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4487Y1 - 쑥뜸기 - Google Patents

쑥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4487Y1
KR200274487Y1 KR2020020003277U KR20020003277U KR200274487Y1 KR 200274487 Y1 KR200274487 Y1 KR 200274487Y1 KR 2020020003277 U KR2020020003277 U KR 2020020003277U KR 20020003277 U KR20020003277 U KR 20020003277U KR 200274487 Y1 KR200274487 Y1 KR 2002744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moxibustion
communication
main body
worm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32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호
Original Assignee
정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호 filed Critical 정성호
Priority to KR20200200032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4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4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487Y1/ko

Links

Landscapes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쑥뜸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쑥뜸기는 다수개의 구멍(41)이 하부에 형성된 실리콘 외피(4)에 외측 하부가 삽입되며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상협하광의 항아리형상의 본체(1)와; 상기 본체(1)와 동일 재질로서 본체(1)에 원통부(21)가 내삽되는 쑥봉연소통(2)과; 상기 쑥봉연소통(2)의 원통부(21) 외부에 끼워지는 높이 조절구(3)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쑥뜸기는 쑥뜸기의 쑥봉연소통(2)을 종래의 금속망에서 원적외선 방사율이 큰 세라믹 통으로 구성함으로써 원적외선의 방사율을 높여 쑥뜸 효과를 높이고 그 높이조절구(3)를 안테나 형상에서 탄성의 스테인리스제 링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쑥봉연소통의 높낮이 조절을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쑥뜸기 {Wormwood Cauterizing Device}
본 고안은 쑥뜸기에 관한것으로서, 특히 쑥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원적외선에 의한 복사열이 신체의 시술부위에 원활히 전달되도록 하여 쑥뜸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쑥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방에서는 침과 더불어 쑥뜸을 통하여 인간의 질병을 치료하는 시술인 쑥뜸치료법이 오늘날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쑥뜸은 쑥뜸을 뜰 때 나오는 쑥의 진이 인체의 몸속으로 들어가 치료되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쑥뜸 요법이란 쑥의 연소열을 이용하여 인체의 혈처에 40~60℃정도의 열을 가함으로써 혈처를 자극시켜 인체의 질병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것이다. 쑥뜸은 불을 붙인 쑥으로부터 발생되는 원적외선과 쑥봉의 복사열로서 환부나 환부에 관련되는 혈 부위에 뜸을 하는 것으로서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신진대사를 원활히 해주고 조직세포의 활동을 활발히 해줄뿐만 아니라 조직세포의 노화를 방지하며 인체에 쌓인 노폐물의 방출을 도와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진통작용과함께 근육 피로의 완화, 호르몬 분비 및 신경기능의 조절은 물론 백혈구 및 적혈구의 수를 증가시키고 면역력을 높여주며 오장육부의 기능을 조절하고 체질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종래의 쑥뜸기는 항아리 형상의 본체내에 쑥봉이 놓여지는 부재인 쑥봉연소통이 스테인레스와 같읕 금속망제이어서 혈액순환을 촉진시켜주는 원적외선의 조사량이 적어 소기의 쑥뜸 효과를 얻지못하는 결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불이 붙은 쑥봉의 높은 복사열을 직접 환부에 쪼이게 되는 형식이어서 화상을 입을 우려가 상존하고 있었고 화상을 입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쑥봉을 환부로부터 높이 올려야 하기 때문에 혈처 부위에 쑥의 열전달이 잘 안되는 단점이 있었다 . 또한 시술중 쑥진(타르) 또는 쑥재가 환부와 용기에 묻게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쑥봉연소통의 높이조절구가 금속 튜브로 이루어진 안테나 형상이어서 쑥진(타르)이 금속튜브에 엉겨붙어 압착력과 인출력을 이용하여 뽑아내거나 밀어넣어 높낮이를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 쑥뜸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쑥뜸기의 쑥봉연소통을 종래의 금속망에서 원적외선 방사율이 큰 세라믹 통으로 구성함으로써 원적외선의 방사율을 높여 쑥뜸 효과를 높이고 그 높이조절구를 안테나 형상에서 탄성의 스테인리스제 링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쑥봉연소통의 높낮이 조절을 쉽게 할 수 있게 하였다. 본 고안은 불이 붙은 쑥봉으로부터 발생되는 원적외선과 쑥의 연소열을 쑥봉연소통에 흡수시킨 후 그 쑥봉연소통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을 환부에 쪼이는 형식의 쑥뜸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인체에 가장 유익한 8~12㎛ 파장대의 원적외선의 방사율을 92%이상으로 높이고 그 원적외선에 의한 40~60℃ 정도의 복사열을 환부에 쪼일 수 있는 쑥뜸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고안은 쑥진의 발생여부에 관계없이 쑥봉연소통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 할 수 있는 쑥뜸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소형이면서 간단한 구조의 쑥뜸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쑥뜸을 뜰때 쑥의 열기의 정도에 따라 쑥이 들어있는 쑥봉연소통의 위치를 자유자재로 조절하여 열기의 정도를 조절함으로서 효과적으로 쑥뜸질을 하면서도 열기에 의한 통증이나 화상을 입지 않고 효과적으로 환부에 쑥뜸질을 할 수 있는 쑥뜸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쑥뜸기를 다수 개의 구멍(41)이 하부에 형성된외피(4)에 삽입되며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상협하광인 항아리형상의 쑥뜸기본체(1)와; 상기 쑥뜸기본체(1)와 동일 재질로서 본체(1)에 원통부(21)가 내삽되는 원통 용기형상의 쑥봉연소통(2)과; 상기 쑥봉연소통의 원통부(21)의 외부에 끼워지는 탄성클립인 링 형상의 높이 조절구(3)로 구성함으로써 달성 할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쑥뜸기의 쑥봉연소통의 사시도이고
도2는 종래 쑥뜸기의 쑥봉연소통의 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쑥봉연소통을 일부 절개한 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쑥뜸기의 사시도이며
도5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6은 본 고안의 종 단면도이며
도7은 종래 쑥뜸기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쑥봉 연소통
3 : 쑥봉연소통 높이조절구 4 : 외피
5 : 쑥봉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쑥뜸기의 쑥봉연소통의 사시도이고, 도2는 종래 쑥뜸기의 쑥봉연소통의 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쑥봉연소통을 일부 절개한 사시도이고, , 도4는 본 고안의 쑥뜸기의 사시도이며, 도5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6은 본 고안의 종 단면도이며, 도7은 종래 쑥뜸기의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쑥뜸기는 하부에 다수개의 구멍(41)이 형성되어있는 외피(4)에 외측하부가 삽입되며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상협하광의 항아리형상의 본체(1)와; 상기 본체(1)와 동일 재질로서 본체(1)에 원통부(21)가 내삽되는 쑥봉연소통(2)과; 상기 쑥봉연소통(2)의 원통부(21)의 외부에 끼워지는 높이조절구(3)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는 쑥을 태울 때 발생되는 열 에너지와 인체에 가장 유익한 8~12㎛ 파장의 원적외선에 의한 40~60℃ 전후의 복사열이 환부의 피부 깊숙히 전달될 수 있도록 청자소지의 세라믹, 옥(jade), 게르마늄성분의 황토를 혼합하여 통상의 세라믹 제조공정으로 1260℃~1300℃에서 소성한 상하가 개방된 상협 하광의 항아리 형상이다.
상기 쑥봉연소통(2)은 본체(1)와 동일 재질, 동일공정으로 제조되는 원통용기형상으로서 원통부(21)의 외경을 본체(1)의 상단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본체의 내부에 원통부(21)가 쉽게 삽입될 수 있게하되 상단부에는 걸림턱(23)을 형성하여 본체(1)의 상단부에 걸 수 있고 높이조절구(3)에 의해 그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원통부(21)와 바닥부(22)에는 급배기 겸 복사열의 조사구(照射口)로서 다수의 통공(25)을 형성하고 내부 바닥면에는 쑥봉을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돌기(27)가 형성되고 그 돌기에 대응되는 외측 바닥면은 돌기와 대응되는 요홈(28)이 형성된 구조이다. 쑥봉연소통(2)의 원통부(21)에 형성되는 통공(25)의 형성부위는 선택적인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통공(25)은 원통부(21)의 하부에 형성시킨 일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탄성클립인 쑥봉연소통(2)의 높이 조절구(3)는 스테인리스제의 링 형상으로서 걸림돌기(31)를 외측으로 2개 이상 형성하되 자연 상태에서 걸림돌기(31)의 외측 원주를 잇는 원주가 본체의 상단 내경보다 크게 구성하여 높이 조절구(3)가 본체의 내부로 빠질 수 없도록 하였고 또한, 자연상태에서 링의 내경이 쑥봉연소통(2)의 원통부(21)의 외경보다 작게하여 링이 원통부(21)를 조일수 있도록 하였으며 목재, 플라스틱재 또는 고무재의 손잡이(33)를 구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쑥뜸기는 통상의 종래 쑥뜸기의 사용방법과 같이 쑥뜸기를 쑥뜸을 뜰 위치에 안치시킨 다음 쑥봉(5)을 쑥봉연소통(2)에 넣고 불을 붙이면 쑥봉이 서서히 연소되면서 연소열이 통공(25)을 통해 환부에 전달됨과 동시에 세라믹 재질의 쑥봉연소통(2)을 가열시키게 되어 세라믹 재질의 쑥봉연소통(2)으로부터 원적외선이 방출하게되고 또한 쑥봉(5)의 연소열과 쑥봉연소통(2)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이 본체(1)를 가열시켜 본체로부터도 원적외선을 방출하게 되어 그 방출된 원적외선이 모두 환부를 조사하게됨으로써 쑥뜸효과를 크게 높인 것이 특징이다. 쑥뜸 시술중 시술부위가 너무 뜨거우면 한손의 엄지와 검지로 쑥봉 연소통(2)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턱(23)을 잡고 들어올리면서 한손의 엄지와 검지로는 높이조절구(3)의 손잡이(33)를 눌러 내린후 적정 높이에서 놓아주면 그 높이에서 쑥봉연소통(2)이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쑥뜸을 계속 수행하게되면 열기를 적게 해주게 되므로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고 뜨겁지 않은 상태에서 쑥뜸을 할 수 있게되며 쑥봉(5)의 연소열과 세라믹제인 쑥봉연소통(2)과 본체(1)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이 본체(1)의 하단 개방부를 통해 신체의 시술부위에 작용하게 되므로 혈액순환의 촉진 등 쑥뜸효과를 극대화시키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쑥뜸기는 쑥봉연소통(2)이 세라믹제의 원통용기형상으로 구성한 것이어서 쑥뜸 시술중 쑥봉이 연소할때 발생되는, 쑥진이 피부에 도포되는 것을 최소화하였다. 또한, 쑥재가 환부에 떨어지거나 과열로 인한 화상의 염려가 전연 없다. 상기 외피(4)는 탄성 재질이면 어떻한 재질도 사용 가능하나 내열성과 특히 촉감이 양호한 실리콘 재질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는 본체(1)가 항아리 형상이므로 본체(1)내에서 연소되고 있는 쑥봉(5)의 열기가 대류현상을 일으키게 되기 때문에 열기가 본체(1)의 외부로 신속하게 빠져나가지 않고 본체(1)내에서 지체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서서히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므로 열손실이 감소하게되어 치료 효과를 더 갖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외피(4)의 재질이 실리콘이기때문에 환부주위에 밀착되게 되어 열손실이 없이 효율적으로 쑥뜸을 수행할 수가 있게 되고, 외피(4)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41)을 통하여 열이 발산되기 때문에 본체(1)자체의 온도와 외부의 온도의 차이가 작게되므로 해당부위에서의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본체(1)내부의 열기도 적절이 조절할 수가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쑥뜸기는 쑥봉연소통을 종래의 금속망 대신에 쑥뜸기의 본체와 동일 재질의 세라믹제 원통용기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원적외선의 방출량을 크게 높였고 쑥봉의 연소열이 시술부위에 직접 전달 되는 양을 크게 줄이면서 치료효과를 증가시켰고 화상의 위험을 예방하였으며 쑥진이 피부에 도포되는 것을 최소화하였고 쑥재가 시술부위에 떨여지는 단점을 해소하였다. 또한 종래의 안테나 형상인 쑥봉연소통의 높낮이조절구를 링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쑥진이 높낮이수단에 엉겨 붙어 높낮이조절이 어려웠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였다. 본 고안의 쑥뜸기는 종래의 것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여 그 제작이 용이하고 사용중 고장이나 불편함이 없이 쑥뜸 시술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다수의 구멍(41)이 하부에 형성된 외피(4)에 외측 하부가 삽입되며 상협 하광의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항아리 형상의 세라믹제의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내삽되는 쑥봉연소통(2)과 쑥봉연소통(2)의 높이조절구(3)를 포함하는 쑥뜸기에 있어서,
    상기 쑥봉연소통(2)이 본체(1)와 동일재질인 세라믹제로서 상단부에 걸림턱(23)이 형성되고 본체에 내삽되는 원통부(21)와 바닥부(22)에는 다수의 통공(25)이 형성되며 내외 바닥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요철부(27)(28)가 형성된 원통용기형상이고, 상기 쑥봉연소통(2)의 원통부(21) 외부에 끼워지는 높이조절구(3)가 탄성클립인 스테인리스제 링 형상으로서 걸림돌기(31)가 형성되고 손잡이(3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기.
KR2020020003277U 2002-02-01 2002-02-01 쑥뜸기 KR2002744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277U KR200274487Y1 (ko) 2002-02-01 2002-02-01 쑥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277U KR200274487Y1 (ko) 2002-02-01 2002-02-01 쑥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4487Y1 true KR200274487Y1 (ko) 2002-05-04

Family

ID=73073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277U KR200274487Y1 (ko) 2002-02-01 2002-02-01 쑥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4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19631A (zh) * 2017-04-19 2017-08-08 叶选锐 一种坐式艾灸器
KR20210126250A (ko) * 2020-04-10 2021-10-20 구본용 높이조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19631A (zh) * 2017-04-19 2017-08-08 叶选锐 一种坐式艾灸器
KR20210126250A (ko) * 2020-04-10 2021-10-20 구본용 높이조정장치
KR102338135B1 (ko) 2020-04-10 2021-12-09 구본용 높이조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0544B1 (ko) 단열 쑥뜸기
WO2007024060A1 (en) Vessel for cauterizing with moxa
CN108210318A (zh) 一种温度可调的艾灸罐
KR200274487Y1 (ko) 쑥뜸기
CN109044816A (zh) 一种石墨烯沉艾烟温熨仪器具
US6162215A (en) Cauterization treatment by infrared rays
KR200440662Y1 (ko) 뜸기
KR101053449B1 (ko) 뜸기 받침대
KR101244441B1 (ko) 온열 쑥뜸기
KR200275490Y1 (ko) 쑥뜸기
KR20110008282U (ko) 황토 용기 온구기
CN208626211U (zh) 一种温度可调的艾灸罐
KR100914645B1 (ko) 소금뜸기
KR100886386B1 (ko) 게르마늄을 이용한 쑥뜸장치
CN108434608A (zh) 一种石墨烯远红外温针灸器具及其应用设备
KR200401903Y1 (ko) 높이조절 온구기
KR100494716B1 (ko) 쑥찜기
KR101727629B1 (ko) 뜸 기구
CN209770880U (zh) 电温针灸器和电温针灸仪
KR200442968Y1 (ko) 쑥 봉을 장착한 원통형 쑥뜸기
KR200466595Y1 (ko) 원적외선 뜸기구
KR20130004677A (ko) 온열 마사지 기구
KR20210066961A (ko) Led 및 탄소세라믹이 형성된 돔형 온열기구
KR102338596B1 (ko) 지압을 겸하는 쑥뜸장치
KR19980036976A (ko) 쑥뜸기 및 그 사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