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4550B1 - 창문프레임의 보조프레임 - Google Patents

창문프레임의 보조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4550B1
KR100844550B1 KR1020070048105A KR20070048105A KR100844550B1 KR 100844550 B1 KR100844550 B1 KR 100844550B1 KR 1020070048105 A KR1020070048105 A KR 1020070048105A KR 20070048105 A KR20070048105 A KR 20070048105A KR 100844550 B1 KR100844550 B1 KR 100844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frame
window
indoor
auxiliar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8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석
Original Assignee
김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석 filed Critical 김순석
Priority to KR1020070048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45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프레임의 보조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창틀의 깊이가 낮아 지게 되어 창문프레임의 내부로 유입되는 먼지나 이물질 등의 청소작업이 간편하며, 수분이 유입되더라도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져 창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가능하고, 창틀프레임의 경계선을 통과하여 실외에서 유입되는 바람을 차단할 수 있는 방풍작용을 하는 창문프레임의 보조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에 창문을 설치하기 위해 건물벽의 일부분을 사각형 형상으로 개방시킨 설치부의 사방면에 설치되는 창문프레임의 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창문프레임의 이동공간에 보조프레임을 결합시켜 이동공간의 골의 깊이를 낮게 형성시켜 청소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며, 가로대에 돌출단이 실내측레일 및 마감벽과 배수틈을 형성하여 수분의 배출을 원활하게 수행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진입하는 바람을 차단하여 효율적인 방풍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창문, 창틀, 보조프레임, 배수홀, 방풍, 이동공간, 슬라이드, 레일, 건물벽

Description

창문프레임의 보조프레임{Cadence frame of window frame}
도 1은 종래의 창문프레임에 창문을 설치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프레임의 보조프레임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창문프레임에 보조프레임을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치사시도,
도 4는 창문프레임에 보조프레임을 설치한 후 건물벽에 시공된 정면도,
도 5는 창문프레임에 보조프레임을 설치하고 창문을 설치한 종단면도,
도 6은 창문프레임에 보조프레임을 적용하여 배수기능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창문프레임에 보조프레임을 적용하여 방풍기능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창문프레임 11 : 설치단
12,13 : 실내/외측레일
12a,13a : 배수홀
14,15 : 마감벽 14a,15a : 결합홈
15b : 배수홀 16 ; 실내측이동공간
17 : 실외측이동공간 18,19 : 바닥면
20 : 보조프레임 21 : 내측수직대
21a : 단턱단 21b : 배수통로
22 : 외측수직대 22a : 배수통로
23 : 가로대 23a : 돌출단
23a' : 배수틈 100 : 창문보조프레임
200 : 건물벽 201 : 설치부
202 : 경계면 300 : 창문
301 : 롤러 302 : 창문끝단
400 : 방풍모
본 발명은 창문프레임의 보조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창틀의 깊이가 낮아 지게 되어 창틀의 내부로 유입되는 먼지나 이물질 등의 청소작업이 간편하며, 수분이 유입되더라도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져 창문프레임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가능하고, 창틀프레임의 경계선을 통과하여 실외에서 유입되는 바람을 차단할 수 있는 방풍작용을 하는 창문프레임의 보조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프레임은 창문이나 도어의 틀을 형성하며, 합성수지 재질로 압출 성형되거나, 알루미늄 재질로 다이 캐스팅되어 일정한 규격의 단일 제품으로 제조되며 창문 설계에 맞는 길이로 작업자가 선택, 절단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창문프레임의 전형적인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창문프레임(1)은 건물벽(200)의 설치부(201)에 설치되는 것으로, 글 라스가 결합된 창문(300)이 결합된 후 롤러(301)를 이용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는 실내외측 이동공간(3)이 형성되고, 이동공간(3)에는 레일(4)이 창문프레임(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창문(300)을 폐쇄하였을 때 실외에서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바람을 차단하기 위한 방풍모(5a)가 마감벽(5)에 결합되어 창문(300)의 창문끝단(302)의 양 측면을 접촉하며, 이동공간(3)에 유입된 수분을 배수할 수 있는 배수홀(6)이 레일(4) 및 실외측으로 위치된 마감벽(5)에 형성되는 한편, 배수홀(6)은 이동공간(3)의 바닥면(3a)에 근접하게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창문(300)이 결합되어 이동되는 창문용프레임(1)은 압출 성형되는 것으로, 근래의 아파트의 발코니용 창이나, 베란다 창 등은 조망과 쾌적한 주거환경을 위해 거실의 한 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고 그 창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커지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창문프레임은 안전 및 방음, 방풍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글라스의 두께를 증대시킴으로써, 창문의 하중이 증대되어 창문프레임이 변형되는 폐단이 있어 별도의 금속재의 보강부재를 삽입하고 있는 실정으로 제작비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창문프레임은 건물벽의 설치부에 설치할 때 각각 만나는 끝단을 45°로 절단하여 열융착방식을 이용하여 부착한 후 결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서로 접하는 경계면이 구조적인 취약점을 나타내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오랜기간에 걸쳐 사용시에는 경계면에서 틈새가 발생되어 방음 및 방풍의 효율이 저하는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종래의 창문프레임은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골의 깊이가 깊어 각종 이물질이나 먼지가 유입되면 제거를 위한 청소작업이 불편하며,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흡입하더라도 이동공간의 골이 깊어 흡입력이 원활히 작용되지 못하여 깨끗하게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창문프레임은 배수홀이 형성되어 있다 하더라도 바닥면이 일정하게 위치되어 수분의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창문프레임은 실외측에서 작용되는 바람이 배수홀을 통해 유입된 후 창문프레임의 이동공간을 거쳐 방풍모를 통해 미세하게 유입되어 특히 여름철 및 겨울철에는 냉방과 난방의 효율성이 저감되고, 방음기능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골의 깊이가 낮아 청소작업이 용이하며 바닥면의 높이를 달리하여 수분의 배수효율이 증대되고, 방음 및 방풍기능이 뛰어난 동시에 경계면의 구조적 안정을 이룰 수 있는 개선된 창문프레임의 보조프레임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실내외측레일 및 마감벽에 배수홀을 형성시켜 창문프레임에 유입되는 수분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창문프레임의 보조프레임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창문프레임을 형성하는 두 개의 바닥면을 실내측은 높게 실외측이 낮은 계단방식으로 형성하여 창문프레임의 내부로 유입된 수 분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개선된 창문프레임의 보조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창문프레임의 이동공간에 보조프레임을 결합시켜 이동공간의 골의 깊이를 낮게 형성시켜 청소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며, 가로대에 돌출단이 실내측레일 및 마감벽과 배수틈을 형성하여 수분의 배출은 원활하게 수행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진입하는 바람을 차단하여 효율적인 방풍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창문프레임의 보조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창문프레임이 결합되는 경계면을 차단하여 방음 및 방풍의 효율이 극대화 되도록 개선된 창문프레임의 보조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벽의 설치부에 매설되는 설치단들이 형성된 반대측에는 롤러가 부착된 창문이 안치되어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실내/외측레일이 형성되되, 실내측레일의 양측으로 방풍모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일측 및 양측에 형성된 마감벽에 의하여 2열씩의 실내측이동공간 및 실외측이동공간이 형성되는 한편, 실내/외측레일 및 마감벽의 하단에는 바닥면에 인접한 배수홀이 형성된 창문프레임과,
창문프레임의 끝단으로부터 삽입되어 실내측이동공간에 결합되는 것으로, 실내측으로부터 설치되는 길이가 긴 내측수직대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외측수직대가 형성되되, 내측수직대의 상단부에 단턱단을 형성하도록 연결되어 외측수직대를 벗어나는 돌출단이 형성된 가로대로 이루어진 보조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실내/외측이동공간에 유입되는 먼지나 이물질의 청소작업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창문프레임의 바닥면은 실내 측에 위치된 바닥면이 실외 측에 위치된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자연배수 및 방풍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보조프레임의 돌출단은 실내측레일 및 마감벽에 이격되게 배수틈을 형성하여 습기의 발생 및 우천시 가로대의 상부로 유입된 수분이 자연배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내/외측수직대의 하부 끝단에는 실내측이동공간을 통해 배수되는 수분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배수통로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프레임의 보조프레임을 제공한다.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프레임의 보조프레임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창문프레임에 보조프레임을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치사시도이고, 도 4는 창문프레임에 보조프레임을 설치한 후 건물벽에 시공된 정면도이며, 도 5는 창문프레임에 보조프레임을 설치하고 창문을 설치한 종단면도이고, 도 6은 창문프레임에 보조프레임을 적용하여 배수기능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창문프레임에 보조프레임을 적용하여 방풍기능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창문프레임의 보조프레임은 건물에 창문(300)을 설치하기 위해 건물벽(200)의 일부분을 사각형 형상으로 개방시킨 설치부(201)의 사방면에 설치되는 창문프레임(1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창문보조프레임(100)이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창문프레임(10)은 사출제작되는 것으로서, 건물벽(200)의 설치부(201)에 고정을 위해 매설되는 설치단(11)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창문프레임(10)은 설치단(11)이 형성된 반대측에 롤러(301)가 부착된 창문(300)이 안치되어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실내/외측레일(12,13)이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실내/외측레일(12,13)은 슬라이딩되어 이동되는 미닫이방식의 창문(300)을 적용하였을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설치부(201)의 크기에 따라 제작된 창문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더불어, 창문프레임(10)을 형성하는 실내측레일(12)의 양측으로 방풍모(400)가 결합되는 결합홈(14a,15a)이 일측 및 양측에 형성된 마감벽(14,15)에 의하여 2열씩의 실내측이동공간(16) 및 실외측이동공간(17)이 구성된다.
아울러, 방풍모(400)는 창문(300)이 실내/외측레일(12,13)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개방될 경우 및 닫힌 경우에 창문(300)의 롤러(301)가 고정되는 창문끝단(302)의 양측면에 밀착되게 접촉되어 건물의 실내와 실외의 공기가 통풍되는 방풍기능과 실외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는 방음기능을 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마감벽(14)은 건물의 실내측에 위치되는 것인 반면, 마감벽(15)은 실외측에 위치되어 창문(300)의 창문끝단(302)에 인접하게 설치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실내/외측이동공간(16)은 실내/외측레일(12,13)과 나란하게 형성된 것으로 창문(300)이 실내/외측레일(12,13)의 상부면에 롤러(301)가 접촉되도록 각각 안치될 경우 창문(300)의 창문끝단(302)이 삽입되는 공간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실내/외측레일(12,13) 및 마감벽(15)의 하단에는 바닥면(18,19)에 인접한 배수홀(12a,13a,15b)이 구성된다.
이때, 바닥면(18,19)은 설치단(11)과 실내/외측이동공간(16)을 상/하방향으로 양분하는 분할 역할을 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바닥면(18,19)은 실내 측에 위치된 바닥면(18)이 실외 측에 위치된 바닥면(19)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 계단형태로 형성되어 자연배수 및 방풍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아울러, 보조프레임(20)은 사출방식을 이용한 일체의 형상으로 제작되어 창문프레임(10)의 끝단으로부터 삽입되어 실내측이동공간(16)에 결합되는 것으로, 골의 깊이가 깊은 실내측이동공간(16)의 높이에 대한 공간 체적을 감소시키기 위해 구성된다.
이때, 설치부(201)의 상하측과 좌우측에 고정되는 창문프레임(10)은 마주보며 설치되는데 각 모서리부분은 45°로 절단되어 상호 긴밀하게 맞닿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창문프레임(10)에 결합되는 보조프레임(20)들 중 상하측에 위치된 창문프레임(10)에 결합되는 보조프레임(20)은 창문프레임(10)의 길이보다 길게 제작되어 좌우측에 고정되는 창문프레임(10)의 실내측이동공간(16)으로 양끝단이 삽입된다.
그리고, 설치부(201)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창문프레임(10)에 결합되는 보조프레임(20)은 상하측에 설치된 보조프레임(20)의 양끝단부에 밀착되도록 절단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이렇게, 보조프레임(20)을 실내측이동공간(16)에 결합된 상태에서 끝단면 측에서 투영하여 도시하였을 경우, 실내측으로부터 설치되는 길이가 긴 내측수직대(21)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외측수직대(22)가 실내측이동공간(16)의 폭만큼 떨어진 상태로 형성된다.
더불어, 보조프레임(20)은 내측수직대(21)의 상단부에 단턱단(21a)을 형성하도록 연결되어 외측수직대(22)를 벗어나는 돌출단(23a)이 형성된 가로대(23)로 구성된다.
이때, 보조프레임(20)의 돌출단(23a)은 실내측레일(12) 및 마감벽(15)에 이격되게 배수틈(23a')을 형성하여 습기의 발생 및 우천시 가로대(23)의 상부로 유입된 수분이 자연배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배수틈(23a')은 창문프레임(10)의 실내측이동공간(16)으로 유입된 이물질이나 먼지가 통과될 수 없는 정도의 간격으로 수분이 통과될 수 있을 정도로 유지되게 된다.
아울러, 보조프레임(20)을 형성하는 내/외측수직대(21,22)의 하부 끝단에는 실내측이동공간(16)에 유입된 후 배수홀(12a)을 통해 배수되는 수분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배수통로(21b,22a)가 구성된다.
여기서, 배수통로(21b,22a)는 내/외측수직대(21,22)의 하부 끝단을 일부분 절개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창문보조프레임(100)은 건물벽(200)의 설치부(201) 좌우/상하방향의 사방면에 창문프레임(10)의 설치단(11)을 고정시켜 마주보도록 각각 설치한다.
이때, 각각의 창문프레임(10)은 설치부(201)의 좌우측면에 설치되는 창문프레임(10)과 상하측면에 설치되는 창문프레임(10)은 각 끝단이 맞닿는 45°의 경사각도로 절단되어 경계면(202)을 형성하며 결합된다.
이러한, 경계면(202)에는 실외로부터 바람 및 소음 등을 차단하기 위하여 실리콘과 같은 접착성분이 함유된 실링제로 실링하게 되는데, 구조적으로 경계면(202)은 취약점을 지니게 된다.
이로 인해, 취약한 경계면(202)의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설치부(201)의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창문프레임(10)들의 실내측이동공간(16)에는 설치부(201)의 좌우방향에 설치되는 창문프레임(10)의 실내측이동공간(16)으로 양 끝단이 삽입될 수 있는 길이로 절단된 보조프레임(20)이 결합되어 경계면(202)의 내측면을 지지하게 되어 구조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한편, 설치부(201)의 좌우방향에 설치되는 창문프레임(10)의 실내측이동공간(16)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보조프레임(20)의 양끝단은 설치부(201)의 상하방향으 로 설치되는 창문프레임(10)들의 실내측이동공간(16)에 결합된 보조프레임(20)과 접촉되는 길이로 절단되어 결합시킨 후 보조프레임(20)이 서로 맞닿는 끝단 부분을 실리콘을 이용하여 실링 처리하여 수밀성을 증대시킨 것이다.
이로써, 창문프레임(10)들의 설치시 발생되는 경계면(202)의 내측면을 지지하게 되어 견고하며 외력에 의해 어긋나거나 비틀림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창문프레임(10)의 실내측이동공간(16)에 보조프레임(20)을 결합함으로써 골의 깊이가 얇아지게 되어 오랜 기간에 걸쳐 창문(300)을 개폐시킬 때나 공기중에 부유하여 실내측이동공간(16)으로 유입되어진 이물질이나 먼지 등이 가로대(23)의 상부에 쌓이게 되어 실내측이동공간(16)의 개구부와 가까워져 진공청소기나 걸레 또는 솔을 이용하여 청소작업을 시행할 때 간단하게 제거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식수나 음료 또는 겨울철의 실내/외의 온도차로 인하여 실내측의 창문(300) 표면에 맺혀진 습기가 유입되면 창문프레임(10)이 실내측이동공간(16)으로 유입되면 보조프레임(20)의 가로대(23)에 모여진 후 돌출단(23a)의 끝단에 위치된 배수틈(23a')를 통해 이동된다.
이렇게, 배수틈(23a')을 통해서 이동된 식수나 음료 및 습기는 배수홀(12a)를 통과한 후 2열의 실내측이동공간(16) 중 외측에 실내측이동공간(16)에 결합된 보조프레임(20)의 배수통로(21b,22a)를 통과하여 배수홀(15b)을 지나 실외측레일(13)에 형성된 배수홀(13a)를 통해 건물의 외부로 배출되게 되어 창문프레임(10)의 내부가 건조되어 청결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바닥면(18)이 높게 형성되고 바닥면(19)이 낮게 형성된 계단형태로 형성되어 자연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겨울철에는 건물의 실외측으로부터 강한 바람이 창문(300)이 설치된 창문프레임(10)의 틈새로 유입되는데 배수홀(15b)를 통하여 유입되는 바람이 돌출단(23a)에 부딪히게 되어 차단되는 기능이 있으며, 배수틈(23a')을 통해 유입된다 하더라도 실내측레일(12)에 의해 차단되어 바람의 유입이 불가능하여 방풍의 효율성이 증대됨으로써 난방비의 손실이 발생되지 않으며, 동일한 방식으로 건물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어 방음 효과가 월등히 증대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외측레일 및 마감벽에 배수홀을 형성시켜 창문프레임에 유입되는 수분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창문프레임을 형성하는 두 개의 바닥면을 실내측은 높게 실외측이 낮은 계단방식으로 형성하여 창문프레임의 내부로 유입된 수분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창문프레임의 이동공간에 보조프레임을 결합시켜 이동공간의 골의 깊이를 낮게 형성시켜 청소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며, 가로대에 돌출단이 실내측레일 및 마감벽과 배수틈을 형성하여 수분의 배출은 원활하게 수행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진입하는 바람을 차단하여 효율적인 방풍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창문프레임이 결합되는 경계면을 차단하여 방음 및 방풍의 효율이 극대화 되도록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건물벽(200)의 설치부(201)에 매설되는 설치단(11)들이 형성된 반대측에는 롤러(301)가 부착된 창문(300)이 안치되어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실내/외측레일(12,13)이 형성되되, 실내측레일(12)의 양측으로 방풍모(400)가 결합되는 결합홈(14a,15a)이 일측 및 양측에 형성된 마감벽(14,15)에 의하여 2열씩의 실내측이동공간(16) 및 실외측이동공간(17)이 형성되는 한편, 실내/외측레일(12,13) 및 마감벽(15)의 하단에는 바닥면(18,19)에 인접한 배수홀(12a,13a,15b)이 형성된 창문프레임(10)과,
    창문프레임(10)의 끝단으로부터 삽입되어 실내측이동공간(16)에 결합되는 것으로, 실내측으로부터 설치되는 길이가 긴 내측수직대(21)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외측수직대(22)가 형성되되, 내측수직대(21)의 상단부에 단턱단(21a)을 형성하도록 연결되어 외측수직대(22)를 벗어나는 돌출단(23a)이 형성된 가로대(23)로 이루어진 보조프레임(20)으로 구성되어 실내/외측이동공간(16,17)에 유입되는 먼지나 이물질의 청소작업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프레임의 보조프레임.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프레임(10)의 바닥면(18,19)은 실내 측에 위치된 바닥면(18)이 실외 측에 위치된 바닥면(19)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자연배수 및 방풍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프레임의 보조프레임.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20)의 돌출단(23a)은 실내측레일(12) 및 마감벽(15)에 이격되게 배수틈(23a')을 형성하여 습기의 발생 및 우천시 가로대(23)의 상부로 유입된 수분이 자연배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프레임의 보조프레임.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수직대(21,22)의 하부 끝단에는 실내측이동공간(16)을 통해 배수되는 수분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배수통로(21b,22a)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프레임의 보조프레임.
KR1020070048105A 2007-05-17 2007-05-17 창문프레임의 보조프레임 KR100844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105A KR100844550B1 (ko) 2007-05-17 2007-05-17 창문프레임의 보조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105A KR100844550B1 (ko) 2007-05-17 2007-05-17 창문프레임의 보조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4550B1 true KR100844550B1 (ko) 2008-07-08

Family

ID=39823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105A KR100844550B1 (ko) 2007-05-17 2007-05-17 창문프레임의 보조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455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085B1 (ko) * 2009-06-04 2011-10-13 정경모 창문 구조물
KR101560226B1 (ko) * 2015-06-04 2015-10-14 (주)태양광창호 오토밸런싱 기능이 구현된 창호용 티블럭
KR101717570B1 (ko) * 2016-02-04 2017-03-20 주식회사 효성금속 창틀 프레임 구조체
CN109236150A (zh) * 2018-11-22 2019-01-18 安徽欣叶安康门窗幕墙股份有限公司 一种横中挺及具有该横中挺的窗户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7124B1 (ko) * 1995-04-06 1999-02-18 박명신 레일 은폐형 창호장치
KR200314540Y1 (ko) 2002-11-05 2003-05-27 박영기 공기청정 및 통풍제어용 샤시 창호구조
KR100396299B1 (ko) 2001-04-28 2003-09-02 주식회사 동광에이치티에스 창틀부재
KR200362211Y1 (ko) 2004-06-22 2004-09-16 김경환 창문용 창틀프레임 어셈블리
KR100653445B1 (ko) 2005-12-13 2006-12-06 동양제철화학 주식회사 계단식 프레임을 갖는 창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7124B1 (ko) * 1995-04-06 1999-02-18 박명신 레일 은폐형 창호장치
KR100396299B1 (ko) 2001-04-28 2003-09-02 주식회사 동광에이치티에스 창틀부재
KR200314540Y1 (ko) 2002-11-05 2003-05-27 박영기 공기청정 및 통풍제어용 샤시 창호구조
KR200362211Y1 (ko) 2004-06-22 2004-09-16 김경환 창문용 창틀프레임 어셈블리
KR100653445B1 (ko) 2005-12-13 2006-12-06 동양제철화학 주식회사 계단식 프레임을 갖는 창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085B1 (ko) * 2009-06-04 2011-10-13 정경모 창문 구조물
KR101560226B1 (ko) * 2015-06-04 2015-10-14 (주)태양광창호 오토밸런싱 기능이 구현된 창호용 티블럭
KR101717570B1 (ko) * 2016-02-04 2017-03-20 주식회사 효성금속 창틀 프레임 구조체
CN109236150A (zh) * 2018-11-22 2019-01-18 安徽欣叶安康门窗幕墙股份有限公司 一种横中挺及具有该横中挺的窗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3747B2 (en) Modular window apparatus with liquid drainage ability
KR101575007B1 (ko) 담수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용 창틀
KR102020686B1 (ko) 물 유입 차단을 위한 창틀프레임
KR100819935B1 (ko) 이중 창틀의 방풍구조
KR101421247B1 (ko) 고기밀성 단열 수밀성 창틀
KR100844550B1 (ko) 창문프레임의 보조프레임
KR101242606B1 (ko) 물막이를 구비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KR101929705B1 (ko) 방수효과가 향상된 창틀
KR101717570B1 (ko) 창틀 프레임 구조체
KR101467319B1 (ko) 빗물유입방지 미서기 창호
KR20070024108A (ko) 슬라이드창호의 방음구조
KR101031126B1 (ko) 구조가 개선된 창호
KR101869411B1 (ko) 슬라이딩 창호
KR20190133431A (ko)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원활하게 시키면서 외풍도 차단할 수 있는 방풍 및 배수구조
KR20100103273A (ko) 외동창형 창호프레임
US8256166B2 (en) Openable roof or wall
KR200419514Y1 (ko) 이중 창호
JP3970233B2 (ja) サッシ窓
KR19990003488U (ko) 창틀용 프레임
KR200375065Y1 (ko) 시스템 창호의 조립식 창틀구조
KR102034572B1 (ko) 슬라이딩 개폐방식의 창호가 설치된 문틀의 원활한 배수 및 외풍방지를 위한 조립구조
JP4268121B2 (ja) 建具
KR101129964B1 (ko) 조립식 통풍 창호
KR100831423B1 (ko) 방풍용 창호
KR20060040036A (ko) 시스템 창호의 조립식 창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