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6976A - 쑥뜸기 및 그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쑥뜸기 및 그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6976A
KR19980036976A KR1019960055656A KR19960055656A KR19980036976A KR 19980036976 A KR19980036976 A KR 19980036976A KR 1019960055656 A KR1019960055656 A KR 1019960055656A KR 19960055656 A KR19960055656 A KR 19960055656A KR 19980036976 A KR19980036976 A KR 19980036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moxibustion
wormwood
patient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5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2092B1 (ko
Inventor
원영두
Original Assignee
원영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영두 filed Critical 원영두
Priority to KR1019960055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2092B1/ko
Publication of KR19980036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2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2092B1/ko

Links

Landscapes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쑥뜸기 및 그 사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환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되지 않으므로 피부에 화상을 입지 않으면서도 중풍, 암세포 등을 손쉽게 치료할 수 있는 쑥뜸기 및 그 사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세라믹막(12)과, 상기 쑥뜸기 통(10)의 하단부가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환상요홈부(22)가 형성되고 자성을 갖는 밑판(20)과, 상기 밑판(20)의 일측면에는 자장을 형성하도록 부착되어 있는 자석(30)과, 상기 쑥뜸기 통(10)이 일측면에 배설되어 쑥(60)과 함께 상하로 조정가능하도록 이동가능한 높이 조절수단(40)으로 형성되고, 쑥(60)이 가열되면서 쑥(60)에서 발산되는 연기가 받침대(42)에 형성되어 있는 통기공(44)을 통해서 하방향으로 배출되는 단계와, 환자의 환부가 데지 않도록 쑥(60)의 온도에 따라 상하로 쑥(60)을 이동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쑥뜸기 및 그 사용 방법
일반적으로 원적외선은 가시광선보다도 파장이 긴 적외선으로 4-1000μ 파장의 전자파이며, 전자파 중에서 유일하게 열을 느낄 수 있는 파장이다. 원적외선 중에서도 특히, 8-15μ 파장의 원적외석은 생체에 온열작용, 중화작용, 순환작용 및 숙성작용 등의 우수한 특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종래의 물리치료는 단지 진동이나 자력선을 이용한 치료에 불과한 것이었다.
그리고 종래의 쑥뜸은 환자의 환부에 쑥을 접촉시킴으로써 쑥에 함유되어 잇는 여러 성분이 피부를 통해서 체내에 들어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쑥뜸 방법은 불이 붙은 쑥의 온도를 정확히 조절하지 못하기 때문에 불이 붙은 쑥과 이에 의해서 발생되는 연기가 환자의 피부에 손상을 가져오며 쑥뜸을 받는 동안에 이러한 뜨거운 연기를 참는데 많은 고통을 수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쑥뜸은 단순히 쑥만을 사용하여 환자의 환부에 닿게하여 치료하기 때문에 효과가 단순히 쑥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 즉 쑥기운에 의해서만 치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피부에 직접 쑥이 닿지 않으면서도 쑥이 가지고 있는 효능에 원적외선과 자력을 가미함으로서 더욱 치료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쑥뜸기 및 그 사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과 같은 쑥뜸기는 3년 이상된 약쑥 잎이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씨네올(synaol) 등과 같은 쑥기운과, 세라믹이 열을 받아 발생하는 원적외선과, 밑판의 일측면에 부착된 자석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장이 동시에 환부에 작용하여 간접적으로 인체의 환부 또는 경혈의 기혈에 통기시킴으로써 변조된 환부를 다시 정상 상태로 만들어 조직세포의 부활력을 증가시키고, 혈액 중에 포함된 항독소, 용균소 면역체 등을 증가시켜 질병을 치료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쑥기운과 원적외선 및 자력은 혈액의 백혈구, 적혈구를 증가시키고 헤모글로빈, 옵소닌칼슘 등을 생성하여 심신의 원기를 보강하고 체질의 피로와 노화를 방지한다.
즉, 이와 같은 성분이 몸속에 들어가서 알코올, 마약, 중금속, 농약 등과 같은 각종 독소나 노폐물을 가스화시켜 날아가게 하고, 그리고 가스화되어 날아가지 않은 노폐물은 물로 분해되어 배설되며, 마지막으로 가스나 물로 되지 않은 노폐물은 끈적끈적한 농의 형태로 변경되어 체외로 배설되므로 우리몸을 깨끗이 해주고 체질을 개선시킨다.
또한 이러한 방법은 이와 같은 약효 성분이 몸속 깊숙이 침투하여 환부의 열을 높여 줌으로써 막힌 혈을 뚫어주고 혈관을 확장시켜 혈액량을 증가시키고, 그리고 뇌졸증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피의 노폐물인 혈전이 몸에 쌓이지 않게 해준다. 또한 헤모글로빈을 활성화시켜 산소공급량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고 혈관의 노폐물을 없애고 피로를 빨리 풀어주어 신경통, 류마티즘, 교통사고 후유증 등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혈액순환을 왕성하게 하고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피하지방의 잉여 노폐물을 분해하여 체외로 배출하게 됨으로써 군살이 없어지고 피부가 매우 곱고 아름다워져서 몸무게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쑥뜸기는, 점토로 만들어진 중공의 쑥뜸기 통과, 상기 쑥뜸기 통 내 외부에 피막되어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세라믹막과, 상기 쑥뜸기 통의 하단부가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환상요홈부가 형성되고 자성체인 밑판과, 상기 밑판의 일측면에는 자장을 형성하도록 부착되어 있는 자석과, 상기 쑥뜸기 통의 일측면에 배설되어 쑥과 함께 상하로 조정가능하도록 이동가능한 높이 조절수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쑥뜸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쑥뜸기 사용 방법은, 먼저 쑥뜸기 통을 환부의 중심에 놓은 다음 일정한 틀에 의해서 만들어진 쑥을 받침대에 올려 놓는 단계와, 쑥에 불을 붙이는 단계와, 쑥이 가열되면서 쑥에서 발산되는 연기가 받침대에 형성되어 있는 통기공을 통해서 하방향으로 배출되는 단계와, 환자의 환부가 데지 않도록 쑥의 온도에 따라 상하로 쑥을 이동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기를 사용한 쑥뜸기 사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쑥뜸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쑥뜸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쑥뜸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쑥뜸기 통12 : 세라믹막
20 : 밑판22 : 환상요홈부
26: 요홈부30 : 자석
40 : 높이 조절수단42 : 받침대
44 : 통기공46 : 안내부
48 : 상하이동부재50 : 지지대
52 : 관통구멍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토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하부가 관통되어 있는 쑥뜸기 통(10)과, 상기 쑥뜸기 통(10) 하측에는 상기 쑥뜸기 통(10)을 지지하면서 자성체인 밑판(20)과, 쑥(60)을 상하로 이동하는 높이 조절수단(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쑥뜸기 통(10) 일측면에는 상기 높이 조절수단(40)의 높이를 상하로 조정하도록 내부에 관통구멍(52)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대(50)가 결착되어 있으며, 상기 쑥뜸기 통(10)의 내외측면에는 원적외선의 방출을 증가시키도록 세라믹막(12)이 도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밑판(20)에는 상기 쑥뜸기 통(10)의 하측면이 삽입되어 착탈가능하도록 환상요홈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환상요홈부(22) 외측에는 상기 높이 조절수단(40)의 상하 이동부재(48) 하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요홈부(2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밑판(20)의 외측 일측면에는, 일반적으로 임상실험에서도 밝혀진 바와 같이, 인체의 주요 경혈점을 중심으로 자력선과 자력분포를 온몸에 발생시켜 혈류를 개선하고 경직된 근육을 완화시켜 전신피로감, 두통, 요통 등을 해소하는 것으로 알려진 자석(30)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쑥뜸기 통(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지지대(50)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되는 상기 높이 조절수단(40)은 쑥(60)이 놓이는 받침대(42)와, 상기 쑥뜸기 통(10)의 지지대(50)에 형성된 관통구멍(52)에서 상하로 자유로이 이동가능한,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부착된 안테나와 같이 내부가 중공이고 크기가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의 봉이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서 차례로 뽑혀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하 이동부재(48)와, 상기 상하 이동부재(48)와 받침대(42)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상하 이동부재(48)와 일체로 이동되며 상기 쑥뜸기 통(10)의 상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적절하게 굽어져 있는 안내부(46)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쑥(60)이 놓여지는 상기 받침대(42)에는 쑥(60)이 타면서 발생하는 쑥(60)의 연기가 환자의 환부에 접촉하기 용이하게 하고 그리고 쑥(60)이 타면서 남는 재와 같은 가루가 환자의 환부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환자가 고통을 느끼지 않도록 다수개의 통기공(44)이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5는 환자의 몸이고, 24는 밑판의 내경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환부 중심에 쑥뜸기 통(10)가 놓이도록 한 후, 3년 이상된 쑥(60)을 삼각형 모양으로 적당히 압축하여 만들어 높이 조절수단(40)의 받침대(42) 위에 놓는다. 그후, 쑥(60)에 불을 붙인 후 쑥(60)에서 발생하는 연기, 즉 씨네올(synaol), 세스퀘데르펜(sheketalupane), 클로르 칼슘(chlor calsium), 유산 알칼리 등과 같은 성분이 쑥뜸기의 쑥뜸기 통(10)내에서 확산되면서 간접적으로 뜸을 함으로써 직접뜸과 같은 효과로서, 한곳에서 30여분 동안 환자의 환부에 스며들게 된다.
이와 같이, 쑥이 타면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서 환자가 뜨거움을 느끼게 되면 상기 쑥뜸기 통(10)에 부착되어 있는 높이 조절수단(40)을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뜨거움의 강도를 적당히 조절하고, 이와 반대로 쑥이 거의 다 타서 열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되면 상기 쑥뜸기 통(10)의 상부에 위치된 높이 조절수단(40)을 하방향으로 적절하게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쑥뜸기 통(10)의 하단부에 배설되어 있는 밑판(20)은 상기 밑판(20)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자장을 발생시키는 자석(30)에 의해서 자화되어 자력이 발생된다. 그러면 상기 밑판(20)의 요홈부(26)에 삽입 결착된 상하 이동부재(48)에 자력이 전달되고, 이러한 자력은 상하 이동부재(48)에 연결되어 있는 안내부(48)를 매개로 쑥(60)이 놓여지는 받침대(42)에 전달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쑥뜸기 통(10)의 내외벽에 칠해져 있는 세라믹막(12)로부터 원적외선이 발생하여 쑥(60)에서 발생하는 연기 즉, 정확히 말해서 상기 밑판(20)로부터 인가되는 자장과 함께 환자의 환부에 스며든다. 이와 같이 환자의 환부에 스며든 쑥기운과 세라믹으로부터 나오는 원적외선과 자석(30)으로부터 발생되는 자장이 환자의 몸속 깊은 곳까지 침투하여 열을 높여 줌으로써 막힌 혈을 뚫어 주고 혈관을 확장시켜 혈액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3군데의 환부에 쑥뜸기를 사용하며, 한 환부에서 약 30분 동안 3번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은 쑥뜸을 시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며, 환자의 건강 상태와 질병 상태에 따라서 환부의 장소와 시간 및 반복 횟수를 적당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가진 쑥뜸기와 그 사용 방법은, 환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되지 않아서 피부에 화상을 입지 않으면서도 쑥기운, 원적외선 및 자력에 의해서 몸 속의 노폐물을 제거하고 백혈구 및 적혈구를 증가시켜 조직세포를 활성화시켜 암세포 등과 같은 각종 질병을 손쉽게 치료할 수 있는 쑥뜸기 및 그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쑥뜸기 및 그 사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환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되지 않으므로 피부에 화상을 입지 않으면서도 중풍, 암세포 등을 손쉽게 치료할 수 있는 쑥뜸기 및 그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Claims (3)

  1. 점토로 만들어져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중공의 쑥뜸기 통(10)과, 상기 쑥뜸기 통(10) 내외부에 피복되어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세라믹막(12)과, 상기 쑥뜸기 통(10)의 하단부가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환상요홈부(22)가 형성되고 자성을 갖는 밑판(20)과, 상기 밑판(20)의 일측면에는 자장을 형성하도록 부착되어 있는 자석(30)과, 상기 쑥뜸기 통(10)이 일측면에 배설되어 쑥(60)과 함께 상하로 조정가능하도록 이동가능한 높이 조절수단(40)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수단(40)은 쑥(60)이 놓이는 받침대(42)와, 상기 쑥뜸기 통(10)의 지지대(50)에 형성된 관통구멍(52)에서 상하로 자유로이 이동가능한 상하 이동부재(48)와, 상기 상하 이동부재(48)와 받침대(42)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상하 이동부재(48)와 일체로 이동되며 상기 쑥뜸기 통(10)의 상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적절하게 굽어져 있는 안내부(46)와, 쑥(60)이 타면서 남는 재와 같은 가루가 환자의 환부에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받침대(42)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통기공(44)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기.
  3. 먼저 쑥뜸기를 환부의 중심에 놓은 다음 일정한 틀에 의해서 만들어진 쑥(60)을 받침대(42)에 올려 놓는 단계와, 쑥(60)에 불을 붙이는 단계와, 쑥(60)이 가열되면서 쑥(60)에서 발산되는 연기가 받침대(42)에 형성되어 있는 통기공(44)을 통해서 하방향으로 배출되는 단계와, 쑥(60)이 하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세라믹막(12)과 쑥뜸기 통(10)을 통해서 발산하는 원적외선과 자석(30)에 의해서 형성된 자장이 함께 환부로 이동하는 단계와, 환자의 환부가 데지 않도록 쑥(60)의 온도에 따라 상하로 쑥(60)을 이동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기 사용 방법.
KR1019960055656A 1996-11-20 1996-11-20 쑥뜸기 및 그 사용 방법 KR100212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5656A KR100212092B1 (ko) 1996-11-20 1996-11-20 쑥뜸기 및 그 사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5656A KR100212092B1 (ko) 1996-11-20 1996-11-20 쑥뜸기 및 그 사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976A true KR19980036976A (ko) 1998-08-05
KR100212092B1 KR100212092B1 (ko) 1999-08-02

Family

ID=19482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5656A KR100212092B1 (ko) 1996-11-20 1996-11-20 쑥뜸기 및 그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20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19631A (zh) * 2017-04-19 2017-08-08 叶选锐 一种坐式艾灸器
KR102355748B1 (ko) * 2021-08-02 2022-01-25 김진훤 쑥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3472A (ko) * 2000-01-15 2001-08-01 김규열 적외선 쑥뜸기
CN103462801B (zh) * 2013-07-05 2015-04-01 易建强 无烟热磁艾灸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19631A (zh) * 2017-04-19 2017-08-08 叶选锐 一种坐式艾灸器
KR102355748B1 (ko) * 2021-08-02 2022-01-25 김진훤 쑥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2092B1 (ko) 199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244078Y (zh) 自动艾灸器
KR101740544B1 (ko) 단열 쑥뜸기
KR102112350B1 (ko) 뜸 기구
US6533777B2 (en) Moxa cauterizing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moxa sinker for the cauterizing device
KR100538927B1 (ko) 간접 쑥뜸기
KR19980036976A (ko) 쑥뜸기 및 그 사용 방법
KR200440662Y1 (ko) 뜸기
JP2955707B1 (ja) 蓬すえ機
CN106420338A (zh) 一种坐式无烟艾灸艾熏仪
KR20110008282U (ko) 황토 용기 온구기
KR101262746B1 (ko) 숯을 이용한 좌훈제 및 이를 이용한 좌훈 장치
KR100494716B1 (ko) 쑥찜기
KR20050059386A (ko) 건식훈증기를 구비한 한방헬스 의자
KR101371207B1 (ko) 일회용 쑥뜸 장치
KR200275614Y1 (ko) 다목적 한방 치료를 위한 이중구조 부항컵과 보조기구
CN209316491U (zh) 一种艾灸座及带该艾灸座的艾灸理疗用具
KR100300770B1 (ko) 뜸치료기
KR200347800Y1 (ko) 마사지 온구기
KR200275491Y1 (ko) 뜸, 온열, 침 및 부항 치료를 위한 다목적 한방치료보조기구
KR200274487Y1 (ko) 쑥뜸기
KR200308249Y1 (ko) 황토 쑥뜸기
KR100428000B1 (ko) 복합 의료기
KR200311124Y1 (ko) 쑥찜기
KR100433189B1 (ko) 적외선을 방사하는 쑥훈증기
KR102669367B1 (ko) 쑥 뜸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