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035Y1 - 건축용 판넬 - Google Patents

건축용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035Y1
KR200464035Y1 KR2020100006753U KR20100006753U KR200464035Y1 KR 200464035 Y1 KR200464035 Y1 KR 200464035Y1 KR 2020100006753 U KR2020100006753 U KR 2020100006753U KR 20100006753 U KR20100006753 U KR 20100006753U KR 200464035 Y1 KR200464035 Y1 KR 2004640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panel
door
waterproof
prese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7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058U (ko
Inventor
윤광노
Original Assignee
진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성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67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03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00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0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0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0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 소정의 두께를 갖는 장방형의 판넬에 있어서, 메인판의 좌우 각 양측 각 모서리에서 어느 일측의 모서리를 절삭하여 절삭부와 지지부를 형성하고 메인판의 외면(전후면)에 방수용 필름지를 일체로 접착하여 형성한 것과;
메인판의 상하좌우 각 면에 방수심재를 일체형으로 접착 형성하고, 상기 좌우 양측 단면에 접착되는 측면방수심재는 외측의 양측 모서리 중에서 어느 일측의 모서리를 절삭 제거하여 절삭부와 지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양측의 모서리에 절삭부와 지지부가 형성되거나 상하좌우 단면에 방수심재가 접착된 판넬의 외면(전후면)에 방수용 필름지를 일체로 접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이다.
본 고안은, 건축용 판넬을 연속적으로 조립 설치할 때에 일측 건축용 판넬의 지지부가 타측 건축용 판넬의 절삭부에 결합되어 상호 지지부가 중첩되도록 하고, 외면에 접착되는 방수용 필름지에 의해 방수기능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이다.
또 본 고안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판넬을 화장실에 적용하여 벽체와 출입문용으로 설치할 때에 출입문용으로 설치되는 건축용 판넬과 벽체용으로 설치되는 건축용 판넬의 지지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설치하여 줌으로서, 벽체와 출입문과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화장실의 내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종래와 같이 벽체와 출입문과의 사이에 노출방지용 패드(모발패드)를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폐단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건축용 판넬의 상하 양측 모서리를 호형(곡면)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서 이를 화장실에 적용하여 설치하였을 때에 사람(특히 어린 아이)이 출입할 때에 모서리에 걸려 넘어지거나, 옷이 모서리에 걸려 찢어지거나 하는 폐단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판넬{ASSEMBLING PANELS}
본 고안은 주로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건축용 판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메인판의 좌우 각 양측 각 모서리에서 어느 일측의 모서리를 절삭하여 절삭부와 지지부를 형성하거나, 메인판의 상하좌우 각 면에 방수심재를 일체형으로 접착 형성하되 좌우 양측 단면에 접착되는 측면방수심재는 외측의 양측 모서리 중에서 어느 일측의 모서리를 절삭 제거하여 절삭부와 지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양측의 모서리에 절삭부와 지지부가 형성되거나 상하좌우 단면에 방수심재가 접착된 판넬의 외면(전후면)에 방수용 필름지를 일체로 접착하여, 건축용 판넬을 연속적으로 조립 설치할 때에 일측 건축용 판넬의 지지부가 타측 건축용 판넬의 절삭부에 결합되어 상호 지지부가 중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건축용 판넬은 상하좌우의 면이 평면으로 되는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이 상하좌우의 면이 평면으로 된 장방형의 건축용 판넬을 연속적으로 설치할 때에 인접하는 건축용 판넬의 접속(인접)면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되고, 이와 같이 발생하는 틈을 없애기 위해서는 별도의 밀폐수단(패드)을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폐단이 있다.
상기와 같은 폐단을 다소 나마 해소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으로는, 국내의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84-2096호의 단열방습용 판넬과 실용신안등록 제20-317151호의 건축용 판넬과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1005-29682호의 불연건축용 패널 및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1009-85770호의 건축외장용 단열판넬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에서 국내의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84-2096호의 단열방습용 판넬과 실용신안등록 제20-317151호의 건축용 판넬과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1005-29682호의 불연건축용 패널은,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판넬의 양 측면에 요부와 돌부를 대응되게 형성하여, 판넬을 서로 연속 설치할 때에 인접하는 양측 판넬의 요부와 돌부가 서로 결합되도록 된 것이다.
또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1009-85770호의 건축외장용 단열판넬은, 배면판의 전면(상면)에 입체형 패널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페널몸체의 전면에 전면판을 덮어 설치하되, 배면판이 패널몸체의 양측으로 약간 돌출되도록 된 것으로, 단열판넬을 연속으로 설치할 때에 인접하는 단열판넬 끼리의 배면판의 돌출 단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형성된 종래의 판넬끼리 접속하여 설치할 때에 판넬과 판넬과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나, 조립식 화장실의 벽체와 칸막이 및 문짝으로 활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고, 하단 모서리가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조립식 화장실의 벽체와 문짝으로 적용하여 설치하게 되면, 사용자(특히 어린 아이)가 출입할 때에 모서리에 걸려 넘어지거나, 옷이 모서리에 걸려 찢어지거나 하는 폐단이 있다.
본 고안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장방형의 판넬에 있어서, 메인판의 좌우 각 양측 각 모서리에서 어느 일측의 모서리를 절삭하여 절삭부와 지지부를 형성하고, 메인판의 외면(전후면)에 방수용 필름지를 일체로 접착하여서 된 건축용 판넬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장방형의 판넬에 있어서,
메인판의 상하좌우 각 면에 방수심재를 일체형으로 접착 형성하고, 상기 좌우 양측 단면에 접착되는 측면방수심재는 외측의 양측 모서리 중에서 어느 일측의 모서리를 절삭 제거하여 절삭부와 지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양측의 모서리에 절삭부와 지지부가 형성되거나 상하좌우 단면에 방수심재가 접착된 판넬의 외면(전후면)에 방수용 필름지를 일체로 접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건축용 판넬을 연속적으로 조립 설치할 때에 일측 건축용 판넬의 지지부가 타측 건축용 판넬의 절삭부에 결합되어 상호 지지부가 중첩되도록 하고, 외면에 접착되는 방수용 필름지에 의해 방수기능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판넬을 화장실에 적용하여 벽체와 출입문용으로 설치할 때에 출입문용으로 설치되는 건축용 판넬과 벽체용으로 설치되는 건축용 판넬의 지지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설치하여 줌으로서, 벽체와 출입문과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화장실의 내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종래와 같이 벽체와 출입문과의 사이에 노출방지용 패드(모발패드)를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폐단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한 건축용 판넬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건축용 판넬의 상하 양측 모서리를 호형(곡면)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서 이를 화장실에 적용하여 설치하였을 때에 사람(특히 어린 아이)이 출입할 때에 모서리에 걸려 넘어지거나, 옷이 모서리에 걸려 찢어지거나 하는 폐단을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한 건축용 판넬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삭제
삭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장방형의 메인판의 양측에 절삭부를 형성하고, 메인판의 외면에 방수용 필름지를 접착하며, 메인판의 상하좌우 각 면에 보강부재를 접착한 것에 있어서,
상기 메인판의 상하좌우 각 면에 접착되는 보강부재는 방수심재인 것과;
상기 좌우 양측 단면에 접착되는 측면방수심재는 외측의 양측 모서리 중에서 어느 일측의 모서리에 절삭부를 형성하고 타측은 지지부로 형성한 것과;
상기 메인판의 외면에 일체로 접착되는 방수용 필름지는 각 방수심재의 외면(전후면)까지 접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1)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판넬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장방형의 판넬에 있어서, 메인판의 좌우 각 양측 각 모서리에서 어느 일측의 모서리를 절삭하여 절삭부와 지지부를 형성하고 메인판의 외면(전후면)에 방수용 필름지를 일체로 접착하여 형성한 것과;
메인판의 상하좌우 각 면에 방수심재를 일체형으로 접착 형성하고, 상기 좌우 양측 단면에 접착되는 측면방수심재는 외측의 양측 모서리 중에서 어느 일측의 모서리를 절삭 제거하여 절삭부와 지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양측의 모서리에 절삭부와 지지부가 형성되거나 상하좌우 단면에 방수심재가 접착된 판넬의 외면(전후면)에 방수용 필름지를 일체로 접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건축용 판넬을 연속적으로 조립 설치할 때에 일측 건축용 판넬의 지지부가 타측 건축용 판넬의 절삭부에 결합되어 상호 지지부가 중첩되도록 하고, 외면에 접착되는 방수용 필름지에 의해 방수기능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한다.
또 본 고안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판넬을 화장실에 적용하여 벽체와 출입문용으로 설치할 때에 출입문용으로 설치되는 건축용 판넬과 벽체용으로 설치되는 건축용 판넬의 지지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설치하여 줌으로서, 벽체와 출입문과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화장실의 내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종래와 같이 벽체와 출입문과의 사이에 노출방지용 패드(모발패드)를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폐단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건축용 판넬의 상하 양측 모서리를 호형(곡면)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서 이를 화장실에 적용하여 설치하였을 때에 사람(특히 어린 아이)이 출입할 때에 모서리에 걸려 넘어지거나, 옷이 모서리에 걸려 찢어지거나 하는 폐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판넬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상태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상기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판넬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판넬을 조립식 화장실의 벽체와 출입문에 적용하여 설치한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판넬을 조립식 화장실의 벽체와 출입문에 적용하여 설치한 상태를 외부 및 내부에서 본 예시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판넬을 조립식 화장실의 벽체와 출입문에 적용하여 설치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및 출입문의 개폐상태 예시도.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a 내지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판넬(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판넬(1)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상태 단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상기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판넬(1)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상태 단면도이다.
또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판넬(1)을 조립식 화장실(100)의 벽체(110)와 출입문(120)에 적용하여 설치한 사시도이고,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판넬(1)을 조립식 화장실(100)의 벽체(110)와 출입문(120)에 적용하여 설치한 상태를 외부 및 내부에서 본 예시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판넬(1)을 조립식 화장실(100)의 벽체(110)와 출입문(120)에 적용하여 설치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및 출입문의 개폐상태 예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판넬(1)의 일 실시 예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주로 합판 등을 이용하는 메인판(10)의 양측 단부에서 각 단부의 모서리 중에서 일측 모서리를 절삭하여 절삭부(17)에 의해 지지부(18)가 형성되도록 하였고, 상기 양측 단부에 절삭부(17)와 지지부(18)가 각각 형성된 메인판(10)의 양면(전면과 배면)에는 필름지(20)를 접착하여 일체로 형성하였다.
상기 필름지(20)로서는 MDF와 같은 방수용 필름지 등을 들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패널(1)은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메인판(10)의 상면과 밑면 및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소정의 두께와 폭으로 형성된 상측방수심재(11)와 하측방수심재(12) 및 측면방수심재(15)(16)를 각각 일체형으로 접착하였고, 상기 측면방수심재(15)(16)의 외측 단부에서 어느 일측 모서리를 절삭 제거하여 절삭부(17)를 형성하여 상기 절삭부(17)에 의해 지지부(18)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특히, 상기 좌우의 각 측면방수심재(15)(16)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는 절삭부(17)는 서로 상반되는 방향에 형성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동일 방향에 형성하도록 하여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판넬(1)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메인판(10)의 상하 좌우에 접착되는 상측방수심재(11)와 하측방수심재(12) 및 측면방수심재(15)(16)는 합성수지 또는 비철금속으로 형성하여 방수기능과 녹이 발생하는 않는 기능을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a 및 도 2b에 예시된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패널(1)은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패널(1)과 동일하게 형성하되, 일체로 접착된 상기 메인판(10)과 상측방수심재(11)와 하측방수심재(12) 및 측면방수심재(15)(16)의 외면(전면과 배면)에 필름지(20)를 일체로 접착하였다.
이하,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패널(1)의 사용 상태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패널(1)은 도 3 내지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화장실(100)의 벽판(110)과 문짝(120)용으로 사용되어 설치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패널(1)을 조립식화장실(100)에 적용하여 설치할 때에 전면판과 칸막이판 등의 벽판(110)과 출입문의 문짝(120)용으로 사용하여 설치하며, 벽판(110)으로 사용되는 건축용 패널(1)의 하단을 받침대(160)로 받쳐 설치하고 상단은 상단바(130)에 고정시켜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패널(1)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조립식화장실(100)의 벽판(110;전면판)과 벽판(110;전면판)과의 사이에는 설치되는 문짝(120)은 일 측면을 경첩(150)에 의해 일측 벽판(110;전면판)에 고정 설치하고, 문짝(120)은 타 측면과 타측 벽판(110;전면판)과의 사이에는 잠금장치(140)를 설치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패널(1)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조립식화장실(100)의 벽판(110;전면판)과 문짝(120)으로 설치할 때에는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벽판(110;전면판) 용으로 설치되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패널(1)의 지지부(18)가 문짝(120) 용으로 설치되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패널(1)의 지지부(18)가 상대편의 절삭부(17)로 유입되어 서로 중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벽판(110;전면판) 용으로 설치되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패널(1)의 지지부(18)와 문짝(120) 용으로 설치되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패널(1)의 지지부(18)를 서로 중첩되게 설치하게 되면 문짝(120)을 닫았을 때에 벽판(110;전면판)과 문짝(120)과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아 내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되고, 따라서 화장실을 사용하는 사람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패널(1)을 조립식화장실(100)의 벽판(110;전면판)과 문짝(120)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때에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건축용 패널(1)의 하단 양측 모서리를 만곡모서리(120-1:1-1)로 형성하게 되면, 사람(특히 어린 아이)이 출입할 때에 모서리에 걸려 넘어지거나, 옷이 모서리에 걸려 찢어지거나 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1: 건축용 판넬 10: 메인판 11: 상단방수심재
12: 하단방수심재 15. 16: 측면방수심재 17: 절삭부
18: 지지부 20: 필름지 100: 조립식 화장실
110: 벽판 120: 문짝

Claims (8)

  1. 삭제
  2. 소정의 두께를 갖는 장방형의 메인판의 양측에 절삭부를 형성하고, 메인판의 외면에 방수용 필름지를 접착하며, 메인판의 상하좌우 각 면에 보강부재를 접착한 것에 있어서,
    상기 메인판의 상하좌우 각 면에 접착되는 보강부재는 방수심재인 것과;
    상기 좌우 양측 단면에 접착되는 측면방수심재는 외측의 양측 모서리 중에서 어느 일측의 모서리에 절삭부를 형성하고 타측은 지지부로 형성한 것과;
    상기 메인판의 외면에 일체로 접착되는 방수용 필름지는 각 방수심재의 외면(전후면)까지 접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메인판의 상하좌우에 접착되는 방수심재는 합성수지 또는 비철금속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2020100006753U 2010-06-25 2010-06-25 건축용 판넬 KR2004640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753U KR200464035Y1 (ko) 2010-06-25 2010-06-25 건축용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753U KR200464035Y1 (ko) 2010-06-25 2010-06-25 건축용 판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058U KR20120000058U (ko) 2012-01-02
KR200464035Y1 true KR200464035Y1 (ko) 2012-12-10

Family

ID=45842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753U KR200464035Y1 (ko) 2010-06-25 2010-06-25 건축용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0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725U (ko) * 2021-05-10 2022-11-17 주식회사 범산시스텍 건축용 판재의 테두리 마감 부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0413U (ko) * 1979-05-08 1980-11-18
JPS6068205U (ja) * 1983-10-17 1985-05-15 積水ハウス株式会社 建築用パネルの防湿構造
KR200271191Y1 (ko) 2001-12-06 2002-04-09 유돈상 건축자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0413U (ko) * 1979-05-08 1980-11-18
JPS6068205U (ja) * 1983-10-17 1985-05-15 積水ハウス株式会社 建築用パネルの防湿構造
KR200271191Y1 (ko) 2001-12-06 2002-04-09 유돈상 건축자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725U (ko) * 2021-05-10 2022-11-17 주식회사 범산시스텍 건축용 판재의 테두리 마감 부재
KR200497754Y1 (ko) * 2021-05-10 2024-02-19 주식회사 범산시스텍 건축용 판재의 테두리 마감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058U (ko) 2012-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4035Y1 (ko) 건축용 판넬
KR100913942B1 (ko)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 및 그 시공방법
KR101772001B1 (ko) 화장실용 칸막이패널
JP2009052207A (ja) 折り戸
KR20200144766A (ko) 몰딩용 인코너 마감기구
JP2017014832A (ja) 開口部構造
KR100684546B1 (ko) 건축용 안전 방음도어
KR200478941Y1 (ko) 설치가 용이한 조립식 방음 부스
JP6787809B2 (ja) 戸体及び建具
JP4402788B2 (ja) 引戸用通し引手部材
JP6687058B2 (ja) 壁面構造
JP5250437B2 (ja) パネル外周部納め用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建築用パネルの外周部納め構造
KR200223422Y1 (ko) 조립식칸막이
JP6718421B2 (ja) 棚板及び棚板の配置構造
JPS647140Y2 (ko)
JPH0428388Y2 (ko)
KR200234130Y1 (ko) 조립식 바닥판의 마감판
JPH06108673A (ja) 浴 室
JP3550340B2 (ja) 内装建材用パネル
JP2022117626A (ja) 和洋室兼用の間仕切り
JPH035637Y2 (ko)
JPS5846167Y2 (ja)
JP2518078Y2 (ja) 窓装置
JP2555739Y2 (ja) カウンターユニット前面の巾木設置構造
JPS633281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