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936U - 대용량 쑥뜸기 - Google Patents

대용량 쑥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936U
KR20110005936U KR2020090015954U KR20090015954U KR20110005936U KR 20110005936 U KR20110005936 U KR 20110005936U KR 2020090015954 U KR2020090015954 U KR 2020090015954U KR 20090015954 U KR20090015954 U KR 20090015954U KR 20110005936 U KR20110005936 U KR 201100059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xibustion
moxa
mugwort
main body
combus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9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원
Original Assignee
이윤배
한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배, 한정원 filed Critical 이윤배
Priority to KR20200900159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5936U/ko
Publication of KR201100059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93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0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caused by chemical reaction, e.g. moxabur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0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caused by chemical reaction, e.g. moxaburners
    • A61B2018/06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caused by chemical reaction, e.g. moxaburners one of the reactants being oxygen
    • A61B2018/064Moxaburners

Abstract

본 고안은 쑥이 탈 때 발생하는 열기 및 연기의 손실없이 이들을 환부에 직접 전달할 수 있는 대용량 쑥뜸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대용량 쑥뜸기는 내부에 연소실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연소실에 안착된 쑥봉을 연소하여 쑥뜸 시술이 수행되는 쑥뜸기 본체; 상기 쑥뜸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여 연기와 열기의 외부 손실을 방지하며, 중앙부에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연결관이 형성되어 있는 쑥뜸기 뚜껑; 상기 쑥뜸기 본체의 측벽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쑥뜸기 본체의 연소실 중앙부를 향해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주입구; 상기 쑥뜸기 본체의 내부 연소실에서 쑥봉을 올려놓고 쑥뜸을 수행하기 위한 원형의 쑥봉 용기; 상기 쑥봉 용기의 하부에 위치하여 연소된 쑥봉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메쉬 부재; 상기 쑥뜸기 본체의 하단 가장자리와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쑥뜸기를 환부에 고정하기 용이하도록 외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플랜지가 구비된 플랜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쑥뜸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환부를 동시에 시술할 수 있어 시간과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으며, 더불어 환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쑥뜸을 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열을 임으로 조절할 수 있어 쑥뜸질의 효율성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쑥뜸기, 쑥봉, 쑥뜸 시술, 환부

Description

대용량 쑥뜸기{LARGE-SCALED MOXA CAUTERY APPARATUS}
본 고안은 쑥뜸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쑥이 탈 때 발생하는 열기 및 연기의 손실없이 이들을 환부에 직접 전달할 수 있는 대용량 쑥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쑥뜸은, 쑥을 이용하여 뜸을 뜨는 것을 지칭하며, 주로 경혈을 많이 이용하는 구점에 쑥봉을 올려놓고 연소시킴으로써 환부로부터 온열적 자극을 통해 일정한 생체 반응을 일으켜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기여하는 한방 특유의 시술 방법이다.
이러한 쑥뜸은, 쑥뜸의 연기 및 열기에 의한 강한 통각 자극으로 뇌의 신경세포들을 활성화시켜 호르몬 분비에 변화를 주어 인체의 자연 생명력을 발동시키게 되며, 쑥의 온열 효과로 몸에 따뜻한 기운을 불어넣어 주고, 화상시 분비되는 특정 단백질에 의해 호르몬 분비가 조정되며, 쑥 자체의 혈액정화기능이 있어 혈액을 맑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쑥뜸을 보다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근래에는 다양한 쑥뜸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쑥뜸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중앙에 쑥뜸(1000) 안착용 받침망(1100)이 장착된 몸체(1200), 상기 몸체(1200)의 상면에 결합되어 쑥뜸(10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망(1310)을 갖는 뚜껑(1300), 상기 몸체(1200)의 하면에 결합되어 몸체(1200)의 하면을 지지하게 되는 받침판(미도시)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쑥뜸기는 쑥뜸(1000)시 발생하는 연기 및 열기의 손실이 크며 환부에 전달되는 열기 조절이 불가능하며, 이로 인해 쑥뜸질을 하다가 환부가 너무 뜨겁게 되면 쑥뜸기를 내려놓아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쑥뜸질을 할 경우 쑥뜸으로부터 발생하는 연기에는 거의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생체 활동에 유익한 다양한 성분이 발생하게 되는 데, 이러한 연기의 이용없이 배출되어 효율성이 낮으며, 또한 배출된 연기를 환자나 시술자가 흡입하게 되어 호흡 곤란이나 현기증 등을 일으킬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쑥뜸기가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이들 대부분의 쑥뜸기는 열기만을 이용하고 연기는 배출할 뿐 열과 연기 둘 모두를 이용하는 쑥뜸기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또한, 통상적인 쑥뜸기는 다수의 환부를 시술해야 하는 사용자의 경우 수회에 거쳐 시술을 해야 하므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비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이를 위해 다수개의 쑥뜸기를 보유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쑥뜸을 시술할 경우 이때 발생되는 연기를 그대로 외부로 배출하기 때문에 효율성의 문제뿐만 아니라 타인들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쑥뜸 시술에서 쑥이 탈 때 발생하는 열기 및 연기의 손실없이 이들을 환부에 직접 전달할 수 있는 대용량 쑥뜸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단 1회의 쑥뜸 시술로 이때 발생하는 연기 및 열기를 이용하여 특정 경혈뿐만 아니라 상기 경혈을 포함하는 넓은 환부에 일괄적으로 쑥뜸을 시술할 수 있어 효율성을 향상시켜 주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환자에 맞는 쑥뜸의 온도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효율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켜 주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대용량 쑥뜸기는 내부에 연소실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연소실에 안착된 쑥봉을 연소하여 쑥뜸 시술이 수행되는 쑥뜸기 본체; 상기 쑥뜸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여 연기와 열기의 외부 손실을 방지하며, 중앙부에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연결관이 형성되어 있는 쑥뜸기 뚜껑; 상기 쑥뜸기 본체의 측벽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쑥뜸기 본체의 연소실 중앙부를 향해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주입구; 상기 쑥뜸기 본체의 내부 연소실에서 쑥봉을 올려놓고 쑥뜸을 수행하기 위한 원형의 쑥봉 용기; 상기 쑥봉 용기의 하부에 위치하여 연소된 쑥봉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메쉬 부재; 상 기 쑥뜸기 본체의 하단 가장자리와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쑥뜸기를 환부에 고정하기 용이하도록 외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플랜지가 구비된 플랜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쑥뜸기 본체의 내부 측벽 상단에는 공기 주입기(300)를 통해 내부로 공기를 불어넣기 위한 구멍이 다수 형성될 수 있으며, 6 내지 10개 정도의 구멍이 적합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쑥봉은 원형, 다각형, 원뿔형, 또는 무정형 형태와 같은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무형의 모든 형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대용량 쑥뜸기는 상기 쑥봉 용기(400)의 중앙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연소실 내부 바닥면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쑥뜸기 뚜껑(200)의 연결관(210)과 연결되는 중앙부 배기관(60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본 고안에 따른 대용량 쑥뜸기는 상기 공기 주입기(300)의 맞은편에 형성되어 온도 조절을 위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환풍구(31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쑥뜸 시술시에 쑥뜸기 본체를 뚜껑으로 덮어 쑥이 탈 때 발생하는 연기와 열기의 손실을 방지하고 상기 연기 및 열을 환부에 직접 전달할 수 있으므로 쑥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연기를 쑥뜸 시술지에 직접 배출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쑥뜸 시술시 발생하는 연기 및 역겨운 짙은 냄새로 인해 환자나 쑥뜸 시술자가 호흡 곤란, 현기증, 불쾌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쑥뜸을 뜨는 데 있어 전문 시술가가 아닌 일반인이라도 용이하게 쑥뜸 시술을 할 수 있으며, 단 1회의 쑥뜸 시술로 연기 및 열기를 이용하여 특정 경혈뿐만 아니라 상기 경혈을 포함하는 넓은 환부에 일괄적으로 쑥뜸을 시술할 수 있어 효율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고안은 쑥뜸 시술을 하는 동안에도 환자 스스로가 쑥듬 온도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효율성 및 안정성이 향상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쑥뜸기(1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쑥뜸기(1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쑥뜸기(1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쑥뜸기(10)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쑥뜸기(10)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쑥뜸 시술에서 쑥이 탈 때 발생하는 연기와 열기의 손실없이 환부에 직접 전달할 수 있는 본 고안에 따른 대용량 쑥뜸기(10)는 내부에 연소실(11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연소실에 안착된 쑥봉을 연 소하여 쑥뜸 시술이 수행되는 쑥뜸기 본체 (100); 상기 쑥뜸기 본체(1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연기와 열기의 외부 손실을 방지하며, 중앙부에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연결관(210)이 형성되어 있는 쑥뜸기 뚜껑(200); 상기 쑥뜸기 본체(100)의 측벽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쑥뜸기 본체(100)의 연소실(110) 중앙부를 향해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주입구(300); 상기 쑥뜸기 본체(100)의 내부 연소실(110)에서 쑥봉(410)을 올려놓고 쑥뜸을 수행하기 위한 원형의 쑥봉 용기(400); 상기 쑥봉 용기(4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연소된 쑥봉(410)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메쉬 부재(500); 상기 쑥뜸기 본체의 하단 가장자리와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쑥뜸기를 환부에 고정하기 용이하도록 외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플랜지(720)가 구비된 플랜지부(700)가 구비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대용량 쑥뜸기(10)는 상기 쑥봉 용기(400)의 중앙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연소실 내부 바닥면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쑥뜸기 뚜껑(200)의 연결관(210)과 연결되는 중앙부 배기관(60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공기 주입기(300)의 맞은편에는 연소실 내 온도가 증가하여 환자 또는 쑥뜸 시술자의 피부에 악영향(예를 들어, 열상)을 미치는 경우 온도 조절을 위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환풍구(31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따르면, 상기 쑥뜸기 본체 (100)의 상단부 측벽에는 다수의 구명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에 장착된 에어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기 주입구(300)가 구비된다. 이때 에어 모터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소형 에어 모터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쑥뜸기 본체(100)는 신주 부재(800)로 구성되며, 상기 신주 부재(800)는 구리 등과 같은 신주(810, 830)로 이루어진 내벽 및 외벽, 및 방열용 종이로 구성된 지반(820)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쑥뜸기 본체 (100)의 내부의 중앙 높이에는 돌출된 받침대(900)가 구비되어 쑥봉 용기(400)가 안착되며, 상기 쑥봉 용기(400)의 하부에는 메쉬 부재(500)가 위치하여 쑥봉의 잔해물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메쉬 부재(500)는 60 내지 80 메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쑥봉 용기(400)의 중앙부에는 중앙부 배기관(60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기관(600)은 쑥뜸기 본체(100)를 덮고 있는 쑥뜸기 뚜껑(200)의 중앙부에 있는 연결관(210)과 밀봉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를 통해 공기와 더불어 연기가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 주입기(300)를 통해 들어온 공기는 쑥봉(410)이 연소되는데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며, 쑥봉(410)의 연소시에 발생하는 열기 및 연기는 하부로 이동하게 되어 환부에 쑥뜸 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쑥뜸 작용 이후에는 바닥면과 일정한 간격의 높이에 위치한 배기관을 통해 열기 및 연기의 일부가 외부로 연속해서 배출하게 된다.
통상적인 쑥뜸 시술시에는 특정 형태의 쑥봉을 환부, 즉 경혈에 직접 시술해야하므로 쑥봉의 손실이 많고, 시술시 발생하는 연기 및 열기의 손실도 또한 상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쑥뜸 시술시 사용되는 쑥봉(410)은 하나 이상 또는 그 이상 사용될 수 있고, 쑥뜸기 본체(100) 내부의 밀폐된 공간인 연소실(110)에서 쑥뜸을 시술하므로 연기 및 열기의 손실이 낮아 통상적 인 쑥뜸 시술시 사용되는 쑥봉의 50% 내지 60% 만을 사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쑥뜸 시술시에 공기의 공급으로 인해 연소실(110)의 내부의 온도가 올라갈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 아토피와 같은 특정 민감한 피부를 가진 환자의 경우에 열상과 같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온도 조절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주입구(300)의 맞은 편에 환풍구(310)를 형성하여 쑥뜸 시술자가 직접 개폐함으로써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경우 연소실(110)의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상기 환풍구(310)의 개폐는 수동으로도 가능하며, 온도 센서가 구비된 임의의 계폐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환풍구(310)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쑥뜸기 본체(100)의 하부에는 플랜지부(700)가 밀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플랜지부(700)는 오목 홈을 갖는 플랜지 연결부(710)와 천연 및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플랜지(720)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에 밀착 고정될 뿐만 아니라, 외부로 열기 및 연기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원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원고안의 실시예로부터 본원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도 1은 종래 기술분야의 쑥뜸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쑥뜸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쑥뜸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쑥뜸기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분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쑥뜸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쑥뜸기를 실제 적용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쑥뜸기
100 : 쑥뜸기 본체 110 : 연소실
200 : 쑥뜸기 뚜껑 210 : 연결관
300 : 공기 주입구 310 : 환풍구
400 : 쑥봉 용기 410 : 쑥봉
500 : 메쉬 부재 600 : 중앙부 배기관
700 : 플랜지부 710 : 플랜지 연결부
720 : 플랜지 800 : 신주 부재
810, 830 : 신주 820 : 지반
900 : 받침대

Claims (5)

  1. 쑥뜸 시술에서 쑥이 탈 때 발생하는 연기와 열기의 손실없이 환부에 직접 전달할 수 있는 대용량 쑥뜸기에 있어서,
    내부에 연소실(11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연소실에 안착된 쑥봉을 연소하여 쑥뜸 시술이 수행되는 쑥뜸기 본체 (100);
    상기 쑥뜸기 본체(1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연기와 열기의 외부 손실을 방지하며, 중앙부에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연결관(210)이 형성되어 있는 쑥뜸기 뚜껑(200);
    상기 쑥뜸기 본체(100)의 측벽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쑥뜸기 본체(100)의 연소실(110) 중앙부를 향해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주입구(300);
    상기 쑥뜸기 본체(100)의 내부 연소실(110)에서 쑥봉(410)을 올려놓고 쑥뜸을 수행하기 위한 원형의 쑥봉 용기(400);
    상기 쑥봉 용기(4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연소된 쑥봉(410)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메쉬 부재(500);
    상기 쑥뜸기 본체의 하단 가장자리와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쑥뜸기를 환부에 고정하기 용이하도록 외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플랜지(720)가 구비된 플랜지부(7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쑥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쑥뜸기 본체의 내부 측벽 상단에는 공기 주입기(300)를 통해 내부로 공기를 불어넣기 위한 구멍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쑥뜸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쑥봉은 원형, 다각형 또는 원뿔형, 무정형 등과 같은 다양한 모든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쑥뜸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쑥봉 용기(400)의 중앙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연소실 내부 바닥면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쑥뜸기 뚜껑(200)의 연결관(210)과 연결되는 중앙부 배기관(600)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대용량 쑥뜸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주입기(300)의 맞은 편에 형성되어 온도 조절을 위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환풍구(31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대용량 쑥뜸기.
KR2020090015954U 2009-12-08 2009-12-08 대용량 쑥뜸기 KR2011000593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954U KR20110005936U (ko) 2009-12-08 2009-12-08 대용량 쑥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954U KR20110005936U (ko) 2009-12-08 2009-12-08 대용량 쑥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936U true KR20110005936U (ko) 2011-06-15

Family

ID=49295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954U KR20110005936U (ko) 2009-12-08 2009-12-08 대용량 쑥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5936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701B1 (ko) * 2012-10-30 2014-01-16 문영보 쑥뜸기
CN108272629A (zh) * 2018-03-14 2018-07-13 赵焰 一种艾灸治疗机
CN110946752A (zh) * 2019-12-27 2020-04-03 湖南中医药大学 一种袜套式取穴调温隔药饼灸器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701B1 (ko) * 2012-10-30 2014-01-16 문영보 쑥뜸기
CN108272629A (zh) * 2018-03-14 2018-07-13 赵焰 一种艾灸治疗机
CN110946752A (zh) * 2019-12-27 2020-04-03 湖南中医药大学 一种袜套式取穴调温隔药饼灸器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0544B1 (ko) 단열 쑥뜸기
CN201182680Y (zh) 一种中药蒸汽护眼器
CN104083279B (zh) 一种磁疗艾灸罐
CN106691829A (zh) 一种多功能艾灸盒
KR101121695B1 (ko) 쑥뜸기
CN206482845U (zh) 一种艾相伴无烟聚能砭石艾灸器
KR20110005936U (ko) 대용량 쑥뜸기
KR100538927B1 (ko) 간접 쑥뜸기
CN213373661U (zh) 一种新型熏蒸治疗床
CN113081788A (zh) 中药熏蒸装置及熏蒸方法
WO2010037294A1 (zh) 医疗保健枕
KR20110008282U (ko) 황토 용기 온구기
CN208893132U (zh) 一种新型光子能量熏蒸舱
KR100266907B1 (ko) 훈증 좌욕기
KR200485241Y1 (ko) 이중덮개를 갖는 쑥뜸기구
CN206324996U (zh) 一种艾相伴无烟聚能扶阳艾灸器
CN205286920U (zh) 一种无烟式艾灸仪
KR101053449B1 (ko) 뜸기 받침대
KR100886386B1 (ko) 게르마늄을 이용한 쑥뜸장치
CN205286899U (zh) 坐式熏蒸仪
CN210644576U (zh) 一种无烟可升降上肢用艾灸箱
CN211634306U (zh) 一种艾灸罐
KR20090024909A (ko) 뜸 치료기
KR20050059386A (ko) 건식훈증기를 구비한 한방헬스 의자
KR200333476Y1 (ko) 쑥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