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5274B1 -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사우나실 - Google Patents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사우나실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5274B1
KR100915274B1 KR1020080126720A KR20080126720A KR100915274B1 KR 100915274 B1 KR100915274 B1 KR 100915274B1 KR 1020080126720 A KR1020080126720 A KR 1020080126720A KR 20080126720 A KR20080126720 A KR 20080126720A KR 100915274 B1 KR100915274 B1 KR 100915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bottom plate
cypress
side wall
sauna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규
Original Assignee
이창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규 filed Critical 이창규
Priority to KR1020080126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52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2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066Cabi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2033/061Artificial hot-air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2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heated by an electric resistance el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사우나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판(10)과 천정판(20) 및 다수의 측벽(30)으로 구성되고 목재로 이루어진 조립식 사우나실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0)의 상단에는 전기를 공급받아 외부로 열을 공급하는 열선(100)과, 상기 열선(100)의 상단에 구비되며 천연소재로 이루어진 마지(200)와, 상기 마지(200)의 상단에 소정의 두께만큼 적층되는 황토분말(300)과, 상기 황토분말(300)의 상단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며 목재를 조립하여 이루어진 마루판(400)과, 상기 바닥판(10)과 마루판(400) 사이에 소정의 공간(S)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중간살(50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구성으로, 편백나무를 이용하여 간이 사우나실을 조립하여 구성함에 따라 아토피를 비롯한 각종 피부질환과, 스트레스의 개성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사우나가 진행되는 동안 황토의 원적외선이 사우나실 내부로 활발히 순환되도록 함에 따라 신체 혈액순환을 원활토록 하고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사우나실{assembly type sauna room using chamaecyparis obtusa}
본 발명은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사우나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편백나무를 이용하여 간이 사우나실을 조립하여 구성함에 따라 아토피를 비롯한 각종 피부질환과, 스트레스의 개성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사우나가 진행되는 동안 황토의 원적외선이 사우나실 내부로 활발히 순환되도록 함에 따라 신체 혈액순환을 원활토록 하고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사우나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우나는 수증기를 이용하거나 또는 고온건조한 열기를 이용하여 찜질을 함으로써 혈액순환과 더불어 땀 등의 노폐물을 배출시켜 신진대사를 원활히 이루도록 하는 것으로, 동서양을 막론하고 오래 전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사우나의 효능은 수증기나 열기에 의해 점차로 기관의 활동이 고조되어 심장의 박동수와 혈액의 방출량이 늘어남으로써 혈액순환이 좋아질 뿐만 아니라 혈관이 확장되면서 피부나 근육의 영양상태도 좋아지게 되고, 또한 신경이나 근육의 피로를 풀어 주거나 달래줄 뿐만 아니라 노폐물을 제거함으로써 신체의 전반적인 컨디션을 좋게 조절하는 것으로 이미 입증된바 있다.
이와 같은 사우나는 구조적인 특성상 대부분 영업장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나, 근자에는 소형으로 제조되면서 분해및 조립이 용이한 일명 가정용의 사우나기도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정용 사우나기의 대체적인 구조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면서 사람이 내부로 들어갈 수 있는 함체형상의 몸체를 갖추어 구성되는 것으로, 즉 바닥판의 사방향으로 전,후 벽면 및 좌,우 벽면이 각각 수직으로 조립됨과 아울러, 이들의 상부에는 천정판이 설치되어 구성되고, 전면판에는 도어가 설치되는 구성이다.
또한, 몸체의 내부에는 전원의 공급에 의해 히팅되어 내부를 히팅토록 하는 히터가 소정위치에 설치되면서 이를 조절하는 콘크롤박스 등이 설치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사우나기에서 그 크기가 소형으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각 부재를 최소의 부피로 분해할 수 있음으로써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가정용 조립식 사우나로 널리 알려진 사우나의 형태로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습식 사우나와 전기히터방식을 채택하여 열을 방출하는 건식 사우나 등이 있으며, 상기 건식 사우나에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세라믹히터를 사용하는 종류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제공된 조립식 사우나실의 경우 그 용도가 단순히 열을 가해 사우나를 즐기는 용도로 한정되어 사우나를 거부하는 어린이들이나 노약자 및 사우나가 부담되는 시기인 간절기 및 여름철에는 그 기능이 제대로 진행될 수 없어 공간만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사우나실을 설치 후 그 크기가 변경되지 않아 사람수가 늘어나거나, 여유 공간이 확보되더라도 사우나실의 크기를 확장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우나실을 장기간 사용할 경우 사우나실이 변색 및 손상되어 외관상 미려하지 못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찜질에 따른 노폐물 배출 및 혈액순환의 기능 외에는 보다 기능적인 별다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편백나무를 이용해 간이식 사우나실을 조립 제작하여,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고, 실내, 실외 장소를 불문하고 어디든지 사우나실을 설치하여 사우나를 즐길 수 있으며, 무엇보다 사우나실의 높이조절이 용이하고, 간절기나 여름철에는 산림욕의 장소로서 활용이 가능하며 장기간 사용에도 사우나실의 형상이 견고하에 유지될 뿐 아니라, 시간의 변화에 따라 편백나무의 자연스러운 재질감의 표현 가능하여 이에 따른 장식의 효과가 있고, 편백나무의 작용으로 아토피와 같은 피부질환을 개선해주고 항균작용, 소취 및 유해물질 정화, 인체의 면역력 강화, 스트레스 완화의 작용을 하는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사우나실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우나실에 황토분말을 내장하여 황토의 원적외선이 사우나실 내부로 자연스럽게 순환되면서 방출토록 함에 따라 신체의 혈행을 원활하여 인체의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사우나실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판과 천정판 및 다수의 측벽으로 구성되고 목재로 이루어진 조립식 사우나실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상단에는 전기를 공급받아 외부로 열을 공급하는 열선과, 상기 열선의 상단에 구비되며 천연소재로 이루어진 마지와, 상기 마지의 상단에 소정의 두께만큼 적층되는 황토분말과, 상기 황토분말의 상단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며 목재를 조립하여 이루어진 마루판과, 상기 바닥판과 마루판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중간살이 구성된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사우나실을 제공한다.
본 발명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사우나실에 따르면 편백나무를 이용해 간이식 사우나실을 조립 제작하여,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고, 실내, 실외 장소를 불문하고 어디든지 사우나실을 설치하여 사우나를 즐길 수 있으며, 무엇보다 사우나실의 높이조절이 용이하고, 간절기나 여름철에는 산림욕의 장소로서 활용이 가능하며 장기간 사용에도 사우나실의 형상이 견고하에 유지될 뿐 아니라, 시간의 변화에 따라 편백나무의 자연스러운 재질감의 표현 가능하여 이에 따른 장식의 효과가 있고, 편백나무의 작용으로 아토피와 같은 피부질환을 개선해주고 항균작용, 소취 및 유해물질 정화, 인체의 면역력 강화, 스트레스 완화의 작용을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우나실에 황토분말을 내장하여 황토의 원적외선이 사우나실 내부로 자연스럽게 순환되면서 방출토록 함에 따라 신체의 혈행을 원활하여 인체의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사우나실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는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분해사시도,
도 3a 및 3b는 도 2의 부분확대도,
도 4는 목재판넬과 지지살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목재판넬과 지지살의 사시도,
도 6은 수직프레임에 측벽이 조립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수직프레임에 천정판이 조립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출입문과 출입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바닥판 내지 마루판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0a는 본 발명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사우나실의 사시도,
도 10b는 본 발명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사우나실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닥판 20 : 천정판
30 : 측벽 31 : 출입구
32 : 테두리 100 : 열선
200 : 마지 300 : 황토분말
400 : 마루판 410 : 통풍구
500 : 중간살 600, 600' : 목재판넬
610 : 돌기 620 : 요홈
700 : 수직프레임 710 : 단턱
720 : 가이드용홈 730 : 수평프레임
800 : 출입문 900 : 지지살
B : 브라켓 P : 못
S : 공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사우나실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사우나실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a 및 3b는 도 2의 부분확대도이고, 도 4는 목재판넬과 지지살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목재판넬과 지지살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수직프레임에 측벽이 조립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7은 수직프레임에 천정판이 조립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출입문과 출입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9는 바닥판 내지 마루판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10a는 본 발명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사우나실의 사시도이며, 도 10b는 본 발명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사우나실의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사우나실은 재질이 편백나무로 이루어진 바닥판(10), 천정판(20), 측벽(30)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판(10)의 상단에는 전기를 공급받아 외부로 열을 공급하는 열선(100)이 구비되며, 상기 측벽(30)에는 외부와 출입이 용이하도록 출입구(31)를 형성하되, 상기 출입구(31)를 개폐하기 위해 편백나무 재질의 목재판넬(600)을 조립하여 출입문(800)을 형성하며, 상기 바닥판(10), 천정판(20) 및 측벽(30)은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돌출된 돌기(610)와, 타측에 상기 돌기와 대응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요입된 요홈(620)을 형성하는 편백나무 재질의 목재판넬(600)을 돌기(610)가 요홈(620)에 끼워 고정하도록 평판의 형상으로 조립하여 구성된 조립식 사우나실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0)의 상단에는 소정의 공간(S)을 형성하도록 편백나무 재질의 중간살(500)이 구비되고,상기 공간(S)에는 열선(100)과, 상기 열선(100)의 상단에 열선(100)을 보호하도록 구비되는 마지(200)와, 상기 마지(200)의 상단에 소정의 두께만큼 적층되는 황토분말(300)이 구비되며,상기 중간살(500)의 상단에는 황토분말(300)의 상단을 커버하기 위해 편백나무 재질의 목재판넬(600')을 상호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하도록 조립하여 공기 순환을 위한 통풍구(410)를 형성하는 마루판(400)이 구비되고,상기 측벽(30) 사이에는 각목으로 이루어져 상단과 하단에는 바닥판(10)과 천정판(20)의 모서리를 안착하기 위해 내부로 요입된 단턱(710)을 형성하고, 상기 단턱(710)이 형성된 양측면에 측벽(30)의 양측단부를 끼워 고정하기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요입된 가이드용홈(720)을 형성하는 편백나무 재질의 수직프레임(700)이 구비되는 구성이다.
삭제
먼저 통상의 조립식 사우나실은 바닥면에 접하고 상단에 사람들이 앉거나 누울 수 있도록 바닥판(10)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10)의 테두리를 따라 종방향으로 다수의 측벽(30)이 형성되며, 상기 측벽(30)의 상단에는 천정판(20)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바닥판(10)의 형상에 따라 측벽(30)의 개수가 정해지는 것이며, 바닥판(10)이 사각형일 경우 측벽(30)은 모두 네개로 이루어져, 전후좌우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바닥판(10)의 상단에는 전원를 공급받아 외부로 열을 공급하는 열선(100)이 형성된다.
상기 열선(100)은 사우나하기 적당한 온도를 갖추도록 온도조절기와 온도를 표시해주는 온도계를 내장한 디스플레이와 연결되어 사우나온도를 확인함과 동시에 사우나온도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열선(100)은 피복되어 열선(100)의 온도가 상승하더라도 목재로 구성된 바닥판(10)이 타지 않도록 한다.
참고로, 여름철 및 간절기에는 열선을 가동하지 않고, 사용할 경우 산림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열선(100)의 상단에는 그 재질이 천연직물 및 천연종이와 같이 전통적인 천연소재로 이루어지고 열선(100)을 커버하도록 마지(200)가 구비되며, 상기 마지(200)의 상단에 소정의 두께만큼 황토분말(300)이 적층된다.
상기 마지(200)는 천연소재로 이루어진 직물, 종이 등 다양한 소재로 대체될 수 있으며, 황토분말(300)이 열선(100)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황토의 고유 성분은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전통 종이인 마지(200)로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마지(200)는 열선(100)의 상단에 열선(100)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으로, 황토분말(300)이 열선(100)의 하단으로 이탈되지 않으면서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깔개의 역할을 한다. 참고로, 상기 마지(麻紙, hemp paper)는 삼[麻]의 섬유를 재료로 만든 종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삼의 껍질이나 마포를 잘라서 초조하여 구성된다. 그냥 마지라고도 하지만, 백마지·황마지라고도 불리우며, 오늘날에는 회화용(繪畵用)으로 초지(抄紙)되는 경우가 많다.
상기 마지(200)는 상기 황토분말(300)의 하단에 구비되는 동시에 상단에도 구비될 수 있으며, 상단에 구비된 마지(200)는 황토분말(300)을 커버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황토분말(300)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된 마지(200)의 각 테두리를 상호 부착하여 황토분말(300)이 마지(200) 사이에 팩의 형태로 수용되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황토분말(300)은 간단한 정제과정만 거친 후 별도의 성형과정 없이 구비될 수 있으며, 특히 자연산 황토는 적외선 중에서도 인체에 가장 유익한 파장을 갖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며, 상기 원적외선은 피부의 심층까지 침투하여 세포를 촉진하여 체온을 상승시키는 작용을 하고, 체온이 상승하면서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특히 땀이 다량 발생하는 과정에서 항균 작용을 하며,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냄새를 제거하고, 인체의 혈액순환을 촉진시켜서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능이 있다. 또한, 상기한 황토분말(300)에는 황토외에도, 삼백초, 어성초와 같이 인체에 유익한 다양한 기능성 분말이 추가로 혼합될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두는 바이다. 삼백초는 난치병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어, 고질적인 두통, 고혈압, 만성변비, 기관지염, 악성무좀등에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알려진 바 있으며, 어성초는 강력한 해독작용 및 살균작용으로 인체에 배출되지 않고 축적된 농약과 같은 독성물질을 해독하는 효과가 있다.
마루판(400)은 상기 황토분말(300)의 상단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며 목재를 조립하여 이루어진 구성으로, 상기 바닥판(10)과 마루판(40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S)을 형성하여 열선(100), 마지(200), 황토분말(300)이 수용될 수 있도록 목재로 이루어져 소정의 높이를 갖는 다수의 중간살(500)이 구비된다. 상기 중간살(500)에 의해 바닥판(10)과 마루판(400)은 높이차이가 발생하며, 소음방지를 위해 쿠션재를 중간살(500)의 상단과 하단에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루판(400)은 길이재의 목재판넬(600')을 상호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하게 조립하여 공기 순환을 위한 통풍구(410)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통풍구(410)를 통해 마루판(400)의 상하로 공기가 통하면서, 황토에서 방출된 다양한 성분이 인체에 순환되어 황토의 다양한 효능을 몸소 체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판(10), 천정판(20) 및 측벽(30)은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돌출된 돌기(610)와, 타측에 상기 돌기와 대응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요입된 요홈(620)을 형성하는 길이재의 목재판넬(600)을 돌기(610)가 요홈(620)에 끼워 고정하도록 평판의 형상으로 조립하여 구성되고 그 재질이 여러 나무를 이용할 수 있지만, 특히 편백나무로 구성된다.
먼저,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는 강도가 높고 보존성이 뛰어나 조각재, 선작재 등으로 사용되고 있는 반면, 매우 가볍고 향기가 좋으며 광택이 있어 매우 유용하다. 특히, 공기중의 프롬알데히드와 같은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능력이 뛰어나고, 항균작용을 하며, 아토피, 알러지 예방 효과가 있어 최근 욕실, 가구, 실내인테리어의 소재로 매우 각광받고 있다.
또한, 피톤치드(phytoncide)의 방출량이 100g당 5-6㎖로 밝혀진 바, 다른 수목에 비해 피톤치드의 방출량이 가장 뛰어나다고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편백나무로 침대를 제작할 경우 편백나무의 작용으로 실내에서도 삼림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피톤치드(phytoncide)는 나무에서 방산(放散)되어 주위의 미생물 따위를 죽이는 작용을 하는 물질로서, 산림욕 효용의 근원이라도 할 수 있으며, 피톤치드가 인체에 순환 될 경우, 스트레스가 해소되고 장과 심폐기능이 강화되며 살균작용도 이루어진다고 알려진 바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바닥판(10), 천정판(20) 및 측벽(30)은 돌기(610)와 요홈(620)을 형성하는 목재판넬(600)을 돌기(610)가 요홈(620)에 끼워 고정하도록 다수 연설하여 평판의 형상으로 조립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돌기(610)가 요홈(620)에 끼워져 목재판넬(600)이 조립될 경우 바닥판(10), 천정판(20) 및 측벽(30)이 보다 효과적으로 밀봉될 수 있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며, 필요한 나사, 못(P)과 같은 체결수단이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각각의 목재판넬(600)이 더욱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각각의 목재판넬(600)을 연결하는 지지살(90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살(900)과 목재판넬(600)을 나사 또는 못(P)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며, 상기 못(P)의 경우 그 재질이 목재로 이루어진 나무못(P)을 사용하여 외관상 미려하고, 보다 자연 친화적으로 지지살(900)과 목재판넬(600)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재판넬(600)의 조립개수에 따라 바닥판(10), 천정판(20) 및 측벽(30)의 사이즈가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어, 높이 넓이를 자유자재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바닥판(10), 천정판(20) 및 측벽(30)은 목재판넬(600)이 조합을 조합한 하나의 판형으로 구비될 수 있지만, 목재판넬(600)을 조합하여 이루어진 판재를 다수개 형행하도록 연설하여 바닥판(10), 천정판(20) 및 측벽(30)을 형성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 경우, 판재의 개수만큼 바닥판(10), 천정판(20) 및 측벽(30)의 사이즈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측벽(30) 사이에는 각목으로 이루어져 상단과 하단에는 바닥판(10)과 천정판(20)의 모서리를 안착하기 위해 내부로 요입된 단턱(710)을 형성하고, 상기 단턱(710)이 형성된 양측면에 측벽(30)의 양측단부를 끼워 고정하기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요입된 가이드용홈(720)을 형성하는 수직프레임(700)이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바닥판(10)과 천정판(20) 및 측벽(30)은 각각 판형으로 구비되므로, 이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브라켓(B)과 나사을 사용할 수 있지만, 그 고정력을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해 각목으로 구비된 수직프레임(700)의 상단과 하단에 내부로 요입된 단턱(710)을 형성하여, 상기 단턱(710)에 판형으로 이루어진 바닥판(10)과 천정판(20)의 모서리를 안착하는 것이다.
또한, 바닥판(10)은 바닥에 접해있으므로, 오직 수직프레임(700)의 상단에만 단턱(710)이 형성하여 천정판(20)이 안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바닥판(10)은 단턱(710)에 끼워지지 않고, 수직프레임(700)의 측면에 곧바로 조립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직프레임(700)의 상단에는 각각의 수직프레임(700)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730)이 상단과 하단에 별도로 구비되어 바닥판(10)과 천정판(20) 및 측벽(30)의 구조를 더욱 견밀하게 유지하도록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700)의 단턱(710)이 형성된 양측면에는 측벽(30)의 양측단부를 끼워 고정하기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요입된 가이드용홈(720)을 형성되고, 가이드용홈(720)의 깊이는 측벽(30)의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30)에는 외부와 출입이 용이하도록 출입구(31)가 형성되고, 상기 출입구(31)를 개폐하기 위해 목재판넬(600)로 조립된 출입문(800)이 형성된 다.
상기한 바와 같이 출입구(31)에는 사람의 입출이 이루어지며, 이 때, 출입구(31)를 개폐하기 위해 목재판넬(600)로 조립된 출입문(800)을 별도로 구비하되, 상기 출입구(31)에는 테두리(32)가 별도로 구비되어 출입문(800)의 개폐시 측벽(30)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사우나실에 따르면 편백나무를 이용해 간이식 사우나실을 조립 제작하여,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고, 실내, 실외 장소를 불문하고 어디든지 사우나실을 설치하여 사우나를 즐길 수 있으며, 무엇보다 사우나실의 높이조절이 용이하고, 간절기나 여름철에는 산림욕의 장소로서 활용이 가능하며 장기간 사용에도 사우나실의 형상이 견고하에 유지될 뿐 아니라, 시간의 변화에 따라 편백나무의 자연스러운 재질감의 표현 가능하여 이에 따른 장식의 효과가 있고, 편백나무의 작용으로 아토피와 같은 피부질환을 개선해주고 항균작용, 소취 및 유해물질 정화, 인체의 면역력 강화, 스트레스 완화의 작용을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우나실에 황토분말을 내장하여 황토의 원적외선이 사우나실 내부로 자연스럽게 순환되면서 방출토록 함에 따라 신체의 혈행을 원활하여 인체의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재질이 편백나무로 이루어진 바닥판(10), 천정판(20), 측벽(30)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판(10)의 상단에는 전기를 공급받아 외부로 열을 공급하는 열선(100)이 구비되며, 상기 측벽(30)에는 외부와 출입이 용이하도록 출입구(31)를 형성하되, 상기 출입구(31)를 개폐하기 위해 편백나무 재질의 목재판넬(600)을 조립하여 출입문(800)을 형성하며, 상기 바닥판(10), 천정판(20) 및 측벽(30)은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돌출된 돌기(610)와, 타측에 상기 돌기와 대응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요입된 요홈(620)을 형성하는 편백나무 재질의 목재판넬(600)을 돌기(610)가 요홈(620)에 끼워 고정하도록 평판의 형상으로 조립하여 구성된 조립식 사우나실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0)의 상단에는 소정의 공간(S)을 형성하도록 편백나무 재질의 중간살(500)이 구비되고,
    상기 공간(S)에는 열선(100)과, 상기 열선(100)의 상단에 열선(100)을 보호하도록 구비되는 마지(200)와, 상기 마지(200)의 상단에 소정의 두께만큼 적층되는 황토분말(300)이 구비되며,
    상기 중간살(500)의 상단에는 황토분말(300)의 상단을 커버하기 위해 편백나무 재질의 목재판넬(600')을 상호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하도록 조립하여 공기 순환을 위한 통풍구(410)를 형성하는 마루판(400)이 구비되고,
    상기 측벽(30) 사이에는 각목으로 이루어져 상단과 하단에는 바닥판(10)과 천정판(20)의 모서리를 안착하기 위해 내부로 요입된 단턱(710)을 형성하고, 상기 단턱(710)이 형성된 양측면에 측벽(30)의 양측단부를 끼워 고정하기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요입된 가이드용홈(720)을 형성하는 편백나무 재질의 수직프레임(7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사우나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80126720A 2008-12-12 2008-12-12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사우나실 KR100915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720A KR100915274B1 (ko) 2008-12-12 2008-12-12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사우나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720A KR100915274B1 (ko) 2008-12-12 2008-12-12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사우나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5274B1 true KR100915274B1 (ko) 2009-09-03

Family

ID=41355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720A KR100915274B1 (ko) 2008-12-12 2008-12-12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사우나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52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892B1 (ko) * 2011-02-15 2013-07-30 주식회사 썬조이 조립식 간이 사우나
KR101619735B1 (ko) 2014-06-12 2016-05-12 마요셉 다기능성 사우나 부스
KR101936546B1 (ko) * 2018-07-10 2019-01-08 허호영 세라믹 볼을 통해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건식 온열기의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402A (ko) * 2001-11-29 2003-06-09 이상록 가정용 조립식 황토사우나방
KR200422329Y1 (ko) * 2006-05-04 2006-07-25 장기용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바닥재
KR100864531B1 (ko) * 2007-04-18 2008-10-22 전병오 건강 도우미 숯 온돌방 구조 및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402A (ko) * 2001-11-29 2003-06-09 이상록 가정용 조립식 황토사우나방
KR200422329Y1 (ko) * 2006-05-04 2006-07-25 장기용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바닥재
KR100864531B1 (ko) * 2007-04-18 2008-10-22 전병오 건강 도우미 숯 온돌방 구조 및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892B1 (ko) * 2011-02-15 2013-07-30 주식회사 썬조이 조립식 간이 사우나
KR101619735B1 (ko) 2014-06-12 2016-05-12 마요셉 다기능성 사우나 부스
KR101936546B1 (ko) * 2018-07-10 2019-01-08 허호영 세라믹 볼을 통해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건식 온열기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5274B1 (ko)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사우나실
KR100971058B1 (ko) 사용기능을 개선시킨 가정용 사우나 부스
KR101173290B1 (ko) 빨래 건조실 겸용 개인용 사우나
KR200419170Y1 (ko) 개인용 건식 사우나기
KR101190652B1 (ko) 황토와 머드를 이용한 피부노화방지 반신욕장치
KR100808096B1 (ko) 찜질방 겸용 황토침대
KR200411597Y1 (ko) 원적외선 방출기능을 구비한 반신욕기기
KR200473164Y1 (ko) 원적외선 방사 시트가 부착되어 상향류식 공기 흐름을 유도하는 신발장
KR200409490Y1 (ko) 족욕기능이 구비된 좌욕기
KR20080102609A (ko) 좌욕 기능을 구비한 건식 족욕 장치
KR102458331B1 (ko) 조립식 다용도실
KR101133648B1 (ko) 실내 청정기능을 갖춘 침대
KR200347991Y1 (ko) 분리형 흙침대
KR102129259B1 (ko) 연마 황토볼 찜질캡슐
KR20160145933A (ko) 다기능 소파
KR100934715B1 (ko) 황토침대
KR102381666B1 (ko) 건식 사우나가 가능한 찜질용 황토침대
CN206667830U (zh) 一种带有收纳结构的桑拿房
CN212572996U (zh) 一种家用石墨烯发热汗蒸房
KR20050095269A (ko) 천연식물과 원적외선을 이용한 조립식 찜질방
KR20070000731U (ko) 편백나무를 주 재료로 한 반신욕기
KR100952295B1 (ko) 좌욕기
CN201840383U (zh) 一种浴槽
KR200412018Y1 (ko) 대나무 합판을 주 재료로 한 사우나용 부스
KR101418647B1 (ko) 건식 반신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