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546B1 - 세라믹 볼을 통해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건식 온열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세라믹 볼을 통해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건식 온열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546B1
KR101936546B1 KR1020180080240A KR20180080240A KR101936546B1 KR 101936546 B1 KR101936546 B1 KR 101936546B1 KR 1020180080240 A KR1020180080240 A KR 1020180080240A KR 20180080240 A KR20180080240 A KR 20180080240A KR 101936546 B1 KR101936546 B1 KR 101936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olution
mixture
dough
ceramic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호영
Original Assignee
허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호영 filed Critical 허호영
Priority to KR1020180080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5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53Cabins, rooms, chairs or units for treatment with a hot or cold circulating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8Warming pads, pans or mats; Hot-water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063Heaters specifically design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5Warming the body, e.g. hyperthermia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1In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82Coating or impregnation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83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2033/061Artificial hot-air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61H2201/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with aroma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볼을 통해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건식 온열기의 제조 방법은, 편백나무 재질로서 복수의 측벽 및 바닥면을 형성하여 내부 공간이 형성된 프레임을 준비하는, 프레임 형성 단계; 상기 바닥면의 내부에 열선을 구비하는, 열선 구비 단계; 상기 바닥면 상에 황토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복수 개의 세라믹 볼을 위치하는, 세라믹 볼 위치 단계;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패널을 상기 세라믹 볼 상에 구비하는, 패널 구비 단계; 상기 프레임의 상면 일부를 덮는 덮개를 구비하는, 덮개 구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라믹 볼을 통해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건식 온열기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Dry Heater for Far Infrared Irradiation through Ceramic Balls}
본 발명은 세라믹 볼을 통해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건식 온열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열선이 구비된 건식 온열기의 바닥면에 세라믹 볼을 복수 개로 구비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원적외선을 조사하여 혈액순환 개선 및 신진대사 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세라믹 볼을 통해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건식 온열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 몸이 피로를 느끼는 이유는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거나 신진대사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신체 피로를 해소하고 보다 원활한 신진대사를 함과 동시에 신체의 치료를 목적으로, 온수를 이용해 하체의 피로를 푸는 반신욕기나 발의 피로를 푸는 족욕기, 전신의 피로를 푸는 목욕기와 같은 수많은 제품들이 출시되어 있는 상태이다.
나아가, 황토는 원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고, 이러한 원적외선이 우리 몸에 좋은 영향을 끼치는 것이 밝혀지면서, 목욕기, 반신욕기, 족욕기 등에 황토가 함유된 세라믹 볼을 넣어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원적외선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 온열 기능을 제공하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며 신체의 피로를 푸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86051호(고안의 명칭 : 반신욕 및 족욕기)에서는 누구나 준비 작업 없이 옷을 입은 채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열전달매개체를 물이 아닌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금속 및 세라믹성분의 물질로 원형의 구(볼)를 만들고 이 볼을 욕조에 가득 채워서 가열한 후 신체의 부위를 볼 속에 담그므로 신체를 가온 하고 볼에서 방출되는 다양한 원적외선을 모래톱에서 찜질 하듯이 신체부위에 쪼이므로 찜질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고안된 찜질을 겸한 반신욕 및 족욕기를 제시하고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11597호(고안의 명칭 : 원적외선 방출기능을 구비한 반신욕기기)에서는 외부와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며, 상부에 허리 또는 몸통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통공이 형성되는 노출부와, 측면에 설치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회동되는 출입문과, 각각의 벽면 또는 바닥면에 설치되며 밀폐된 공간으로 발열되도록 하는 면상발열체가 내장되며 상기 면상발열체의 발열에 의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황토 판넬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황토 판넬을 고정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부재로 구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함체로 되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상판이 구비되고, 내부 하단에 위치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램프의 조사에 의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황토볼을 수용하는 황토볼 수용부가 구비된 착석부;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고안은 경제적이며 발열이 우수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하고 별도의 열매체를 필요로 하지 않고 건식상태에서 하반신의 온욕을 할 수 있으며,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이 다량 방출되는 황토를 이용하여 신진대사 촉진, 노폐물 제거 등의 효능을 발휘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성의 냉대하 또는 항문질환 등의 치료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으며, 음이온발생기에 의한 소취 및 살균 작용에 의해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두 고안은 사용자의 몸무게 하중으로 인해 세라믹 볼이 깨지는 현상을 방지하지 못하며, 다량의 수분으로 인해 세라믹 볼이 분해되는 등 손상되는 현상 역시 방지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내구성 및 습기 안정성을 가지는 세라믹 볼을 제조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세라믹 볼을 보호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건식 온열기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열선이 구비된 상태에서 내부에 복수 개의 세라믹 볼을 위치하고 세라믹 볼 상에 통공이 형성된 패널을 구비한 건식 온열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몸무게로 인한 하중을 견디기 위해 세라믹 볼 사이에 완충재를 충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적외선 조사율을 향상시키는 보조제와 세라믹 볼의 응집도를 향상시키는 응집제를 첨가한 세라믹 볼을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세라믹 볼의 표면에 방수 기능 및 충격 흡수성을 제공하는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볼을 통해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건식 온열기의 제조 방법은, 편백나무 재질로서 복수의 측벽 및 바닥면을 형성하여 내부 공간이 형성된 프레임을 준비하는, 프레임 형성 단계; 상기 바닥면의 내부에 열선을 구비하는, 열선 구비 단계; 상기 바닥면 상에 황토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복수 개의 세라믹 볼을 위치하는, 세라믹 볼 위치 단계;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패널을 상기 세라믹 볼 상에 구비하는, 패널 구비 단계; 상기 프레임의 상면 일부를 덮는 덮개를 구비하는, 덮개 구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라믹 볼 위치 단계와 상기 패널 구비 단계 사이에는, 에틸렌 프로필렌 다이엔 수지(Ethylene propylene diene resin)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기 세라믹 볼보다 작은 크기의 구형 펠릿으로 성형된 복수 개의 완충재를 상기 세라믹 볼 사이에 충진하는, 충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완충재를 제조하는 단계는, 전체 제 1 용액 중량 대비, 에틸렌 프로필렌 다이엔 수지 10 내지 30 중량%와 크실렌 70 내지 90 중량%를 질소 분위기 하에서 50 내지 80℃ 동안 혼합시켜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제 1 용액 제조 단계; 전체 제 2 용액 중량 대비, 무수말레인산 10 내지 30 중량%와 과산화벤조일 1 내지 20 중량% 및 크실렌 60 내지 80 중량%를 혼합하여 제 2 용액을 제조하는, 제 2 용액 제조 단계; 상기 제 1 용액을 1℃/min로 승온시키면서 상기 제 1 용액에 상기 제 2 용액을 적가한 후 100 내지 130℃에서 4 내지 8시간 동안 반응시켜 제 3 용액을 제조하는, 제 3 용액 제조 단계; 상기 제 3 용액을 아세톤에 투여하여 생성된 결정물을 수득하는, 결정물 수득 단계; 상기 결정물을 메탄올(CH3OH)로 1 내지 5회 세척하는, 세척 단계; 상기 세척된 결정물을 70 내지 90℃에서 12 내지 30시간 동안 진공 건조시키는, 진공 건조 단계; 상기 진공 건조된 결정물을 세라믹 볼보다 작은 크기의 구형 펠릿으로 성형하여 완충재 완성하는, 완충재 완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세라믹 볼을 제조하는 단계는, 전체 반죽 중량 대비, 황토 분말 40 내지 70중량%와 물 30 내지 60중량%를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는, 반죽 제조 단계; 상기 반죽을 지름 1 내지 50mm의 구형 펠릿으로 성형하여 세라믹 볼을 제조하는, 성형 단계; 상기 성형된 세라믹 볼을 100 내지 120℃에서 24 내지 48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건조 단계; 상기 건조된 세라믹 볼을 600 내지 800℃에서 6 내지 12시간 동안 소성 처리하는, 소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볼을 통해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건식 온열기의 제조 방법은,
1) 건식 온열기 내부에 세라믹 볼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원적외선을 조사함에 따라 간편하고 편리하게 혈액순환 촉진 및 신진대사 활성화를 꾀할 수 있고,
2) 세라믹 볼 사이에 완충재를 충진함으로써, 사용자가 건식 온열기를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켜 세라믹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3) 세라믹 볼 제조 시 보조제 및 응집제를 첨가함으로써, 세라믹 볼로부터 조사되는 원적외선 양을 증가시키고 세라믹 볼의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건식 온열기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건식 온열기의 구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건식 온열기의 구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건식 온열기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완충재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세라믹 볼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응집제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식 온열기(10)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건식 온열기(10)의 구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건식 온열기(10)의 구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세라믹 볼(130)을 통해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건식 온열기(10)는 편백나무 재질로서 복수의 측벽 및 바닥면(110)을 형성하는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의 바닥 내부에 구비된 열선(120), 바닥면(110) 상에 위치한 복수 개의 세라믹 볼(130), 복수 개의 통공(141)이 형성된 것으로서 세라믹 볼(130) 상에 구비된 패널(140), 프레임(100)의 상면 일부를 덮는 덮개(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건식 온열기(10)는 건식 온열기(10) 내부에 몸을 넣은 후 원적외선을 조사하여 인체의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피로를 해소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건식 온열기(10)는 일인용으로 제작되거나 복수의 사람들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본 발명의 건식 온열기(1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레임(100)은 본 발명의 건식 온열기(10)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서 복수의 측벽 및 바닥면(110)으로 이루어진 형상을 지니는 것으로서, 편백나무 재질로 이루어져 편백나무에서 발생하는 피톤치드를 통해 삼림욕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건식 온열기(10)를 이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체취 및 불쾌한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열선(120)은 본 발명의 건식 온열기(10)에 온열 기능을 부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100)의 바닥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이때 프레임(100)의 바닥 내부에는 열선(120)을 고정하는 별도의 고정 부재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열선(120)은 가스나 온수가 열선(120)의 내부에 흐름으로써 열원을 제공하거나, 혹은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본 발명의 건식 온열기(10)에 온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열선(120)은 상기 프레임(100)의 바닥 단면적 전체에 매설될 수 있도록 ‘ㄹ’자와 유사한 형상을 나타내도록 구비됨으로써 열선(120)이 프레임(100)의 바닥의 내부 전체에 고르게 열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종래의 열선(120) 매설 방법을 참고하면 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세라믹 볼(130)은 금속 산화물의 일종으로 유리, 시멘트, 도자기, 황토와 같은 세라믹을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건식 온열기(10)에서의 세라믹 볼(130)은 황토를 유효 성분으로 한다. 이러한 세라믹 볼(130)은 상기 열선(120)에 의해 열원이 가해지면서 세라믹 볼(130)에 포함된 황토로부터 원적외선이 발산되어 본 발명의 건식 온열기(10) 사용자의 신체에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인체의 혈액순환과 신진대사의 원활화 및 정신적 스트레스의 해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라믹 볼(130)은 황토를 유효 성분으로 한다고 하였는데, 황토 이외에도 원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세라믹 종류라면 세라믹 볼(130)의 유효 성분으로 쓸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세라믹에 비해 황토는 원적외선 방사율이 현저히 높고 방사 기간 역시 길어 황토를 이용하여 세라믹 볼(130)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널(140)은 세라믹 볼(130)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복수 개의 통공(141)이 형성된 판 형상이다. 이는 원적외선이 조사되는 세라믹 볼(130) 상에 사용자가 앉을 경우 사용감이 불편할 수 있기 때문에 세라믹 볼(130) 상에 패널(140)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세라믹 볼(130)은 원적외선을 조사하는데 패널(140)이 구비됨에 따라 원적외선이 인체까지 도달하지 못 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패널(140)에 복수의 통공(14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패널(140)은 상기 프레임(100)과 동일한 편백나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의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패널(140)이 편백나무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패널(140)의 표면에 별도의 방수제를 도포하여 본 발명의 건식 온열기(10)의 습기로 인해 패널(140)이 썩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덮개(200)는 프레임(100)의 양 측 중 어느 하나의 일 측에 형성된 힌지와 같은 회동 수단을 매개로 개폐 가능하게 상면 일부를 덮는 것으로서, 판 형상이거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기둥 형상 또는 돔 형상이 될 수 있으며,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이러한 덮개(200)는 바닥면(110)의 열선(120)으로부터 전해지는 열이 외부로 확산되어 온열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로 인해 온열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덮개(200)는 상술한 패널(140)과 마찬가지로 그 재질이 프레임(100)과 동일한 편백나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혹은 인체에 무해한 다른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편백나무 재질로 덮개(200)를 제조하면 습기로 인해 썩지 않도록 그 표면에 별도의 방수제를 도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세라믹 볼(130)을 이용한 건식 온열기(10)를 제조하는 기본적인 단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건식 온열기(10)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세라믹 볼(130)을 이용한 건식 온열기(10)를 제조하는 기본적인 단계는 프레임 형성 단계(S100), 열선 구비 단계(S200), 세라믹 볼 위치 단계(S300), 패널 구비 단계(S500), 덮개 구비 단계(S600)로 이루어진다.
먼저, 프레임 형성 단계(S100)는 편백나무 재질로서 복수의 측벽 및 바닥면(110)을 형성하여 내부 공간이 형성된 프레임(100)을 준비하는 과정으로서, 편백나무 재질의 패널(140)을 준비하고 수분에 의해 패널(140)의 표면이 썩는 것을 방지하도록 패널(140)의 표면에 별도의 코팅면을 형성하는 등의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패널(140)을 통해 온수에 의한 목욕 시 피톤치드 발생을 보다 촉진시킬 수 있어 피톤치드를 통한 삼림욕 효과와 더불어 탈취 효과 및 살균 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이후, 열선 구비 단계(S200)는 프레임(100)의 바닥 내부에 열선(120)을 구비하는 과정으로서, 이때 열선(120)은 프레임(100)의 바닥 내부 단면적 전체에 매설될 수 있도록 ‘ㄹ’자와 유사한 형상을 나타내도록 매설되어 열선(120)이 프레임(100)의 바닥 내부 전체에 고르게 열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열선(120)은 별도의 전원부와 연결되는 것이 기본이며, 열선(120)의 매설에 있어서는 종래의 열선(120) 매설 방법을 참고하면 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세라믹 볼 위치 단계(S300)는 바닥면(110) 상에 황토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세라믹 볼(130)을 위치하는 과정으로서, 세라믹 볼(130)을 본 발명의 건식 온열기(10)에 구비함으로써, 세라믹 볼(130)에 의한 원적외선이 사용자의 인체에 조사되어 혈액순환을 개선하며 근육통을 완화하는 등 의학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후, 패널 구비 단계(S500)는 복수 개의 통공(141)이 형성된 패널(140)을 상기 세라믹 볼(130) 상에 구비하는 과정으로서, 복수 개의 통공(141)이 형성된 판 형상의 패널(140)을 세라믹 볼(130) 상에 올려놓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본 발명의 건식 온열기(10)를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원적외선이 사용자의 인체에 충분히 조사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덮개 구비 단계(S600)는 상기 프레임(100)의 상면 일부를 덮는 덮개(200)를 구비하는 과정으로서, 본 발명의 건식 온열기(10) 사용자의 상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하체는 건식 온열기(10) 내부에서 온열 효과를 누리도록 덮개(200)가 프레임(100)의 상면 일부를 덮도록 한다. 이러한 덮개(200)를 통해 열선(120)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이 외부로 복사되어 열손실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건식 온열기(10) 사용자는 온열 효과를 장시간 누릴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목욕기는 세라믹 볼(130) 상에 패널(140)을 구비한다고 하였는데, 이때 사용자의 몸무게로 인해 세라믹 볼(130)이 부서지는 손상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패널(140) 위에 앉았을 때 편안하고 푹신한 느낌을 제공하기 위하여 세라믹 볼(130) 사이에 완충재(131)를 충진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을 도 5와 함께 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완충재(131)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세라믹 볼 위치 단계(S300)와 패널 구비 단계(S500) 사이에는 에틸렌 프로필렌 다이엔 수지(Ethylene propylene diene resin)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으로서 세라믹 볼(130)보다 작은 크기의 구형 펠릿으로 성형된 복수 개의 완충재(131)를 세라믹 볼(130) 사이에 충진하는 충진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건식 온열기(10) 사용자가 패널(140) 위에 앉았을 때 하중을 분산시켜 사용자의 몸무게로 인해 세라믹 볼(13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패널(140) 위에 앉을 시 푹신한 사용감을 느끼도록 하여 편안하게 목욕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완충재(131)를 제조하는 단계는 제 1 용액 제조 단계(S410), 제 2 용액 제조 단계(S420), 제 3 용액 제조 단계(S430), 결정물 수득 단계(S440), 세척 단계(S450), 진공 건조 단계(S460), 완충재 완성 단계(S47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 1 용액 제조 단계(S410)는 전체 제 1 용액 중량 대비, 에틸렌 프로필렌 다이엔 수지 10 내지 30 중량%와 크실렌 70 내지 90 중량%를 질소 분위기 하에서 50 내지 80℃ 동안 혼합시켜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크실렌은 에틸렌 프로필렌 다이엔 수지를 녹이는 용매로서의 역할을 하며, 에틸렌 프로필렌 다이엔 수지는 에틸렌과 프로필렌 및 가황을 위한 제 3성분인 디엔(diene)이 불규칙적으로 결합된 무정형의 고무로서, 이는 삼원 공중합체이므로 각 성분의 함량에 따라 물성이 달라지는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특성을 지닌 에틸렌 프로필렌 다이엔 수지는 내오존성, 내열성, 내후성 등의 우수한 우수하며, 그 배합에 따라 150 내지 175℃ 범위에서까지도 가공이 가능하고 유리전이온도가 -60℃ 정도에 이르므로 저온에서의 탄성도 우수하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온수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건식 온열기(10)에서 사용되어도 완충재(131)의 변형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분자구조가 탄소-수소, 탄소-탄소 결합으로만 이루어져 있어서 극성기가 없으므로 절연성이 뛰어나며, 산, 알칼리, 물 등과 같은 극성 용매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지닌 에틸렌 프로필렌 다이엔 수지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완충재(131)는 뛰어난 가공성 및 탄성력을 지닐 수 있어 사용자의 하중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세라믹 볼(130)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제 2 용액 제조 단계(S420)는 전체 제 2 용액 중량 대비, 무수말레인산 10 내지 30 중량%와 과산화벤조일 1 내지 20 중량% 및 크실렌 60 내지 80 중량%를 혼합하여 제 2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무수말레인산은 저분자 단량체로서, 에틸렌 프로필렌 다이엔 수지의 그라프팅 반응을 위해 첨가되는 물질이다. 이러한 무수말레인산은 열가소성 수지인 에틸렌 프로필렌 다이엔 수지의 물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과산화벤조일은 무수말레인산의 중합 반응을 발생하기 위한 중합 개시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크실렌은 상기 제 1 용액 제조 단계(S410)에서와 마찬가지로 무수말레인산과 과산화벤조일을 녹이는 용매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제 3 용액 제조 단계(S430)는 제 1 용액을 1℃/min로 승온시키면서 제 1 용액에 제 2 용액을 적가한 후 100 내지 130℃에서 4 내지 8시간 동안 반응시켜 제 3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이 단계는 에틸렌 프로필렌 다이엔 수지와 무수말레인산을 중합하는 반응으로서, 이를 통해 제조된 제 3 용액은 말레인산을 포함하는 에틸렌 프로필렌 다이엔 수지를 유효 성분으로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용액의 온도를 천천히 올리면서 제 2 용액을 적가하는 이유는 제 2 용액에 포함된 과산화벤조일이 가열되면 폭발하는 특성을 지니기 때문이다.
이후, 결정물 수득 단계(S440)는 제 3 용액을 아세톤에 투여하여 생성된 결정물을 수득하는 과정이다.
이때 상기 제 3 용액은 앞서 설명했듯이 말레인산을 포함하는 에틸렌 프로필렌 다이엔 수지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데, 이는 용매인 아세톤과 만나면 결정화 반응이 일어나게 되어 말레인산이 포함된 에틸렌 프로필렌 다이엔 수지 결정인 결정물을 수득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 3 용액을 아세톤에 투여 시 전체 혼합물 중량 대비, 제 3 용액 1 내지 40중량%와 아세톤 60 내지 99중량%의 비율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 3 용액의 비율이 1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양의 결정물을 수득할 수 없으며, 40중량%를 초과하면 아세톤의 용매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이때 혼합물이라 함은 둘 이상의 물질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총칭하며,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이하 동일한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세척 단계(S450)는 결정물을 메탄올(CH3OH)로 1 내지 5회 세척하는 과정으로서, 이는 결정물에 잔여하는 아세톤 및 결정화가 되지 않은 말레인산이 포함된 에틸렌 프로필렌 다이엔 수지를 제거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순도가 높은 결정물을 얻을 수 있다.
이후, 진공 건조 단계(S460)는 세척된 결정물을 70 내지 90℃에서 12 내지 30시간 동안 진공 건조시키는 과정으로서, 이는 상기 세척 단계(S450)에서 결정물을 세척하는데 사용된 메탄올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마지막으로, 완충재 완성 단계(S470)는 진공 건조된 결정물을 세라믹 볼(130)보다 작은 크기의 구형 펠릿으로 성형하여 완충재(131) 완성하는 과정으로서, 이때 완충재(131)는 세라믹 볼(130) 사이에 충진되므로 세라믹 볼(130)보다 작은 크기(바람직하게는 지름 0.01 내지 1mm)의 구형 펠릿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조된 완충재(131)는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세라믹 볼(130)이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사용자가 본 발명의 건식 온열기(10)를 사용할 때 편안한 사용감을 느끼도록 한다.
본 발명의 건식 온열기(10)의 내부에는 세라믹 볼(130)이 구비된다고 하였는데, 이러한 세라믹 볼(130)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 6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세라믹 볼(130)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세라믹 볼(130)을 제조하는 단계는 반죽 제조 단계(S310), 성형 단계(S320), 건조 단계(S330), 소성 단계(S340)를 포함한다.
먼저, 반죽 제조 단계(S310)는 전체 반죽 중량 대비, 황토 분말 40 내지 70중량%와 물 30 내지 60중량%를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이는 세라믹 볼(130)의 성형성을 높이기 위해 황토의 입자를 미세화하는 분쇄 과정을 통해 황토 분말을 준비한 후 황토 분말과 물을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여 세라믹 볼(130)이 구형 펠릿의 형상으로 원활히 성형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때 황토를 분쇄하는 방법은 분쇄기를 이용하는 것과 같이 주지 관용된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성형 단계(S320)는 반죽을 지름 1 내지 50mm의 구형 펠릿으로 성형하여 세라믹 볼(130)을 제조하는 과정으로서, 이때 반죽을 성형하여 세라믹 볼(130)을 제조하기 위해 별도의 성형기가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건조 단계(S330)는 성형된 세라믹 볼(130)을 100 내지 120℃에서 24 내지 48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과정으로서, 이때 건조 온도는 10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후술할 소성 단계(S340)에 비해 저온에서, 그리고 짧은 시간 동안 진행되어 세라믹 볼(130)의 건조 및 고형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소성 단계(S340)는 건조된 세라믹 볼(130)을 600 내지 800℃에서 6 내지 12시간 동안 소성 처리하는 과정으로서, 이를 통해 높은 압축 강도를 가지는 세라믹 볼(130)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소성 처리로 인해 다공성 표면을 지니게 되어 사용자가 본 발명의 건식 온열기(10)를 사용하는 동안 발생하는 냄새를 흡착하고 탈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세라믹 볼(130)은 원적외선을 조사한다고 하였는데, 이러한 원적외선 조사를 극대화시키는 보조제를 상기 반죽에 첨가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반죽 제조 단계(S310)는 전체 추가 반죽 중량 대비, 알루미나(Al2O3) 및 탄소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보조제 10 내지 40중량%와 황토 분말 50 내지 70중량% 및 물 10 내지 20중량%를 혼합하여 추가 반죽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제는 알루미나 및 탄소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으로서, 이들은 원적외선 조사를 극대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상기 성형 단계(S320)에서는 추가 반죽으로부터 구형 펠릿의 세라믹 볼(130)을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성형 단계(S320)는 상기 추가 반죽을 지름 1 내지 50mm의 구형 펠릿으로 성형하여 세라믹 볼(130)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보조제의 함량은 세라믹 볼(130)의 성형 가공을 위해 보조제가 슬러리 형상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10 내지 4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건식 온열기(10)에 사용되는 세라믹 볼(130)은 황토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반죽으로부터 제조되는데, 이러한 반죽에 응집도를 높여주는 응집제를 더 첨가하여 세라믹 볼(130)의 강도를 더욱 높여줄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도 8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응집제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반죽 제조 단계(S310)에서는 전체 혼합 반죽 중량 대비, 염화알루미늄(AlCl3)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응집제 10 내지 40중량%와 황토 분말 50 내지 70중량% 및 물 10 내지 20중량%를 혼합하여 혼합 반죽을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성형 단계(S320)에서는 혼합 반죽을 구형 펠릿으로 성형하여 세라믹 볼(130)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염화알루미늄은 응집도를 향상시키는 물질로서, 용액 내의 용질을 서로 응집시켜 침전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염화알루미늄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응집제가 혼합 반죽 내에서 10중량% 미만 포함되면 세라믹 볼(130)이 충분히 응집되지 않을 수 있으며, 40중량%를 초과하면 과도한 응집으로 인해 혼합 반죽의 성형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10 내지 40중량%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응집제를 제조하는 단계는 제 1 혼합물 제조 단계(S800), 제 2 혼합물 제조 단계(S810), 숙성 단계(S820), 제 3 혼합물 제조 단계(S830), pH 조절 단계(S840), 응집제 수득 단계(S8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 1 혼합물 제조 단계(S800)는 전체 제 1 혼합물 중량 대비, 알루미늄(Al) 30 내지 70중량%와 염산(HCl) 30 내지 70중량%를 3 내지 7시간 동안 50 내지 200rpm으로 교반한 후 여과하여 제 1 혼합물을 제조하는 과정으로서, 이를 통해 응집제의 유효 성분인 염화알루미늄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 1 혼합물은 알루미늄과 염산을 혼합한 후 여과하여 생성된 여과액을 의미한다.
이후, 제 2 혼합물 제조 단계(S810)는 제 1 혼합물에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을 1mL/min의 속도로 5 내지 30분 동안 주입시킨 후 30 내지 90℃에서 300 내지 600rpm으로 교반하여 제 2 혼합물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이때 탄산수소나트륨은 염기성의 물질로서, 염화알루미늄을 함유한 제 1 혼합물과 혼합되어 수산화알루미늄과 염화나트륨 그리고 이산화탄소를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기체인 이산화탄소는 공기 중으로 날아가므로 제 2 혼합물은 수산화알루미늄과 염화나트륨을 유효 성분으로 한다.
다음으로, 숙성 단계(S820)는 제 2 혼합물을 1 내지 6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과정으로서, 숙성 과정을 탄산수소나트륨과 상기 제 1 혼합물의 반응이 충분히 일어나도록 한다.
이후, 제 3 혼합물 제조 단계(S830)는 전체 제 3 혼합물 중량 대비, 숙성된 제 2 혼합물 10 내지 40중량%와 수산화나트륨(NaOH) 1 내지 20중량% 및 물 50 내지 80중량%를 혼합한 후 100 내지 250rpm으로 1 내지 10분 동안 교반하여 제 3 혼합물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수산화알루미늄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제 2 혼합물과 수산화나트륨이 반응하여 소듐알루미네이트(Na(Al(OH)4))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는 염화알루미늄과 더불어 응집 기능을 우수하게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3 혼합물은 소듐알루미네이트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물질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pH 조절 단계(S840)는 제 3 혼합물의 pH가 7이 되도록 염산(HCl)을 첨가하여 pH를 조절하는 과정으로서, 제 3 혼합물에 잔존하는 수산화나트륨을 제거하여 제 3 혼합물의 pH가 중성이 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응집제가 포함된 세라믹 볼(130)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응집제 수득 단계(S850)는 전체 응집제 중량 대비, pH가 조절된 제 3 혼합물 10 내지 40중량%, 뷰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 0.1 내지 10중량%, 커큐민 0.1 내지 10중량%, 물 50 내지 75중량%를 혼합하여 응집제를 수득하는 과정이다.
이때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은 산화방지제로 사용되는 물질로서, 응집제의 보존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커큐민은 알칼로이드의 일종으로서 응집제의 응집 기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항산화 작용까지 더해져 사용자의 항산화 및 항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응집제는 세라믹 볼(130)이 더 단단하게 뭉치도록 응집시키는 기능을 수행하여 세라믹 볼(130)의 구조적 안정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볼을 통해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건식 온열기의 제조 방법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건식 온열기 100 : 프레임
110 : 바닥면 120 : 열선
130 : 세라믹 볼 131 : 완충재
140 : 패널 141 : 통공
200 : 덮개
S100 : 프레임 형성 단계 S200 : 열선 구비 단계
S300 : 세라믹 볼 위치 단계 S310 : 반죽 제조 단계
S320 : 성형 단계 S330 : 건조 단계
S340 : 소성 단계 S350 : 코팅층 형성 단계
S351 : 1차 프리폴리머 제조 단계 S352 : 2차 프리폴리머 제조 단계
S353 : 코팅액 완성 단계 S400 : 충진 단계
S410 : 제 1 용액 제조 단계 S420 : 제 2 용액 제조 단계
S430 : 제 3 용액 제조 단계 S440 : 결정물 수득 단계
S450 : 세척 단계 S460 : 진공 건조 단계
S470 : 완충재 완성 단계 S500 : 패널 구비 단계
S600 : 덮개 구비 단계 S700 : 1차 물질 제조 단계
S710 : 2차 물질 제조 단계 S720 : 3차 물질 제조 단계
S730 : 보조제 완성 단계 S800 : 제 1 혼합물 제조 단계
S810 : 제 2 혼합물 제조 단계 S820 : 숙성 단계
S830 : 제 3 혼합물 제조 단계 S840 : pH 조절 단계
S850 : 응집제 수득 단계

Claims (10)

  1. 세라믹 볼을 통해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건식 온열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편백나무 재질로서 복수의 측벽 및 바닥면을 형성하여 내부 공간이 형성된 프레임을 준비하는, 프레임 형성 단계;
    상기 프레임의 바닥 내부에 열선을 구비하는, 열선 구비 단계;
    상기 바닥면 상에 황토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복수 개의 세라믹 볼을 위치하는, 세라믹 볼 위치 단계;
    에틸렌 프로필렌 다이엔 수지(Ethylene propylene diene resin)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기 세라믹 볼보다 작은 크기의 구형 펠릿으로 성형된 복수 개의 완충재를 상기 세라믹 볼 사이에 충진하는, 충진 단계;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패널을 상기 세라믹 볼 상에 구비하는, 패널 구비 단계;
    상기 프레임의 상면 일부를 덮는 덮개를 구비하는, 덮개 구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온열기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를 제조하는 단계는,
    전체 제 1 용액 중량 대비, 에틸렌 프로필렌 다이엔 수지 10 내지 30 중량%와 크실렌 70 내지 90 중량%를 질소 분위기 하에서 50 내지 80℃ 동안 혼합시켜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제 1 용액 제조 단계;
    전체 제 2 용액 중량 대비, 무수말레인산 10 내지 30 중량%와 과산화벤조일 1 내지 20 중량% 및 크실렌 60 내지 80 중량%를 혼합하여 제 2 용액을 제조하는, 제 2 용액 제조 단계;
    상기 제 1 용액을 1℃/min로 승온시키면서 상기 제 1 용액에 상기 제 2 용액을 적가한 후 100 내지 130℃에서 4 내지 8시간 동안 반응시켜 제 3 용액을 제조하는, 제 3 용액 제조 단계;
    상기 제 3 용액을 아세톤에 투여하여 생성된 결정물을 수득하는, 결정물 수득 단계;
    상기 결정물을 메탄올(CH3OH)로 1 내지 5회 세척하는, 세척 단계;
    상기 세척된 결정물을 70 내지 90℃에서 12 내지 30시간 동안 진공 건조시키는, 진공 건조 단계;
    상기 진공 건조된 결정물을 세라믹 볼보다 작은 크기의 구형 펠릿으로 성형하여 완충재 완성하는, 완충재 완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온열기의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볼을 제조하는 단계는,
    전체 반죽 중량 대비, 황토 분말 40 내지 70중량%와 물 30 내지 60중량%를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는, 반죽 제조 단계;
    상기 반죽을 지름 1 내지 50mm의 구형 펠릿으로 성형하여 세라믹 볼을 제조하는, 성형 단계;
    상기 성형된 세라믹 볼을 100 내지 120℃에서 24 내지 48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건조 단계;
    상기 건조된 세라믹 볼을 600 내지 800℃에서 6 내지 12시간 동안 소성 처리하는, 소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온열기의 제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 제조 단계는,
    전체 추가 반죽 중량 대비, 알루미나(Al2O3) 및 탄소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보조제 10 내지 40중량%와 황토 분말 50 내지 70중량% 및 물 10 내지 20중량%를 혼합하여 추가 반죽을 제조하며,
    상기 성형 단계는,
    상기 추가 반죽을 지름 1 내지 50mm의 구형 펠릿으로 성형하여 세라믹 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온열기의 제조 방법.
  6. 삭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 제조 단계는,
    전체 혼합 반죽 중량 대비, 염화알루미늄(AlCl3)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응집제 10 내지 40중량%와 황토 분말 50 내지 70중량% 및 물 10 내지 20중량%를 혼합하여 혼합 반죽을 제조하며,
    상기 성형 단계는,
    상기 혼합 반죽을 지름 1 내지 50mm의 구형 펠릿으로 성형하여 세라믹 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온열기의 제조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제를 제조하는 단계는,
    전체 제 1 혼합물 중량 대비, 알루미늄(Al) 30 내지 70중량%와 염산(HCl) 30 내지 70중량%를 3 내지 7시간 동안 50 내지 200rpm으로 교반한 후 여과하여 제 1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1 혼합물 제조 단계;
    상기 제 1 혼합물에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을 1mL/min의 속도로 5 내지 30분 동안 주입시킨 후 30 내지 90℃에서 300 내지 600rpm으로 교반하여 제 2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2 혼합물 제조 단계;
    상기 제 2 혼합물을 1 내지 6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숙성 단계;
    전체 제 3 혼합물 중량 대비, 상기 숙성된 제 2 혼합물 10 내지 40중량%와 수산화나트륨(NaOH) 1 내지 20중량% 및 물 50 내지 80중량%를 혼합한 후 100 내지 250rpm으로 1 내지 10분 동안 교반하여 제 3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3 혼합물 제조 단계;
    상기 제 3 혼합물의 pH가 7이 되도록 염산(HCl)을 첨가하여 pH를 조절하는, pH 조절 단계;
    전체 응집제 중량 대비, 상기 pH가 조절된 제 3 혼합물 10 내지 40중량%, 뷰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 0.1 내지 10중량%, 커큐민 0.1 내지 10중량%, 물 50 내지 75중량%를 혼합하여 응집제를 수득하는, 응집제 수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온열기의 제조 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80240A 2018-07-10 2018-07-10 세라믹 볼을 통해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건식 온열기의 제조 방법 KR101936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240A KR101936546B1 (ko) 2018-07-10 2018-07-10 세라믹 볼을 통해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건식 온열기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240A KR101936546B1 (ko) 2018-07-10 2018-07-10 세라믹 볼을 통해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건식 온열기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546B1 true KR101936546B1 (ko) 2019-01-08

Family

ID=65021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240A KR101936546B1 (ko) 2018-07-10 2018-07-10 세라믹 볼을 통해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건식 온열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5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259B1 (ko) * 2019-04-18 2020-07-02 장영수 연마 황토볼 찜질캡슐
KR20200102286A (ko) * 2019-02-21 2020-08-31 허호영 의료용 웰빙 세라믹볼의 제조 방법
KR20200102618A (ko) * 2019-02-21 2020-09-01 허호영 웰빙 세라믹볼이 구비된 치료기의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747Y1 (ko) * 2005-07-08 2005-10-18 조윤휘 황토 찜질기
KR100915274B1 (ko) * 2008-12-12 2009-09-03 이창규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사우나실
KR101186911B1 (ko) * 2010-03-10 2012-10-02 백우현 기능성 황토볼의 제조방법 및 그 이용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747Y1 (ko) * 2005-07-08 2005-10-18 조윤휘 황토 찜질기
KR100915274B1 (ko) * 2008-12-12 2009-09-03 이창규 편백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사우나실
KR101186911B1 (ko) * 2010-03-10 2012-10-02 백우현 기능성 황토볼의 제조방법 및 그 이용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286A (ko) * 2019-02-21 2020-08-31 허호영 의료용 웰빙 세라믹볼의 제조 방법
KR20200102618A (ko) * 2019-02-21 2020-09-01 허호영 웰빙 세라믹볼이 구비된 치료기의 제조 방법
KR102256322B1 (ko) * 2019-02-21 2021-05-25 허호영 의료용 웰빙 세라믹볼의 제조 방법
KR102280279B1 (ko) 2019-02-21 2021-07-21 허호영 웰빙 세라믹볼이 구비된 온열기의 제조 방법
KR102129259B1 (ko) * 2019-04-18 2020-07-02 장영수 연마 황토볼 찜질캡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546B1 (ko) 세라믹 볼을 통해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건식 온열기의 제조 방법
KR101840428B1 (ko) 편백나무 재질로 제공되는 원적외선 방사분위기의 좌훈기
KR101949645B1 (ko) 세라믹 볼을 통해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목욕기의 제조 방법
KR101787326B1 (ko) 맥반석 황토 침대의 제조방법
KR200459079Y1 (ko) 건식 반신욕기
KR200461634Y1 (ko) 건식 족욕기
KR101567526B1 (ko) 온열매트
KR102211808B1 (ko) 휴대용 좌욕 찜질 온열기
KR20180022336A (ko) 온열 좌욕의자
KR101886996B1 (ko) 황토를 이용한 습식 족욕기의 제조 방법
KR20100113340A (ko) 황토판재로 제공되는 기능성 황토방
KR20220016374A (ko) 무기세라믹 배합원료를 이용하여 원적외선 방사효과를 높인 돔형 사우나 장치
KR101363470B1 (ko) 신체에 따뜻함을 제공해 주기 위한 온열용 성형품
KR200244813Y1 (ko) 뜸 치료기
KR20070109609A (ko) 쑥뜸기 및 이를 이용한 쑥뜸방법
KR200333476Y1 (ko) 쑥뜸기
KR100300770B1 (ko) 뜸치료기
KR20030000464A (ko) 살균 및 혈액순환 활성화를 위한 합성 소성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396501Y1 (ko) 돌기로 형성된 물리치료용 다기능 쿠션
JPH1133074A (ja) 遠赤外線による健康増進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318139B1 (ko) 전기로의 열을 이용하는 찜질통
KR100334337B1 (ko) 복원력을 갖는 연질의 황토 매트리스재의 제조방법
KR970005718Y1 (ko) 온돌 흙 보료
KR200356683Y1 (ko) 원적외선 온열 좌욕기
KR100554107B1 (ko) 뜸 치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