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754Y1 - 건축용 판재의 테두리 마감 부재 - Google Patents

건축용 판재의 테두리 마감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754Y1
KR200497754Y1 KR2020210001482U KR20210001482U KR200497754Y1 KR 200497754 Y1 KR200497754 Y1 KR 200497754Y1 KR 2020210001482 U KR2020210001482 U KR 2020210001482U KR 20210001482 U KR20210001482 U KR 20210001482U KR 200497754 Y1 KR200497754 Y1 KR 2004977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ishing
finishing member
inner core
edg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4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725U (ko
Inventor
김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범산시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범산시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범산시스텍
Priority to KR20202100014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754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7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7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7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7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1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04B1/61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protrusions on the one frontal surface co-operating with recesses in the other frontal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3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stituted of gypsum elements
    • E04B2002/725Corner or angle connection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판재의 테두리 마감 부재에 관한 것으로, 건축용 판재를 구성하는 내부 심재의 전면 및 후면에 접착되는 다양한 색상의 필름 등과 같은 마감층을 수월하게 접착시킴과 동시에 샤워실 및 화장실의 출입구 또는 그 샤워실 및 공중 화장실의 1인용 공간을 형성하는 칸막이, 문틀, 문짝 등의 공간 구획용으로 사용하게 하여 문틈 발생방지 및 소음방지용에 적합한 건축 판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판재의 테두리 마감 부재{Border finishing member of building board}
본 고안은 건축용 판재의 테두리 마감 부재에 관한 것으로, 건축용 판재를 구성하는 내부 심재의 전면 및 후면에 접착되는 다양한 색상의 필름 등과 같은 마감층을 수월하게 접착시킴과 동시에 샤워실 및 화장실의 출입구 또는 그 샤워실 및 공중 화장실의 1인용 공간을 형성하는 칸막이, 문틀, 문짝(도어) 등의 공간 구획용으로 사용하게 하여 문틈 발생방지 및 소음방지용에 적합한 건축 판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판재는 건물의 내장, 외장재로 혹은 간이건물의 벽체로, 방과 방 사이의 칸막이 등으로 사용하는 건축용 자재로 사용되어 오고 있다.
특히, 건물 내외의 샤워실 및 화장실에는 세면대 등과 같은 공통 공간 외에 별도의 좌변기나 샤워 부스가 구비된 1인용 공간을 갖도록 칸막이의 조립에 의해 공간을 분할하도록 하는 조립식 건축용 판재가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건축용 판재는 선행기술인 공개 실용신안 제2000-0018109호와 같이 건축용 판재를 사방으로 연속반복적으로 결합함에 있어 결합 부위를 엇턱 결합으로 결합시켜 틈새 발생을 억제하고, 시공효율을 일층 높이도록 하되, 내부 심재의 전면 및 후면에 방수층을 접착시키는 기술이 소개되고 있고, 근래에는 발포수지로 압출 성형된 내부 심재를 이용한 화장실용 문틀 및 문짝에 대한 기술이 등록특허 제10-1310429호를 통하여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전부의 선행기술은 내부 심재의 가로 및 세로 크기에 따라 절단한 방수층 또는 다양한 색상의 필름 등과 같은 마감층을 내부 심재의 전면 및 후면에 접착제로 접착하여 판재를 완성하게 되는데, 상기 마감층을 내부 심재의 전면 및 후면의 면적에 정확하게 맞추어 접착하기가 매우 어려워 숙련된 작업자라 하더라도 수회에 걸쳐 정확한 위치를 잡은 상태에서 접착해야 하므로 마감층의 접착 작업 시간이 길고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어 작업 생산력이 낮아 제작 원가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지적될 뿐 아니라 왼성된 건축용 판재 설치후 외적 충격이나 외적 면접 등에 의하여 내부 심새의 전, 후면에 접착된 마감층이 벗겨지는 등 건축용 판재로서의 외관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지적될 수 있다.
만일,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자동설비를 이용하여 마감층을 접착 할 수 있으나, 다양한 크기의 건축 판재마다 다른 구성의 설비를 동원해야 하므로 자동설비에 의한 설치 비용에 대한 부담이 크고, 더구나 이러한 건축 판재는 주문 생산에 의한 시공이 대부분이어서 숙련된 작업자가 제작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 종전의 건축용 판재는 판재의 양단에 형성한 저지턱과 돌출턱 면접시 틈새를 방지할 수 있어 문틀이나 문짝에 적용할 경우 문틈을 없앨 수 있으나, 저지턱과 돌출턱 면접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하여 소음이 발생할 염려가 있고, 더 나아가 충격에 의한 파손 염려가 지적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10-1310429호에서는 저지턱 내측면에 완충 부재를 접착하여 제시하고 있으나, 접착된 완충 부재는 장시간 사용 시 이탈될 염려는 물론 완충 기능이 저하될 염려가 지적될 수 있다.
본 고안은 건축용 판재를 구성하는 내부 심재와 마감층을 정확하게 맞추어 접착하게 함과 동시에 샤워실 및 화장실의 출입구 또는 그 샤워실 및 공중 화장실의 1인용 공간을 형성하는 칸막이, 문틀, 도어(문짝) 등의 공간 구획용으로 사용하게 하여 문틈 발생방지 및 소음방지용에 적합한 건축용 판재를 제공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본 고안은 PB(Particle Board) 또는 MDF(Medium Density Fiberboard)로 구성된 내부 심재의 전면 및 후면에 다양한 색상의 필름 등과 같은 마감층을 접착하여 구성된 건축용 판재에 있어서, 상기 내부 심재의 양단 세로방향의 외측면 각각에 합성수지제의 마감 부재의 내측면 각각을 세로방향으로 접착하되, 상기 마감 부재는 일측을 내측으로 절곡 시켜 안내면과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면의 전방측과 걸림턱의 후방측 각각에 마감층 맞춤 돌출턱을 돌출 형성하여 구성하며, 상기 걸림턱 내측면에 모헤어로 이루어진 소음 방지 수단 끼움용 안내 요홈을 세로방향으로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색상의 필름 등과 같은 마감층을 내부 심재의 전면 및 후면의 정확한 위치에 신속하게 접착시켜 건축 판재의 제작비용을 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내부 심재의 전, 후면에 접착된 마감층의 양단이 마감 부재와 마감 부재의 마감층 맞춤 돌출턱 내측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외적 충격이나 외적 면접에 의하여 마감층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여 건축용 판재로서의 외관 기능 및 방수 기능을 상실하지 않게 하는 효과를 가지며, 건축용 판재를 샤워실 및 화장실의 출입구 또는 그 샤워실 및 공중 화장실의 1인용 공간을 형성하는 칸막이, 문틀, 문짝 등의 공간 구획용으로 사용할 경우 문틀과 문짝 사이의 문틈이 발생 되지 않게 하여 샤워실 및 화장실 내부를 직접적으로 볼 수 없게 함으로써 개인적인 사생활 보호를 충실히 할 수 있게 함은 물론 문틀과 문짝 면접시 소음방지 및 충격을 완화 시켜 문짝 사용의 편안함과 문틀 및 문짝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테두리 마감 부재의 사시도 로서, a)는 제1 실시예에 의한 테두리 마감 부재의 사시도 이고, b)는 제2 실시예에 의한 테두리 마감 부재의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테두리 마감 부재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테두리 마감 부재의설치상태 예시도 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테두리 마감 부재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테두리 마감 부재의 설치상태 사시도 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의한 테두리 마감 부재의 설치상태 횡단면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의한 테두리 마감 부재의 설치상태 횡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의한 테두리 마감 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의한 테두리 마감 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PB 또는 MDF로 구성된 내부 심재의 전면 및 후면에 다양한 색상의 필름 등과 같은 마감층을 접착하여 구성된 건축용 판재와 관련된 기술이다.
특히, 본 고안은 내부 심재(10)와 다양한 색상의 필름 등과 같은 전, 후방 마감층(21)(22)의 접착 작업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별도의 마감 부재(30)와 별도의 내부 심재(10)를 제작하여 상호 접합에 의하여 건축용 판재(100)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는 내부 심재(10) 양단에 접착되는 테두리 마감 부재(30)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시되는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테두리 마감 부재의 사시도 로서, a)는 제1 실시예에 의한 테두리 마감 부재의 사시도 이고, b)는 제2 실시예에 의한 테두리 마감 부재의 사시도 이다.
이에 의하면, 마감 부재(30)는 도 1의 a)와 같이 일측을 내측으로 절곡 시켜 안내면(32)과 걸림턱(33)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면(32)의 전방측과 걸림턱(33)의 후방측 각각에 마감층 맞춤 돌출턱(32A)(33A)을 돌출 형성하여 구성하거나, 도 1의 b)와 같이 상기 걸림턱(33) 내측면에 모헤어로 이루어진 소음 방지 수단 끼움용 안내 요홈(33B)을 세로방향으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테두리 마감 부재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테두리 마감 부재의설치상태 예시도 이고, 도 4는 제1 실시예에 의한 테두리 마감 부재의 설치상태 횡단면도이다.
이에 의하면, 상기 내부 심재(10)의 양단 테두리 외측면에 세로방향으로 마감 부재(30)의 내측면(31) 각각을 세로방향으로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하여 내부 심재(10)의 전면 및 후면 각각의 양단에 마감 부재(30)의 전방 마감층 맞춤 돌출턱(32A)과 전방 마감층 맞춤 돌출턱(32A) 사이 및 후방 마감층 맞춤 돌출턱(33A)과 후방 마감층 맞춤 돌출턱(33A) 사이에 전방 및 후방 마감층(21)(22)을 끼워 전방 및 후방 마감층(21)(22)의 내측면과 내부 심재(10)의 전, 후방 외측면을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하여 건축용 판재(100)를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마감 부재(30)는 내부 심재(10)의 양단 테두리 외측면에 접착된 상태에서 마감 부재(30)의 전방 마감층 맞춤 돌출턱(32A)과 전방 마감층 맞춤 돌출턱(32A) 사이 및 후방 마감층 맞춤 돌출턱(33A)과 후방 마감층 맞춤 돌출턱(33A) 사이가 안내레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전방 및 후방 마감층(21)(22)의 끼움 안내가 매우 수월하고, 전방 및 후방 마감층(21)(22)의 양단이 마감 부재(30)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게 되므로 비숙련 작업자라 하더라도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전방 및 후방 마감층(21)(22)의 접착 공정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생산성 향상은 물론 제작비용의 절감을 도모하게 되고, 내부 심재(10)의 전, 후면에 접착된 전, 후방 마감층(21)(22)의 양단이 마감 부재(30)와 마감 부재(30)의 마감층 맞춤 돌출턱(32A)(33A) 내측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외적 충격이나 외적 면접에 의하여 마감층(21)(22)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여 건축용 판재로서의 외관 기능 및 방수 기능을 상실하지 않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시한 마감 부재(30)는 도 2와 같이 공중 화장실의 문틀 기능을 가지는 전면판 용도의 건축용 판재(100-1)에 적용한 것으로, 공중 화장실의 도어를 구성하는 건축용 판재(100-2)에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 경우 전면판 용도의 건축용 판재(100-1)에 적용된 마감 부재(30)의 걸림턱(33)의 내측면과 도어를 구성하는 건축용 판재(100-2)에 적용된 마감 부재(30)의 걸림턱(33)의 내측면이 상호 면접 되게 대응설치 하여 도어를 구성하는 건축용 판재(100-2)를 닫을 시 문틀과 도어 사이의 틈새가 발생 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도면 중 100-2A는 경첩, 100-2B는 도어 록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테두리 마감 부재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테두리 마감 부재의 설치상태 사시도 이고, 도 5는 제2 실시예에 의한 테두리 마감 부재의 설치상태 횡단면이다.
이에 의하면, 상기 마감 부재(30)의 걸림턱(33) 내측면에 모헤어로 이루어진 소음 방지 수단 끼움용 안내 요홈(33B)을 세로방향으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소음 방지 수단 끼움용 안내 요홈(33B)에 모헤어로 이루어진 소음 방지 수단(40)을 끼워지게 할 수 있어 도어를 구성하는 건축용 판재(100-2)에 설치된 마감 부재(30)의 걸림턱(33)의 내측면이 문틀 기능을 가지는 전면판 용도의 건축용 판재(100-1)에 설치된 마감 부재(30)의 걸림턱(33)의 내측면에 면접되어 충돌할 경우 소음 방지 수단 끼움용 안내 요홈(33B)에 끼워진 모헤어로 이루어진 소음 방지 수단(40)에 의하여 완충 되면서 소음을 방지함은 물론 충격으로 인한 건축용 판재(100)의 훼손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의한 테두리 마감 부재의 종단면도, 도 7은 제2 실시예에 의한 테두리 마감 부재의 종단면도이다.
이에 의하면, 내부 심재(10) 양단에 접착한 마감 부재(30)의 상부 및 하부 높이를 내부 심재(10)의 상, 하부 높이보다 높게 하여 마감 부재(30)의 내측면(31)과 내부 심재(10) 양단 테두리 외측면을 접착하되, 마감 부재(30)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상부 및 하부 테두리 마감 부재(50)(51)의 끼움 돌기(50A)(50B)가 끼워지는 끼움 요홈(30-1)(30-2)를 형성하여 내부 심재(10) 양단에 접착한 마감 부재(30)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가로방향으로 상부 및 하부 테두리 마감 부재(50)(51)가 끼워져 결합 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판재(100)의 전체 테두리는 내부 심재(10) 양단의 마감 부재(30) 및 상부 및 하부 테두리 마감 부재(50)(51)에 의하여 마감 처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 ; 내부 심재 21, 22 : 전, 후방 마감층
30 : 마감 부재 31 : 내측면
32 : 안내면 33 : 걸림턱
32A, 33A : 전, 후방 마감층 맞춤 돌출턱 30-1, 30-2 : 끼움 요홈
33B : 소음 방지 수단 끼움용 안내 요홈 40 : 소음 방지 수단
50, 51 : 상, 하부 테두리 마감 부재 50A, 51A : 끼움 돌기
100 : 건축용 판재
100-1 : 문틀 기능을 가지는 전면판 용도의 건축용 판재
100-2 : 도어를 구성하는 건축용 판재

Claims (3)

  1. PB 또는 MDF로 구성된 내부 심재(10)의 전면 및 후면에 전, 후방 마감층(21)(22)을 접착하고, 상기 내부 심재(10)의 양단 세로방향의 테두리 외측면 각각에 합성수지제로 형성한 마감 부재(30)의 내측면(31) 각각을 세로방향으로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하되, 상기 마감 부재(30)는 일측을 내측으로 절곡 시켜 안내면(32)과 걸림턱(33)을 형성하며, 상기 안내면(32)의 전방측과 걸림턱(33)의 후방측 각각에 전, 후방 마감층 맞춤 돌출턱(32A)(33A)을 돌출 형성하여 구성하고, 마감 부재(30)의 전방 마감층 맞춤 돌출턱(32A)과 전방 마감층 맞춤 돌출턱(32A) 사이 및 후방 마감층 맞춤 돌출턱(33A)과 후방 마감층 맞춤 돌출턱(33A) 사이에 전방 및 후방 마감층(21)(22)을 끼울 수 있게 구성된 건축용 판재(100)에 있어서, 상기 마감 부재(30)의 걸림턱(33) 내측면에 모헤어로 이루어진 소음 방지 수단 끼움용 안내 요홈(33B)을 세로방향으로 형성하여 구성하되, 소음 방지 수단 끼움용 안내 요홈(33B)에 모헤어로 이루어진 소음 방지 수단(40)을 끼워지게 구성하고, 내부 심재(10) 양단에 접착한 마감 부재(30)의 상부 및 하부 높이를 내부 심재(10)의 상, 하부 높이보다 높게 하여 마감 부재(30)의 내측면(31)과 내부 심재(10) 양단 테두리 외측면을 접착하되, 마감 부재(30)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상부 및 하부 테두리 마감 부재(50)(51)의 끼움 돌기(50A)(50B)가 끼워지는 끼움 요홈(30-1)(30-2)를 형성하여 내부 심재(10) 양단에 접착한 마감 부재(30)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가로방향으로 상부 및 하부 테두리 마감 부재(50)(51)가 끼워져 결합 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재의 테두리 마감 부재.
  2. 삭제
  3. 삭제
KR2020210001482U 2021-05-10 2021-05-10 건축용 판재의 테두리 마감 부재 KR2004977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482U KR200497754Y1 (ko) 2021-05-10 2021-05-10 건축용 판재의 테두리 마감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482U KR200497754Y1 (ko) 2021-05-10 2021-05-10 건축용 판재의 테두리 마감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725U KR20220002725U (ko) 2022-11-17
KR200497754Y1 true KR200497754Y1 (ko) 2024-02-19

Family

ID=84233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482U KR200497754Y1 (ko) 2021-05-10 2021-05-10 건축용 판재의 테두리 마감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754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464Y1 (ko) * 2004-11-30 2005-03-10 (주)네오칸 도어 프로파일 구조
KR101052814B1 (ko) * 2009-06-09 2011-07-29 (주)캠퍼스라인 휨 방지구조와 경량화구조를 갖는 불연복합패널
KR200464035Y1 (ko) * 2010-06-25 2012-12-10 진성산업 주식회사 건축용 판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7379A (ja) * 1996-07-19 1998-02-10 Oyo Kikaku:Kk 連結用枠材と枠付きパネ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464Y1 (ko) * 2004-11-30 2005-03-10 (주)네오칸 도어 프로파일 구조
KR101052814B1 (ko) * 2009-06-09 2011-07-29 (주)캠퍼스라인 휨 방지구조와 경량화구조를 갖는 불연복합패널
KR200464035Y1 (ko) * 2010-06-25 2012-12-10 진성산업 주식회사 건축용 판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725U (ko)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5109B2 (ja) パネル組立セット及びその施工方法
US20060185299A1 (en) Building panel
US10890027B2 (en) Corner key composite member
MX2008004851A (es) Sistema de regadera de pared con piezas multiples y metodo de instalacion.
US8820032B2 (en) Door with assembly of stiles and rails
GB2183706A (en) Door
US20060179782A1 (en) Composite construction building panel
KR200497754Y1 (ko) 건축용 판재의 테두리 마감 부재
JP6902741B2 (ja) 建具施工構造
CA3017715A1 (en) Vinyl jamb system
US9945131B2 (en) Slidable snap-in trim system
US10400501B1 (en) Window assembly and pre-fabricated wall panel
US20220098919A1 (en) Trim structure for a door
JP5603053B2 (ja) 框状パネル
EP0309033B1 (en) Modular internal partition forming a container
KR101772001B1 (ko) 화장실용 칸막이패널
JP2010270548A (ja) 戸枠
JP3387363B2 (ja) 表装用化粧板材
JPH08144646A (ja) 建築物用引き戸枠
JP2023137327A (ja) 枠材固定具及び固定方法
JP6910022B2 (ja) 建具施工方法
JP6914222B2 (ja) ケーシング枠材、ケーシング枠材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KR100757342B1 (ko) 창호프레임용 마감재
KR200397380Y1 (ko) 이중계단식 홈이 형성된 패널
KR101589487B1 (ko) 조립식 외단열 패널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