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191Y1 - 건축자재 - Google Patents

건축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191Y1
KR200271191Y1 KR2020010037733U KR20010037733U KR200271191Y1 KR 200271191 Y1 KR200271191 Y1 KR 200271191Y1 KR 2020010037733 U KR2020010037733 U KR 2020010037733U KR 20010037733 U KR20010037733 U KR 20010037733U KR 200271191 Y1 KR200271191 Y1 KR 2002711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ine
mixture layer
och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7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돈상
Original Assignee
유돈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돈상 filed Critical 유돈상
Priority to KR20200100377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1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1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191Y1/ko

Links

Landscapes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자재에 관한 것으로서, 황토 55 내지 65중량%와 파쇄된 옥 10 내지 45중량%와 적정량의 수분을 포함하여 압출 형성된 혼합물층과, 상기 혼합물층의 양면에 압착된 한 쌍의 소나무마감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열보유성 및 보온성이 우수하여 에너지절감할 수 있고, 불연성 재질로 화재위험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건강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습도조절을 할 수 있어 세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고, 악취제거 및 방충기능이 있는 건축자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청정기능이 우수하고, 흡음, 방음성, 강도, 내구성 등이 강화된 건축자재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소나무마감층의 나무질감이 설치 건물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자재{building materials}
본 고안은, 건축자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나무마감층 사이에 천연재료가 혼합된 혼합물층이 개재되어 있는 건축자재에 관한 것이다.
건축문화 발달 및 기술의 개발로 인하여 건축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의 공법들이 개발되고 있고, 벽돌 역시 시멘트를 주재로 하는 건축자재들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건축공정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건축자재들이 강도는 우수하지만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방출하며, 인체에 좋은 영향을 끼치는 각종 파동을 차단하여 생체리듬을 파괴함으로서 건강을 해친다는 것이 많은 연구 결과로부터 알려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시멘트 공간에서 생활하는 사람의 신체가 시멘트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독성과 직접 접촉되며, 또한, 바닥에 매설된 온돌파이프 내의 온수 가동 여부에 따라서 바닥의 냉온 차이가 심하고 습기가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즉, 겨울에는 온돌 파이프에 온수가 공급되므로 장판과 바닥사이에 습기가 없으나, 여름의 경우 집안 온수를 가동시키지 않게 되므로 온돌 파이프 내에는 물이 충만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관계로 외부의 날씨가 온돌 파이프 내부에 충만된 물의 온도보다 낮거나 높을 경우에는 시멘트 바닥과 장판 사이에 습기가 발생되어 신체의 리듬을 파기시켜 숙면을 할 수 없게 되고, 항상 몸이 어딘가 모르게 불편함을 느끼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황토를 이용한 건축자재들이 많이 개발되어 있으나, 황토는 물과 반죽하여 건조시킬 경우 어느 정도 단단해 지지만 장기간 경과되면, 내구성 떨어지고, 황토는 완전 콘크리트화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비를 맞거나 습기가 차면 곰팡이가 생기고 쉽게 부서지게 된다.
이에 황토를 이용한 건축자재는 수명이 아주 짧고 쉽게 파손되며 우수에 견디지 못하므로 실질적으로 그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소나무마감층 사이에 천연재료가 혼합된 혼합물층이 개재되어 있는 건축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자재의 제1실시예인 바닥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응되는 제1실시예인 바닥재의 사시도,
도 3은 도 1 내지 도 2에 따른 바닥재의 설치 상태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자재의 제2실시예인 천장재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천장재의 설치 상태도,
도 7은 도 6의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닥재 10 : 혼합물층
11 : 상부혼합물층 12 : 하부혼합물층
20 : 소나무마감층 21 : 상부소나무마감층
22 : 하부소나무마감층 30 : 설치면
40 : 계단부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황토 55 내지 65중량%와 파쇄된 옥 10 내지 45중량%와 적정량의 수분을 포함하여 압출 형성된 혼합물층과, 상기 혼합물층의 양면에 압착된 한 쌍의 소나무마감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혼합물층은, 상기 황토 60중량%, 상기 옥 35중량%이며, 참숯 5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 될 수 있고, 상기 황토 60중량%, 상기 옥 20중량%이며, 참숯 5중량%, 솔잎 15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거나, 상기 상기 황토 60중량%, 상기 옥 15중량%이며, 참숯 5중량%, 솔잎 15중량%, 은행나무 잎 5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황토 58중량%, 상기 옥 15중량%이며, 참숯 5중량%, 솔잎 15중량%, 은행나무 잎 5중량%, 밀가루 2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나무마감층은, 냉동건조된 소나무목재를 두께 4 내지 8mm로 절단하여 50 내지 70℃온도에서 상기 혼합물층에 압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혼합물층은, 솔잎 또는 은행나무 잎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증숙하여 추출되는 추출액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둘레연부를 따라 계단형상의 계단부가 형성되도록 절단되어 있는 것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자재의 제1실시예인 바닥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대응되는 제1실시예인 바닥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 내지 도 2에 따른 바닥재의 설치 상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축자재의 제1실시예인 도 1의 바닥재(1)는, 소나무목재인 한 쌍의 소나무마감층(20)과, 한 쌍의 소나무마감층(20)의 사이에 개재되며 후술할 각종 재료들이 배합된 혼합물층(10)으로 구성된다.
혼합물층(10)은, 천연재료인 황토, 옥, 솔잎, 참숯, 은행나무잎과, 밀가루로 이루어지며, 소나무마감층(20)은 냉동건조시킨 소나무목재를 일정한 두께로 잘라 로울러로 압착하여 마련된다.
황토는, 미세한 토립의 풍적물로, 여러 가지 광물 입자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크기가 0.02-0.05mm 인 조립질과 중립질이 무게비로 약 50% 정도이다. 점토크기(0.005mm이하)의 입자들은 5-10% 정도이다. 그 화학적 조성이 충적호토양과 비슷하며, 실리카 60-65%, 철분 5-6%, 알루미나 10-13%, 마그네슘과 나트륨이 각 2% 내외, 칼리 1.5%, 석회 8% 내외이다.
이러한, 황토는, 열 또는 자연광에 의해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건조할 때 수분을 방출하며, 악취와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는 물질로, 분해력 자정력, 흡수력 등이 뛰어나고, 인간에 유익한 약성을 갖고 있다는 특징으로 갖고 있다. 이에 이러한 황토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재(1)의 혼합물층(10)에 포함되어 차열, 단열, 내습, 흡습력과 보온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황토는 인체노화의 원인이 되는 과산화지질을 중화 내지 희석시켜 체질을 개선하고 노화를 억제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옥은, 인체에 극히 필요한 광물, 칼슘, 마그네슘을 함유하고 있으며, 그 성분 중 마그네슘이 40%로 엽록소의 구성 물질로 되어 있다. 동시에 우리 인체 세포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 역시 마그네슘으로 되어있어 옥에서 나오는 기의 파동과 인체세포의 기의 파동은 동일하다. 따라서 옥에서 발산 하는 파동이 우리 인체 세포에 골고루 침투하여, 동명공진 작용을 함으로써, 조직의 부활, 혈액순환, 혈액의 약 알카리화, 체내의 유해 노폐물배설, 노쇠를 방지하는 등 건강을 유지하는데 획기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솔잎은, 엽록소, 비타민 a,c,k, 단백질, 지방, 인, 철, 효소, 테르펜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담즙의 분비를 촉진하는 역할과 체내의 노폐물을 배출시켜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며, 여기서 테르펜은 불포화 지방산과 콜레스테롤을 용해시키므로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하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솔잎은 분말화되어 본 고안에 따른 바닥재(1)의 혼합물층(10)에 포함된 후에는 건축물 내의 악취를 제거해 줄 뿐만 아니라 건축물 내부로 방향 성분을 방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청량감을 느끼게 해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참숯은, 미세 세공을 지닌 물질로, 1g당 무려 300㎥라는 넓은 표면적을 갖고 있기 때문에 흡취, 흡습 등 흡착성이 높다. 특히 숯은 습도의 높고 낮음에 따라 흡습 또는 방출하는 탈착작용을 하여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해 주는 양방향성 능력을 갖고 있어 건물의 습도 조절제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숯에 의해 건물의 습도가 조절되기 때문에 흰개미, 진드기, 바퀴벌레 등의 해충구제에 큰 도움이 된다. 또한, 숯의 강력한 흡착력으로 인체에 해로운 바이러스나 박테리아와 같은 세균 및 독소, 냄새 등을 흡수 분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더욱이 숯은 활성탄과 같이 음이온 전자가 많기 때문에 물질의 부패를 막아주고 산성화된 몸을 건강한 상태로 회복시켜 주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은행나무 잎은, 방화와 내화에 강한 은행나무의 잎으로써 예전부터 좀벌레를 죽이는 힘이 있어 책의 좀벌레를 없애기 위하여 사용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바닥재(1)의 혼합물층(10)에 포함되어 방충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소나무마감층(20)으로 사용되는 소나무는, 특유의 향을 가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모발을 나게 하고, 내장을 편안하게 해주는 기능과, 산소 즉,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고안에서 소나무는 바닥재(1)의 소나무마감층(20)으로 가공되어 바닥재(1)를 강인하게 해 줄 뿐만 아니라 바닥재(1)의 물성 즉, 흡음, 방음성, 단열성 등을 강화시켜 주며, 바닥재(1)의 제조공정에서 황토의 흡수를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밀가루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재(1)의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황토의 응고 보조제이며, 또한, 밀가루는 바닥재(1) 완성 후, 표면을 매끄럽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건축자재의 제1실시예인 바닥재(1)는 황토 58중량%, 옥분말 15중량%, 솔잎 15중량%, 참숯 5중량%, 은행나무 잎 5중량%, 밀가루 2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층(10)과, 소나무목재의 소나무마감층(20)으로 구성되며, 이를 제조하는 공정은 다음과 같다,
제1공정은 분말화 공정으로, 황토, 옥, 솔잎, 참숯, 은행나무 잎을 미세하게 분쇄한다. 여기서, 옥은 5mm 입도 이내로, 참숯은, 1mm 입도 이내로 분쇄하며, 솔잎은 냉동건조한 것을 사용하여 0.5mm 입도 이내로 분쇄한다.
제2공정인 배합공정에서는, 미세하게 분쇄된 황토 58중량%, 옥분말 15중량%, 솔잎 15중량%, 참숯 5중량%, 은행나무 잎 5중량%와, 황토의 응고보조제인 밀가루 2중량%를 배합한다.
제3공정에서는 황토, 옥분말, 솔잎, 참숯, 은행나무잎, 밀가루의 혼합물에 솔잎 또는 은행나무 잎을 증숙하여 추출된 물을 가해 교반하고, 제4공정은, 제3공정에서 황토, 옥분말, 솔잎, 참숯, 은행나무 잎, 밀가루의 혼합물과 나뭇잎(솔잎 또는 은행나무 잎)으로부터의 추출액이 혼합되어 반죽이 형성되면, 이러한 반죽을 압출하는 공정이다.
제5공정은 압착공정으로, 접착제가 분사되어 있는 한 쌍의 소나무마감층(20) 사이에 제4공정에서 압출된 혼합물을 개재시킨 후, 이를 50 내지 70℃의 온도를 가하면서 압착시킨다.
여기서, 소나무마감층(20)은, 냉동건조된 소나무목재를 두께 6mm로 자르고 이를 로울러로 가압하여 얇은 판의 형태로 마련된 것이다.
한 쌍의 소나무마감층(20) 사이에 개재된 제4공정에서의 압출물이 제5공정에서 소나무마감층(20)과 함께 압착되면, 제6공정에서 이를 가마에 넣고 100-150℃로 1시간 정도 열을 가하여 건조시킨 후, 절단공정인 제7공정에서 둘레연부를 따라 계단형상으로 계단부(40)가 형성되도록 절단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 내지 30mm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상으로 둘레연부에 계단부(40)가 형성된 바닥재(1)가 형성된다.
이에 제4공정에서 압출된 혼합물은 한 쌍의 소나무마감층(20)과 함께 압착되어 양 소나무마감층(20) 사이의 혼합물층(10)을 형성하고, 혼합물층(10)은 계단부(40)를 기준으로 하여 상측에 형성된 상부혼합물층(11) 및 하측에 형성된 하부혼합물층(12)으로 구성된다. 또한, 여기서, 소나무마감층(20)은, 상부혼합물층(11)의 상면에 위치되는 상부소나무마감층(21)과, 하부혼합물층(12)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하부소나무마감층(22)으로 구성된다.
연마공정인 제8공정에서는, 상부소나무마감층(21) 및 하부소나무마감층(22)을 연마하여 바닥재(1)의 매끄러운 표면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공정에서 제8공정을 거치게 되면, 황토, 옥, 솔잎, 참숯, 은행나무 잎으로 이루어진 상부 및 하부혼합물층(11,12)과, 상부혼합물층(11) 위에 배치되는 상부소나무마감층(21)과, 하부혼합물층(12)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소나무마감층(22)을 바닥재(1)가 완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바닥재(1)의 설치할 경우 계단부(40)가 형성된 바닥재(1) 간의 결합을 위해서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재(1)의 계단부(40)의 모서리영역의 형태를 달리한 4종류의 바닥재(1)를 제7공정에서 마련하고, 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재(1)의 계단부(40)가 상호 계합되도록 결합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소나무마감층(21)과 하부소나무마감층(22)이 번걸아 설치면(30)에 접촉되면서 바닥재(1)가 설치면(30)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황토, 옥, 솔잎, 참숯, 은행나무 잎, 밀가루로 이루어진 혼합물층(10)과, 혼합물층(10)을 마감하는 소나무마감층(20)을 갖는 바닥재(1)가 마련되면, 혼합물층(10)이 열보유성 및 보온성이 우수하므로 에너지절감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불연성 재질로 화재위험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신체의 혈액순환과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여 건강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습도조절을 할 수 있어 세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고, 악취를 제거 및 방충효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소나무마감층(20)이, 나무질감을 제공하여 심미성을 향상시키고, 소나무 고유의 향을 발산하므로 공기를 청정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바닥재(1)의 강도를 보강시킴과 동시에 흡음 방음성 등을 강화시켜 주며, 바닥재(1)의 제조공정에서 황토의 흡수를 용이하게 하므로 바닥재(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에 따르는 건축자재를 바닥재(1)에 적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자재의 제2실시예인 천장재의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천장재의 설치 상태도이며, 도 7은 도 6의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인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즉, 제2실시예가 도시된 도 5 내지 도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는 건축자재를 천장면(30a)에 설치하는 천장재(1a)로 할 수도 있으며, 또한, 제1실시예에서는 바닥재(1)에 계단부(40)가 형성되어 있으나, 제2실시예인 천장재(1a)를 제조할 때 도 5와 같이 일면에만 소나무마감층(20a)이 형성된 평평한 직사각형상으로 마련할 수 있다. 이에 제2실시예의 천장재(1a)를 설치할 때에는 도 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면(30a)에 천장재(1a)를 연접설치하고, 천장재(1a)들이 접촉되는 틈은 몰탈처리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건축자재는 건물의 측벽에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열보유성 및 보온성이 우수하여 에너지절감할 수 있고, 불연성 재질로 화재위험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건강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습도조절을 할 수 있어 세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고, 악취제거 및 방충기능이 있는 건축자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청정기능이 우수하고, 흡음, 방음성, 강도, 내구성 등이 강화된 건축자재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소나무마감층의 나무질감이 설치 건물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8)

  1. 황토 55 내지 65중량%와 파쇄된 옥 10 내지 45중량%와 적정량의 수분을 포함하여 압출 형성된 혼합물층과, 상기 혼합물층의 양면에 압착된 한 쌍의 소나무마감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층은, 상기 황토 60중량%, 상기 옥 35중량%이며, 참숯 5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층은, 상기 황토 60중량%, 상기 옥 20중량%이며, 참숯 5중량%, 솔잎 15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층은, 상기 황토 60중량%, 상기 옥 15중량%이며, 참숯 5중량%, 솔잎 15중량%, 은행나무 잎 5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층은, 상기 황토 58중량%, 상기 옥 15중량%이며, 참숯 5중량%, 솔잎 15중량%, 은행나무 잎 5중량%, 밀가루 2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나무마감층은, 냉동건조된 소나무목재를 두께 4 내지 8mm로 절단하여 50 내지 70℃온도에서 상기 혼합물층에 압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층은, 솔잎 또는 은행나무 잎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증숙하여 추출되는 추출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
  8. 제7항에 있어서,
    둘레연부를 따라 계단형상의 계단부가 형성되도록 절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
KR2020010037733U 2001-12-06 2001-12-06 건축자재 KR2002711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733U KR200271191Y1 (ko) 2001-12-06 2001-12-06 건축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733U KR200271191Y1 (ko) 2001-12-06 2001-12-06 건축자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7090A Division KR100450443B1 (ko) 2001-12-06 2001-12-06 건축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191Y1 true KR200271191Y1 (ko) 2002-04-09

Family

ID=73113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733U KR200271191Y1 (ko) 2001-12-06 2001-12-06 건축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19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035Y1 (ko) 2010-06-25 2012-12-10 진성산업 주식회사 건축용 판넬
KR101785071B1 (ko) 2017-03-17 2017-10-12 한정한 가구 및 인테리어용 요철무늬 장식판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035Y1 (ko) 2010-06-25 2012-12-10 진성산업 주식회사 건축용 판넬
KR101785071B1 (ko) 2017-03-17 2017-10-12 한정한 가구 및 인테리어용 요철무늬 장식판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9446B1 (ko) 황토를 이용한 건축재 제조방법
KR20020009249A (ko) 건축 내외장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32039B1 (ko) 원적외선방사온돌바닥시공방법
KR200271191Y1 (ko) 건축자재
KR100450443B1 (ko) 건축자재
KR100626716B1 (ko) 건축용 내장판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장판넬
KR101204297B1 (ko) 황토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및 황토 플레이트
KR20100124459A (ko) 건축물 내벽 마감재 제조방법
KR19980087648A (ko) 건축용 내장재의 패널
KR200381632Y1 (ko) 황토판넬
KR20110092053A (ko) 황토 패널용 천연 혼합풀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황토패널 제작방법
KR101069933B1 (ko) 항균 및 방취용 신발 깔창과 그 제조 방법
KR100814899B1 (ko) 친환경 실내외 건축 보드
KR20000054643A (ko) 옥분말 및 숯분말을 함유하는 원적외선방사접착제를이용하여 제조되는 건축용 조립식 마루판재 및 그제조방법
KR20000033318A (ko) 황토벽돌 제조방법 및 황토벽돌
KR101579799B1 (ko) 진흙보드 제조방법
KR100497470B1 (ko) 소금 및 게르마늄이 함유된 갯뻘매트를 구비한 온돌식침대
KR20210122326A (ko) 규조토, 일라이트를 함유하고 편백추출액으로 코팅된 건축용 마감재
KR101186187B1 (ko) 황토석을 이용한 찜질방 구조
KR200205862Y1 (ko) 옥분말 및 숯분말을 함유하는 원적외선방사접착제를이용하여 제조되는 건축용 조립식 마루판재
KR100208777B1 (ko) 온돌판재 조성물
KR100375778B1 (ko) 황토 건강바닥 시공 방법 및 바닥재
KR200337509Y1 (ko) 벽돌
KR20050099337A (ko) 양구사토를 주요 구성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및 건축구조물또는 일상용품의 제조방법
KR100191266B1 (ko) 활성탄과 진흙 및 종이로 이루어진 패널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