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440B1 - Pvc 발포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욕실용 수납장 - Google Patents

Pvc 발포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욕실용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440B1
KR101099440B1 KR1020090126131A KR20090126131A KR101099440B1 KR 101099440 B1 KR101099440 B1 KR 101099440B1 KR 1020090126131 A KR1020090126131 A KR 1020090126131A KR 20090126131 A KR20090126131 A KR 20090126131A KR 101099440 B1 KR101099440 B1 KR 101099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eight
bathroom cabinet
bathroom
pvc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6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9411A (ko
Inventor
김동수
Original Assignee
(주) 아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이원 filed Critical (주) 아이원
Priority to KR1020090126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440B1/ko
Publication of KR20110069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9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2Cabinets for shaving tackle, medicin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5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A47B96/206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with laminates comprising planar, continuous or separat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2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for porous or cellular articles, e.g. of foam plastics, coarse-pored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VC 발포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욕실용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 염화비닐 중합체 73∼77중량%, 충전제 10∼14중량%, 안정제 0.7∼1.1중량%, 윤활제 2∼4중량%, 충격보강제 6∼10중량%, 기포제 0.2∼0.4중량%, 색소 0.5∼0.9중량%로 이루어진 원료가 혼합되어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PVC 발포체 패널의 특성상 제조단가가 절감되고 내흡습성, 내항균성, 내후성이 좋으며 강도가 뛰어나다. 또한 각각의 부품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운반된 후 작업 현장에서 곧바로 조립되므로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고, 욕실장몸체의 수평 수납폭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으며, 욕실 이용자가 욕실에 있는 동안 욕실용 수납장에 혼합된 기능성방향제에 의해 향기가 발산되어서 이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패널, V홈, 욕실장몸체, 절곡부, 상판, 하판, 격판, 수납판, 슬라이드도어

Description

PVC 발포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욕실용 수납장{PVC foam panel and cabinet for bathroom}
본 발명은 PVC 발포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욕실용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목재와 같은 미감을 가지면서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고 내흡습성, 내항균성, 내후성, 일정한 강도유지가 가능하며, 제작이 간편하고 조립이 용이하여 전체 조립시간 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PVC 발포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욕실용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욕실 내부의 수납장은 욕실의 세면대나 벽면 등의 일정 높이의 벽면에 설치하여 각종 욕실 물품을 정리 및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수납기구이다.
이러한 욕실장에는 일반적으로 원목으로 이루어진 원목 욕실장이나 PS(Polystyrene) 등을 판으로 만들어 조립한 PS 욕실장이 있다.
원목 욕실장은 디자인이 미려하고 견고하며 수명이 길어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이점이 있으나 가격이 고가이다. 또한 목재는 흡습성이 뛰어나 다량의 수분을 흡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욕실장에 곰팡이나 유해한 균이 번식하여 냄새를 발생시키게 되며 흡수된 수분에 의해 목재 자체가 변형되므로 욕실장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PS 욕실장은 현장에서 가공이 불가능하며 공장에서 완제품을 만든 후 출고해야 한다. 현장의 특성상 설치할 PS 욕실장의 크기를 조절할 필요가 종종 발생되는데, 완제품으로 출시된 PS 욕실장을 현장의 크기에 맞게 조절할 수 없다. 또한 PS 재질의 욕실장은 표면 상태가 매끄럽지 못하므로 소비자의 불만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원목의 수급이 어려워지는 최근에는 보다 저비용이면서도 원목과 유사한 질감을 얻을 수 있는 인조 목재들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원목이 갖는 단점을 해소하고 PS 제품들이 갖는 취약한 가공성 등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예들 들면 중질섬유판(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등의 인조목재를 이용하여 욕실장을 구성하거나, MDF 보드를 재단하고 그 표면에 PVC로 이루어진 시트지를 부착하여 원목의 질감을 유지함으로써 원목의 단점을 보완하고 원목의 효과를 얻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MDF 보드는 쉽게 파손되는 취약성 때문에 비교적 두꺼운 두께를 유지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므로 원가 절감의 효과가 미미하다. 또한 MDF 보드는 폐기시 원목과 함께 분리 수거되어 소각되는데, MDF 보드에 부착된 합성수지재의 시트지에 의해 다이옥신 등의 유해물질이 다량 발생되어서 대기오염의 주원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MDF 보드에 시트지를 부착시킬 때 사용되는 각종 접착재로 인해 실내에 유해물질이 다량 발생되어서 건강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목재와 같은 미감을 가지면서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고 내흡습성, 내항균성, 내후성, 일정한 강도유지가 가능하도록 한 PVC 발포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욕실용 수납장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도록 한 PVC 발포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욕실용 수납장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작이 간편하고 조립이 용이하여 전체 조립시간 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PVC 발포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욕실용 수납장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PVC 발포체 패널은, 염화비닐 중합체 73∼77중량%, 충전제 10∼14중량%, 안정제 0.7∼1.1중량%, 윤활제 2∼4중량%, 충격보강제 6∼10중량%, 기포제 0.2∼0.4중량%, 색소 0.5∼0.9중량%로 이루어진 원료가 혼합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PVC 발포체 패널의 다른 특징은, 패널의 내측면에는, 패널 두께보다 작은 깊이를 갖도록 45°의 V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PVC 발포체 패널의 또 다른 특징은, V홈의 깊이는, 패널 두께의 0.8∼0.9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PVC 발포체 패널의 또 다른 특징은, 원료에는 기능성방향제가 혼 합되되, 그 혼합비율은 원료 95∼97중량%에 기능성방향제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방향제는, 버거못 23∼27중량%, 카모마일 로만 23∼27중량%, 클레리세이지 23∼27중량%, 후랑켄세스 23∼27중량%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PVC 발포체 패널을 이용한 욕실용 수납장은, 염화비닐 중합체 73∼77중량%, 충전제 10∼14중량%, 안정제 0.7∼1.1중량%, 윤활제 2∼4중량%, 충격보강제 6∼10중량%, 기포제 0.2∼0.4중량%, 색소 0.5∼0.9중량%로 이루어진 원료를 혼합되어서 이루어진 PVC 발포체 패널로 이루어진 욕실용 수납장에 있어서, 양측의 절곡부들이 절곡되어서 욕실장의 측면판들 및 배면판들을 이루도록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물품의 수평 수납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욕실장의 측면판의 수평폭이 조절되며 측면판들 중 일측에 수평방향을 따라 수납판홈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욕실장몸체; 둘레가 욕실장몸체의 상단에 결합되고 전면 테두리에 슬라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에 슬라이드홈과 직교하도록 격판홈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판; 둘레가 욕실장몸체의 하단에 결합되고 전면 테두리에 슬라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면에 슬라이드홈과 직교하도록 격판홈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판; 상단 및 하단이 상판 및 하판의 격판홈들에 삽입되어서 욕실장몸체 내부의 공간을 수직으로 구획하며, 일측면에 측면판의 수납판홈들에 대응되도록 다수의 수납판홈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격판; 양단이 격판 및 측면판의 수납판홈들에 슬라이드 결합되어서 욕실장몸체 내부의 공간을 수평으로 구획하는 수납판; 일측 상하단에 상판 및 하판의 슬라이드홈들에 삽입되어서 이를 따라 슬라이드되도록 슬라이드돌기들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 드도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PVC 발포체 패널을 이용한 욕실용 수납장의 다른 특징은, 절곡부들은, 평단면이 V홈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욕실장몸체의 수평 수납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 V홈들이 측면판들과 배면판의 연결부위에 수직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이러한 본 발명의 PVC 발포체 패널을 이용한 욕실용 수납장은, PVC 발포체 패널의 특성상 제조단가가 절감되고 내흡습성, 내항균성, 내후성이 좋으며 강도가 뛰어나다.
또한 이러한 욕실용 수납장은 각각의 부품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운반된 후 작업 현장에서 곧바로 조립되므로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며 물류 이송 비용이 절감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욕실용 수납장은 욕실장몸체의 수평 수납폭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으므로 욕실의 구조에 맞게 수납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욕실 이용자가 욕실에 있는 동안 욕실용 수납장에 혼합된 기능성방향제에 의해 향기가 발산되어서 이용자의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고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등의 건강을 증진시킨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VC 발포체 패널을 보인 개략적 평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PVC 발포체 패널은, 염화비닐 중합체(PVC polymer) 73∼77중량%, 충전제(filler) 10∼14중량%, 안정제(stabilizer) 0.7∼1.1중량%, 윤활제(lubricant) 2∼4중량%, 충격보강제(impact agent) 6∼10중량%, 기포제(foaming agent) 0.2∼0.4중량%, 색소(pigment) 0.5∼0.9중량%로 이루어진 원료가 혼합되어서 이루어진다.
염화비닐 중합체(PVC polymer)는 그 혼합비율이 73∼77중량%로써, PVC 발포체 패널의 주성분을 이룬다. 염화비닐 중합체의 혼합비율이 73중량% 미만이면, 염화비닐수지의 특성이 크게 저하되며, 염화비닐 중합체의 혼합비율이 77중량%를 초과하면, 다른 원료들의 혼합비율이 상대적으로 감소되므로 PVC 발포체 패널의 강도 저하, 기포발생 저하 등의 제반 문제점이 발생된다.
충전제(filler)는, 고무나 플라스틱의 실용화에서 노화방지, 보강, 증량의 목적으로 가하는 물질이다. 예를 들면 고무로부터 자동차 타이어를 제조할 때 필요한 강도를 얻기 위해 가하는 탄소가 충전제에 해당한다. 요소포말린수지나 페놀포말린수지도 수지만으로는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없으므로 셀룰로스, 석면, 목분 등을 가하여 실용수지가 만들어진다.
이러한 충전제의 혼합비율은 10∼14중량%가 적합하다. 충전제의 혼합비율이 10중량% 미만이면, 제조된 PVC 발포체 패널의 강도가 저하되어서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충전제의 혼합비율이 14중량%를 초과하면, 10∼14중량%일 때에 비해 강도가 크게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단가는 크게 증가된다.
안정제(stabilizer)는, 물질을 방치하거나 보존할 때, 상태 변화나 화학 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물질로써, 열, 빛, 미생물, 화학 시약 따위의 작용을 느리게 하거나, 콜로이드 용액에서 입자가 침전하는 것을 막는다. 아황산나트륨, 아스코르빈산 등이 있다.
이러한 안정제의 혼합비율은 0.7∼1.1중량%가 적합하다. 안정제의 혼합비율이 0.7중량% 미만이면, 원료의 혼합 및 용융시 안정효과가 크게 저하되며, 안정제의 혼합비율은 1.1중량%를 초과하면, 원료의 혼합 및 용융시 화학 변화가 너무 느리게 진행되어서 전체 제조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윤활제(lubricant)는 2∼4중량%가 혼합된다. 윤활제의 혼합비율이 2중량% 미만이면, 원료의 혼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제품의 광택이 떨어지며, 윤활제의 혼합비율이 4중량%를 초과하면 원료간의 결합력이 크게 저하된다.
충격보강제(impact agent)는, 6∼10중량%가 혼합된다. 충격보강제의 혼합비율이 6중량% 미만이면, 충격보강 효과가 없으며, 충격보강제의 혼합비율이 10중량%를 초과하면, 충격보강 효과가 급격히 낮아지고 본래의 염화비닐수지의 특성이 없어진다.
기포제(foaming agent)는, 합성수지, 고무 등에 녹여서 가열에 의해 기체를 발생시키는 물질을 말한다. 이러한 기포제는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암모늄, 디아조아미노벤젠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기포제는 0.2∼0.4중량%가 혼합된다. 기포제의 혼합비율이 0.2중량% 미만이면, 기포가 제대로 발생되지 않으며, 기포제의 혼합비율이 0.4중량%를 초과하면, 기포 발생이 과다하여서 제품의 강도가 크게 저하된다.
색소(pigment)의 색상은 사용자의 필요에 맞게 선택되며, 그 혼합비율은 0.5∼0.9중량%가 혼합된다. 색소의 혼합비율이 0.5중량% 미만이면 색상이 제대로 표현되지 못하며, 색소의 혼합비율이 0.9중량%를 초과하면 초과된 양에 비례하게 색상의 선명도가 향상되지 못한다.
이러한 원료가 혼합되어서 제조된 PVC 발포체 패널(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1)의 내측면에 패널(1) 두께보다 작은 깊이를 갖도록 45°의 V홈(2)이 형성되어 있다. V홈(2)의 깊이(t)는, 패널(1) 두께의 0.8∼0.9배로 이루어진다.
V홈(2)의 깊이(t)가 패널(1) 두께의 0.8배 미만이면, V홈(2) 부위가 제대로 접히지 않으며, V홈(2)의 깊이(t)가 패널(1) 두께의 0.9배를 초과하면, V홈(2) 부위가 원활히 접히나 매우 취약하여서 쉽게 찢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PVC 발포체 패널에는 기능성방향제가 혼합될 수 있다. PVC 발포체 패널의 원료와 기능성방향제의 그 혼합비율은 원료 95∼97중량%에 기능성방향제 3∼5중량%가 혼합된다.
이러한 기능성방향제는, 버거못 23∼27중량%, 카모마일 로만 23∼27중량%, 클레리세이지 23∼27중량%, 후랑켄세스 23∼27중량%로 이루어지며, 그 혼합비율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비율로 혼합될 수 있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기능성 방향제는 원료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방향제의 혼합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방향제의 혼합비율이 3∼5중량%를 초과하면 그 기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 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
이러한 기능성방향제는 불안, 긴장, 걱정, 초초함을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
현대 사회를 사는 사람들은 어쩔 수 없이 늘 마음이 불안하고 여러 가지 걱정거리를 갖고 있으며 초조해지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들이 지속적으로 계속되거나 아무런 이유없이 불안하고 초조할 때에는 이를 완화해 줄 필요가 있는데, 본 발명의 기능성방향제는 욕실에서 씻는 동안 마음을 안정시키고 근육을 풀어주며 불안, 긴장감을 완화해 주는데 좋은 작용을 한다.
기능성방향제 중 버거못(Bergamot : citrus bergamia, citrus aurantium)은 주산지인 북이태리 지방의 버가모(Bergamo)에서 따온 이름으로, 그 열매에서 짜낸 에센셜 오일은 linalyl acetate, limonene, lonalol을 주로 함유하고 있고 신선한 과일 향과 더불어 약한 초록색을 띈다.
이러한 버거못 오일은 항울효과가 탁월한 업리프팅(uplifting) 오일이다. 다시 말해 버거못 오일은 정신적으로 심리적으로 상쾌하고 신선하게 해 주는 효과가 탁월하며 심리적으로 초조, 불안하고 우울한 사람에게 버거못 오일을 이용한 맛사지를 해주면 그 효과가 탁월하다.
카모마일 로만(Chamomile Roman : chamaemelum nobile & anthemis nobilis)은, isobutyl angelate, pinocarvone, α-pinene, camphene, β-pinene, sabinene, myrcene, cineole, γ-terpinene, caryophyllene, propylangelate, butyl angelate 등의 화학성분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진통, 항염, 방부, 항경련, 진정 통경, 건위, 구충, 강장작용과 더불어 박테이라를 죽이고 상처를 낫게 하는 작용을 하며, 특히 마음과 신경을 안정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클레리세이지(Clary Sage : salvia sclarea, salvia viridis)는, linalyl aceate, sclareol, linalol, salvene, salvone 등의 화학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클레리세이지는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고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므로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인한 근육긴장에 효과가 있다. 또한 호흡기의 발작적인 경련, 즉 심한 기침등에 효과가 있어 천식환자에게 좋으며 강장효과가 있어 회복기에 있는 감기환자에게 좋고, 몸을 따뜻하게 하고 진경작용이 있어 위경련에도 좋다.
후랑켄세스(Frankincense : boswellia carteri)는, 1-pinene, dipentene, phellandrene, camphene, olibanol 등의 화학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후랑켄세스 오일은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며, 특히 방부작용과 기침을 가라 앉히는 효능이 있어 감기, 천식, 기관지염 등 호흡기 질환에 좋다.
이러한 기능성방향제가 혼합된 욕실용 수납장은 욕실 이용자가 욕실에 있는 동안 향기를 발산하여서 이용자의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고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등의 건강을 증진시킨다.
도 2 내지 도 4는 상술한 PVC 발포체 패널(1)을 이용한 욕실용 수납장의 일실시예를 보인 도면들로써, 도 2는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4는 욕실장몸체의 양측을 절곡한 상태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욕실용 수납장은, 욕실장몸체(10), 상판(20), 하판(30), 격판(40), 수납판(50), 슬라이드도어(60)로 이루어지며, 이들 각각의 부품들은 상술한 PVC 발포체 패널(1)로 이루어진다.
욕실장몸체(10)는, 양측의 절곡부(13)들이 절곡되어서 욕실장의 측면판(11)들 및 배면판(12)들을 이루도록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물품의 수평 수납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욕실장의 측면판(11)의 수평폭이 조절되며 측면판(11)들 중 일측에 수평방향을 따라 수납판홈(15)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절곡부(13)들은, 평단면이 V홈(14)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욕실장몸체(10)의 수평 수납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 V홈(14)들이 측면판(11)들과 배면판(12)의 연결부위에 수직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어 있다.
상판(20)은, 둘레가 욕실장몸체(10)의 상단에 결합되고 전면 테두리에 슬라이드홈(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에 슬라이드홈(21)과 직교하도록 격판홈(22)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판(30)은, 둘레가 욕실장몸체(10)의 하단에 결합되고 전면 테두리에 슬라이드홈(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면에 슬라이드홈(31)과 직교하도록 격판홈(32)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판(20)과 하판(30)은 욕실장몸체(10)에 순간접착제와 같은 접착제로 부착될 수도 있고, 못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격판(40)은, 상단 및 하단이 상판(20) 및 하판(30)의 격판홈(22)(32)들에 삽입되어서 욕실장몸체(10) 내부의 공간을 수직으로 구획하며, 일측면에 측면판(11)의 수납판홈(15)들에 대응되도록 다수의 수납판홈(41)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수납판(50)은, 양단이 격판(40) 및 측면판(11)의 수납판홈(15)들에 슬라이드 결합되어서 욕실장몸체(10) 내부의 공간을 수평으로 구획한다.
슬라이드도어(60)는, 일측 상하단에 상판(20) 및 하판(30)의 슬라이드홈(21)(31)들에 삽입되어서 이를 따라 슬라이드되도록 슬라이드돌기(61)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PVC 발포체 패널을 이용한 욕실용 수납장은, 각각의 부품들은 현장에 운반한 후 욕실 내부의 상황에 맞게 조립한다.
먼저 욕실장몸체(10)의 절곡부(13)를 접는다. 이때 다수의 V홈(14)들 중 수평 수납폭에 맞도록 배면판(12)에 대해 측면판(11)들을 90° 접는다. 욕실장몸체(10)를 접은 후 욕실장몸체(10)의 평면 투영면적에 맞는 상판(20) 및 하판(30)을 준비하고 그 상하단에 접착제나 못으로 고정한다.
욕실장몸체(10)에 상판(20) 및 하판(30)이 고정되면 상판(20) 및 하판(30)의 격판홈(22)(32)들에 격판(40)의 상단 및 하단을 밀어 끼운다. 격판(40)이 결합되면 측면판(11) 및 격판(40)의 수납판홈(15)(41)들에 수납판(50)의 양측을 밀어 끼운다.
수납판(50)이 결합되면 슬라이드도어(60)의 슬라이드돌기(61)들을 상판(20) 및 하판(30)의 슬라이드홈(21)(31)들에 밀어 끼우므로 욕실용 수납장의 조립을 완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PVC 발포체 패널을 이용한 욕실용 수납장은, PVC 발포체 패널(1)의 특성상 제조단가가 절감되고 내흡습성, 내항균성, 내후성이 좋으며 강도가 뛰어나다.
또한 이러한 욕실용 수납장은 각각의 부품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운반된 후 작업 현장에서 곧바로 조립되므로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며 물류 이송 비용이 절감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욕실용 수납장은 욕실장몸체(10)의 수평 수납폭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으므로 욕실의 구조에 맞게 수납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욕실 이용자가 욕실에 있는 동안 욕실용 수납장에 혼합된 기능성방향제에 의해 부터 향기가 발산되어서 이용자의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고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등의 건강을 증진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VC 발포체 패널을 보인 개략적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PVC 발포체 패널을 이용한 욕실용 수납장의 일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욕실장몸체의 양측을 절곡한 상태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패널 2,14 : V홈
10 : 욕실장몸체 11 : 측면판
12 : 배면판 13 : 절곡부
15 : 수납판홈 20 : 상판
21,31 : 슬라이드홈 22,32 : 격판홈
30 : 하판 40 : 격판
41 : 수납판홈 50 : 수납판
60 : 슬라이드도어 61 : 슬라이드돌기

Claims (6)

  1. 염화비닐 중합체 73∼77중량%, 충전제 10∼14중량%, 안정제 0.7∼1.1중량%, 윤활제 2∼4중량%, 충격보강제 6∼10중량%, 기포제 0.2∼0.4중량%, 색소 0.5∼0.9중량%로 이루어진 원료가 혼합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발포체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패널(1)의 내측면에는
    패널(1) 두께보다 작은 깊이를 갖도록 45°의 V홈(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발포체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V홈(2)의 깊이는,
    패널(1) 두께의 0.8∼0.9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발포체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원료에는 기능성방향제가 혼합되되, 그 혼합비율은 원료 95∼97중량%에 기능성방향제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방향제는, 버거못 23∼27중량%, 카모마일 로만 23∼27중량%, 클레리세이지 23∼27중량%, 후랑켄세스 23∼27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발 포체 패널.
  5. 염화비닐 중합체 73∼77중량%, 충전제 10∼14중량%, 안정제 0.7∼1.1중량%, 윤활제 2∼4중량%, 충격보강제 6∼10중량%, 기포제 0.2∼0.4중량%, 색소 0.5∼0.9중량%로 이루어진 원료를 혼합되어서 이루어진 PVC 발포체 패널로 이루어진 욕실용 수납장에 있어서,
    양측의 절곡부(13)들이 절곡되어서 욕실장의 측면판(11)들 및 배면판(12)들을 이루도록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물품의 수평 수납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욕실장의 측면판(11)의 수평폭이 조절되며 측면판(11)들 중 일측에 수평방향을 따라 수납판홈(15)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욕실장몸체(10);
    둘레가 욕실장몸체(10)의 상단에 결합되고 전면 테두리에 슬라이드홈(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에 슬라이드홈(21)과 직교하도록 격판홈(32)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판(20);
    둘레가 욕실장몸체(10)의 하단에 결합되고 전면 테두리에 슬라이드홈(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면에 슬라이드홈(31)과 직교하도록 격판홈(32)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판(30);
    상단 및 하단이 상판(20) 및 하판(30)의 격판홈(22)(32)들에 삽입되어서 욕실장몸체(10) 내부의 공간을 수직으로 구획하며, 일측면에 측면판(11)의 수납판홈(15)들에 대응되도록 다수의 수납판홈(41)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격판(40);
    양단이 격판(40) 및 측면판(11)의 수납판홈(15)들에 슬라이드 결합되어서 욕 실장몸체(10) 내부의 공간을 수평으로 구획하는 수납판(50);
    일측 상하단에 상판(20) 및 하판(30)의 슬라이드홈(21)(31)들에 삽입되어서 이를 따라 슬라이드되도록 슬라이드돌기(61)들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도어(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발포체 패널을 이용한 욕실용 수납장.
  6. 제5항에 있어서, 절곡부(13)들은,
    평단면이 V홈(14)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욕실장몸체(10)의 수평 수납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 V홈(14)들이 측면판(11)들과 배면판(12)의 연결부위에 수직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발포체 패널을 이용한 욕실용 수납장.
KR1020090126131A 2009-12-17 2009-12-17 Pvc 발포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욕실용 수납장 KR101099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131A KR101099440B1 (ko) 2009-12-17 2009-12-17 Pvc 발포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욕실용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131A KR101099440B1 (ko) 2009-12-17 2009-12-17 Pvc 발포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욕실용 수납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411A KR20110069411A (ko) 2011-06-23
KR101099440B1 true KR101099440B1 (ko) 2011-12-27

Family

ID=44401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6131A KR101099440B1 (ko) 2009-12-17 2009-12-17 Pvc 발포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욕실용 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94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378A (ko) * 2015-02-05 2016-08-16 일흥건영 고밀도 목재패널을 사용하는 유아용 세면대 수납장의 조립방법
KR101838135B1 (ko) * 2017-04-25 2018-03-13 에스알 주식회사 주방용 수납 가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6819U (ko) 1974-05-20 1975-12-05
JP2001070065A (ja) 1999-07-02 2001-03-21 Inax Corp 洗面キャビネット用パネル構成体
JP2001516005A (ja) 1997-09-09 2001-09-25 フィッシャー アンド ペイケル リミティド キャビネット、キャビネットの部品およびこれらに関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6819U (ko) 1974-05-20 1975-12-05
JP2001516005A (ja) 1997-09-09 2001-09-25 フィッシャー アンド ペイケル リミティド キャビネット、キャビネットの部品およびこれらに関する方法
JP2001070065A (ja) 1999-07-02 2001-03-21 Inax Corp 洗面キャビネット用パネル構成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378A (ko) * 2015-02-05 2016-08-16 일흥건영 고밀도 목재패널을 사용하는 유아용 세면대 수납장의 조립방법
KR101663770B1 (ko) * 2015-02-05 2016-10-07 일흥건영 고밀도 목재패널을 사용하는 유아용 세면대 수납장의 조립방법
KR101838135B1 (ko) * 2017-04-25 2018-03-13 에스알 주식회사 주방용 수납 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411A (ko) 201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9440B1 (ko) Pvc 발포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욕실용 수납장
KR20120045759A (ko) 레일은폐형 창호의 배수구조
KR100915283B1 (ko) 황토가 내장된 순환식 편백나무 침대
KR100755242B1 (ko) 조립식 황토타일
CN110903670A (zh) 一种防返潮的木质纤维隔音板及其制造方法
KR101056470B1 (ko) 태양열집열판이 구비된 이동식 주택
KR101331073B1 (ko) 쑥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KR101331072B1 (ko) 솔잎과 편백나무 추출 피톤치드의 복합 자연 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KR100731653B1 (ko) 통풍 및 기능성 목재와 이를 이용한 건축자재
KR101443127B1 (ko)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CN209924325U (zh) 一种绣花复合墙板
KR200434279Y1 (ko) 피톤치드가 삽입된 도어
CN200941860Y (zh) 防臭鞋垫
CN205077787U (zh) 一种具有吸附有害气体功能的天花板
CN201136198Y (zh) 香樟木内饰家具板材
KR100402806B1 (ko) 일인용 휴면캡슐
KR200473719Y1 (ko) 자연향을 발산하는 친환경 나무침대
KR100731670B1 (ko) 통풍 및 기능성 목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110115309A (ko)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
KR20080006255U (ko) 편백나무를 주재료로 한 편백나무 원목좌욕기
KR200337509Y1 (ko) 벽돌
CN201920641U (zh) 远红外马桶保健套
CN205512670U (zh) 桧木香茅鞋垫改良结构
KR20120025334A (ko) 비즈 캡슐
CN2843591Y (zh) 一种吸湿木制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