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449B1 - 뜸기 받침대 - Google Patents

뜸기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449B1
KR101053449B1 KR1020080118831A KR20080118831A KR101053449B1 KR 101053449 B1 KR101053449 B1 KR 101053449B1 KR 1020080118831 A KR1020080118831 A KR 1020080118831A KR 20080118831 A KR20080118831 A KR 20080118831A KR 101053449 B1 KR101053449 B1 KR 101053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xibustion
pedestal
elastic band
present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0285A (ko
Inventor
정성호
Original Assignee
정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호 filed Critical 정성호
Priority to KR1020080118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449B1/ko
Publication of KR20100060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3Abdom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뜸기를 수용하여 한번에 다수의 뜸을 할 수 있어 넓은면적에 걸쳐 뜸시술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주변인의 도움없이도 사용자 스스로가 뜸요법을 실시하기 용이한 뜸기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끼움홀에 뜸기 외피가 끼움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뜸기, 외피, 받침대, 탄력밴드

Description

뜸기 받침대{Moxibusting Implement Supporter}
본 발명은 뜸기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뜸기를 수용하여 한번에 다수의 뜸을 할 수 있어 넓은면적에 걸쳐 뜸시술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 스스로가 뜸요법을 실시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뜸기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방에서는 침과 더불어 뜸을 통하여 인간의 질병을 치료하는 시술인 뜸치료법이 오늘날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뜸은 뜸을 뜰 때 나오는 쑥과 같은 훈증물질의 진이 인체의 몸속으로 들어가 치료되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뜸요법이란 훈증물질의 연소열을 이용하여 인체의 혈처에 40~60℃정도의 열을 가함으로써 혈처를 자극시켜 인체의 질병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뜸은 불을 붙인 훈증물질로보터 발생되는 원적외선과 훈증물질의 복사열로서 환부나 환부에 관련되는 혈 부위에 뜸을 하는 것으로서,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신진대사를 원활히 해주고 조직세포의 활동을 활발히 해줄뿐만 아니라 조직 세포의 노화를 방지하며 인체에 쌓인 노폐물의 방출을 도와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진통작용과 함께 근육피로의 완화, 호르몬 분비 및 신경기능의 조절은 물론 백혈구 및 적혈구의 수를 증가시키고 면역력을 높여주며 오장육부의 기능을 조절하고 체질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뜸요법을 실시하기 위한 뜸기로서 본 출원인이 출원한 등록실용신안 제0275490호에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라믹재질이고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항아리 형상의 본체와, 하부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하부외측에 끼움결합되는 실리콘재질의 외피와, 본체와 동일재질인 세라믹으로 형성되어 본체내에 삽입되고 상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부에는 다수의 통공 및 요철부가 형성된 원통용기형상의 쑥봉연소통과, 양단부가 손잡이가 형성되어 탄성클립형식으로 쑥봉연소통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스테인리스제링 형상의 높이조절구를 포함하는 쑥뜸기를 개시한 바 있으며, 이러한 쑥뜸기를 인체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외피의 하단부에 끼움결합되고 인체에 접촉하는 하단부가 접착물질이 도포된 링형상의 스티커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쑥뜸기의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는 스티커가 끼워진 뜸기를 원하는 부위에 안착시키고 스티커의 이면지를 떼어 인체에 안정적으로 부착시킨 다음, 훈증물질인 쑥봉을 쑥봉연소통에 넣고 불을 붙여 쑥뜸을 실시하며, 이렇게 쑥봉에 불을 붙이면 본체에 형성된 통공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또한 쑥봉이 연소되면 연소열이 쑥봉연소통의 통공을 통해 환부에 전달됨과 함께 세라믹재질의 쑥봉연소통을 가열시켜 쑥봉연소통으로 부터 원적외선이 방출, 방출된 원적외선이 환부를 조사하게 됨으로써 쑥뜸효과를 얻는다. 이때 사용자는 클립형식의 높이조절부를 통해 쑥봉연소통의 높이를 조절하여 그 열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티커를 이용하여 뜸기를 인체에 부착시키는 방법은, 사용자 본인 스스로가 뜸을 한다면 우선 원하는 위치에 뜸기를 올려놓고 스티커를 부착시켜야 하기 때문에 스티커의 부착과 이면지를 떼는 과정 등 일련의 과정이 사용자 스스로가 실시하기에는 몹시 불편하여 이를 도와줄 보조인이 필요하였으며, 또한 이렇게 종래의 스티커를 이용한 뜸기는 스티커형식이기 때문에 뜸을 실시한 후 다른 환부에 다시 뜸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스티커를 환부에서 떼어낸 다음 다시 붙이거나 새로운 스티커를 갈아 끼워야하기 때문에 뜸기의 환부위치를 바꾸는 작업이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 스스로가 뜸을 하기 용이하고 다수의 뜸기를 한번에 뜸을 할 수 있는 뜸기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뜸기 받침대는,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끼움홀에 뜸기 외피가 끼움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뜸기 받침대를 인체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탄력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력밴드는 뜸기를 끼워 고정하기 위한 절개홀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뜸기 외피는 상기 끼움홀에 대해 탈착이 용이하고 인체 접촉이 용이한 실리콘재질로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뜸기 받침대는 목재로 형성된 것이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해결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뜸기 받침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 뜸기 받침대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주변인의 도움없이도 사용자 스스로가 뜸을 실시하기 용이하다.
둘째, 다수의 뜸기가 끼움결합되도록 하여 한번에 여러개의 뜸기를 통해 뜸을 할 수 있어 넓은면적에 걸쳐 할 수 있고, 개개의 뜸기를 일일히 환부에 안착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
셋째, 열전도성이 낮은 오동나무재질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사용자가 화상의 위험없이 안전하게 뜸작업을 할 수 있다.
넷째, 탄력밴드와 탄력밴드에 결합된 벨크로와 같은 결합부를 통해 인체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뜸기 받침대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뜸기 받침대를 나타내는 조립사시도 및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뜸기 받침대와 외피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뜸기 받침 대(200)는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끼움홀(210)에 뜸기 외피(30)가 끼움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뜸기 받침대(200)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바닥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홀(210)이 형성되어 있어 뜸기의 외피(30)가 끼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피(30)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어 상부로는 뜸기(100)가 밀착삽입되고 하단부에는 돌출형성된 밀착부(31)를 통해 인체와 밀착되며,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돌출형성된 상기 밀착부(31)가 뜸기 받침대(200)의 바닥부 내부에서 외부로 끼움결합된 후에는 빠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뜸기의 외피(30)는 뜸기 받침대(200)의 끼움홀(210)에 탈착이 용이하고 인체 접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내열성과 촉감이 양호한 실리콘재질로 하는 것이 좋다.
부가하여, 상기 뜸기 받침대(200)는 본 발명에서 제시한 박스형상 외에도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끼움홀(210)을 그 형상에 맞추어 다수의 외피(30)가 일렬 또는 복수열로 배치시키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뜸기 받침대(200)는 열전도율이 낮아 사용자가 뜸을 실시하거나 위치를 이동시킬 때 화상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내부로는 뜸기(100)의 연소열의 외부방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볍고, 방습, 방충에 강하며 제작이 용이한 나무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오동나무 재질로 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뜸기(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출원인이 출원한 등록실용신안 제0275490호에 개시된 뜸기(100) 및 외피로서, 상기 뜸기(100)는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항아리 형상의 본체(10)와, 하부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10) 하부외측에 끼움결합되는 실리콘재질의 외피(30)와, 상기 본체(10) 내에 삽입되고 상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부에는 다수의 통공 및 요철부가 형성된 원통용기형상의 쑥봉연소통(20)과, 양단부가 손잡이가 형성되어 탄성클립형식으로 쑥봉연소통(2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링 형상의 높이조절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졌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뜸기 받침대(200)는 종래의 스티커를 이용하여 일일히 환부에 부착시켜야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으며, 뜸기 받침대(200)에 결합된 외피(30)에 뜸기(100)를 삽입한다음 뜸기(100)의 연소통(20)에 훈증물질을 넣어 불을 붙여, 그대로 뜸기 받침대(200) 통채로 환부에 올려놓으면 되기 때문에 주변인의 도움 없이도 뜸시술이 용이하며, 오동나무재질로 되어 있어 누워서도 화상의 위험없이 안전하게 뜸기(100)의 환부 안착이 용이하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뜸기 받침대와 연결되는 탄력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탄력밴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뜸기 받침대(200)를 인체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탄력밴드(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력밴드(3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탄력밴드(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뜸기 받침대(200)와 사용자의 외부를 둘러 양단부를 묶어 상기 뜸기 받침대(200)가 환부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탄력밴드(300)는 사용자의 인체에 탄력적으로 밀착될 수 있는 탄력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탄력밴드(300)에는 절개홀(315)을 형성시켜, 상기 절개홀(315)에 뜸기(100)의 상부가 끼움결합되도록 하여, 탄력밴드(300)를 사용하였을 때 탄력밴드(300)의 위치이동이나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뜸기 받침대(200)에 대하여 안정적인 위치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력밴드(300)의 양단부에는 접착부(310)를 형성하여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벨크로를 형성시킬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로 버튼 등 탄력밴드(300)를 풀어지지 않게 고정할 수 있는 구조라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뜸기 받침대(200)는 적어도 하나의 뜸기(100)를 수용할 수 있는 뜸기 받침대(200)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주변인의 도움없이도 사용자 스스로가 뜸을 실시하기 용이하며, 다수의 뜸기(100)가 끼움결합되도록 하여 한번에 여러개의 뜸기(100)를 통해 뜸을 할 수 있어 넓은면적에 걸쳐 할 수 있고, 개개의 뜸기(100)를 일일히 환부에 안착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열전도성이 낮은 오동나무재질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사용자가 화상의 위험없이 안전하게 뜸작업을 할 수 있으며, 또한 탄력밴드(300)를 더 구비하여 인체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뜸기를 나타내는 조립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뜸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뜸기 받침대를 나타내는 조립사시도 및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뜸기 받침대와 외피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뜸기 받침대와 연결되는 탄력밴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탄력밴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20... 연소통
30... 외피 31... 밀착부
100... 뜸기 200... 뜸기 받침대
210... 끼움홀 300... 탄력밴드
310... 접착부 315... 절개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끼움홀에 뜸기 외피가 끼움 설치되며, 뜸기 반침대를 인체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탄력밴드를 포함하되, 상기 탄력밴드는 뜸기를 끼워 고정하기 위한 절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기 받침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뜸기 외피는 상기 끼움홀에 대해 탈착이 용이하고 인체 접촉이 용이한 실리콘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기 받침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뜸기 받침대는 목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기 받침대.
KR1020080118831A 2008-11-27 2008-11-27 뜸기 받침대 KR101053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831A KR101053449B1 (ko) 2008-11-27 2008-11-27 뜸기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831A KR101053449B1 (ko) 2008-11-27 2008-11-27 뜸기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285A KR20100060285A (ko) 2010-06-07
KR101053449B1 true KR101053449B1 (ko) 2011-08-02

Family

ID=42361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831A KR101053449B1 (ko) 2008-11-27 2008-11-27 뜸기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34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0632A (ko) * 2013-04-04 2014-10-14 손예담 쑥뜸 보조구
CN110063889A (zh) * 2019-05-23 2019-07-30 河南亮眸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保护视力的灸疗仪器
KR102306999B1 (ko) 2021-05-26 2021-09-30 김지예 실뜸 받침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2567Y1 (ko) * 1995-10-17 1998-07-15 신현준 동시에 여러 부위에 사용 가능한 쑥뜸기
KR19980064113U (ko) * 1997-04-25 1998-11-25 신현준 쑥뜸기
KR100227816B1 (ko) 1996-05-18 1999-11-01 김진섭 쑥뜸기
KR100297791B1 (ko) * 1999-02-26 2001-09-22 조봉관 쑥뜸용 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2567Y1 (ko) * 1995-10-17 1998-07-15 신현준 동시에 여러 부위에 사용 가능한 쑥뜸기
KR100227816B1 (ko) 1996-05-18 1999-11-01 김진섭 쑥뜸기
KR19980064113U (ko) * 1997-04-25 1998-11-25 신현준 쑥뜸기
KR100297791B1 (ko) * 1999-02-26 2001-09-22 조봉관 쑥뜸용 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0632A (ko) * 2013-04-04 2014-10-14 손예담 쑥뜸 보조구
KR102122098B1 (ko) * 2013-04-04 2020-06-11 손서희 쑥뜸 보조구
CN110063889A (zh) * 2019-05-23 2019-07-30 河南亮眸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保护视力的灸疗仪器
KR102306999B1 (ko) 2021-05-26 2021-09-30 김지예 실뜸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285A (ko) 201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96571B1 (ja) 温灸器具
KR101740544B1 (ko) 단열 쑥뜸기
WO2018032571A1 (zh) 一种恒温熏灸装置
KR101053449B1 (ko) 뜸기 받침대
JPH07265375A (ja) 温きゅう器
KR20110008282U (ko) 황토 용기 온구기
KR20110108690A (ko) 좌훈기
CN204581934U (zh) 一种磁疗艾灸装置
KR200419354Y1 (ko) 쑥뜸기
KR100886386B1 (ko) 게르마늄을 이용한 쑥뜸장치
KR200401903Y1 (ko) 높이조절 온구기
KR20110005936U (ko) 대용량 쑥뜸기
KR101434756B1 (ko) 쑥 찜질기
KR200347800Y1 (ko) 마사지 온구기
KR200466595Y1 (ko) 원적외선 뜸기구
CN215385921U (zh) 一种中医针灸治疗用的加热装置
KR200274487Y1 (ko) 쑥뜸기
KR200275490Y1 (ko) 쑥뜸기
CN215022305U (zh) 多功能艾灸装置
KR100494716B1 (ko) 쑥찜기
JPH0627153Y2 (ja) 温灸器
KR200382850Y1 (ko) 온구기
KR200384825Y1 (ko) 온구기
KR100876545B1 (ko) 이중구조의 소금 쑥뜸기
KR200394284Y1 (ko) 황토쑥탄 온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