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329Y1 -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바닥재 - Google Patents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329Y1
KR200422329Y1 KR2020060012011U KR20060012011U KR200422329Y1 KR 200422329 Y1 KR200422329 Y1 KR 200422329Y1 KR 2020060012011 U KR2020060012011 U KR 2020060012011U KR 20060012011 U KR20060012011 U KR 20060012011U KR 200422329 Y1 KR200422329 Y1 KR 2004223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ing
cypress
shrinkage
groove
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20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용
Original Assignee
장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기용 filed Critical 장기용
Priority to KR20200600120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3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3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3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는 일반 주거지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 조립식 바닥재를 원목상태인 편백나무를 사용하여 원목의 비틀림과 휨 발생을 최소화시켜 편백나무의 효과인 새집증후근과 아토피, 혈액순환 등의 효과를 체험할 수 있도록, 바닥과 밀착되는 부위에 수축여유홈을 마련하고 서로 밀착 결합되는 경계면에 수축경사면을 형성하여 연속배열시켜 원목의 재료 특성상 팽창률과 수축률이 높아 습도에 의해 쉽게 비틀어지거나 휨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수축경사면과 수축여유홈에 의해 제거하도록 하여 몸에 이로운 편백나무를 원목상태로 사용하여 바닥재로서의 장식미를 뛰어나게 함과 동시에 편백나무의 효능과 온도변화에 따른 바닥재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비틀림과 휨성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즉, 바닥재(10)의 저면에 다수개의 수축여유홈(11)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재(10)의 측면일측에는 원형의 돌기를 경사지게 형성한 끼임돌기(12)와 측면타측에는 상기 끼임돌기(12)를 수용가능한 끼임홈(13)을 형성하여 수축경사면(14)을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바닥재, 수축여유홈, 끼임돌기, 끼임홈, 수축경사면, 원목, 편백나무

Description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바닥재{cypress use prefab flooring}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저부사시도
도 4,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7은 본 고안의 요부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닥 10 : 바닥재
11 : 수축여유홈 12 : 끼임돌기
13 : 끼임홈 14 : 수축경사면
본 고안은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는 일반 주거지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 조립식 바닥재를 원목상태인 편백나무를 사용하 여 원목의 비틀림과 휨 발생을 최소화시켜 편백나무의 효과인 새집증후근과 아토피, 혈액순환 등의 효과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아파트 등의 바닥에 가로×세로×두께가 10×90×1㎝ 규격의 길이방향 좌, 우측편에 틈새가 없는 요철홈을 형성해 모자이크방식으로 끼워 바닥재를 시공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조립식 바닥재는 고유의 무늬나 결이 형성된 원목판재를 이용하여 시공 설치하고 있으나, 원목의 재료 특성상 팽창률과 수축률이 높아 습도에 의해 쉽게 비틀어지거나 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 시공시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장시간 사용시 충격과 하중에 의한 누적을 견디지 못하고 파손되거나 결합부위가 벌어지거나 하여 내구성에 심각한 문제점으로 불편하였다.
그리고, 본 고안에 사용되는 편백나무는 원산지가 일본으로서 수령이 300년 이상 되고 기소오목으로 수종이 분류되어 있으며, 내수성과 내인성이 강하고 목향이 좋고, 삼림욕 및 살균작용, 피부미용(각질 분해 제거)에 효능이 있다 하여 옛 선조님들이 황실에서 욕조로 사용하여 왔으며, 이미 일본에서는 주거형 욕실 및 목욕장 업계에 널리 보급되어 있고 현재 국내에서도 히노끼탕이 온천시설, 호텔 사우나, 대중 목욕장 업계에 인기리에 보급되고 있다.
또, 편백나무는 피톤치드라는 물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데, 이것은 수목이 미생물과 각종 균으로 부터 자신을 방어하기위해 발산하는 천연의 항균물질로 흔히 삼림욕 물질로 불리고 있다.
그리고, 상기 편백나무는 인체에 아주 이로운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피톤치드는 강력한 공기정화력과 유해물질 중화작용이 있어 활용영역이 다양한데, 어린이나 노인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나 천식환자의 건강에 큰 도움을 주며, 일부 기업은 히노끼로 부터 피톤치드를 대량 추출함으로써, 새로운 아파트나 신축건축물의 실내 유해물질 중에서도 대표적인 독성물질인 포름알데히드를 잡을 수 있는 물질로 개발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인체에 이로운 편백나무를 주택이나 아파트 등의 건축물의 바닥에 사용하여 원목상태의 특성상 비틀림과 휨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인체에 이로운 편백나무 등을 바닥재로 사용가능케 하여 원목의 효능을 체험할 수 있는 바닥재를 찾게되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와 같이 일반 주거지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 조립식 바닥재를 원목상태로 조립설치 할 수 있도록, 바닥과 밀착되는 부위에 수축여유홈을 마련하고 서로 밀착 결합되는 경계면에 수축경사면을 형성하여 연속배열시켜 원목의 재료 특성상 팽창률과 수축률이 높아 습도에 의해 쉽게 비틀어지거나 휨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수축경사면과 수축여유홈에 의 해 제거하도록 하여 몸에 이로운 편백나무를 원목상태로 사용하여 그 효과인 새집증후근과 아토피, 혈액순환 등의 효과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바닥재를 안출한 것인데,
이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바닥재의 구성으로는 통상의 넓은 면적의 정사각형 혹은 직사각형으로 구성된 바닥재(10)에 있어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재(10)의 저면에 다수개의 수축여유홈(11)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재(10)의 측면일측에는 원형의 돌기를 경사지게 형성한 끼임돌기(12)와 측면타측에는 상기 끼임돌기(12)를 수용가능한 끼임홈(13)을 형성하여 수축경사면(14)을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바닥재(10)의 저면에 형성된 수축여유홈(11)은 원목의 나무결 모양에 따라 갯수와 크기를 조절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바닥재(10)는 넓은 면적을 갖도록 규격화되게 구성시키는데 그 크기의 실시 예로는 가로 43cm × 세로 80cm × 두께 1cm 또는 정사각형 혹은 제작자 및 수요자의 편의에 따라 상기 크기보다 크거나 혹은 작게 구성하여 시 공 및 보수를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바닥재(10)를 바닥(1)에 설치시 상기 바닥재(10)를 서로 엇갈리게 바닥(1)에 부착하거나 혹은 일정하게 바둑판 무늬형으로 부착하여 시공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바닥재(10)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도 4,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바닥재(10)의 양측면에 형성된 끼임돌기(12)와 끼임홈(13)을 밀착시켜 끼우게 함과 동시에 저면에 형성된 수축여유홈(11)을 바닥(1)과 밀착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각각의 바닥재(10)는 상기 끼임홈(13)에 밀착된 끼임돌기(12)의 형상에 따라 각각의 바닥재(10)의 간격을 조정하여 도 6,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온도변화에 따른 바닥재(10)의 변형에도 상기 바닥재(10)의 저면에 형성된 수축여유홈(11)과 양측면에 형성된 수축경사면(14)에 의해 바닥재(10)의 비틀림과 휨을 제거하여 바닥(1)에서 바닥재(10)가 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양측면에 형성된 수축여유홈(11)에 의해 다수개의 바닥재(10)가 밀착되어진 경계면 내부로 그 변형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양측면으로 변형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바닥(1)에 설치된 바닥재(10)는 원목인 편백나무를 바닥재(10)로 사용하여 원목의 장식미를 뛰어나게 함과 동시에 사용중 특정 부분의 바닥재(10)가 훼손되었을 경우 훼손된 바닥재(10)를 빼내어 새로운 바닥재(10)로 교체할 수 있어 그 사용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바닥재(10)는 편백나무의 원목상태 그대로 사용하게 하므로 온도에 따른 비틀림이나 휨성이 강하고, 습도에 의한 팽창시에도 수축여유홈(11)과 수축경사면(14)에 의해 변형을 최대한 방지하여 원목상태의 바닥재(10)를 간편하게 시공가능케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원목인 편백나무를 사용하여 시공하여 바닥재로서의 장식미를 뛰어나게 함과 동시에 편백나무의 효능인 향균 및 방충으로 인한 알레르기나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와 감각계통 안정 스트레스 해소와 정신을 맑게 해주고, 실내공기를 정화하여 냄새 제거 및 탈취효과와 음이온의 방출과 원활한 산소의 공급과 실내 수분량 조절 및 체내 분비물 촉진 및 신체리듬 회복에 의한 감각계통 안정시키게 하는 효능을 체험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바닥재의 저면과 양측면에 형성된 수축경사면과 수축여유홈에 의해 온도변화에 따른 바닥재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비틀림과 휨성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원목을 바닥재로 사용시 나타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넓은 면적의 정사각형 혹은 직사각형으로 구성된 바닥재(10)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10)의 저면에 다수개의 수축여유홈(11)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재(10)의 측면일측에는 원형의 돌기를 경사지게 형성한 끼임돌기(12)와 측면타측에는 상기 끼임돌기(12)를 수용가능한 끼임홈(13)을 형성하여 수축경사면(14)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바닥재.
KR2020060012011U 2006-05-04 2006-05-04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바닥재 KR2004223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011U KR200422329Y1 (ko) 2006-05-04 2006-05-04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011U KR200422329Y1 (ko) 2006-05-04 2006-05-04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바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329Y1 true KR200422329Y1 (ko) 2006-07-25

Family

ID=41770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011U KR200422329Y1 (ko) 2006-05-04 2006-05-04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32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274B1 (ko) * 2008-12-12 2009-09-03 이창규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사우나실
KR101298666B1 (ko) * 2012-01-26 2013-08-21 김영수 염전타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274B1 (ko) * 2008-12-12 2009-09-03 이창규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사우나실
KR101298666B1 (ko) * 2012-01-26 2013-08-21 김영수 염전타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2329Y1 (ko)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바닥재
KR200433777Y1 (ko) 목재 데크
KR101091795B1 (ko) 황토 벽돌 및 이를 이용한 황토 벽체
KR20090115985A (ko) 편백나무를 마감재로 한 온열침대
KR100915274B1 (ko)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사우나실
KR20110002748U (ko)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마감재블록
JP2007203494A (ja) 木製パネル体
JP3241589U (ja) ヒバ材を貼り付けた浴室及び浴室に貼り付けるヒバ材
JP3048718U (ja) 床板材等のための木質建築資材
KR20120068789A (ko) 인체에 이로운 향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주어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주는 푹신푹신한 석재 또는 목재 쿠션 침대를 제조하는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 주면서 욕창의 발생을 방지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푹신푹신한 석재 또는 목재 쿠션 침대
KR100968948B1 (ko) 주택바닥면에 구비된 한방훈증설비구조
KR102381666B1 (ko) 건식 사우나가 가능한 찜질용 황토침대
KR200280779Y1 (ko) 바닥재용 나무편
CN213391034U (zh) 一种环保抗菌踢脚线
KR20100033844A (ko) 조립식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02046U (ko) 1.5평(4.95m2) 실내 미니 황토 찜질 방
KR200433778Y1 (ko) 조립식 바닥재
KR100973937B1 (ko) 원목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JP3130145U (ja) スリットパネル
RU210054U1 (ru) Напольное покрытие
JP2022185626A (ja) ヒバ材を貼り付けた浴室及び浴室に貼り付けるヒバ材
KR200185308Y1 (ko) 지압기능을 갖는 깔판
KR200250927Y1 (ko) 방염처리가 된 모자이크식 나무벽지
JP3097849U (ja) 家具
JP2008038579A (ja) 調湿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