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4107B1 - 뜸 치료기 - Google Patents

뜸 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4107B1
KR100554107B1 KR1020030085314A KR20030085314A KR100554107B1 KR 100554107 B1 KR100554107 B1 KR 100554107B1 KR 1020030085314 A KR1020030085314 A KR 1020030085314A KR 20030085314 A KR20030085314 A KR 20030085314A KR 100554107 B1 KR100554107 B1 KR 100554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pace
dry
treatment device
compl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5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1512A (ko
Inventor
박옥희
Original Assignee
박옥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옥희 filed Critical 박옥희
Priority to KR1020030085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4107B1/ko
Publication of KR20050051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1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10Devices on tubs for steam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2033/061Artificial hot-air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2033/068Steam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5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direct air flow on the patient'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25Sitting on the buttocks
    • A61H2203/0431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position, like on a 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뜸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신체하부의 환부에 대한 효율적인 치료함은 물론 환부의 증상 및 발병정도에 따라 치료방법을 선택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빈공간인 공간부(11)가 형성됨과 함께 하부 내측에는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갖는 받침부(13)가 형성됨은 물론 외주면에는 상기 공간부(11)의 내외로 공기가 자유롭게 순환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통기공(14)이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환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좌판부(12)와,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에는 상기 받침부(13)의 상단에 안착됨은 물론 건조된 약재가 담겨진 상태로 수납됨과 함께 상기 약재가 타면서 발생되는 온열이 공간부(11)로 배출되도록 외주면에 배출구멍(21)을 갖는 건식단지(20)와, 상기 본체(10)와 건식단지(20)의 내표면에 각각 부착되어 원적외선을 방사하도록 하는 보조부착물(15)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뜸 치료기{Moxibustion Therapeutic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에 건식단지가 수납된 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내부에 습식단지가 수납된 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1 - 공간부
12 - 좌판부 15 - 보조부착물
20 - 건식단지 21 - 배출구멍
30 - 습식단지
본 발명은 뜸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부의 치료에 필요한 약재의 간편한 교체를 통하여 환자가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하면서 신체하부의 환부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뜸을 통한 치료는 피부의 특정 부위에 쑥 등의 약초를 놓고 태움으로써 생체의 변화를 바로잡는 한방 물리요법으로, 쑥의 연소를 통하여 체표로부터의 온열적 자극을 생체에 미치게 하여 일정한 생체반응을 일으켜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뜸 치료는 피부에 직접 뜸쑥을 놓고 태워 작은 화상을 일으키게 하는 방법이 주로 시술되고 있었으나, 시술 후 부작용이 발생되고 있고 신체하부의 환부에 대해서는 시술이 불가능하며, 시술 시 환자가 누워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피부나 조직에 자국을 남기지 않으며, 환자가 앉은 자세로 온열자극을 통한 환부를 치료해 주는 방법이 주로 시술되고 있다.
즉, 화로 등의 내부에 약초 내지는 황토, 맥반석 등을 투입한 후 가열하여 성분이 우러나도록 끓인 상태에서 상부에 앉아 가열된 성분이 환부에 작용하여 치료하도록 하고 있어 여성의 경우 각종 부인병 및 생리불순 등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으며, 남성의 경우에도 치질 등의 발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병원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가정에서 쉽게 신체하부에 발병된 환부를 치료할 수 있어 비용의 절감 뿐 아니라, 편의성도 증대시킬 수 있었으며, 아울러 발병된 환부를 조기 치료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뜸 치료기는 화로의 내부에 약초 내지는 황토, 맥반석 등을 투입한 후 가열하여 성분이 우러나도록 끓이는 것으로 신체하부의 환부를 치료하고 있으나, 사용에 따른 불편함이 발생되고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신체하부의 환부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뜸 치료기의 상부에 앉아야 하나, 종래의 뜸 치료기의 경우 투입된 약초 등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화로도 동시에 가열될 수 있어 환부의 치료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내부에 투입된 약초, 황토, 맥반석 등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화로 전체의 청소가 이루어져야 함으로써, 이에 따른 번거로움이 발생되고 있었으며, 이를 장시간 방치할 경우 치료효과가 반감될 수 있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사용상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제품의 신뢰도가 저하될 수 있어 타제품과의 경쟁력 하락에 의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등의 폐단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신체하부의 환부에 대한 효율적인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울러 타제품과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환부의 증상 및 발병정도에 따라 치료방법을 선택할 수 있게 하여 환부의 효과적인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뜸 치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부의 조기치료 및 예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뜸 치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상의 편의성 향상을 통한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 뜸 치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빈공간인 공간부가 형성됨과 함께 하부 내측에는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갖는 받침부가 형성됨은 물론 외주면에는 상기 공간부의 내외로 공기가 자유롭게 순환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통기공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환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좌판부와,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는 상기 받침부의 상단에 안착됨은 물론 건조된 약재가 담겨진 상태로 수납됨과 함께 상기 약재가 타면서 발생되는 온열이 공간부로 배출되도록 외주면에 배출구멍을 갖는 건식단지와, 상기 본체와 건식단지의 내표면에 각각 부착되어 원적외선을 방사하도록 하는 보조부착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뜸 치료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 내에는 건식단지 대신에 받침부의 상단부에 안착되도록 내표면에 보조부착물이 부착됨과 함께 액상의 약재가 가열된 상태로 수납되는 습식단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뜸 치료기가 제공된다.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이러한 약재들이 적정량으로 혼합된 건식단지 내지는 습식단지가 선택적으로 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후 약재들을 태우거나, 가열하게 되면, 이 약재로부터 온열이 발생되어 환부를 조사하게 되고, 이를 통해 혈액순환이 개선되게 되어 여성의 경우 부인병 및 생리통 등이 치료되고, 남성의 경우에는 항문 탈항 등이 예방되거나, 치료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분해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태로 일정 높이를 갖고 형성되며, 상부에는 좌판부가 구비된 본체의 공간부 에 건조 가열된 약재가 내부에 수용된 건식단지가 수납되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에 건식단지가 수납된 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물질인 황토, 옥, 맥반석, 수정, 화산석 등으로 구성된 보조부착물이 내표면에 부착된 본체 공간부에 쑥, 구절초, 작약, 어성초, 익모초 등으로 이루어진 약재가 건조 가열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는 건식단지가 수납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내부에 습식단지가 수납된 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본체의 내부 공간부에 쑥, 구절초, 작약, 어성초, 익모초 등으로 이루어진 약재가 액상의 가열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는 습식단지가 수납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사용 상태도로 나타낸 것으로, 본체의 상부에 구비된 좌판부에 하의를 탈의한 여성이 앉아 환부를 치료하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인 뜸 치료기(1)는 신체 하부의 환부를 환자가 편하게 앉아 휴식을 취하는 것만으로도 손쉽게 치료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이러한 뜸 치료기(1)를 구성하는 본체(10)의 내부에는 공간부(11)가 관통되게 형성되고, 이 공간부(11)의 상부에는 환자가 편하게 착좌한 상태로 휴식을 취하면서 환부를 치료할 수 있는 좌판부(12)가 구비된다.
상기 좌판부(12)는 본체(10)와 일체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나, 본 발명에서는 본체(10)의 상부에 별도로 구비시켜 파손이 발생될 경우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11)에는 건조된 약재가 내부에 수용되고, 외주면에는 배출구멍(21)이 뚫어진 건식단지(20) 내지는 액상의 약재가 가열된 상태로 내부에 수용된 습식단지(30)가 선택적으로 수납된다.
이때, 약재가 내부에 수용된 건식단지(20) 내지는 습식단지(30)가 공간부(11)에 수납되는 본체(10)의 하부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갖는 받침부(13)가 구비되어 이 건식단지(20)와 습식단지(30)를 지지하게 되며, 외주면에는 공기의 자유로운 순환을 위하여 다수의 통기공(14)이 뚫어지게 된다.
이는, 본체(10)가 설치되어 있는 바닥면의 온도가 낮을 경우 건식단지(20) 내지는 습식단지(30)의 내부에 수용된 약재의 온도가 낮아져 환부의 치료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차단하고, 본체(1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건식단지(20) 내지는 습식단지(30)가 예기치 않게 부딪쳐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체(10)의 외주면에 다수의 통기공(14)이 뚫어지는 것은 공기의 원활한 순환을 유도하여 건식단지(20) 내지는 습식단지(30)의 내부에 수용된 약재의 온열이 고르게 퍼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본체(10) 및 건식단지(20)와 습식단지(30)는 환부의 치료 뿐 아니라 실내 장식용으로도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황토, 점토, 도석, 주석 등으로 구성되며, 그 혼합비율은 황토 30%, 점토 20%, 도석 20%, 주석 20%으로 이루어지나, 이를 한정하지 않으며 작업목적이나 효과 및 제작공정 등에 따라 혼합비율을 달리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의 혼합비율로 빚은 후 분청유약을 발라 높은 온도에서 구워낸 도자기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면으로 나타나 있지는 않으나, 표면에는 미감 향상을 위한 난 등의 그림 또는 시 등의 문자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표현되어 제공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도자기로 이루어진 건식단지(20) 내지는 습식단지(30)의 내부에 수용되는 약재로는 쑥, 구절초, 작약, 어성초, 익모초 등으로 구성되며, 그 혼합비율은 쑥 65%, 구절초 10%, 작약 5%, 어성초 10%, 익모초 10%로 이루어지나, 반드시 이에 한정짓는 것은 아니며, 환부의 증상 및 발병정도에 따라 이 혼합비율을 달리하여도 무방하다.
따라서, 이러한 약재들이 건식단지(20) 내지는 습식단지(3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태워지거나 가열되게 되면 약재로부터 온열이 발생되어 환부를 조사하게 되고, 이를 통해 환자의 혈액순환이 개선되게 되어 여성의 경우 부인병 및 생리통 등이 치료되며, 남성의 경우에는 항문 탈항 등이 예방되거나 치료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약재들이 내부에 수용된 건식단지(20) 및 습식단지(30)와 이를 수납하는 본체(10)의 내표면에는 상기 건식단지(20) 및 습식단지(30)의 내부에 수용된 약재와 더불어 환부를 치료하는 보조부착물(15)이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부착물(15)로는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황토, 옥, 맥반석, 수정, 화산석 등으로 구성되게 되며, 이러한 보조부착물(15)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이 인체에 작용효과를 아래와 같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적외선은 일종의 전자파로 세포의 생리작용이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유해물질을 방출하는 광전(光電)효과가 있으며, 정화력 및 분해력이 월등하여, 인체의 독을 제거하는 해독제 역할을 한다.
또한, 원적외선은 자외선이나 가시광선에 비교하여 대기중의 미립자에 반사하거나, 산란을 일으키는 일은 매우 적어 공기를 잘 투과하며, 대상 물체에 흡수도 잘 되어 물체의 분자에 전기적 공진(共振)과 자기 발열을 일으키게 하고, 방사 침투력 분자의 진동에 의한 공명흡수현상 등으로 에너지 발생분자를 활성화시키는 효과도 있다.
결국, 이러한 원적외선이 인체에 흡수되면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발하게 하고,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유해물질을 방출하는 광전효과 및 정화력과 분해력이 뛰어나 독성을 중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보조부착물(15)이 본체(10) 및 건식단지(20)와 습식단지(30)의 내표면에 부착되게 되면 상기 건식단지(20) 내지는 습식단지(30)의 내부에 수용된 약재의 온열과 더불어 환부에 조사되어 이를 더욱 효과적으로 치료하게 된다.
이와 같은 치료방법의 예를 도 2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건식단지(20)를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건식단지(20)의 내부에 쑥을 수용한 후 어성초, 작약, 구절초, 익모초 등을 수용하고, 그 상부에 다시 쑥을 수용시킨 후 불을 붙여 이 불이 약재에 넓게 옮겨 붙으면 본체(10)의 내부 공간부(11)에 수납시킨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11)에 건식단지(20)를 수납시킨 후 대략 1분 정도가 지나게 되면,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신체하부의 환부가 공간부(11)를 향하도록 좌판부(12)에 편하게 앉는다.
이때, 상기 좌판부(12)의 앞, 뒤쪽으로 대략 손가락 하나 정도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게 되면, 약재 및 보조부착물(15)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이 이 공간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눈 또는 코 등에도 조사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건식단지(20)의 내부에 수용된 약재가 타면서 발생되는 온열은 상기 건식단지(20)의 내표면에 부착된 보조부착물(15)에서 방사된 원적외선과 혼합되면서 상부 또는 외주면에 뚫어진 배출구멍(21)을 통하여 본체(10)의 내부 공간부(11)로 배출되고, 이 배출된 온열은 다시 본체(10)의 내표면에 부착된 보조부착물(15)에서 방사된 원적외선과 혼합되면서 환부에 조사되어 이를 치료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이와 같이 건식단지(20)의 내부에서 태워진 약재로부터 발생된 온열 및 보조부착물(15)에서 방사된 원적외선의 조사를 통하여 여성의 경우 질염, 냉대하, 자궁근종, 물혹, 포진, 습진, 요실금, 생리통, 월경불순 등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고, 남성의 경우에는 성기능장애, 전립선 등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으며, 남녀 공통으로는 생식기 및 항문 탈항, 허리통증, 변비, 잦은 설사 등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습식단지(30)를 통한 환부 치료의 예는 도 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습식단지(30)의 내부에 물을 수용한 후 대략 10분 정도 끊여 따뜻하게 만든 다음 쑥, 어성초, 작약, 구절초, 익모초 등의 약재를 담아 성분이 우러나도록 하고, 본체(10)의 내부 공간부(11)에 수납시킨다.
이러한 습식단지(30)는 가열된 물에 의해 뜨거워진 상태이므로, 상기 습식단지(30)의 상부에 별도의 끈부재(31)를 구비시킨 후 이 끈부재(31)를 잡고 공간부(11)에 수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습식단지(30)가 공간부(11)에 수납된 후에는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환부가 공간부(11)를 향하도록 좌판부(12)에 편하게 앉는다.
따라서, 액상의 약재로부터 발생된 온열은 상기 습식단지(30)의 내표면에 부착된 보조부착물(15)에서 방사된 원적외선과 함께 상부를 통하여 본체(10)의 내부공간부(11)로 배출되고, 이 배출된 온열은 다시 본체(10)의 내표면에 부착된 보조부착물(15)에서 방사된 원적외선과 혼합되면서 환부에 조사되어 이를 치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사용이 완료된 액상의 약재를 별도의 용기에 수용하게 되면, 환자가 좌욕을 실시할 수 있게 되어 환부에 대한 직접적인 치료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뜸 치료기(1)를 통하여 가정에서도 손쉽게 신체하부의 환부를 치료할 수 있으며, 환부의 증상 및 발병정도에 따라서는 건식단지 내지는 습식단지를 선택적으로 바꿔 치료할 수 있게 되어 이에 대한 치료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약재가 건조된 상태로 수용되는 건식단지 및 액상의 약재가 가열된 상태로 수용되는 습식단지가 본체와 함께 제공됨으로써, 환부의 증상 및 발병정도에 따라 이를 선택하여 치료할 수 있어 효과적인 환부의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조부착물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을 통한 환부의 치료가 병행됨으 로써, 환부의 조기치료 및 예방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상의 편의성 향상을 통한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내부에 빈공간인 공간부(11)가 형성됨과 함께 하부 내측에는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갖는 받침부(13)가 형성됨은 물론 외주면에는 상기 공간부(11)의 내외로 공기가 자유롭게 순환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통기공(14)이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환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좌판부(12)와,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에는 상기 받침부(13)의 상단에 안착됨은 물론 건조된 약재가 담겨진 상태로 수납됨과 함께 상기 약재가 타면서 발생되는 온열이 공간부(11)로 배출되도록 외주면에 배출구멍(21)을 갖는 건식단지(20)와,
    상기 본체(10)와 건식단지(20)의 내표면에 각각 부착되어 원적외선을 방사하도록 하는 보조부착물(1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뜸 치료기.
  2. 제 1항에 있어서,
    본체(10)와 건식단지(20)는 황토, 점토, 도석, 주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뜸 치료기.
  3. 제 1항에 있어서,
    건식단지(20)의 내부에 수용되는 약재로는 쑥, 구절초, 작약, 어성초, 익모초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뜸 치료기.
  4. 제 1 항에 있어서,
    보조부착물(15)은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황토, 옥, 맥반석, 수정, 화산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뜸 치료기.
  5.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10) 내에는 건식단지(20) 대신에 받침부(13)의 상단부에 안착되도록 내표면에 보조부착물(15)이 부착됨과 함께 액상의 약재가 가열된 상태로 수납되는 습식단지(3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뜸 치료기.
KR1020030085314A 2003-11-27 2003-11-27 뜸 치료기 KR100554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314A KR100554107B1 (ko) 2003-11-27 2003-11-27 뜸 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314A KR100554107B1 (ko) 2003-11-27 2003-11-27 뜸 치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512A KR20050051512A (ko) 2005-06-01
KR100554107B1 true KR100554107B1 (ko) 2006-02-22

Family

ID=38666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5314A KR100554107B1 (ko) 2003-11-27 2003-11-27 뜸 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41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595Y1 (ko) * 2011-05-17 2013-04-25 김수석 원적외선 뜸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512A (ko) 200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8351Y1 (ko) 회음부 전립선 치료기
KR200460431Y1 (ko) 건식 적외선 발생장치
KR101186120B1 (ko) 좌훈기
KR100841524B1 (ko) 원적외선 좌훈기
KR20060115255A (ko) 훈열치료기를 구비한 의자
CN108042352A (zh) 多用无烟艾灸装置
KR20160038459A (ko) 근적외선 좌훈 찜질패드
KR100933219B1 (ko) 좌식 훈증기
KR20050074406A (ko) 원적외선 온열 좌욕기
KR20120055067A (ko) 원적외선 방사용 골반 교정 기능을 갖는 의자형 좌훈장치
KR100554107B1 (ko) 뜸 치료기
KR101426338B1 (ko) 건식 반신욕기
KR20110130590A (ko) 좌석식 온열기
KR200341931Y1 (ko) 뜸 치료기
KR20160000942U (ko) 회음부 뜸질용 온열패드
KR20110008282U (ko) 황토 용기 온구기
KR101727929B1 (ko) 건식 습식 겸용 적외선 좌욕기
KR200249105Y1 (ko) 의자형 좌욕기
KR20080001273U (ko) 뜸 치료기
KR101262746B1 (ko) 숯을 이용한 좌훈제 및 이를 이용한 좌훈 장치
CN205322755U (zh) 一种座式熏蒸仪
KR200396915Y1 (ko) 원적외선 온열 좌욕기
KR20050059386A (ko) 건식훈증기를 구비한 한방헬스 의자
KR102345214B1 (ko) 다용도 온열기
KR101746919B1 (ko) 전자파 방지 및 사용 편리성을 갖는 온열 찜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61204

Effective date: 2007042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