금 더 돌출되는 합성수지제 판스프링(7)을 설치하여서 되는 것이다. 판스프링(7)은 도시한 바와 같이 양단부를 비스듬하게 절곡하거나 반원호 모양으로 한 것 등이 사용된다. 또 돌연부(5)는 배수구(4)의 주위전체에 설치하지 아니하고 배수구(4)의 상연부에만 설치하여도 좋다. 어느 경우에든 배수구 (4)의 측단에 있는 돌연부(5)는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배수장치는 이와 같은 배수판을 밑틀(8)의 내의 레일(9,9') 사이에 감삽하고 배수구(4)를 외측 레일(9)의 투공(1)에 합치시켜서 설치하는데, 외측 레일(9)의 하부에 긴홈(10)을 형성하고 그 홈 내에 배수판 전단부를, 또 내측레일(9')의 하부에도 긴 홈(12)을 형성하여 그 홈 내에 배수판 후단부를 접동 가능하게 감입하고 다시 판스프링(7)의 탄력에 의해서 돌연부(5)를 외측레일(9)의 투공(11)에 삽입정지시키는 것이다.
제2도, 제3도는 이와 같은 배수장치의 통상의 상태는 나타낸 것이며 레일 (9,9')사이에 고인 물이 집수구(3)에서 배수구(4)로 흘러 밑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청소 할 때 혹은 창짝을 떼거나 끼워 넣을 때에, 배수구(4)의 측단에 있는 돌연부(5)를 경사지게 한 때에는 배수판을 밑틀(8)의 길이 방향으로 밀어주면, 돌연부(5)는 그 경사면을 따라서 판스프링(7)의 탄력에 저항하여 투공(11)에서 이탈하며, 제4,5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레일(9,9') 사이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배수판 후단부가 내측 레일(9')의 긴홈(12)내로 감합되어 있으므로 원활하게 또한 안정하게 배수판을 접동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또 배수구(4)의 측단에 있는 돌연부(5)가 경사져 있지 아니할 때에는, 배수판을 판스프링(7)의 탄력에 저항하여 후방으로 눌려서 돌연부(5)를 외측레일(9)의 투공(11)에서 이탈시키고 길이 방향으로 밀어주면 배수판을 길이 방향으로 접동시킬 수가 있다.
또 배수판을 다시 고정할 경우에는 배수판 전단부를 외측레일(9)의 투공 (11)에 합치하도록 접동시키면 판스프링(7)의 탄력에 의해서 돌연부(5)가 투공 (11)에 감합하고 탈락됨이 없이 고정된다.
본 고안은 이상의 구성으로 되어 배수판의 전면에 설치한 배수구의 주변에는 외측레일의 투공 내에 계합가능한 돌연부가 설치되어 있고 또 후면에는 판스프링(7)이 설치되어 있으며 다시 배수판 후단부가 내측레일의 하부에 설치한 긴홈 내에 접동 가능하도록 감입(嵌入)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할 때 혹은 창짝을 떼어내거나 끼워넣을 때는 풍지판을 밑틀길이 방향으로 밀어 주든지 배수판을 판스프링의 탄력에 저항하여 후방으로 눌러줌으로서 돌연부가 레일으 투공에서 이탈하여 배수판을 길이 방향으로 원활하고 안정하게 접동시킬 수가 있다. 또 배수판을 외측레일의 투공에 배수구를 합치시키려 이동할 때에는 내측 레일을 반력벽으로 하는 판스프링의 탄력에 의하여 돌연부가 투공내로 감합하여 배수판을 간단하게 고정할 수가 있고 또한 배수구에서 레일 사이에 고인 물을 배출할 수가 있다.

Claims (1)

  1. 방형상자 모형의 본체의 전면에 배수구가, 횡측면에 집수구가 설치되고 이들이 내부 통로에 의하여 연통되어 있는 배수판을 밑틀의 내외 레일 사이에 감삽하고 또한 상기 배수구를 외측 레일의 투공에 합치시켜서 되는 창틀의 배수장치에 있어서, 배수판 본체의 배수구 주변에 돌연부를 설치하여 이 돌연부를 배수판 본체의 후면에 설치한 판스프링에 의해 외측 레일의 투공에 돌입 정지시키고 또한 내측 레일의 하부에 긴 홈을 설치하여 이 긴홈에 배수판의 후단부를 접동 가능하게 감입하고 또한 이 풍지판의 후단부와 상기 긴홈 사이에 상기 돌연부가 투공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는데 필요한 간격을 설치하여, 배수판을 밑틀 길이 방향으로 접동 간단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구용 밑틀의 배수 장치.
KR740006701U 1974-12-27 1974-12-27 건구용 밑틀의 배수장치 KR8000001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06701U KR800000186Y1 (ko) 1974-12-27 1974-12-27 건구용 밑틀의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06701U KR800000186Y1 (ko) 1974-12-27 1974-12-27 건구용 밑틀의 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186Y1 true KR800000186Y1 (ko) 1980-03-07

Family

ID=19200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006701U KR800000186Y1 (ko) 1974-12-27 1974-12-27 건구용 밑틀의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1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2640A3 (ko) * 2016-09-30 2018-09-07 김순석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위한 사출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2640A3 (ko) * 2016-09-30 2018-09-07 김순석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위한 사출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3918A (ko) 제트형 헬멧
KR840003521A (ko) 테이프 카셋트
KR840002564A (ko) 테이프 카세트
KR800000186Y1 (ko) 건구용 밑틀의 배수장치
US5851127A (en) Christmas lamp plug
US3839750A (en) Weir hinge structure
JPS6013381A (ja) テ−プレコ−ダの蓋体装置
JPS6224708Y2 (ko)
JPS6023369Y2 (ja) 収納部付き壁材
US2539342A (en) Plate or cut film holder
JPS6029589Y2 (ja) 小窓の排水構造
US2044916A (en) Draft eliminator for windows
JPH029695Y2 (ko)
US2885744A (en) Combined weatherstrip and sash balance
JPS6240068Y2 (ko)
US1530384A (en) Window box
RU2009104304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ема карточки
JPH0122877Y2 (ko)
JPS5915210Y2 (ja) 防水取付装置
KR940008366Y1 (ko) 자동차문 하단부에 천공된 배수공 커버
JPS5851355Y2 (ja) シヤツタスラツトの係合緩衝装置
US1786725A (en) Savings bank
KR790001028Y1 (ko) 환풍기 뚜껑의 개폐장치
JPS635135Y2 (ko)
JPH0711499Y2 (ja) 操作パネルの防滴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