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5283B1 - 황토가 내장된 순환식 편백나무 침대 - Google Patents

황토가 내장된 순환식 편백나무 침대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5283B1
KR100915283B1 KR1020080105215A KR20080105215A KR100915283B1 KR 100915283 B1 KR100915283 B1 KR 100915283B1 KR 1020080105215 A KR1020080105215 A KR 1020080105215A KR 20080105215 A KR20080105215 A KR 20080105215A KR 100915283 B1 KR100915283 B1 KR 100915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fixed
marge
support
cy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5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규
Original Assignee
이창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규 filed Critical 이창규
Priority to KR1020080105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52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2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4Means for protecting against undesired influence, e.g. magnetic radiation or static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7Anti-mite, anti-allergen or anti-bacteri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가 내장된 순환식 편백나무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목상태의 편백나무로 평상형태의 침대를 제작하되, 헤드판넬과, 후드프레임, 사이드프레임 및 지지살로 구성된 침대 프레임의 상단에 마루형태의 지지판과, 마루판을 차레대로 연속하여 적층하되 그 사이에 마지와 황토분말을 적층하여 구성되며, 그 용도가 침대 뿐 아니라 평상으로서의 쓰임이 가능하고, 장기간 사용에도 침대의 형상이 견고하에 유지될 뿐 아니라, 시간의 변화에 따라 편백나무의 자연스러운 재질감의 표현 가능하여 이에 따른 장식의 효과가 있고, 편백나무의 작용으로 아토피와 같은 피부질환을 개선해주고 항균작용, 소취 및 유해물질 정화, 인체의 면역력 강화, 스트레스 완화와 같은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으며, 침대에 내장된 황토분말의 작용으로 황토의 원적외선이 침대 외부로 자연스럽게 순환되어 방출토록 함에 따라 신체의 혈행을 원활하여 인체의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고, 습할 때 수분을 흡수하고, 건조할 때 수분을 방출하므로 습도조절장치로서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으며, 냄새와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황토가 내장된 순환식 편백나무 침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황토가 내장된 순환식 편백나무 침대{circuit type chamaecyparis obtusa bed having yellow ocher}
본 발명은 황토가 내장된 순환식 편백나무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목상태의 편백나무로 평상 겸용 침대를 제작하여, 아토피와 같은 피부질환을 개선해주고 항균작용, 소취 및 유해물질 정화, 인체의 면역력 강화, 스트레스 완화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침대에 마지와 그 상단에 황토분말을 내장하여 황토의 원적외선이 침대 외부로 자연스럽게 순환되어 방출토록 함에 따라 신체의 혈행을 원활하여 인체의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황토가 내장된 순환식 편백나무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수면과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하는 도구로서, 기존의 침대의 경우 금속이나 강화합성수지, 목재분말을 접착수지로 압착형성한 가공목재를 사용하였으며, 그 표면에는 니스나 페인트를 도포하거나 접착시트를 붙이는 등의 표면처리를 시행하여 옴에 따라 침대의 제작공정과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시 체결공구가 많이 소요되며 특히 수면이 주요 기능인 침대에 인공적인 요소가 너무 강조되어 수면을 방해할 뿐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배출되고 있으며, 주변 사물들과의 부조화로 거부감을 불러일으키고, 시간이 지날수록 재질이 쉽게 변형되거나 표면이 변색되어 장시간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근래에 들어 사람들이 건강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면서 인체에 유익한 여러 형태의 침대를 비롯하여, 많은 원적외선 등이 방출되도록 제작된 매트나 침대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예로, 돌침대, 황토침대 등이 있다.
특히, 상기 황토침대의 경우 황토성분에 의해 열이나 자연광에 의해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출되므로 신체의 혈행을 원활하게 함은 물론이고, 습할 때 수분을 흡수하고, 건조할 때 수분을 방출하므로 습도조절기능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의 유익한 성분이 함유되어 냄새와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인체노화의 원인이 되는 과산화지질을 중화 내지 희석시킴으로 체질을 개선하고 노화를 억제하는 기능이 있고, 보온 및 단열효과가 매우 탁월하여 다양한 형태의 황토침대가 보편화되어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황토침대의 경우에는 등록실용 236931호에 따르면, 황토판과 황토벽돌을 깔고 황토벽돌의 상면에 수개의 통공을 가진 조립판넬을 설치하여 각조립판넬은 일측에 결착구를 형성하고 타측은 결착홈을 형성하여 판넬의 일측 결착구가 또다른 판넬의 결착홈에 투입하여 조립되게하고 그 조립부에 온수관을 설치하고 덮개로 덮어서된 황토침대가 제시된 바 있고, 등록특허 제712231호 에서는 황토를 이용한 미장재층과, 상기 미장재층을 발열시키는 발열수단 및 발열수단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차단하는 방열판으로 구성되는 황토 침대에 있어서, 침대 프레임의 사각 형상의 오목부 위에 배치되어 발열수단으로부터 발생한 열을 침대 프레임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방열판과;발열수단이 매입 설치되되, 150메시 이상의 입도를 가지는 황토 분말 30 내지 40중량% 대해, 마솜 0.2 내지 0.4중량% 및 우모 0.1 내지 0.3중량%, 모래 30 내지 40중량%, 및 맥주를 함유한 고무수액 20내지 40중량%로 이루어져 상기 방열판 위에 설치되는 미장재층 및;상기 방열판 위에 위치되어 상기 미장재층에 매입시공되며, 침대를 가온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침대의 길이방향으로 분할되어 좌우 측으로 별개 난방되도록 병렬로 구성되는 배관 또는 회로를 갖는 발열수단을 구비하는 황토 건강 침대가 제시된 바 있으며, 상기의 경우 황토분말을 온전히 사용치 않고, 황토를 반죽하여 소성하는 방식으로 성형하여 황토판을 제작하거나, 황토를 다른 원료들과 배합하여 일정한 형체를 갖도록 가공하여 사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황토자체가 점성 또는 부착력이 매우 약하기 때문에 일정한 형태로의 성형이 매우 어려울뿐만 아니라, 황토의 강도 및 경도가 약하여 사용중 파손되거나 크랙이 발생하는 동시에 그 표면이 부서러지는 문제점 등이 있어 실제적으로 그 사용이 매우 실용적이지 못하였고, 황토에 점토등을 혼합하여 성형한 제품등이 있으나 이러한 제품은 황토의 함량이 낮아 전술한 바와 같은 황토고유의 효능을 발휘하지 못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원목상태의 편백나무로 평상 겸용 침대를 제작하여, 침대 뿐 아니라 평상으로서의 쓰임이 가능하고, 장기간 사용에도 침대의 형상이 견고하에 유지될 뿐 아니라, 시간의 변화에 따라 편백나무의 자연스러운 재질감의 표현 가능하여 이에 따른 장식의 효과가 있고, 편백나무의 작용으로 아토피와 같은 피부질환을 개선해주고 항균작용, 소취 및 유해물질 정화, 인체의 면역력 강화, 스트레스 완화의 작용을 하는 황토가 내장된 순환식 편백나무 침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침대에 황토분말을 내장하여 황토의 원적외선이 침대 외부로 자연스럽게 순환되어 방출토록 함에 따라 신체의 혈행을 원활하여 인체의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황토가 내장된 순환식 편백나무 침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방에 베게 및 머리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판형의 헤드판넬과; 상기 헤드판넬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후방의 양측에 기둥 형태로 구비되는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 사이에 고정되어 수직봉을 상호 연결하는 보드와, 상기 보드의 내측 하단에 돌출된 형태로 고정되는 고정턱으로 이루어진 후드프레임과; 상기 헤드판넬과 수직봉을 연결하도록 좌측과 우측에 상호 마주하도록 고정되는 측벽과 상기 측벽의 내측 하단에 돌출된 형태로 고정되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걸림턱을 상호 연결하도록 양측단부가 걸림턱에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살과; 상기 지지살과 걸림턱 및 고정턱의 상단에 안착되며 다수의 판재를 평판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단에 지지판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마지와; 상기 마지(600)와 별도의 마지(600‘)의 테두리를 이음부(610)에 의해 상호 부착하여 상기 마지(600, 600‘)사이에 팩의 형태로 수용되는 황토분말과; 상기 지지판과 접하도록 구비되는 사각틀과, 상기 사각틀 사이를 연결하되, 상호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공기순환을 위한 통풍구를 형성하는 다수의 중간살로 이루어진 마루판;으로 이루어진 황토가 내장된 순환식 편백나무 침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 황토가 내장된 순환식 편백나무 침대에 따르면, 원목상태의 편백나무로 평상 겸용 침대를 제작하여, 침대 뿐 아니라 평상으로서의 쓰임이 가능하고, 장기간 사용에도 침대의 형상이 견고하에 유지될 뿐 아니라, 시간의 변화에 따라 편백나무의 자연스러운 재질감의 표현 가능하여 이에 따른 장식의 효과가 있고, 편백나무의 작용으로 아토피와 같은 피부질환을 개선해주고 항균작용, 소취 및 유해물질 정화, 인체의 면역력 강화, 스트레스 완화와 같은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침대에 황토분말을 내장하여 황토의 원적외선이 침대 외부로 자연스럽게 순환되어 방출토록 함에 따라 신체의 혈행을 원활하여 인체의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황토가 내장된 순환식 편백나무 침대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 황토가 내장된 순환식 편백나무 침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헤드판넬의 사시도,
도 5는 지지살의 사시도,
도 6 내지 도 7은 사이드프레이의 분해사시도,
도 8은 후드프레임의 분해사시도,
도 9는 황토와 마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충격흡수용패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마루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a는 본 발명 황토가 내장된 순환식 편백나무 침대의 종단면도,
도 12b는 본 발명 황토가 내장된 순환식 편백나무 침대의 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 황토가 내장된 순환식 편백나무 침대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황토가 내장된 순환식 편백나무 침대 100 : 헤드판넬
110, 110' : 수직프레임 120 : 목재패널
200 : 후드프레임 210, 210' : 수직봉
220 : 보드 230 : 고정턱
240 : 보강재 300, 300' : 사이드프레임
310, 310' ; 측벽 320, 320' : 걸림턱
321, 321' : 요홈 322, 420 : 브라켓홈
330 : 탈착식브라켓 400 : 지지살
410, 410' ; 브라켓 411, 411' : 절곡부
500 : 지지판 510 : 판재
600, 600' : 마지 610 : 이음부
700 : 황토분말 800 : 마루판
810 : 사각틀 820 : 중간살
830 : 통풍구 840 : 공간부
900 : 충격흡수용패드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 황토가 내장된 순환식 편백나무 침대의 기술적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황토가 내장된 순환식 편백나무 침대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 황토가 내장된 순환식 편백나무 침대의 분해사시도이며,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황토가 내장된 순환식 편백나무 침대(10)는 전방에 베게 및 머리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판형의 헤드판넬(100); 상기 헤드판넬(100)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후방의 양측에 기둥 형태로 구비되는 수직봉(210, 210')과, 상기 수직봉(210, 210') 사이에 고정되어 수직봉(210, 210')을 상호 연결하는 보드(220)와, 상기 보드(220)의 내측 하단에 돌출된 형태로 고정되는 고정턱(230)으로 이루어진 후드프레임(200); 상기 헤드판넬(100)과 수직봉(210, 210')을 연결하도록 좌측과 우측에 상호 마주하도록 고정되는 측벽(310, 310')과 상기 측벽(310, 310')의 내측 하단에 돌출된 형태로 고정되는 걸림턱(320, 320')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사이드프레임(300, 300'); 상기 걸림턱(320, 320')을 상호 연결하도록 양측단부가 걸림턱(320, 320')에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살(400); 상기 지지살(400)과 걸림턱(320, 320') 및 고정턱(230)의 상단에 안착되며 다수의 판재(510)를 평판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지지판(500); 상기 지지판(500)의 상단중심부에 지지판(500)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마지(600); 상기 마지(600)의 상단에 소정의 두께만큼 적층되는 황토분말(700); 상기 지지판(500)의 테두리(520)와 접하도록 구비되는 사각틀(810)과, 상기 사각틀(810) 사이를 연결하되, 상호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공기순환을 위한 통풍구(830)를 형성하며, 사각틀(810)보다 얇게 형성되고 상단은 사각틀(810)과 평행하게 연결되고, 하단은 사각틀(810)이 하방으로 돌출되게 연결되어 소정의 공간부(840)룰 형성하며 상기 공간부(840)에 마지(600) 및 황토분말(700)이 적층되도록 하는 다수의 중간살(820)로 이루어진 마루판(800)으로 구성된 것을 기술상의 기본적 특성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헤드판넬(100), 후드프레임(200), 사이드프레임(300, 300'), 지지살(400), 지지판(500), 마루판(800)은 그 재질이 다양하여 어느 한가지 소재에 한정하지 않지만, 특히 편백나무로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는 강도가 높고 보존성이 뛰어나 조각재, 선작재 등으로 사용되고 있는 반면, 매우 가볍고 향기가 좋으며 광택이 있어 매우 유용하다. 특히, 공기중의 프롬알데히드와 같은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능력이 뛰어나고, 항균작용을 하며, 아토피, 알러지 예방 효과가 있어 최근 욕실, 가구, 실내인테리어의 소재로 매우 각광받고 있다.
또한, 피톤치드(phytoncide)의 방출량이 100g당 5-6㎖로 밝혀진 바, 다른 수목에 비해 피톤치드의 방출량이 가장 뛰어나다고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편백나무로 침대를 제작할 경우 편백나무의 작용으로 실내에서도 삼림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피톤치드(phytoncide)는 나무에서 방산(放散)되어 주위의 미생물 따위를 죽이는 작용을 하는 물질로서, 산림욕 효용의 근원이라도 할 수 있으며, 피톤치드가 인체에 순환 될 경우, 스트레스가 해소되고 장과 심폐기능이 강화되며 살균작용도 이루어진다고 알려진 바 있다.
먼저, 상기 헤드판넬(100)의 경우, 전방에 베게 및 머리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판형으로 구비되며, 수직봉(210, 210')과 더불어 침대의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하는 중심기둥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상기 헤드판넬(100)은 일체형의 판재로 구성될 수 있고, 도 4에서와 같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전방의 양측에 기둥 형태로 구비되는 수직프레임(110, 110')과, 상기 수직프레임(110, 110')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목재패널(1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연결방법은 공지된 다양한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후드프레임(200)은 헤드판넬(100)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후방의 양측에 기둥 형태로 구비되는 수직봉(210, 210')과, 상기 수직봉(210, 210') 사이에 고정되어 수직봉(210, 210')을 상호 연결하는 보드(220)와, 상기 보드(220)의 내측 하단에 돌출된 형태로 고정되는 고정턱(230)으로 구성되며, 취침시 발부분이 위치하는 부분이으로, 헤드판넬(100)과 나란히 마주하도록 위치한다.
이때, 도 8에서와 같이 수직봉(210, 210')의 상단에는 보강을 위한 보강재(240)가 그 사이에 별도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보드(220)와 고정턱(230) 및 보강재(240)는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 가능하나, 특히 작업의 용이함과 견고한 연결을 위해 나사(S)로 조립한다.
상기 사이드프레임(300, 300')은 헤드판넬(100)과 수직봉(210, 210')을 연결하도록 좌측과 우측에 상호 마주하도록 고정되는 측벽(310, 310')과 상기 측벽(310, 310')의 내측 하단에 돌출된 형태로 고정되는 걸림턱(320, 320')으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바람직 하게는 수직프레임(110, 110')과 수직봉(210, 210')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성이다. 이때 도 6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프레임(300, 300')은'ㄱ'자 형의 탈착식브라켓(330)을 양측단부에 조립하여 수직프레임(110, 110')과 수직봉(210, 210')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 하고, 이 경우 수직봉(210, 210')에는 볼트(B)가 끼워져 탈착식브라켓(330)의 탈착구(331)를 통해 상기 볼트(B)가 체결 및 해제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탈착구(331)는 구멍 중앙의 직경이 볼트(B)의 머리 직경보다 크고, 구멍의 상단과 하단의 직경은 볼트(B)의 머리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탈착구(331)의 중앙으로 볼트(B)가 끼워지고, 사이드프레임(300, 300')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탈착구(331)의 상단에 볼트(B)가 자동상승하여 고정되는 것이며, 해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이드프레임(300, 300')을 들어올려 탈착구(331)의 중앙으로 볼트(B)를 빼내는 것이다.
상기 지지살(400)은 걸림턱(320, 320')을 상호 연결하도록 양측단부가 걸림턱(320, 320')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상호 소정의 거리를 두고 다수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지지살(400)은 걸림턱(320, 32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특히,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살(400)의 양측단부에 절곡된 'ㄱ'자 형의 브라켓(410, 410')을 고정하되, 브라켓(410, 410')의 절곡부(411, 411')가 지지살(400)의 양측단부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하도록 고정하여 걸림턱(320, 320')에 지지살(400)을 고정시킬 수가 있다. 이 경우에는 걸림턱(320, 320')의 상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형태의 요홈(321, 321')을 형성하고, 지지살(400)의 양측단부에 고정된 브라켓(410, 410')이 요홈(321, 321')에 끼워져 지지살(400)이 걸림턱(320, 320')에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요홈(321, 321')은 다양한 형태로 요입될 수 있지만, 단면이 반원의 형태로 이루어져 브라켓(410, 410')이 보다 쉽게 끼우지도록 하였고, 브라켓(410, 410'), 걸림턱(320, 320'), 지지살(400)의 높이가 같게 형성하도록 걸림턱(320, 320'), 지지살(400)의 브라켓(410, 410')이 고정되는 부분에는 브라켓(410, 410')의 높이만큼 브라켓홈(322, 420)을 요입 형성하였으며, 이의 구체적인 내용은 도 12a 내지 12b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500)은 상기 지지살(400)과 걸림턱(320, 320') 및 고정턱(230)의 상단에 안착되며 다수의 판재(510)를 평판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구성으로, 일반적으로는 상하좌우에 각각 프레임을 사각 형태로 구비하여 테두리(520)를 형성하고, 좌우 프레임의 내측면을 상호 연결하는 판재(510)를 연속적으로 고정하여 구성되며, 일체형 판넬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 크기는 헤드판넬(100), 보드(220), 측벽(310, 310')에 대응하게 맞춰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하나의 지지판(500)이 안착될 수 있고, 여러개의 지지판(500)을 나란히 조합하여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마지(600)는 지지판(500)의 상단테두리(520)를 제외한 중심부에 지지판(500)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구성으로, 황토분말(700)이 지지판(500)의 하단으로 이탈되지 않으면서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깔개의 역할을 한다. 마지(麻紙, hemp paper)는 삼[麻]의 섬유를 재료로 만든 종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삼의 껍질이나 마포를 잘라서 초조하여 구성된다. 그냥 마지라고도 하지만, 백마지·황마지라고도 불리우며, 오늘날에는 회화용(繪畵用)으로 초지(抄紙)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마지(600)는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황토분말(700)의 하단에 구비되는 동시에 상단에도 구비될 수 있으며, 상단에 구비된 마지(600')는 황토분말(700)을 커버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마지(600, 600')의 테두리를 상호 부착하여 이음부(610)를 형성함으로써 황토분말(700)이 마지(600, 600') 사이에 팩의 형태로 수용되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는 혹여 노출된 상태로 내장된 황토분말(700)이 마루판(800)의 외부로 이탈되어 가루날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사용 도중 이동 및 관리가 용이하지 못할것을 우려해 황토분말(700)을 팩의 형태로 내장하는 것이다. 상기 황토분말(700)은 간단한 정제과정만 거친 후 별도의 성형과정 없이 구비되며, 상기 황토분말(700)은, 항균 작용을 하며,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냄새를 제거하고,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인체의 혈액순환을 촉진시켜서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능이 있다.
상기 마루판(800)은 지지판(500)과 접하도록 구비되는 사각틀(810)과, 상기 사각틀(810) 사이를 연결하되, 상호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공기순환을 위한 통풍구(830)를 형성하며, 사각틀(810)보다 얇게 형성되고 상단은 사각틀(810)과 평행하게 연결되고, 하단은 사각틀(810)이 하방으로 돌출되게 연결되어 소정의 공간부(840)룰 형성하며 상기 공간부(840)에 마지(600) 및 황토분말(700)이 적층 되도록 하는 다수의 중간살(820)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상기 통풍구(830)를 통해 마루판(800)과 지지판(500)의 상하로 공기가 통하면서, 황토성분이 인체에 순환되어 황토의 다양한 효능을 체감할 수 있다. 마루판(800) 크기는 지지판(500)과 마찬가지로, 헤드판넬(100), 보드(220), 측벽(310, 310')에 대응하게 맞춰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하나의 마루판(500)이 지지판(500) 및 황토분말(700) 전체를 커버할 수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개의 마루판(500a, 500b, 500c)으로 조합되어 커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마루판(800)의 사각틀(810)의 돌출된 하단과 지지판(500)의 테두리(520) 사이에는 도12a 내지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음을 방지 하고 완충작용을 하도록 쿠션재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용패드(900)가 추가로 구비되어, 취침에 방해가 되는 마찰소음 및 마찰로 인한 마루판(800) 및 지지판(500)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중간살(820)의 경우 사각틀(810)보다 얇게 형성되어 사각틀(810)과 중간살(820)의 상단은 평행하게 연결되고, 하단은 사각틀(810)이 중간살(820)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연결하여 소정의 공간부(840)를 형성하며, 이 공간부(840)에 마지(600) 및 황토분말(700)이 내장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원목상태의 편백나무로 평상 겸용 침대를 제작하여, 침대 뿐 아니라 평상으로서의 쓰임이 가능하고, 장기간 사용에도 침대의 형상이 견고하에 유지될 뿐 아니라, 시간의 변화에 따라 편백나무의 자연스러운 재질감의 표현 가능하여 이에 따른 장식의 효과가 있고, 편백나무의 작용으로 아토피와 같은 피부질환을 개선해주고 항균작용, 소취 및 유해물질 정화, 인체의 면역력 강화, 스트레스 완화와 같은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전방에 베게 및 머리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판형의 헤드판넬(100);
    상기 헤드판넬(100)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후방의 양측에 기둥 형태로 구비되는 수직봉(210, 210')과, 상기 수직봉(210, 210') 사이에 고정되어 수직봉(210, 210')을 상호 연결하는 보드(220)와, 상기 보드(220)의 내측 하단에 돌출된 형태로 고정되는 고정턱(230)으로 이루어진 후드프레임(200);
    상기 헤드판넬(100)과 수직봉(210, 210')을 연결하도록 좌측과 우측에 상호 마주하도록 고정되는 측벽(310, 310')과 상기 측벽(310, 310')의 내측 하단에 돌출된 형태로 고정되는 걸림턱(320, 320')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사이드프레임(300, 300');
    상기 걸림턱(320, 320')을 상호 연결하도록 양측단부가 걸림턱(320, 320')에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살(400);
    상기 지지살(400)과 걸림턱(320, 320') 및 고정턱(230)의 상단에 안착되며 다수의 판재(510)를 평판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지지판(500);
    상기 지지판(500)의 상단 중심부에 지지판(500)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마지(600);
    상기 마지(600)와 별도의 마지(600‘)의 테두리를 이음부(610)에 의해 상호 부착하여 상기 마지(600, 600‘)사이에 팩의 형태로 수용되는 황토분말(700);
    상기 지지판(500)의 테두리(520)와 접하도록 구비되는 사각틀(810)과, 상기 사각틀(810) 사이를 연결하되, 상호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공기순환을 위한 통풍구(830)를 형성하며, 사각틀(810)보다 얇게 형성되고 상단은 사각틀(810)과 평행하게 연결되고, 하단은 사각틀(810)이 하방으로 돌출되게 연결되어 소정의 공간부(840)룰 형성하며 상기 공간부(840)에 마지(600) 및 황토분말(700)이 적층 되도록 하는 다수의 중간살(820)로 이루어진 마루판(8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가 내장된 순환식 편백나무 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320, 320')의 상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형태의 요홈(321, 321')을 형성하고, 지지살(400)의 양측단부에는 절곡된 'ㄱ'자 형의 브라켓(410, 410')을 고정하되, 브라켓(410, 410')의 절곡부(411, 411')가 지지살(400)의 양측단부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하도록 고정하여 상기 브라켓(410, 410')이 요홈(321, 321')에 끼워져 지지살(400)이 걸림턱(320, 32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가 내장된 순환식 편백나무 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판(800)의 사각틀(810)의 돌출된 하단과 지지판(500)의 테두리(520) 사이에는 소음을 방지 하고 완충작용을 하도록 쿠션재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용패드(900)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가 내장된 순환식 편백나무 침대.
  4. 제 1항 에 있어서, 상기 황토분말(700)의 상단에는 황토분말(700)을 커버할 수 있도록 마지(600')를 구비하고, 마지(600, 600')의 테두리를 상호 부착하여 이음부(610)를 형성함으로써 황토분말(700)이 마지(600, 600') 사이에 팩의 형태로 수용되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가 내장된 순환식 편백나무 침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판넬(100)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전방의 양측에 기둥 형태로 구비되는 수직프레임(110, 110')과, 상기 수직프레임(110, 110')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목재패널(1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가 내장된 순환식 편백나무 침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판넬(100), 후드프레임(200), 사이드프레임(300, 300'), 지지살(400), 지지판(500), 마루판(800)은 그 재질이 편백나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가 내장된 순환식 편백나무 침대.
KR1020080105215A 2008-10-27 2008-10-27 황토가 내장된 순환식 편백나무 침대 KR100915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215A KR100915283B1 (ko) 2008-10-27 2008-10-27 황토가 내장된 순환식 편백나무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215A KR100915283B1 (ko) 2008-10-27 2008-10-27 황토가 내장된 순환식 편백나무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5283B1 true KR100915283B1 (ko) 2009-09-03

Family

ID=41355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5215A KR100915283B1 (ko) 2008-10-27 2008-10-27 황토가 내장된 순환식 편백나무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528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732B1 (ko) 2010-07-07 2010-12-20 최기선 황토와 숯이 포함된 기능성 편백 온열 침대
KR101039989B1 (ko) * 2010-09-01 2011-06-09 이영철 황토석과 침엽목을 이용한 탈취 및 제습구
KR101049967B1 (ko) * 2010-09-01 2011-07-15 곽용구 황토 침대
KR200455476Y1 (ko) * 2010-11-29 2011-09-06 전선동 편백나무 온열 침대
KR101815953B1 (ko) * 2016-03-30 2018-01-08 (주)킹스스파 침대
KR20190088865A (ko) * 2018-10-15 2019-07-29 주식회사 가을 운반과 설치가 용이한 조립식 평상
JP2019162330A (ja) * 2018-03-20 2019-09-26 シモンズ株式会社 ベッド用オプションユニット
KR102238408B1 (ko) * 2019-11-18 2021-04-09 주식회사 리빙테크 목재 침대 프레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272A (ko) * 1998-12-30 1999-03-25 서영헌 유해전자파를 차단시키는 돌황토숯 매트
KR200322145Y1 (ko) * 2003-04-29 2003-08-06 호 근 김 천연 게르마늄 광석을 이용한 침대
KR200415587Y1 (ko) * 2006-02-20 2006-05-03 박광수 기능성 황토침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272A (ko) * 1998-12-30 1999-03-25 서영헌 유해전자파를 차단시키는 돌황토숯 매트
KR200322145Y1 (ko) * 2003-04-29 2003-08-06 호 근 김 천연 게르마늄 광석을 이용한 침대
KR200415587Y1 (ko) * 2006-02-20 2006-05-03 박광수 기능성 황토침대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732B1 (ko) 2010-07-07 2010-12-20 최기선 황토와 숯이 포함된 기능성 편백 온열 침대
KR101039989B1 (ko) * 2010-09-01 2011-06-09 이영철 황토석과 침엽목을 이용한 탈취 및 제습구
KR101049967B1 (ko) * 2010-09-01 2011-07-15 곽용구 황토 침대
KR200455476Y1 (ko) * 2010-11-29 2011-09-06 전선동 편백나무 온열 침대
KR101815953B1 (ko) * 2016-03-30 2018-01-08 (주)킹스스파 침대
JP2019162330A (ja) * 2018-03-20 2019-09-26 シモンズ株式会社 ベッド用オプションユニット
JP7011960B2 (ja) 2018-03-20 2022-01-27 シモンズ株式会社 ベッド用オプションユニット
KR20190088865A (ko) * 2018-10-15 2019-07-29 주식회사 가을 운반과 설치가 용이한 조립식 평상
KR102098500B1 (ko) * 2018-10-15 2020-04-07 주식회사 가을 운반과 설치가 용이한 조립식 평상 및 그 조립방법
KR102238408B1 (ko) * 2019-11-18 2021-04-09 주식회사 리빙테크 목재 침대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5283B1 (ko) 황토가 내장된 순환식 편백나무 침대
KR101001732B1 (ko) 황토와 숯이 포함된 기능성 편백 온열 침대
KR100755242B1 (ko) 조립식 황토타일
KR101173290B1 (ko) 빨래 건조실 겸용 개인용 사우나
KR101118250B1 (ko) 흙침대 제조방법
KR100889879B1 (ko) 황토와 숯을 활용한 마루판 제조방법
KR100915274B1 (ko)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사우나실
KR101759978B1 (ko) 황토축열 침대
KR101133648B1 (ko) 실내 청정기능을 갖춘 침대
KR101515570B1 (ko) 친환경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06002A (ko) 황토침대
KR20190000777U (ko) 건식사우나가 복합된 다용도 침대
KR102381666B1 (ko) 건식 사우나가 가능한 찜질용 황토침대
KR20110106476A (ko) 황토침대의 제조방법
KR200376670Y1 (ko) 하반신 및 전신 욕 용 목재 욕조
KR200480176Y1 (ko) 침대용 매트리스
KR101418647B1 (ko) 건식 반신욕기
KR200482798Y1 (ko) 애완동물용 집
KR20110127875A (ko) 황토석을 이용한 찜질방 구조
KR20130008843A (ko)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
KR20100009423U (ko) 헤드부에 야자숯판을 갖는 분할 조립식 돌침대
KR20000007093A (ko) 벽돌의 시공방법 및 그 벽돌
KR20000016812U (ko) 바닥재
KR101049591B1 (ko) 황토 건강 침대
CN206971618U (zh) 一种高防水活性炭中密度纤维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