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299B1 - 창틀부재 - Google Patents

창틀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299B1
KR100396299B1 KR10-2001-0023211A KR20010023211A KR100396299B1 KR 100396299 B1 KR100396299 B1 KR 100396299B1 KR 20010023211 A KR20010023211 A KR 20010023211A KR 100396299 B1 KR100396299 B1 KR 100396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inner member
hanger
synthetic resin
out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3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3392A (ko
Inventor
민경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광에이치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광에이치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광에이치티에스
Priority to KR10-2001-0023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6299B1/ko
Publication of KR20020083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3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2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2Frames composed of part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1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 B65D43/02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only on the inside, or a part turned to the in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틀부재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알루미늄재질의 내형부재와 합성수지재질의 외형부재를 각각 제작한 후 조립하여 단열효과 및 강도를 향상시키면서 결로를 예방하고, 배수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틀부재는 창틀 홈의 바닥부(14) 상면에서 상측으로 형성된 복수의 레일(12)과, 다수의 가이드(15)와, 좌, 우 양측에서 안쪽으로 내향지도록 U자형으로 꺾인 결합부(16)(17)를 가지는 알루미늄재의 내형부재(10)와, 바닥판(21)위로 임의의 간격을 가진 채 형성된 경사판부(22)와, 상기 내형부재의 실외측 모서리에 걸리도록 연장하여 형성한 외측 걸이턱(23)과, 상기 내형부재의 실내측 모서리에 걸리도록 상측으로 연장하여 형성한 내측 걸이턱(24)과, 상기 내형부재의 좌, 우 결합부에 걸리도록 내향지게 형성한 좌, 우 U자형 결합홈부(25)(26)를 가지는 합성수지재의 외형부재(20)를 제조하여 상호 결합하되, 상기한 외형부재(20)의 실외측 걸이턱(23) 및 실내측 걸이턱(24)이 내형부재(10)의 상측 모서리에 각각 걸리고, 내형부재(10)의 좌, 우 결합부(16)(17)가 외형부재(20)의 결합홈부(25)(26)속에 끼워지도록 결합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창틀부재{WINDOWS FRAME}
본 발명은 창틀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알루미늄재질의 내형부재와 합성수지재질의 외형부재를 각각 제작한 후 조립하여 단열효과 및 강도를 향상시키면서 결로를 예방하고, 배수가 용이하도록 하고자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틀부재는 목재 또는 알루미늄재, 합성수지재 등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그러나 목재는 생산성이 떨어지고, 내구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근래에는 주로 알루미늄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많이 만들고 있다.
합성수지재 및 알루미늄재 창틀부재는 압출성형의 방법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둘다 생산성은 좋으나, 합성수지재 창틀부재의 경우에는 난방 단열 효과는 우수하지만 강성이 약하기 때문에 창틀 주변의 처짐이 발생하여 창문이 파손되거나 잘 여닫히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고, 알루미늄 창틀부재의 경우에는 강성은 좋으나 방음성 및 기밀성이 떨어지고, 난방 단열효과도 미흡하며, 내외의 온도차에 따른 결로현상 등이 있어 단점이 있다.
한편, 근래에는 위에서 지적한 바와 같은 알루미늄재 창틀부재와 합성수지재 창틀부재의 장, 단점을 서로 보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합형태의 창틀부재가 만들어 졌는 바, 실용신안 공개 제89-17745호, 실용신안 공개 제1998-58166호 등이 그 예이며, 이들 구조의 특징을 보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내측은 합성수지재 창틀부재(B), 실외측은 알루미늄재 창틀부재(A)가 되도록 결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창틀부재는 도면상 좌, 우로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실내측과 실외측의 온도 차이가 많은 겨울철에는 서로의 수축/팽창 조건이 달라 비틀림이 발생한다.
즉, 외측의 알루미늄재 창틀부재(A)가 수축되는데 반하여 내측의 합성수지재 창틀부재(B)는 팽창되기 때문에 어느 한쪽이 휘어지거나 분할선 위치에 틈이 발생하여 방음 방수가 약해지고, 창틀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그 외에 종래의 창틀부재는 창틀의 레일홈(11)에 떨어진 물이 레일(12)의 측편으로 형성된 통공(13)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는 바, 배수가 쉽게 이루어 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이물질의 배출이 용이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 보완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알루미늄재질의 내형부재와 합성수지재질의 외형부재를 각각 제작한 후 조립하여 단열효과 및 강도를 향상시키면서 결로를 예방하고, 배수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틀부재는 창틀 홈의 바닥부 상면에서 상측으로 형성된 복수의 레일과, 다수의 가이드와, 좌, 우 양측에서 안쪽으로 내향지도록 U자형으로 꺾인 결합부를 가지는 알루미늄재의 내형부재와, 바닥판 위로 임의의 간격을 가진 채 형성된 경사판과, 상기 내형부재의 실외측 모서리에 걸리도록 상측으로 연장하여 형성한 외측 걸이턱과, 상기 내형부재의 실내측 모서리에 걸리도록 상측으로 연장하여 형성한 내측 걸이턱과, 상기 내형부재의 좌, 우 결합부에 걸리도록 내향지게 형성한 좌, 우 U자형 결합홈부를 가지는 합성수지재의 외형부재를 제조하여 상호 결합하되, 상기한 외형부재의 실외측 걸이턱 및 실내측걸이턱이 내형부재의 상측 모서리에 각각 걸리고, 내형부재의 좌, 우 결합부가 외형부재의 결합홈부 속에 끼워지도록 결합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 1은 종래의 창틀부재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창틀부재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창틀부재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창틀부재 10 : 알루미늄재 내형부재
20 : 합성수지재 외형부재 11 : 홈
12 : 레일 14 : 바닥부
15 : 가이드 16,17 : 결합부
20a : 수평구멍 21 : 바닥판
22 : 경사판부 23 : 외측 걸이턱
24 : 내측 걸이턱 25,26 : 걸이홈부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창틀부재(100)는 알루미늄재질의 내형부재(10)와, 합성수지재질의 외형부재(20)로 이루어 진다.
내형부재(10)는 창틀 홈의 바닥부(14) 상면에서 상측으로 형성된 복수의 레일(12)과, 다수의 가이드(15)와, 좌, 우 양측에서 안쪽으로 내향지도록 U자형으로 꺾인 결합부(16)(17)를 가지는 것이다.
또 외형부재(20)는 저면의 바닥판(21)위로 임의의 간격을 가진 채 실외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 경사판부(22)와, 상기 내형부재의 실외측 모서리에 걸리도록 상측으로 연장하여 형성한 외측 걸이턱(23)과, 상기 내형부재의 실내측 모서리에 걸리도록 상측으로 연장하여 형성한 내측 걸이턱(24)과, 상기 내형부재의 좌, 우 결합부에 걸리도록 내향지게 형성한 좌, 우 U자형 결합홈부(25)(26)를 가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내형부재(10)와 외형부재(20)를 서로 결합할 때는 외형부재(20)의 실외측 걸이턱(23) 및 실내측 걸이턱(24)이 내형부재(10)의 상측 모서리에 각각 걸리고, 내형부재(10)의 좌, 우 결합부(16)(17)가 외형부재(20)의 결합홈부(25)(26)속에 끼워지도록 결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이 결합하게 되면 알루미늄재질의 내형부재(10) 밑에 합성수지재질의 외형부재(20)가 끼워진 것이므로 내, 외형 부재가 상, 하로 조립된 형태가 되는 것이며, 특히 내형부재(10)의 측편부 및 하반부를 외형부재(20)가 대부분 감싸고 있는 형태이다.
그리고 상기한 내형부재(10)는 창틀 홈의 바닥부(14)에서 각각의 수직구멍(10a)들을 형성하고, 외형부재(20)는 실외측 측면에서 수평구멍(20a)들을 형성하여 배수되게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0b는 결합홈부에 마련된 걸림턱, 30은 창문, 40은 벽체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본 발명의 창틀부재(10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속 생산된 상태에서 창문의 상변과, 좌, 우 측변과, 하변을 이루도록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 후, 그 끝단을 45°로 경사지게 컷팅하고, 컷팅된 부분을 서로 맞대고 연결하여 장방형으로 만들되, 모서리와 모서리를 열융착의 방법으로 연결할 수도 있고,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연결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조립 방법은 종래의 방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틀부재(100)는 도 3에서 보듯이 창틀 홈(11)에 빗물이 고였을 경우, 내형부재(10)의 바닥부(14)에 형성된 수직구멍(10a)들을 통해 그 아래 외형부재(20)의 경사판부(22) 위로 일차 떨어지게 되고, 경사판부(22)에서는 경사진 방향으로 흘러 그 외측벽에 형성된 수평구멍(20a)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창틀부재는 알루미늄부재와 합성수지부재를 결합하여 하나의 창틀부재를 완성하되, 알루미늄재질의 내형부재와, 합성수지재질의 외형부재를 상, 하 방향으로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이가 크더라도 수축/팽창의 차이가 크지 않으며, 특히 외형부재가 내형부재의 하반부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견고히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수축 및 팽창의 차이가 있다고 하더라도 뒤틀리거나 하는 일이 미리 방지되므로 창틀 및 주변이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창틀 홈에 고인 물이 바닥부의 수직구멍을 통해 별도로 형성된 외형부재의 경사판부에 떨어진 후, 외측의 수평구멍을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종래의 수평구멍만으로 배출되던 것과 달리 먼지 등의 이물질이 남지 않는 상태로 배출됨은 물론 더 빨리 배출되므로 배출효과가 탁월한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창틀 홈의 바닥부(14) 상면에서 상측으로 형성된 복수의 레일(12)과, 다수의 가이드(15)와, 좌, 우 양측에서 안쪽으로 내향지도록 U자형으로 꺾인 결합부(16)(17)를 가지는 알루미늄재의 내형부재(10)와,
    바닥판(21)위로 임의의 간격을 가진 채 형성된 경사판부(22)와, 상기 내형부재의 실외측 모서리에 걸리도록 상측으로 연장하여 형성한 외측 걸이턱(23)과, 상기 내형부재의 실내측 모서리에 걸리도록 상측으로 연장하여 형성한 내측 걸이턱(24)과, 상기 내형부재의 좌, 우 결합부에 걸리도록 내향지게 형성한 좌, 우 U자형 결합홈부(25)(26)를 가지는 합성수지재의 외형부재(20)를 제조하여 상호 결합하되,
    상기한 외형부재(20)의 실외측 걸이턱(23) 및 실내측 걸이턱(24)이 내형부재(10)의 상측 모서리에 각각 걸리고, 내형부재(10)의 좌, 우 결합부(16)(17)가 외형부재(20)의 결합홈부(25)(26)속에 끼워지도록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내형부재(10)는 창틀 홈의 바닥부(14)에서 각각의 수직구멍(10a)들을 형성하고, 상기한 외형부재(20)는 실외측 측면에서 수평구멍(20a)들을 형성하여 배수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부재.
KR10-2001-0023211A 2001-04-28 2001-04-28 창틀부재 KR100396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211A KR100396299B1 (ko) 2001-04-28 2001-04-28 창틀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211A KR100396299B1 (ko) 2001-04-28 2001-04-28 창틀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392A KR20020083392A (ko) 2002-11-02
KR100396299B1 true KR100396299B1 (ko) 2003-09-02

Family

ID=19708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3211A KR100396299B1 (ko) 2001-04-28 2001-04-28 창틀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629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511B1 (ko) * 2005-05-09 2007-06-20 박무상 누수 방지 프레임 조립식 창틀골조
KR100844550B1 (ko) 2007-05-17 2008-07-08 김순석 창문프레임의 보조프레임
KR100996268B1 (ko) 2008-11-10 2010-11-24 정찬효 창틀의 상,하부 프레임 구조
KR100996269B1 (ko) 2008-11-10 2010-11-24 정찬효 창틀의 중간프레임 구조
KR100996270B1 (ko) 2008-11-10 2010-11-24 정찬효 창틀의 상,하부 프레임 구조
KR101769570B1 (ko) * 2015-10-16 2017-08-18 김순석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한 압출물을 장착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KR101769580B1 (ko) * 2015-10-29 2017-08-18 김순석 압출물로 된 레일판을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KR101817516B1 (ko) * 2015-10-16 2018-01-11 김순석 하부프레임의 레일판이 분리 가능하고 기밀·방풍기능을 갖는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KR101869263B1 (ko) * 2016-08-17 2018-06-21 김순석 하부프레임에 착탈식 레일판을 장착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KR102012008B1 (ko) * 2019-06-28 2019-10-14 주식회사 이지건축 건축용 누수방지창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869A (ko) * 2002-11-05 2002-12-12 박영기 칼라를 양분화 시킨 문틀
KR20040041899A (ko) * 2002-11-12 2004-05-20 남창드림윈도스 주식회사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복합창호
KR100538008B1 (ko) * 2002-12-06 2005-12-20 송행복 이중창 프레임 구조
KR101302093B1 (ko) * 2013-02-25 2013-08-30 김순석 이형프레임 구조를 갖는 복합창호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511B1 (ko) * 2005-05-09 2007-06-20 박무상 누수 방지 프레임 조립식 창틀골조
KR100844550B1 (ko) 2007-05-17 2008-07-08 김순석 창문프레임의 보조프레임
KR100996268B1 (ko) 2008-11-10 2010-11-24 정찬효 창틀의 상,하부 프레임 구조
KR100996269B1 (ko) 2008-11-10 2010-11-24 정찬효 창틀의 중간프레임 구조
KR100996270B1 (ko) 2008-11-10 2010-11-24 정찬효 창틀의 상,하부 프레임 구조
KR101769570B1 (ko) * 2015-10-16 2017-08-18 김순석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한 압출물을 장착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KR101817516B1 (ko) * 2015-10-16 2018-01-11 김순석 하부프레임의 레일판이 분리 가능하고 기밀·방풍기능을 갖는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KR101769580B1 (ko) * 2015-10-29 2017-08-18 김순석 압출물로 된 레일판을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KR101869263B1 (ko) * 2016-08-17 2018-06-21 김순석 하부프레임에 착탈식 레일판을 장착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KR102012008B1 (ko) * 2019-06-28 2019-10-14 주식회사 이지건축 건축용 누수방지창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392A (ko) 200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6299B1 (ko) 창틀부재
CA2724686C (en) Building closure with enhanced moisture barrier properties
KR102020686B1 (ko) 물 유입 차단을 위한 창틀프레임
US4296578A (en) Skylight apparatus
KR101242606B1 (ko) 물막이를 구비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KR102108538B1 (ko) 고단열 알루미늄 창호
EP1533436B1 (en) Covering sealing element for roof window
KR200434906Y1 (ko) 알루미늄 창틀
KR100844550B1 (ko) 창문프레임의 보조프레임
KR200485380Y1 (ko) 추락방지기능이 구비된 고기밀성 창호
JP2008255761A (ja) リフォームサッシ及びその施工方法
JPH0315755Y2 (ko)
KR100704264B1 (ko) 착탈식 몰딩구조 및 우수한 단열 및 방음구조를 갖는 창호
KR200375065Y1 (ko) 시스템 창호의 조립식 창틀구조
KR102105357B1 (ko) 단열 창호
KR200434908Y1 (ko) 알루미늄 창틀
KR100874255B1 (ko) 알루미늄 창틀
JP3232403B2 (ja) 合成樹脂製の框
KR102596819B1 (ko) 갤러리창호
KR100865156B1 (ko) 알루미늄 창틀
CN216811406U (zh) 密封性能好的平齐平开窗
CN220415157U (zh) 一种平开窗型材结构
KR200465549Y1 (ko) 방풍 및 빗물배출 기능이 구비된 창문구조
JPS6240064Y2 (ko)
KR200436203Y1 (ko) 샤시 프레임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