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476Y1 - 쑥뜸기 - Google Patents

쑥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476Y1
KR200333476Y1 KR20-2003-0027016U KR20030027016U KR200333476Y1 KR 200333476 Y1 KR200333476 Y1 KR 200333476Y1 KR 20030027016 U KR20030027016 U KR 20030027016U KR 200333476 Y1 KR200333476 Y1 KR 2003334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xibustion
moxa
wormwood
present
perine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0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송모
Original Assignee
정송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송모 filed Critical 정송모
Priority to KR20-2003-00270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4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4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4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체의 회음부(또는 회음혈)의 쑥뜸 치료에 적합한 그리고 원적외선에 의한 치료와 훈증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그리고 가정에서도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쑥뜸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쑥뜸기 몸체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상면을 갖는다. 그 상면에는 사용자의 환부가 위치되는 훈증용 오프닝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에는 몸체 내부로 쑥뜸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유입되는 다수의 통기공들이 형성되며, 몸체의 저면에는 상부에 쑥뜸이 놓여지는 받침부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Description

쑥뜸기{VESSEL FOR CAUTERIZING WITH MOXA}
본 고안은 쑥뜸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원적외선에 의한 치료와 훈증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으며, 가정에서도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쑥뜸기에 관한 것이다.
뜸이란 약쑥을 신체의 경혈에 놓고 태움으로써 생체의 변조를 바로잡는 한방 물리요법으로, 주로 경혈(經穴)인 구점(灸點)에 쑥을 연소시켜 체표로부터의 온열적 자극(쑥이 타면서 발생하는 뜨거운 열기와 쑥진액이 피부의 모공을 통하여 경략에 전달)을 생체에 미치게 하여 일정한 생체반응을 일으켜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기여하는 한방 특유의 시술방법이다.
이와 같은 쑥뜸을 위한 쑥뜸기는 통 내부에 쑥을 채워 넣고 불을 붙이면, 쑥이 타 들어가 뜨거운 열기와 쑥진액이 통 하단부를 통하여 시술부위에 전달되게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쑥뜸기로는 인체의 항문과 음부 사이의 회음부 또는 회음혈의 시술이 불가능하다. 다시 말해, 인체의 항문과 음부 사이의 회음부 또는 회음혈의 뜸은 경략의 집결지로서는 쑥뜸을 뜨기에는 최적의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회음부의 피부는 매우 연약하여 화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직접방식의 뜸(쑥을 인체의 부위에 직접 놓고 뜨는 방법)으로는 뜰 수는 없고 간접방식의 뜸(쑥을 인체 부위로부터 이격시키고 쑥의 연소시에 발생하는 열과 약기운을 간접적으로 받아들이는 방법)을 사용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기존 쑥뜸기로는 개방된 공간에서 쑥을 연소시켜 인체의 회음부에 간접방식의 쑥뜸을 뜨는 것은 약효성분을 가진 쑥의 연기가 외부로 소실되어 쑥뜸의 효과를 반감시킬 뿐만 아니라 화재의 위험성도 있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특히, 쑥뜸기는 남녀노소 누구나 용이하게 다룰 수 있어야 하므로 구조가 단순하여야 하는 점은 쑥뜸기에 극히 요구되는 사항이다.
특히 기존 쑥뜸기는, 통이 바닥면재 상에 놓임으로써 몸을 움직일 경우 쉽게 굴러 떨어져 침대나 침구 등이 더럽혀지고, 단순히 쑥의 연소에 따른 열기와 쑥진액만이 시술부위에 전달됨으로써 뜸의 효과를 극대화 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기존 쑥뜸기는 신체와 직접 접촉하여 시술하기 때문에 고온의 약쑥에 의해 화상을 입는 경우가 있고, 열기의 조절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으며, 뜸자리가 좁아서 넓은 면적에 대하여 뜸을 뜰 경우는 많은 장(壯)의 뜸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잘못하면 상기와 같은 화상이 우려되기도 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인체의 항문과 음부 사이의 회음부 또는 회음혈 등의 치료에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쑥뜸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쑥뜸 효과와 훈증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으며, 본체에서 나오는 원적외선으로 뜸 효과를 보다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쑥뜸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쑥뜸기의 사시도;
도 2는 쑥듬기의 평면도;
도 3은 쑥뜸기의 단면도;
도 4는 쑥뜸기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도기 몸체
114 : 훈증용 오프닝
116 : 삽입구
118 : 통기공
120 : 받침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쑥뜸기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상면을 갖는 그리고 내부공간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에 형성된 그리고 사용자의 환부가 위치되는 훈증용 오프닝; 상기 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으로 쑥뜸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유입되는 다수의 통기공들; 상기 몸체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구와; 상기 몸체의 삽입구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리고 상부에 쑥뜸이 놓여지는 받침부를 포함한다.
예컨대,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 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상기 도면들에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쑥뜸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쑥듬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쑥뜸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쑥뜸기(100)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상면(112)을 갖는 도기 몸체(110)를 갖는다. 이 도기 몸체(110)는 도자기를 만드는 다양한 소재들로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도기 몸체(110)는 약쑥을 태울 때 발생되는 열 에너지와 인체에 가장 유익한 8~12㎛ 파장의 원적외선에 의한 40~60?? 의 복사열이 환부의 피부 깊숙히 전달할 수 있도록 청자소지의 세라믹, 옥(jade), 게르마늄성분의 황토를 혼합하여 통상의 세라믹 제조공정으로 1260??~1300??에서 소성한 상하가 개방된 항아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도기 몸체(110)의 상면(112)은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는 안착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앉았을 때 사용자의 환부가 위치되는 중앙에는 훈증용 오프닝(1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기 몸체(110)는 내부 공간(115)을 갖는다. 이 내부 공간 바닥에는 약쑥(C)이 놓여진다. 이 약쑥(C)은 받침대(120)에 놓여지며, 이 받침대(120)는 상기 도기 몸체(110)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구(116)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도기 몸체(110)의 측면에는 상기 내부 공간으로 쑥뜸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유입되는 다수의 통기공(118)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쑥뜸기의 사용 과정을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도기 몸체(110)로부터 받침대(120)를 분리한 후, 받침대(120)의 상면에 형성된 접시(122)에 약쑥(C)을 올려놓고 불을 붙인다. 그리고 그 받침대(120)를 상기 도기 몸체의 삽입구(116)에 장착한다.
상기 도기 몸체(110)의 내부에 위치된 약쑥은 도기 몸체(110)에 형성된 통기공(118)으로 공기의 유입이 원활해져 약쑥의 완전 연소를 도와주어 시술 시간을 단축시킨다. 특히, 약쑥의 연소 공간이 도기 몸체(110)내부에 위치되어 있어, 약쑥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가 도기 몸체(110)의 내부 공간(115)에만 머물게 된다. 따라서 실내 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쑥뜸기(100)는 약쑥이 연소되면서 연소열이 도기 몸체(110)의 훈증용 오프닝(114)을 통해 환부에 집중적으로 전달됨으로써 좌욕등의 훈증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체의 항문과 음부 사이의 회음부 또는 회음혈의 훈증 치료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약쑥이 연소에 의해 세라믹 재질의 도기 몸체(110)가 가열되면, 세라믹제의 도기 몸체로부터 원적외선이 방출하게 되어 그 방출된 원적외선이 모두 환부(인체의 항문과 음부 사이의 회음부 또는 회음혈)를 조사하게 됨으로써 그 치료효과(쑥뜸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 상태에서, 쑥뜸을 계속 수행하게 되면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고 뜨겁지 않은 상태에서 쑥뜸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기 몸체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이 도기 몸체(110)의 훈증용 오프닝(114)을 통해 사용자의 시술부위에 조사하게 되므로 혈액순환의 촉진 등 쑥뜸효과가 극대화된다. 예컨대, 상기 받침대(120) 상에는 약쑥 대신에 훈증 치료에 적합한 한약재(일 예로, 지네가루)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쑥뜸기(100)는 약쑥이 도기 몸체(110)의 내부 공간(115) 바닥에 위치되어 연소됨으로써, 쑥뜸 시술 중 쑥진 또는 쑥재가 환부에 떨어지거나 과열로 인한 화상의 염려가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 만약, 상기 도기 몸체의 상면에는, 엉덩이의 화상 방지를 위하여 감촉이 뛰어난 실리콘 재질의 시트가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쑥뜸기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쑥뜸기에 의하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기가 허실되지 않고 환부에 집중적으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쑥뜸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가정에서 앉아 편리하고 자연스럽게 회음부 치료가 가능한 것이다. 또 다른 특징은, 쑥뜸 시술 중 쑥진 또는 쑥재가 환부에 떨어지거나 과열로 인한 화상의 염려, 화재의 염려가 전혀 없기 때문에 노약자 등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안전성이 높은 것이다. 또 다른 특징은, 그 구조를 최대한 단순화시켰기 때문에 제작 단가가 낮다는 이점이 있다. 또 다른 특징은 도기 몸체의 측면에 형성된 통기공들을 통해 산소 유입량이 많기 때문에 쑥의 완전 연소를 도와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쑥뜸기는 원적외선이 방출됨으로써 그 치료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쑥뜸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상면을 갖는 그리고 내부공간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에 형성된 그리고 사용자의 환부가 위치되는 훈증용 오프닝;
    상기 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으로 쑥뜸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유입되는 다수의 통기공들;
    상기 몸체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구와;
    상기 몸체의 삽입구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리고 상부에 쑥뜸이 놓여지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기.
KR20-2003-0027016U 2003-08-22 2003-08-22 쑥뜸기 KR2003334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016U KR200333476Y1 (ko) 2003-08-22 2003-08-22 쑥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016U KR200333476Y1 (ko) 2003-08-22 2003-08-22 쑥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476Y1 true KR200333476Y1 (ko) 2003-12-18

Family

ID=49340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016U KR200333476Y1 (ko) 2003-08-22 2003-08-22 쑥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47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782Y1 (ko) 2008-06-19 2010-08-10 강현숙 황토 훈욕기
KR101352310B1 (ko) 2011-11-21 2014-01-15 정진욱 쑥뜸용 요부훈증장치와 이의 제작방법
KR102147739B1 (ko) 2020-06-26 2020-08-25 김병태 적외선 훈증기능이 구비된 기능성 베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782Y1 (ko) 2008-06-19 2010-08-10 강현숙 황토 훈욕기
KR101352310B1 (ko) 2011-11-21 2014-01-15 정진욱 쑥뜸용 요부훈증장치와 이의 제작방법
KR102147739B1 (ko) 2020-06-26 2020-08-25 김병태 적외선 훈증기능이 구비된 기능성 베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0544B1 (ko) 단열 쑥뜸기
KR200333476Y1 (ko) 쑥뜸기
KR100266907B1 (ko) 훈증 좌욕기
KR20110008282U (ko) 황토 용기 온구기
KR100825293B1 (ko) 무연뜸기
KR200440662Y1 (ko) 뜸기
KR200455420Y1 (ko) 훈증기
KR100886386B1 (ko) 게르마늄을 이용한 쑥뜸장치
KR20080016208A (ko) 좌훈기
KR20110005936U (ko) 대용량 쑥뜸기
KR100393142B1 (ko) 황토 한증막
KR101434756B1 (ko) 쑥 찜질기
KR100300770B1 (ko) 뜸치료기
CN205659128U (zh) 多功能艾灸器
KR200214098Y1 (ko) 황토 한증막
KR200315880Y1 (ko) 좌욕 훈증기
KR200230482Y1 (ko) 뜸 치료기
KR100494716B1 (ko) 쑥찜기
KR100312024B1 (ko) 옥찜질방
KR200165434Y1 (ko) 쑥뜸기
KR200458692Y1 (ko) 삼구 쑥뜸기 안착대
KR200163274Y1 (ko) 뜸치료기
JP3037927U (ja) よもぎ灸器
KR200275490Y1 (ko) 쑥뜸기
KR200394284Y1 (ko) 황토쑥탄 온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