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666B1 - 건식 사우나가 가능한 찜질용 황토침대 - Google Patents

건식 사우나가 가능한 찜질용 황토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1666B1
KR102381666B1 KR1020200131749A KR20200131749A KR102381666B1 KR 102381666 B1 KR102381666 B1 KR 102381666B1 KR 1020200131749 A KR1020200131749 A KR 1020200131749A KR 20200131749 A KR20200131749 A KR 20200131749A KR 102381666 B1 KR102381666 B1 KR 102381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laminated
loess
bed
he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옥
Original Assignee
임정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옥 filed Critical 임정옥
Priority to KR1020200131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6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0Multi-stage bedsteads; e.g. bunk beds; Bedsteads stackable to multi-stage 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2Combinations of bedsteads with other furniture or with accessories, e.g. with bedside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4Means for protecting against undesired influence, e.g. magnetic radiation or static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5Use of aromatic materials, e.g. her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063Heaters specifically design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066Cabins therefor
    • A61H33/067Installations for the inside of such cabins, e.g.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2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with forced circulation, e.g. by pu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2033/061Artificial hot-air bath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식 사우나가 가능한 찜질용 황토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필로티 구조로 이루어지는 기초부; 상기 기초부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침대바닥부; 상기 침대바닥부의 장변측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장변측 벽면부; 상기 장변측 벽면부의 단부를 아치형태로 연결하는 천장부; 상기 침대바닥부의 단변측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장변측 벽면부와 천장부의 일측 방향이 밀폐하는 단변측 벽면부; 상기 단변측 벽면부의 반대측에서 내부로 출입하기 위해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도어부; 및 상기 단변측 벽면부(150)의 내벽면에 형성되어 고열을 발산하는 고온발열부(190);를 포함하고, 상기 고온발열부(190)는 단변측 벽면부(150)의 외면에 적층되는 단열재(191), 상기 단열재(191)의 외면에 적층되는 면상발열체(192) 및 상기 면상발열체(192) 외면에 적층되어 사용자의 면상발열체(192) 접촉을 방지하는 보호망(19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사우나가 가능한 찜질용 황토침대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건식 사우나가 가능한 찜질용 황토침대{loess bed for fomentation with dry sauna machine}
본 발명은 건식 사우나가 가능한 찜질용 황토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로티 구조로 이루어지는 기초부 상단에 벙커형태의 황토 찜질방을 분리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기초부의 공간을 침상 또는 책상, 수납공간 등의 다목적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건식 사우나가 가능한 찜질용 황토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수면과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하는 도구로서, 기존의 침대의 경우 금속이나 강화합성수지, 목재분말을 접착수지로 압착형성한 가공목재를 사용하였으며, 그 표면에는 니스나 페인트를 도포하거나 접착시트를 붙이는 등의 표면처리를 시행하여 옴에 따라 침대의 제작공정과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시 체결공구가 많이 소요되며 특히 수면이 주요 기능인 침대에 인공적인 요소가 너무 강조되어 수면을 방해할 뿐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배출되고 있으며, 주변 사물들과의 부조화로 거부감을 불러일으키고, 시간이 지날수록 재질이 쉽게 변형되거나 표면이 변색되어 장시간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근래에 들어 사람들이 건강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게 되면서 인체에 유익한 여러 형태의 침대를 비롯하여, 원적외선 등이 방출되도록 제작된 매트나 침대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예로, 돌침대, 황토침대 등이 있다. 특히, 상기 황토침대의 경우 황토성분에 의해 열이나 자연광에 의해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출되므로 신체의 혈행을 원활하게 함은 물론이고, 습할 때 수분을 흡수하고, 건조할 때 수분을 방출하므로 습도조절기능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여러 유익한 성분이 함유되어 냄새와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인체노화의 원인이 되는 과산화지질을 중화 내지 희석시킴으로 체질을 개선하고 노화를 억제하는 기능이 있고, 보온 및 단열효과가 매우 탁월하여 다양한 형태의 황토침대가 보편화되어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9-0000777호를 통해 "건식사우나가 복합된 다용도 침대"가 개시된다.
상기한 종래기술은 원목상태의 편백나무를 이용하여 직사각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되 상면에는 안착요부가 형성되고 전방측 상면에는 가이드돌부를 갖는 미닫이바닥문틀이 고정결합되는 바닥판; 내부에 배열되는 보일러관이 형성되고 황토분말을 주성분으로 굳혀져 상기 바닥판의 안착요부에 위치되는 황토바닥재; 온도조절기와 가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황토바닥재의 보일러관과 관결합되어 온수를 공급하는 전기온수공급장치; 평면이 "ㄱ"형상으로 상기 바닥판의 모서리를 각각 감싸면서 고정되고 상부로 연장되는 전방좌우측 및 후방좌우측 모서리지주가 각각 수직기립되게 형성되고 상기 전방좌우측 및 후방좌우측 모서리지주 상부 내측에 위치되어 정면측 저면의 상기 가이드돌부 연장선상에 안내돌부를 갖는 이층바닥판이 고정결합되며 상기 이층바닥판 하부로 상기 전방좌우측 모서리지주와 후방좌우측 모서리지주 사이에 원목상태의 후박나무를 포함하는 좌우측벽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이층바닥판 하부로 상기 후방좌우측 모서리지주 사이에 원목상태의 후박나무를 포함하는 후방측벽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좌우측 모서리지주 사이의 중심부 좌우측에 중심부좌우측지주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이층바닥판 하부로 상기 중심부좌우측지주 사이에는 정면측벽이 형성되는 침대지지골조; 상기 전방좌측 모서리지주와 중심부좌측지주 사이의 바닥판 가이드돌부와 이층바닥판 안내돌부 사이에 결합되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좌측미닫이문; 상기 전방우측 모서리지주와 중심부우측지주 사이의 바닥판 가이드돌부와 이층바닥판 안내돌부 사이에 결합되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우측미닫이문; 바닥면에서 상기 이층바닥판 상부의 중심부좌우측지주 내측으로 사선 연장되는 좌우측안내판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안내판 사이에서 다수 개가 일정간격 수평으로 고정되는 디딤판이 형성되는 이층사다리; 및 원목상태의 후박나무를 포함하는 편백나무를 이용하여 상기 이층바닥판 상부로 상기 이층사다리가 삽입되는 중심부좌우측지주를 제외한 상기 전방좌우측 모서리지주와 후방좌우측 모서리지주 전체를 감싸고 둘러서 이층에서의 낙하사고를 방지하는 이층난간지지대를 구비한다.
상기한 종래기술은 이층침대 구조에서 일, 이층 모두를 보일러관이 형성되는 황토바닥재로 형성하여 건식사우나가 가능한 찜질공간을 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는 이층침대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야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실내가 협소한 경우 설치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은 황토바닥재에 설치된 보일러관을 가열수단으로 제공하는 것으로서, 실제 찜질방에서와 같은 고온의 찜질환경을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은 황토바닥재의 열이 대기중으로 쉽게 방출되는 구조여서 에너지 열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전기요금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9-000077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필로티 구조로 이루어지는 기초부 상단에 벙커형태의 황토 찜질방을 분리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기초부의 공간을 침상 또는 책상, 수납공간 등의 다목적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실내공간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책상이나 침대 구조물의 상부 공간을 활용해 가정용 황토 찜질방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 및 시공이 편리하여 보급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와 단절된 벙커형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한 심리상태에서 찜질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찜질을 하지 않을 때는 외부의 빛과 소음으로부터 차단된 최적의 숙면환경을 제공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벙커형 구조와 더불어 단열재 시공을 통해 열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일반 황토침대보다 열효율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오랜 시간 열기가 지속되는 것은 물론, 전기세가 절감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대바닥부, 장변측 벽면부, 천장부, 단변측 벽면부, 도어부를 편백 및 미송을 포함하는 목재류로 형성함으로써, 목재 특유의 재질감과 향기로 인한 편안함과 피톤치드 효과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필로티 구조로 이루어지는 기초부(110); 상기 기초부(110)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침대바닥부(120); 상기 침대바닥부(120)의 장변측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장변측 벽면부(130); 상기 장변측 벽면부(130)의 단부를 아치형태로 연결하는 천장부(140); 상기 침대바닥부(120)의 단변측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장변측 벽면부(130)와 천장부(140)의 일측 방향이 밀폐하는 단변측 벽면부(150); 및 상기 단변측 벽면부(150)의 내벽면에 형성되어 고열을 발산하는 고온발열부(190);를 포함하고, 상기 고온발열부(190)는 단변측 벽면부(150)의 외면에 적층되는 단열재(191), 상기 단열재(191)의 외면에 적층되는 면상발열체(192) 및 상기 면상발열체(192) 외면에 적층되어 사용자의 면상발열체(192) 접촉을 방지하는 보호망(19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침대바닥부(120)의 상면에 형성되어 온열을 발산하는 바닥발열부(1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발열부(170)는 침대바닥부(120)의 상부에 적층되는 단열재(171), 상기 단열재(171) 상부에 적층되는 발열체(172), 상기 발열체(172) 상부에 적층되는 절연보드(173), 상기 절연보드(173) 상부에 적층되는 황토층(174) 및 상기 황토층(174) 상부에 적층되는 한지장판(17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침대바닥부(120)의 상면에 형성되어 온열을 발산하는 바닥발열부(1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발열부(170)는 침대바닥부(120)의 상면에 적층되는 단열재(171), 상기 단열재(171) 상면에 적층되는 하부 항토층(177), 상기 하부 황토층(177) 상면에 설치되는 난방호스(178), 상기 난방호스(178) 상면에 적층되는 상부 황토층(179) 및 상기 상부 황토층(179) 외면에 적층되는 한지장판(17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변측 벽면부(130)의 내벽면에 형성되어 온열을 발산하는 측벽발열부(1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벽발열부(180)는 장변측 벽면부(130) 내면에 적층되는 단열재(181), 상기 단열재(181) 내면에 적층되는 발열체(182), 상기 발열체(182) 내면에 적층되는 절연보드(183) 및 상기 절연보드(183) 내면에 적층되는 황토벽(18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변측 벽면부(150)의 반대측에는 내부로 출입하기 위한 도어부(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침대바닥부(120), 장변측 벽면부(130), 천장부(140), 단변측 벽면부(150) 및 도어부(160)를 편백 및 미송을 포함하는 목재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필로티 구조로 이루어지는 기초부 상단에 벙커형태의 황토 찜질방을 분리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기초부의 공간을 침상 또는 책상, 수납공간 등의 다목적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가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실내공간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책상이나 침대 구조물의 상부 공간을 활용해 가정용 황토 찜질방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 및 시공이 편리하여 보급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와 단절된 벙커형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한 심리상태에서 찜질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찜질을 하지 않을 때는 외부의 빛과 소음으로부터 차단된 최적의 숙면환경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벙커형 구조와 더불어 단열재 시공을 통해 열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일반 황토침대보다 열효율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오랜 시간 열기가 지속되는 것은 물론, 전기세가 절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침대바닥부, 장변측 벽면부, 천장부, 단변측 벽면부, 도어부를 편백 및 미송을 포함하는 목재류로 형성함으로써, 목재 특유의 재질감과 향기로 인한 편안함과 피톤치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찜질용 황토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발열부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발열부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벽발열부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온발열부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찜질용 황토침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발열부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발열부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벽발열부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온발열부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기초부(110), 침대바닥부(120), 장변측 벽면부(130), 천장부(140), 단변측 벽면부(150), 도어부(160), 바닥발열부(170), 측벽발열부(180), 고온발열부(19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기초부(11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기초부(110)는 필로티 구조를 이루기 위한 복수 개의 포스트(111)가 설치되고, 상기 포스트(111) 사이는 횡간지지대(113)로 연결되도록 하고, 포스트(111) 내측의 공간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초부(110)의 공간을 다목적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예컨대, 기초부(110)의 공간에 책상을 놓고 사용하거나, 옷걸이나 행거, 수납용 서랍장 등을 놓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포스트(111)를 이용해 침상(115)을 조립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침상(115)은 4각의 틀을 형성하고, 4각 틀의 모서리를 포스트(111)에 볼트 또는 나사류의 결합을 통해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초부(110)의 상부에는 2층의 찜질방을 형성하는 침대바닥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침대바닥부(120)에는 사다리(116)가 설치되어 2층의 찜질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침대바닥부(12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침대바닥부(120)는 상기 기초부(110)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4개의 변으로 이루어지는 4각틀 형태의 침대바닥프레임(121)을 형성하고, 상기 침대바닥프레임(121)은 편백나무를 이용한 틀과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침대바닥부(120)의 장변측에 수직방향으로는 장변측 벽면부(130)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장변측 벽면부(130)는 목재로 형성되는데, 미송 또는 편백나무 루바를 수직방향으로 세워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루바는 미송 또는 편백나무를 널빤지 형태로 가공한 목재로서, 길이방향의 루바를 수직방향으로 세워서 연속 배치하고, 각각의 루바 사이를 조밀하게 밀착시켜서 벽면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장변측 벽면부(130)는 양측이 마주보고 형성되며, 상기 양측 장변측 벽면부(130)의 단부를 아치형태로 연결시켜 천장부(140)를 형성한다.
상기 천장부(140)는 미송 또는 편백나무와 같은 목재 루바를 이용해 형성될 수 있는데, 길이방향의 루바를 수평방향으로 눕혀서 연속 배치하되, 아치형태의 곡면을 따라서 조밀하게 밀착시켜 천장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천장부(140)는 루바를 2중으로 형성하고, 그 사이에 단열재가 개재되도록 하여 2층 찜질방 내부의 열기가 천장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예컨대, 아치형태로 루바가 시공되고 나서 그 외면에 단열재를 시공하고, 다시 단열재 외면에 목재 루바를 시공하여 마감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단열효과는 물론, 목재특유의 재질감에 따른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목재에서 방출되는 피톤치드와 같은 목재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심신안정에 기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침대바닥부(120)의 단변측에 수직방향으로 단변측 벽면부(150)가 연장된다.
상기 단변측 벽면부(150)는 장변측 벽면부(130)와 천장부(140)의 일측 방향이 밀폐되도록 벽면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미송 또는 편백나무와 같은 목재 루바를 이용해 형성될 수 있고, 길이방향의 루바를 수직방향으로 세워서 연속 배치하고, 각각의 루바 사이를 조밀하게 밀착시켜 벽면을 형성하거나, 루바를 수평방향으로 눕혀서 연속 배치하여 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변측 벽면부(150)의 반대측에서 내부로 출입하기 위해 개폐 가능하도록 도어부(160)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부(160)는 한 쌍의 도어가 좌우 대칭형으로 설치되어 밀거나 당겨서 열수 있도록 하는 양개(兩開)형 도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어부(160)의 도어는 미송 또는 편백나무로 제작될 수 있고, 상기 천장부(140)와 같이 루바를 2중으로 형성하고, 그 사이에 단열재가 개재되도록 하여 2층 찜질방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침대바닥부(120)의 상면에 50℃ 이하의 온열을 발산하는 바닥발열부(170)가 형성된다.
상기 바닥발열부(17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침대바닥부(120)의 상부에 적층되는 단열재(171), 상기 단열재(171) 상부에 적층되는 발열체(172), 상기 발열체(172) 상부에 적층되는 절연보드(173), 상기 절연보드(173) 상부에 적층되는 황토층(174), 및 상기 황토층(174) 상부에 적층되는 한지장판(176)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단열재(171)는 시중에 출시되어 사용되는 실내용 단열재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는데, 특히 아이소핑크 단열재, 단열시트, 유리섬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 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발열체(172)는 난방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난방필름은 표면온도가 전기 안전법상 50℃ 이하로 발열되도록 규제되고 있다.
이때, 난방필름이라 함은 카본이 발열하면서 나오는 원적외선 복사열로 대류나 전도에 의해 열이 전달되지 않고 복사열 방식으로 온열 효과를 얻는 필름을 일컫는다.
상기 절연보드(173)의 역할은 누전을 방지함은 물론, 황토를 부착하기 위한 베이스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숯, 황토, 옥 등을 이용한 건축재를 제조하되, 상기 천연재에 산화마그네슘, 석고 및 젤라틴 수용액을 혼합하여 성형함으로써, 기능성 천연재의 원적외선 방사, 흡습, 탈취성능을 갖는 것과 동시에, 건축 내외장재로서 충분한 강도발현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기능성 천연재 100중량부에 산화 마그네슘 10∼50중량부, 석고 5∼10중량부 및 3∼20무게% 농도의 젤라틴 수용액 10∼100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압축성형하여 보드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연보드(173)는 얇은 합판이나 수지제품으로도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절연보드(173) 상부에는 황토층(174)이 적층되도록 한다. 이때, 황토층(174)은 3∼20무게% 농도의 젤라틴 수용액 100중량부에 황토분말 또는 백토분말 50∼200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고, 생황토 분말과 물을 혼합하여 된 생황토 반죽을 평평하게 하여 제조된 생황토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황토층(174) 상부에는 한지장판(176)이 적층되도록 하는데, 한지장판(176)을 적층하기 전에 한지펄프(175)를 선시공할 수 있다.
황토층(174) 위에 한지펄프(175)를 선시공하게 되면, 황토 표면의 단차가 크게 감소하여 표면의 평활도가 높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한지장판(176)과 황토층(174)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한지장판(176)이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발열체(172)를 대용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호스(177)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온수호수(177)를 발열체로 사용할 경우, 상기 바닥발열부(17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침대바닥부(120)의 상부에 적층되는 단열재(171), 상기 단열재(171) 상부에 적층되는 하부 황토층(177), 상기 하부 황토층(177) 상부에 설치되는 난방배관(178), 상기 난방배관(178)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부 황토층(179), 상기 상부 황토층(179) 상부에 적층되는 한지펄프(175), 한지펄프(175) 상부에 적층되는 한지장판(176)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부 황토층(177) 및 상부 황토층(179)은 생황토 분말과 물을 혼합하여 된 생황토 반죽을 평평하게 하여 제조된 생황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황토층(177) 및 상부 황토층(179)은 상기 황토층(174)과 같이 3∼20무게% 농도의 젤라틴 수용액 100중량부에 황토분말 또는 백토분말 50∼200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생황토 반죽은, 생황토 분말 60~80 중량%와, 물 20~40 중량%를 혼합하여 일정한 점도를 가지게 제조함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장변측 벽면부(130)의 내벽면에 50℃ 이하의 온열을 발산하는 측벽발열부(180)가 형성된다.
상기 측벽발열부(180)는, 장변측 벽면부(130) 내면에 적층되는 단열재(181), 상기 단열재(181) 내면에 적층되는 발열체(182), 상기 발열체(182) 내면에 적층되는 절연보드(183) 및 상기 절연보드(183) 내면에 적층되는 황토벽(18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단열재(181)는 시중에 출시되어 사용되는 실내용 단열재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는데, 특히 아이소핑크 단열재, 단열시트, 유리섬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 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발열체(182)는 난방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난방필름은 표면온도가 전기 안전법상 50℃ 이하로 발열되도록 규제되고 있다.
이때, 난방필름이라 함은 카본이 발열하면서 나오는 원적외선 복사열로 대류나 전도에 의해 열이 전달되지 않고 복사열 방식으로 온열 효과를 얻는 필름을 일컫는다.
상기 절연보드(183)의 역할은 누전을 방지함은 물론, 황토를 부착하기 위한 베이스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숯, 황토, 옥 등을 이용한 건축재를 제조하되, 상기 천연재에 산화마그네슘, 석고 및 젤라틴 수용액을 혼합하여 성형함으로써, 기능성 천연재의 원적외선 방사, 흡습, 탈취성능을 갖는 것과 동시에, 건축 내외장재로서 충분한 강도발현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기능성 천연재 100중량부에 산화 마그네슘 10∼50중량부, 석고 5∼10중량부 및 3∼20무게% 농도의 젤라틴 수용액 10∼100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압축성형하여 보드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연보드(183)는 얇은 합판이나 수지제품으로도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절연보드(183) 내면에는 황토벽(184)이 적층되도록 한다. 이때, 황토벽(184)은 3∼20무게% 농도의 젤라틴 수용액 100중량부에 황토분말 또는 백토분말 50∼200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황토벽(184)은 타일형태로 공장에서 제조되어 현장에서 부착 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단변측 벽면부(150)의 내벽면에 100~120℃의 고열을 발산하는 고온발열부(190)가 형성된다.
상기 고온발열부(190)는, 단변측 벽면부(150)의 내면에 적층되는 단열재(191), 상기 단열재(191)의 내면에 적층되는 면상발열체(192) 및 상기 면상발열체(192) 내면에 적층되어 사용자가 면상발열체(192)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망(19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열재(191)는 시중에 출시되어 사용되는 실내용 단열재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는데, 특히 아이소핑크 단열재, 단열시트, 유리섬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 시공될 수 있다.
상기 보호망(193)은 사용자와 면상발열체(192) 사이를 일정거리 유지시키도록 하는 선형의 리브를 격자형태로 제작하여 열기를 통과시키는 것으로서, 격자구조는 다양한 형태의 망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필로티 구조로 이루어지는 기초부 상단에 벙커형태의 황토 찜질방을 분리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기초부의 공간을 침상 또는 책상, 수납공간 등의 다목적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가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실내공간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책상이나 침대 구조물의 상부 공간을 활용해 가정용 황토 찜질방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 및 시공이 편리하여 보급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와 단절된 벙커형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한 심리상태에서 찜질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찜질을 하지 않을 때는 외부의 빛과 소음으로부터 차단된 최적의 숙면환경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벙커형 구조와 더불어 단열재 시공을 통해 열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일반 황토침대보다 열효율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오랜 시간 열기가 지속되는 것은 물론, 전기세가 절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침대바닥부, 장변측 벽면부, 천장부, 단변측 벽면부, 도어부를 편백 및 미송을 포함하는 목재류로 형성함으로써, 목재 특유의 재질감과 향기로 인한 편안함과 피톤치드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10: 기초부 111: 포스트
113: 횡간지지대 115: 침상
120: 침대바닥부 121: 침대바닥프레임
130: 장변측 벽면부 140: 천장부
150: 단변측 벽면부 160: 도어부
170: 바닥발열부 171: 단열재
172: 발열체 173: 절연보드
174: 황토층 175: 한지장판
176: 한지펄프 177 : 하부 황토층
178 : 난방호스 179 : 상부 황토층
180: 측벽발열부 181: 단열재
182: 발열체 183: 절연보드
184: 황토벽 190: 고온발열부
191: 단열재 192: 면상발열체
193: 보호망

Claims (5)

  1. 필로티 구조로 이루어지는 기초부(110);
    상기 기초부(110)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침대바닥부(120);
    상기 침대바닥부(120)의 장변측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장변측 벽면부(130);
    상기 장변측 벽면부(130)의 단부를 아치형태로 연결하는 천장부(140);
    상기 침대바닥부(120)의 단변측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장변측 벽면부(130)와 천장부(140)의 일측 방향이 밀폐하는 단변측 벽면부(150); 및
    상기 단변측 벽면부(150)의 내벽면에 형성되어 고열을 발산하는 고온발열부(190);를 포함하고,
    상기 고온발열부(190)는,
    단변측 벽면부(150)의 외면에 적층되는 단열재(191),
    상기 단열재(191)의 외면에 적층되는 면상발열체(192) 및
    상기 면상발열체(192) 외면에 적층되어 사용자의 면상발열체(192) 접촉을 방지하는 보호망(19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사우나가 가능한 찜질용 황토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바닥부(120)의 상면에 형성되어 온열을 발산하는 바닥발열부(1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발열부(170)는,
    침대바닥부(120)의 상부에 적층되는 단열재(171),
    상기 단열재(171) 상부에 적층되는 발열체(172),
    상기 발열체(172) 상부에 적층되는 절연보드(173),
    상기 절연보드(173) 상부에 적층되는 황토층(174) 및
    상기 황토층(174) 상부에 적층되는 한지장판(17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사우나가 가능한 찜질용 황토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바닥부(120)의 상면에 형성되어 온열을 발산하는 바닥발열부(1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발열부(170)는,
    침대바닥부(120)의 상면에 적층되는 단열재(171),
    상기 단열재(171) 상면에 적층되는 하부 항토층(177),
    상기 하부 황토층(177) 상면에 설치되는 난방호스(178),
    상기 난방호스(178) 상면에 적층되는 상부 황토층(179) 및
    상기 상부 황토층(179) 외면에 적층되는 한지장판(17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사우나가 가능한 찜질용 황토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변측 벽면부(130)의 내벽면에 형성되어 온열을 발산하는 측벽발열부(1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벽발열부(180)는,
    장변측 벽면부(130) 내면에 적층되는 단열재(181),
    상기 단열재(181) 내면에 적층되는 발열체(182),
    상기 발열체(182) 내면에 적층되는 절연보드(183) 및
    상기 절연보드(183) 내면에 적층되는 황토벽(18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사우나가 가능한 찜질용 황토침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변측 벽면부(150)의 반대측에는 내부로 출입하기 위한 도어부(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침대바닥부(120), 장변측 벽면부(130), 천장부(140), 단변측 벽면부(150) 및 도어부(160)를 편백 및 미송을 포함하는 목재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사우나가 가능한 찜질용 황토침대.
KR1020200131749A 2020-10-13 2020-10-13 건식 사우나가 가능한 찜질용 황토침대 KR102381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749A KR102381666B1 (ko) 2020-10-13 2020-10-13 건식 사우나가 가능한 찜질용 황토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749A KR102381666B1 (ko) 2020-10-13 2020-10-13 건식 사우나가 가능한 찜질용 황토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1666B1 true KR102381666B1 (ko) 2022-03-31

Family

ID=80934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749A KR102381666B1 (ko) 2020-10-13 2020-10-13 건식 사우나가 가능한 찜질용 황토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6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618U (ko) * 1997-08-23 1999-03-15 장인배 조립식 황토찜질방
KR20180135602A (ko) * 2017-06-13 2018-12-21 로얄캡슐코리아 주식회사 조립식 캡슐
KR20190000777U (ko) 2017-09-19 2019-03-27 이윤성 건식사우나가 복합된 다용도 침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618U (ko) * 1997-08-23 1999-03-15 장인배 조립식 황토찜질방
KR20180135602A (ko) * 2017-06-13 2018-12-21 로얄캡슐코리아 주식회사 조립식 캡슐
KR20190000777U (ko) 2017-09-19 2019-03-27 이윤성 건식사우나가 복합된 다용도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427B1 (ko) 개인용 온열사우나 및 그 이용방법
KR101173290B1 (ko) 빨래 건조실 겸용 개인용 사우나
KR102071318B1 (ko) 황토의 원적외선 방사효과를 이용하는 산야초 원료의 건조장치 및 산야초 원료의 건조방법
KR101001732B1 (ko) 황토와 숯이 포함된 기능성 편백 온열 침대
KR102381666B1 (ko) 건식 사우나가 가능한 찜질용 황토침대
KR101645559B1 (ko) 공기 질 개선효과와 결로현상 방지구조를 갖는 이동식 황토방
KR101043794B1 (ko) 황토판재로 제공되는 기능성 황토방
KR100915274B1 (ko)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사우나실
KR102458331B1 (ko) 조립식 다용도실
KR102187347B1 (ko) 다기능 컨테이너 찜질방
KR20100008985A (ko) 천연 한지층을 구비한 침대
KR200470522Y1 (ko) 옥매트 겸용 온열 찜질기
KR20190000777U (ko) 건식사우나가 복합된 다용도 침대
KR101133648B1 (ko) 실내 청정기능을 갖춘 침대
KR101343142B1 (ko) 냉난방 기구가 구비된 침대
KR102617472B1 (ko) 개인용 찜질부스
JP2002281947A (ja) 昆布の2次簡易良質乾燥装置と乾燥方法
KR200482798Y1 (ko) 애완동물용 집
KR102322158B1 (ko) 기존의 철재 컨테이너 구조물을 이용한 변형 황토방 및 그 시공방법
KR101583466B1 (ko) 난방 기능을 갖는 조립식 원목침대
KR20160002131A (ko) 건강매트 및 그 제조방법
JP3159786U (ja) ドライサウナ方式の温浴室
KR20050095269A (ko) 천연식물과 원적외선을 이용한 조립식 찜질방
KR102224177B1 (ko) 스팀발생 장치를 갖춘 조립식 황토찜질방의 구조
KR101126934B1 (ko) 통기성을 갖는 황토벽 시공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