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567Y1 - 동시에 여러 부위에 사용 가능한 쑥뜸기 - Google Patents

동시에 여러 부위에 사용 가능한 쑥뜸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567Y1
KR0122567Y1 KR2019950029027U KR19950029027U KR0122567Y1 KR 0122567 Y1 KR0122567 Y1 KR 0122567Y1 KR 2019950029027 U KR2019950029027 U KR 2019950029027U KR 19950029027 U KR19950029027 U KR 19950029027U KR 0122567 Y1 KR0122567 Y1 KR 01225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moxibustion
once
grain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90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6257U (ko
Inventor
신현준
Original Assignee
신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준 filed Critical 신현준
Priority to KR20199500290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567Y1/ko
Publication of KR9700162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62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5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5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5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direct air flow on the patient'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7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chemical re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전래되는 쑥뜸 방법중 콩가루나 밀가루등으로 일정한 형태의 고리를 만들어 그 위에 쑥덩어리를 올려 놓고 살갗위에서 태우는 이른바 뜨겁지 않은 쑥뜸법이 있으나 혼자서는 여러 곳을 동시에 놓을 수 없으며 뜨거운 쑥뜸재가 살갗위에 떨어져 화상을 입게 되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지속적으로 쑥뜸을 뜨게 될 위치를 미리 선정하여 제작된 받침판(1)과 쑥연기나 열기가 새어 나가지 않으며 뜨거운 쑥뜸재가 떨어지지 않도록 고안된 고리 받침대(2)를 이용하여 혼자서도 여러 곳을 동시에 안정하고 효과 있게 뜰 수 있게 하여 인력과 시간의 절약은 물록 쑥과 곡물의 소모량을 크게 줄일 수 있게 하였다.

Description

동시에 여러 부위에 사용가능한 쑥뜸기
제 1도는 전체를 조립한 투시도
제 2도는 전체를 조립한 어느 부분의 단면도
제 3도는 일부분의 평면도 및 정면도
제 4도는 다른 일부분의 평면도 및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받침판 2: 고리 받침대
3: 곡물고리 4: 쑥 덩어리
5: 홈
현재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쑥뜸 방법으로는 살갗에 직접 쑥을 태우는 직접법과 마늘, 소금 등을 살갗위에 올려놓고 그위에 쑥을 태우는 간접법이 있으며, 이 두가지가 혼합된 방법으로 콩가루나 밀가루등 곡물을 반죽하여 일정한 형태의 고리를 만들고 그위에 쑥덩어리를 올려 놓아 살갗위에서 태우는 이른바 뜨겁지 않은 쑥뜸법이 일부 계층을 통하여 전래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곡물고리를 살갗위에 직접 올려 놓아야 하기 때문에 뜨거운 정도에 따라 곡물고리를 몇 층식 쌓아 올려야 하고 효과상 여러 곳을 동시에 놓을 경우 그 때마다 일일히 그 위치를 재확인해야 하는 번거러움과 불이 붙어 있는 쑥가루가 살갗에 떨어져 화상을 입는등 위험성을 가지고 있어서 혼자서는 이용할 수가 없다. 또한 통상 3-4층의 곡물고리를 쌓아야 하기 때문에 그 틈새로 쑥 연기 및 열기가 새어 나와 쑥뜸효과가 반감되어 왔다.
본 고안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혼자서도 필요한 부위들을 동시에 안전하고 효과있게 쑥뜸을 시행할 수 있게 하였으며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을 하면,
본 고안은 지속적으로 쑥뜸을 뜨게 될 위치와 수를 선정하여 일정 두께의 목재판에 미리 원형의 구멍을 뚫어 놓은 받침판(1)과, 곡물고리(3)와 쑥덩어리(4)가 넘어지지 않도록 깊이(6)를 정하고 곡물 고리를 손으로 잡을 수 있게 두군데에 홈(5)을 만들며 살갗에 직접 닿아야 하는 밑바닥은 그 면적을 최소화하여 가장 밀착될 수 있도록 층(7)을 두어 통나무로 깎아 만든 고리 받침대(2)로 구성된다.
고리 받침대(2)위에 곡물고리(3)와 쑥 덩어리(4)를 올려 놓은 후 받침판(1)과 조립하여 이용하기 때문에 어느 한 부분이 특별히 뜨겁더라도 받침판(1)을 들어 올림으로써 한번에 모든 곳의 쑥뜸을 들어낼 수 있기 때문에 혼자서도 동시에 여러 곳을 안전하게 뜰 수 있다.
특히, 종래의 방법으로는 쑥연기 및 열기가 곡물고리와 고리사이 혹은 곡물고리와 살갗사이로 새어 나와 효과가 크게 줄어들기 때문에 본 고안은 안전성의 배가 이외에도 인력과 시간의 절약은 물론 쑥과 곡물고리의 소모량을 5배이상 크게 줄일 수 있다.

Claims (1)

  1. 쑥뜸위치에 맞추어 구멍이 뚫려 있는 받침판(1)과 곡물고리(3)와 쑥덩어리(4)를 미끄러지지 않게 올려 놓을 수 있는 깊이(6)와 두군데의 손잡이 홈(5) 그리고 살갗과 닿은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층(7)을 두어 깎아낸 고리 받침대(2).
KR2019950029027U 1995-10-17 1995-10-17 동시에 여러 부위에 사용 가능한 쑥뜸기 KR01225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9027U KR0122567Y1 (ko) 1995-10-17 1995-10-17 동시에 여러 부위에 사용 가능한 쑥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9027U KR0122567Y1 (ko) 1995-10-17 1995-10-17 동시에 여러 부위에 사용 가능한 쑥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257U KR970016257U (ko) 1997-05-23
KR0122567Y1 true KR0122567Y1 (ko) 1998-07-15

Family

ID=19426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9027U KR0122567Y1 (ko) 1995-10-17 1995-10-17 동시에 여러 부위에 사용 가능한 쑥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5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449B1 (ko) * 2008-11-27 2011-08-02 정성호 뜸기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449B1 (ko) * 2008-11-27 2011-08-02 정성호 뜸기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257U (ko) 199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102225D1 (de) Fussballschuh
DE60122447D1 (de) Gasbrenner und diesen verwendendes Kochgerät
AR072365A1 (es) Parrilla para asado con seccion para dorar
KR0122567Y1 (ko) 동시에 여러 부위에 사용 가능한 쑥뜸기
JPH02147706U (ko)
ES2141246T3 (es) Composicion de coccion al horno de alta relacion.
ATE54809T1 (de) Bratpfanne.
CN206320800U (zh) 整体式低排节能燃气灶具
KR910000565Y1 (ko) 수증기확산 고기구이판
KR200230550Y1 (ko) 열 보전 석쇠
KR200234075Y1 (ko) 육류 구이판
KR100221694B1 (ko) 고기 구이판
KR100253693B1 (ko) 고기 구이판
AR004145A1 (es)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on de una base aromatica y la utilizacion de dicha base para la preparacion de productos alimenticios.
KR20020067210A (ko) 열 보전 석쇠
KR200207276Y1 (ko) 구이판
KR200249106Y1 (ko) 쑥뜸기
KR200325432Y1 (ko) 휴대용 고기 구이기
KR200359216Y1 (ko) 조리구이판
KR19990028947U (ko) 황토제구이판
KR20030084022A (ko) 다단식 쑥뜸용 받침링
CN2215086Y (zh) 一种改进的烧烤两用炉具
KR200337546Y1 (ko) 계단쑥뜸기
KR200185534Y1 (ko) 전열식 조리기구
KR200282847Y1 (ko) 경혈 훈증 황토 쑥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