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7875A - 황토석을 이용한 찜질방 구조 - Google Patents

황토석을 이용한 찜질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7875A
KR20110127875A KR1020100047364A KR20100047364A KR20110127875A KR 20110127875 A KR20110127875 A KR 20110127875A KR 1020100047364 A KR1020100047364 A KR 1020100047364A KR 20100047364 A KR20100047364 A KR 20100047364A KR 20110127875 A KR20110127875 A KR 20110127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her
jjimjilbang
wall
layer
lo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6187B1 (ko
Inventor
노성일
Original Assignee
노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성일 filed Critical 노성일
Priority to KR1020100047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6187B1/ko
Publication of KR20110127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066Cabi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2033/061Artificial hot-air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2033/068Steam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찜질방의 벽체와 천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적으로 생성되는 황토석을 벽돌 형상으로 가공한 황토석층(100)이 찜질방 내부공간에 접하는 곳에 위치하며, 황토흙을 포함한 황토흙 층(200)이 상기 황토석 층(100)의 바깥쪽에 위치하며, 상기 황토흙 층(200)의 외곽에는 철재구조물(410)과 상기 철재구조물 사이를 메우는 제3황토벽(450)으로 구성된 외벽(400)이 위치함으로써, 찜질방 벽체와 천정이 형성되되, 상기 황토흙 층(200)은, 찜질방 공간에 가까운쪽(내측)에는 황토를 굳혀 제작하는 제1황토벽(210)과 제2황토벽(220) 및 상기 제1및제2 황토벽 사이에 인입되는 철구조물(230)이 배치되고 , 상기 철구조물의 외곽쪽에는 단열재(250)가 형성되며, 상기 단열재 외곽으로는 굵은 모래로 된 마사토층(260)이 형성되며, 상기 마사토층의 외곽쪽으로 황토를 굳혀 제작된 황토블록층(2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질방의 벽체 및 천정 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황토석을 이용한 찜질방 구조{ THE STRUCTURE OF SAUNA ROOM }
본 발명은 황토석과 황토흙을 이용한 찜질방의 벽체 및 천정 그리고 바닥 구조에 관한 것이다.
황토석은 천연 자연석으로서 원석 특유의 질감과 색감 및 고유 문양을 갖추고 있으며, 다른 건축 자재보다 생산 공정이 단순하며 기능적으로도 황토의 성질을 그대로 갖추고 있으며 인테리어 재료로 사용할 경우 고품격 내부환경을 연출할 수 있으면서도, 친 환경자재로서 각광받는 재료이다.
근래에 들어 아파트 등의 새집 증후군에 의한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어 인체에 해롭지 않은 친환경 소재의 건물 벽체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있어 왔다. 그에 부응하여 발견된 소재가 황토석이라 할 것이다.
천연의 황토원석은 3억 5천만년 이상 퇴적되어 원시 자연을 그대로 간직한 건강석으로 나무 무늬 모양을 띠고 있으며 현존하는 천연의 광물 중에서 의약적 기능성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주 성분으로는 실리카와 알루미나 철, 마그네슘, 나트륨 등 무기질을 함유한 미세 입자이며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사하고 탈취 작용도 뛰어나다. 아울러 온도 및 습도 조절이 용이하고 열이 잘 전달되며 항균작용까지 발휘되는 매우 유익한 광석인 것이다.
황토석의 효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원적외선 방출효과이다. 황토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은 일반열의 80배나 깊숙히 인체에 스며들어 세포를 1분당 2000회 이상 미세하게 진동시켜 세포조직의 활동을 왕성하게 해 준다. 또한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체내 노폐물 제거, 중금속 배출, 스트레스 해소 나아가 성인병과 부인병을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둘째 공기 정화기능이다. 실내 공기는 눈에 보이지 않는 각종 유해 먼지로 가득한데, 특히 건축자재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은 두통, 무기력증, 아토피 피부염 등을 유발시킨다. 천연의 황토석은 탈취와 흡착 및 항균작용을 발휘하여 상기 질병들을 예방하고 쾌적한 실내를 만들어 준다.
세째 습도조절 기능이다. 천연의 황토석은 미립자 속의 작은 기공을 통해 습도가 높을 때는 습기를 흡수하고 건조한 경우에는 내부에 포함된 습기를 발산하여 실내 습도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대리석이나 콘크리트에 비해 탁월한 습도 조절력으로 인해 감기예방 효과를 발휘한다.
네째 항균 및 난방비 절감기능이다. 천연 황토석은 콘크리트 바닥의 시멘트 독성을 차단하고 다공성이므로 세균 흡착 기능이 탁월하다.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다. 일반적인 석재는 차가워서 바닥에 직접 앉을 경우 한기가 침습하지만 천연황토석은 황토를 함유하고 있어서 오히려 한기를 막아 주는 기능을 한다.
다섯째 강한 내구성이다. 가정생활에 있어서 그릇이나 컵을 떨어뜨려도 표면에 긁힘이 없으며 그 강도는 화강암과 비슷한 정도이다.
여섯째 사용상 안전성이다. 석재를 바닥재로 쓰기 위해서는 미끄럽지 않아야 하는 것이 필수적인 요건인데 천연 황토석은 건조한 상태는 물론이고 물에 젖은 상태에서도 전혀 미끄럽지 않다.
일곱째 고품격의 인테리어 가치이다. 천연 황토석에는 퇴적층에서 볼 수 있는 지층의 느낌이 그대로 살아 있고 자연의 은은한 색감은 정서적 안정감을 주므로 실내의 인테리어, 찜질방의 내부 벽체 및 바닥 시공시 유용하다.
또한 시간이 흘러도 표면의 매끄러운 느낌이 지속되는 점도 하나의 장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찜질방 벽체 구조에서는 상기 황토석의 장점을 살려, 인테리어 기능과 인체 치료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찜질방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인체 치료적 효과를 발휘하며, 찜질방의 실내 공기를 정화 시킬 수 있으며 습도조절 기능을 갖춘 찜질방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찜질방과 같이 여러 사람이 모이는 곳에서도 항균기능을 발휘할 수 있어 전염병 예방이 가능한 찜질방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찜질방의 에너지 사용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찜질방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강한 내구성과 원석 특유의 질감,색감 및 문양을 갖추어 고품격의 인테리어 장식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찜질방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 찜질방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즉 천연적으로 생성되는 황토석을 벽돌 형상으로 가공한 황토석층이 찜질방 내부공간에 접하는 곳에 위치하며, 황토흙을 포함한 황토흙 층이 상기 황토석 층의 바깥쪽에 위치하며, 상기 황토흙 층의 외곽에는 철재구조물과 상기 철재구조물 사이를 메우는 제3황토벽으로 구성된 외벽이 위치함으로써, 찜질방 벽체와 천정이 형성되되, 상기 황토흙 층은, 찜질방 공간에 가까운쪽(내측)에는 황토를 굳혀 제작하는 제1황토벽과 제2황토벽 및 상기 제1및제2 황토벽 사이에는 철구조물이 인입되어 배치되고 , 상기 철구조물의 외곽쪽에는 단열재가 형성되며, 상기 단열재 외곽으로는 굵은 모래로 된 마사토층이 형성되며, 상기 마사토층의 외곽쪽으로 황토를 굳혀 제작된 황토블록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철구조물은 철망일수도 있고, 철 강관 일수도 있다.
상기 마사토층에는 황토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구조에 덧붙혀서, 철재구조물이 찜질방 최외곽에 세로로 일정간격으로 더 설치되어 벽체의 골격을 이루며, 상기 철재구조물 사이 공간은 황토로 채워짐으로써, 황토 찜질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찜질방의 천정 구조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찜질방 천정 구조물의 상부에 별도의 철재구조물이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철재구조물과 찜질방 천정 구조물이 금속 와이어와 같은 소정의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찜질방 천정이 현수됨으로써, 천정 붕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황토석을 이용한 찜질방 벽체 구조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출되어 인체 신진대사 활성화, 각종 성인병 예방 및 노화 방지 등 인체 치료적 효과를 발휘하며, 찜질방의 실내 공기를 정화(탈취기능) 시킬 수 있고 습도조절 기능도 탁월하다.
또한 찜질방과 같이 여러 사람이 모이는 곳에서도 항균기능을 발휘할 수 있어 전염병 예방이 가능하다.
또한 천연 황토석을 사용하므로 찜질방의 에너지 사용량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이에따라 난방비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강한 내구성과 나무 무늬와 흡사한 아름다운 외관을 갖추고 있고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주는 실내 인테리어 기능을 발휘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벽체와 천정구조가 적용될 수 있는 찜질방의 외곽 형상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벽체 구조 중 황토석층과 황토흙층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황토석층, 황토흙층 및 외벽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천정의 안정성을 더 확보하기 위한 철재 구조물과 연결수단을 함께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벽체와 천정구조가 적용될 수 있는 찜질방의 외곽 형상의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벽체 구조 중 황토석층과 황토흙층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황토석층, 황토흙층 및 외벽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찜질방 벽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황토석층(100), 황토흙층(200) 및 외벽(4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편의상 황토석층(100)과 황토흙층(200)만을 도시하고 있다.
통상적인 황토 찜질방은 시멘트 벽체를 시공한 후, 그 외벽에만 얇은 두께로 황토흙 만을 발라 이를 황토 찜질방으로 광고, 영업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찜질방 벽체 구조는 상기 통상적인 찜질방 구조와는 완전히 다른 구조를 취한다. 즉, 천연 황토석과 천연의 황토만을 주 재료로 하여 시공하여, 황토 및 황토석 본연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이다.
황토석층(100)은 천연석인 황토석을 가공한 것이며, 황토흙층(200)은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여 도 3과 같은 여러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외벽(400)은 전체 벽체의 강도 유지를 위한 부분으로서 철재구조물(410)과 제3황토벽(450)으로 구성된다.
찜질방 내부로부터 각 층의 구조를 설명한다. 우선, 천연적으로 생성되는 황토석을 벽돌 형상으로 가공한 황토석층(100)이 찜질방 내부공간에 접하는 곳에 위치한다.
황토석은 상술한 바와 같이, 목재와 같은 부드러운 느낌을 주면서도, 인체 신진대사 활성화 기능, 항균 및 습도 조절기능 및 기타 인테리어적 기능(심미적기능) 가능까지 매우 많은 장점을 가진 천연의 석재로서 찜질방 이용자와 직접 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황토석은 황토흙과는 달리 단단한 석재 광물이므로, 견고함과 미적 유려함 등을 아울러 갖추고 있어서, 찜질방 최 내부벽면, 바닥, 천정의 재료로 채용한 것이다.
황토석을 찜질방 내부 벽면에 채용한 것은 본 발명이 최초의 시도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로서도 황토흙이 아닌 황토석 자체를 찜질방 내부 벽면, 천정재, 바닥재로서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 용이하게 창작해 낼 수 없어, 이는 완전히 새로운 구조이자 향후 찜질방의 새로운 롤 모델이 될 것이 예상된다.
황토석은 도 3과 같은 벽돌형상 뿐만 아니라, 넓은 타일 형상, 원형, 타원형, 기타 다른 기하학적인 형상으로 얼마든지 가공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그 두께도 수센티미터 부터 수십센티미터까지 얼마든지 변형 가능하다.
그 외곽으로는 제1황토벽과 제2황토벽(210,220)이 위치한다. 이러한 황토벽은 황토를 수분과 배합하여 굳힌 것으로서, 상기 황토석층(100)이 천연석이라는 점과 구별된다.
황토흙은 황토석과는 인체 치료효과적인 면에서는 유사하지만, 물성이 다르다. 즉, 황토석은 비열이 작아 짧은 시간에 고온으로 신속히 가열되고 냉각되는 반면, 황토흙은 황토석에 비해서 비열이 높아 천천히 가열되고 천천히 식게 되는 특성이 있어 이를 혼용하여 벽체,천정 바닥 구조물을 만들 경우 상호 장점을 모두 ㅇ이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물성의 차이점에 착안하여, 신속하게 가열될 부분인 황토석층(100)을 이용자와 바로 접하는 최 내곽 쪽에 배치하였고, 한 번 가열된 찜질방 벽체가 쉽게 식지 않도록 그 외곽측에 황토흙층(200)을 배치한다.
다시 말하면, 황토흙과 황토석의 각각의 장점과 단점(물성의 차이)을 상호 보완할 수 있도록 황토석층(100)과 황토흙층(200)을 배치시킨 것이다.
이로써 찜질방 운영자로서는 에너지 절감 효과도 동시에 얻게 된다.
제1 및 제2 황토벽(210,220) 사이에는 금속 구조물인 철구조물(230)이 위치하여, 구조물의 강도 보강, 견고성 유지 기능을 발휘하도록 하였다. 황토흙은 굳은 상태에서도 높은 견고성을 유지하기 힘들기 때문에 철구조물(230)이 삽입되는 것이다. 철 구조물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각으로 엮은 철근 일수도 있으며, 그 보다 굵은 금속 강관 등 일체의 철 구조물을 말한다. 상기 철근을 엮은 망눈의 형태는 사각의 이외에도 육각형, 마름모 등 얼마든지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철구조물은 상술된 바와 같이 건축구조물 재료가 되는 일체의 철 구조물이 그 대상이 됨은 자명하다.
그 외곽측으로는 단열재(250)가 위치한다. 이는 찜질방을 데우는 황토석과 황토벽이 함유한 열을 외부로 누출시키지 않기 위함이다. 단열재로는 통상의 건축 단열재로 사용되는, 스티로폼에 은박이 코팅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기타 단열기능을 발휘하는 여하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그 외곽으로는 마사토층(260)이 형성된다. 마사토층은 굵은 모래 성분이 주성분인데, 마사토를 수분에 배합하여 굳혀 제작할 수도 있고, 마사토를 주재료로 하여 황토를 수분에 배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이때 마사토와 황토의 배합비율은 1:1, 2:1, 3:1 등 다양하게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마사토층(260) 역시 상기 단열재(250)와 같이 단열기능을 발휘함이 주 목적이다.
그 외곽으로는 황토블록층(270)이 형성되는데, 황토블록층은 황토를 블록 형태로 굳혀 쌓은 것이며, 단열기능과 및 전체 구조물의 안정성을 주목적으로 설치된다.
황토블록층(270)의 외곽으로는 외벽(40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찜질방 벽체의 견고성을 더욱 안전하게 보강하기 위함이다. 외벽(4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철재구조물(410)과 제3황토벽(450)으로 구성된다. 상기 황토블록층(270)과 외벽(400) 구조는 함께 설치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철재구조물(410)은 C형 강관이 사용됨이 바람직하지만, 기타 H 형 강관이나, 강도 보강을 위한 여러 형태의 강관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철재구조물(410)은 30 내지 100 센티미터 정도로 세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사이 공간은 황토를 굳힌 것으로 채워지게 된다.
도 5와 같이, 찜질방의 천정 구조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찜질방 천정 구조물의 상부에 철재구조물(500)이 더 형성되고 상기 철재구조물과 찜질방 천정 구조물 중 철구조물(230)이 소정의 연결수단(510)에 의해 연결되어, 찜질방 천정이 현수된다. 상기 연결수단(510)은 금속 와이어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기타 강관 구조물을 적용할 수도 있다.
도면을 통해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벽체 구조는 바닥에도 시공가능함은 물론이다.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주로 벽체와 천정의 층별 구조에 있으며, 찜질방의 구조역학적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여러 금속 골격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 수준에서 변형가능한 균등 범위내의 여하한 발명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함을 밝혀 둔다.
황토석층(100) 황토흙층(200)
제1황토벽(210) 제2황토벽(220)
철구조물(230) 단열재(250)
마사토층(260) 황토블록층(270)
외벽(400) 철재구조물(500, 410)
제3황토벽(450)
연결수단(510)

Claims (4)


  1. 천연적으로 생성되는 황토석을 소정의 기하학적인 형상으로 가공한 황토석층(100)이 찜질방 내부공간에 접하는 곳에 위치하며,
    황토흙을 포함한 황토흙 층(200)이 상기 황토석 층(100)의 바깥쪽에 위치하며,
    상기 황토흙 층(200)의 외곽에는 철재구조물(410)과 상기 철재구조물 사이를 메우는 제3황토벽(450)으로 구성된 외벽(400)이 위치함으로써, 찜질방 벽체와 천정이 형성되되,
    상기 황토흙층(200)은, 찜질방 공간에 가까운쪽(내측)에는 황토를 굳혀 제작하는 제1황토벽(210)과 제2황토벽(220) 및 상기 제1및제2 황토벽 사이에 인입되는 철구조물(230)이 배치되고 , 상기 황토흙층(200)의 외곽쪽에는 단열재(250)가 형성되며, 상기 단열재 외곽으로는 굵은 모래로 된 마사토층(260)이 형성되며, 상기 마사토층의 외곽쪽으로 황토를 굳혀 제작된 황토블록층(27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석을 이용한 찜질방 구조.

  2. 천연적으로 생성되는 황토석을 소정의 기하학적인 형상으로 가공한 황토석층(100)이 찜질방 내부공간에 접하는 곳에 위치하며,
    황토흙을 포함한 황토흙 층(200)이 상기 황토석 층(100)의 바깥쪽에 위치하며,
    상기 황토흙 층(200)의 외곽에는 철재구조물(410)과 상기 철재구조물 사이를 메우는 제3황토벽(450)으로 구성된 외벽(400)이 위치함으로써, 찜질방 벽체와 천정이 형성되되,
    상기 황토흙 층(200)은, 찜질방 공간에 가까운쪽(내측)에는 황토를 굳혀 제작하는 제1황토벽(210)과 제2황토벽(220) 및 상기 제1및제2 황토벽 사이에 인입되는 철구조물(230)이 배치되고 , 상기 철구조물의 외곽쪽에는 단열재(250)가 형성되며, 상기 단열재 외곽으로는 굵은 모래로 된 마사토층(26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석을 이용한 찜질방 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찜질방의 천정 구조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찜질방 천정 구조물의 상부에 별도의 철재구조물(500)이 더 형성되고 상기 철재구조물과 찜질방 천정 구조물 중 철구조물(230)이 소정의 연결수단(510)에 의해 연결되어, 찜질방 천정이 현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석을 이용한 찜질방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510)은 금속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석을 이용한 찜질방 구조
KR1020100047364A 2010-05-20 2010-05-20 황토석을 이용한 찜질방 구조 KR101186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364A KR101186187B1 (ko) 2010-05-20 2010-05-20 황토석을 이용한 찜질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364A KR101186187B1 (ko) 2010-05-20 2010-05-20 황토석을 이용한 찜질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875A true KR20110127875A (ko) 2011-11-28
KR101186187B1 KR101186187B1 (ko) 2012-09-27

Family

ID=45396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364A KR101186187B1 (ko) 2010-05-20 2010-05-20 황토석을 이용한 찜질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61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596B1 (ko) * 2012-09-28 2013-03-20 이영철 황토석을 이용한 찜질방 벽체구조
CN105952189A (zh) * 2016-05-31 2016-09-21 欧阳海 一种电气石汗蒸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241Y1 (ko) 2004-09-20 2004-12-13 박희삼 황토 찜질방
KR100867138B1 (ko) 2006-01-13 2008-11-06 김수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다량으로 방사하는 대나무 찜질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596B1 (ko) * 2012-09-28 2013-03-20 이영철 황토석을 이용한 찜질방 벽체구조
CN105952189A (zh) * 2016-05-31 2016-09-21 欧阳海 一种电气石汗蒸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6187B1 (ko) 201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6187B1 (ko) 황토석을 이용한 찜질방 구조
KR100844845B1 (ko) 친환경 건축 내장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603538B1 (ko) 화장대를 겸하는 개인용 생황토 찜질방 및 그 이용방법
KR19990014453A (ko) 원적외선 방사 온돌 바닥 시공 방법
KR101645559B1 (ko) 공기 질 개선효과와 결로현상 방지구조를 갖는 이동식 황토방
KR100374742B1 (ko) 건물 내벽 및 바닥 시공방법
KR101243596B1 (ko) 황토석을 이용한 찜질방 벽체구조
KR20160090151A (ko) 황토 난방 매트
KR200394331Y1 (ko) 옥석부산물을 이용한 건축용 타일
KR100864531B1 (ko) 건강 도우미 숯 온돌방 구조 및 시공방법
KR101186194B1 (ko) 황토석을 이용한 실내 벽체구조
KR100736191B1 (ko) 건축물 내장재
KR100867138B1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다량으로 방사하는 대나무 찜질방구조
KR20020059855A (ko) 토르마린 함유층을 갖는 건축물 마감재 및 이를 이용한건물 시공방법
KR200370176Y1 (ko) 황토를 이용한 건축 내장재용 타일
KR20100049523A (ko) 난방 기능이 부가된 황토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196733B1 (ko) 옻칠을 이용한 온돌침대용 황토판 및 그 황토판 제조방법
KR20070096176A (ko) 황토매트 제조방법과 그 매트
KR100704740B1 (ko) 온수파이프 배관용 온돌판재어셈블리
KR100528650B1 (ko)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판넬과 그 구조물
KR100375778B1 (ko) 황토 건강바닥 시공 방법 및 바닥재
KR20130016707A (ko) 공기순환성 황토흙벽돌
KR100816644B1 (ko) 대마황토를 이용한 찜질방
KR200271191Y1 (ko) 건축자재
WO2006080823A1 (en) Bottom plate using yellow soil sto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