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967B1 - 황토 침대 - Google Patents

황토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967B1
KR101049967B1 KR1020100085344A KR20100085344A KR101049967B1 KR 101049967 B1 KR101049967 B1 KR 101049967B1 KR 1020100085344 A KR1020100085344 A KR 1020100085344A KR 20100085344 A KR20100085344 A KR 20100085344A KR 101049967 B1 KR101049967 B1 KR 101049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her
water supply
bed
water
lo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용구
Original Assignee
곽용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용구 filed Critical 곽용구
Priority to KR1020100085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9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침대에 관한 것으로, 침대 본체와, 상기 침대 본체에 설치되며 황토 패널을 구비한 황토보료와, 상기 황토보료의 내부에 설치되어 황토 패널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공급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황토 침대는 황토 패널에 수분을 공급함으로서 습윤 및 건조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미생물, 효소 활성화 및 무기원소의 가수분해를 활성화 시킬 수 있으며, 황토의 고유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황토 침대 {A yellow soil bed}
본 발명은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황토에 수분을 간헐적으로 공급하여 황토의 고유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황토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황토는 인체와 환경에 유익한 미생물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집안의 곰팡이 등의 서식을 억제시켜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함은 물론, 각종 병균의 전염을 방지하여 건강한 생활공간을 만들어주는 이점과, 40∼50℃에서는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함으로써 원적외선의 방사열에 의해 인체의 말초모세혈관의 운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황토가 인체에 대한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진 것이 인지됨에 따라 황토의 이용이 급속도를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황토는 건축물에서부터 일반 생활용품, 화장품, 침구류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침대의 경우 취침하는 동안 인체와 직접적으로 접하게 되므로 황토침대에 대한 개발과 실용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0415587호에는 기능성 황토 침대가 게시되어 있으며, 특허 등록 제 03455240호에는 황토침대용 황토보료 및 황토패드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황토 침대용 황토 보료는 침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각 보료프레임의 내측에 하측부터 지지판과, 단열재와, 동판과, 난방수단과, 황토층이 차례로 적층된 구성을 가지며, 상기 황토층의 상면에는 야자나무의 줄기 및 잎의 섬유소를 뭉쳐서 무수히 많은 통기공이 형성된 야자섬유소 패드에 황토분말을 투입 증착시킨 황토패드가 부착된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실용신안 등록출원 제 2009-00288호에는 황토 침대용 매트리스가 게시되어 있으며, 실용신안 공개 제 2010-007351호에는 황토 침대 매트리스가 게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황토를 이용한 종래의 황토침대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황토가 건조됨으로써 황토 고유의 기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황토침대는 한정된 공간에 한정된 량의 황토에서 에너지를 얻는 소비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수분의 공급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황토의 고유 기능이 저하되게 된다. 황토침대는 그 사용 특성상 하루 5시간 이상 반복 가열하여 사용하게 됨으로써 황토 내의 수분이 점차적으로 감소하게 되며, 함수율이 10% 이하가 되면, 사막화 현상이 발생하게 됨으로서 황토의 고유 기능이 저하되게 된다.
한편, 특허 등록 제 0915283호에는 황토가 내장된 순환식 편백나무침대가 개시되어 있으며, 특허 공개 제 2009-0115985호에는 편백나무를 마감재로 한 온열 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이 온열침대는 일정형상의 외곽틀이 구비되고, 상기 외곽틀 내부의 저면에 설치된 판재 위에 단열재를 부착되며, 상기 단열재 위에는 전기로 작동되는 발열부가 설치되고, 상기 발열부 상단에는 편백나무에 의해 마감처리 된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편백나무를 마감재로 한 온열침대는 편백나무가 적정한 함습율을 유지한 상태에서 편백나무로부터 방출되는 피톤치드와 같은 성분에 의해 아토피와 같은 피부질환을 개선해주고 항균작용, 소취 및 유해물질의 정화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침대의 경우, 가열부에 의해 반복적으로 가열되게 되므로 편백나무가 건조되어 함습율이 떨어지게 됨으로써, 편백나무에서 방출되는 피톤치드 같은 유효성분의 방출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효과가 감소하게 되며 궁국적으로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황토에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황토의 사막화를 방지하고 팽창과 수축을 반복시킴으로써 황토의 분자 활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황토에 포함된 미생물들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황토 침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황토를 감싸는 친환경 목재에 수분을 공급하여 친환경 목재로부터 유효성분의 방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황토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황토침대는 침대 본체와, 상기 침대 본체에 설치되며 황토 패널을 구비한 황토보료와, 상기 황토보료의 내부에 설치되어 황토 패널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공급유닛을 구비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유닛은 황토보료의 황토 패널 사행형상으로 이루어진 수분공급관이 매립되고, 이 수분공급관과 물탱크가 연결되며, 상기 물탱크내의 물을 수분공급관에 공급할 수 있도록 수분공급관의 입구측에 펌프가 설치되고, 상기 수분공급관의 외주에는 상기 황토패널을 이루는 황토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수분 공급공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황토 패널은 목재판들로 일어진 하부판과, 하부판과 결합되는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과 상부판의 설치되는 구획부재들에 의해 감싸여지며, 상기 목재판은 편백나무로 이루어진다. 상기 편백 나무들로 이루어진 상부판에는 복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된다.
대안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황토침대는
침대 본체와; 상기 침대 본체에 설치되는 황토보료를 구비하며,
상기 황토보료는 목재판들로 이루어진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 상에 설치되는 방수 및 단열을 위한 단열시트와, 하부판의 가장자리 및 하부판 상면을 구획하는 구획부재들에 의해 하부판과 결합되는 상부판을 가진 커버와;
상기 상,하부판 및 구획부재들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사행 형상으로 설치되며 단열시트와 대응되는 하부에 수분공급공이 형성된 수분공급관과, 상기 수분공급관의 입구 및 출구와 연결되는 물탱크와, 상기 수분공급관에 설치되는 펌프를 구비한 수분공급유닛과; 상기 수분공급관이 매립되도록 구획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는 황토패널를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황토침대는 황토 보료를 구성하는 황토패널에 수분을 공급함으로서 미생물과 이 미생물에 포함된 다양한 효소의 순환작용 활성화와 이산화규소에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가수분해를 활성화 시키고 산소 흡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황토 보료의 커버를 이루는 목재에 수분을 공급하여 목재로부터 배출되는 피톤치드와 같은 기능성 물질의 방출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 침대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침대의 분리사시도,
도 3은 황토보료의 단면도,
도 4는 황토 보료의 황토패널에 수분공급관이 설치된 상태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 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 패널에 수분공급관의 설치되는 실시예들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 침대(이하 침대라 약징함)의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황토 침대(10)는 보료 장착부(21)를 가지는 침대본체(20)와, 상기 침대본체(20)의 황토보료 장착부(21)에 설치되는 황토보료(30)를 구비한다. 상기 황토 보료(30)는 이를 구성하는 황토패널(36)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공급유닛(40)과, 상기 황토보료의 내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어 황토 패널(36)를 가열하기 위한 가온유닛(60)과, 상기 황토 또는 황토패널(36)을 감싸는 커버(35)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침대를 구성요소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침대 본체(20)는 상기 황토보료(30)의 장착공간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취침하거나 휴식을 취할 때, 누울 수 있는 황토 보료 장착부(21)를 가지는 베이스프레임(23)과, 이 베이스 프레임(23)의 하면에 설치되어 지지면에 대해 베이스 프레임(23)을 지지하는 서포트부재(24)를 구비한다. 상기 침대(10)의 본체(20)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상기 황토보료(30)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황토보료(30)는 베이스 프레임(23)의 황토보료 장착부(21)에 설치되는데, 친환경 및 기능성 목재판들이 상호 결합된 하부판(31)에 방수 및 단열을 위한 단열시트(3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단열시트가 설치된 하부판(31)의 상면에는 이의 가장자리와 하부판의 상면을 구획하는 구획부재(33)들이 설치되고, 이 구획부재들에 의해 하부판(31)과 상부판(34)이 결합되는데, 상기 상부판(34)에는 복수개의 통기공(34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판(31)과 구획부재 및 상부판(34)은 황토 보료(30)의 커버(35)를 이룬다. 그리고 하부판(31), 구획부재(32) 및 상부판(34)와 구획된 공간의 단열시트(32)상에는 황토판넬(36)이 설치된다. 상기 공간에는 압축된 황토가 채워질 수도 있다.
상기 황토보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황토 패널(36)의 상면에 상부판이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황토패널은 침대 본체에 설치된다.
상기 구획공간에 채워지는 황토패널(26)을 구성하는 황토는 입자가 0.02mm~0.05mm(20μ~50μ)이며, 0.005mm(5μ)이하의 점토질은 전체에서 10% 이내인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황토의 화학성분은 이산화규소(실리카,SiO2)60~65%, 알루미나(AI2O3) 10~13%, 탄산칼슘(석회) 8%, 철분 5%, 마그네슘3%, 나트륨 2%, 칼리 1.5% 포함하며, 광물조성은 석영 60~70%, 장석과 운모 10~20%, 탄산광염물 5~35%, 실트 2~5% 포함하는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황토 또는 황토패널이 설치되는 구획공간을 한정하는 상기 커버(35)는 편백나무로 이루어지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향나무, 소나무, 전나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황토 또는 황토 패널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 공급유닛(40)은 상기 단열시트(32) 상에 사행형상으로 수분공급관(41)이 설치된다. 상기 수분공급관(41)은 상기 단열시트의 상면과 황토 또는 황토 패널의 경계부를 통하여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수분공급관(41)의 하면, 즉, 단열시트와 대응되는 하면에 수분공급공(42)들이 형성된다. 이 수분공급관(41)은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43)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43)와 연결되는 입구측의 수분공급관(41)에는 물탱크(43) 내의 물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44)가 설치된다. 상기 단열시트(32) 상에 설치되는 수분공급관(41)은 분할되어 복수개의 단위 수분공급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위 수분공급관의 입구측은 상기 펌프와 병렬로 연결되고 각 출구측은 물탱크와 연결된다.
이 수분공급공(42)의 직경은 0.1 내지 0.5mm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수분공급관(41)에 형성된 수분공급공(42)의 수는 상기 수분공급관(41)의 입구측으로부터 출구측으로 갈수록 그 수가 많아지거나 수분공급공(42)의 직경이 접차적으로 커질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공급관(41)은 황토 패널의 내부에 매립될 수도 있으며, 수분공급관(41)의 외주면에는 수분공급공(42)으로부터 배출된 물을 일시적으로 머금을 수 있는 해면체(45)가 설치될 수 있다. 이 해면체(45)는 스폰지, 천,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해면체는 황토에 의해 수분공급공(42)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수분공급공(42)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의해 황토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상기 황토 패널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공급관(41)은 사행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황토패널(36)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관들과, 이 수직관들을 연결하는 연결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직관과 연결관에는 수분공급공이 형성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황토 또는 황토 패널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 공급수단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황토보료를 구성하는 황토 또는 황토패널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예컨대, 구획공간에 설치되는 황토 또는 황토패널의 하면에 솜, 스폰지 등과 같은 함습부재를 설치하고, 이 함습부재에 물을 점적할 수 있는 공급관을 물탱크와 연결하고, 상기 공급관에는 물탱크의 물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가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황토 보료를 구성하는 황토 또는 황토 패널(30)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물은 기능성 물 즉, 지장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쑥, 향나무, 대나무 등으로부터 열수 추출한 추출액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추출액은 직접사용하거나 물에 희석시켜 사용할 수 있는데, 물에 희석한 비율을 한정할 필요는 없다.
상기 가온유닛(60)은 상부판과 하부판에 의해 구획되는 황토 또는 황토 패널의 내부 설치되는 전열선(61)을 구비한다. 이 전열선(61)은 황토패널의 상부측 내부 즉, 상부판과 인접되는 황토 또는 황토 패널의 내부에 사행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온유닛은 황토패널의 하면에 설치되는 전열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전열판은 전도를 위한 금속판에 전열선이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온유닛은 황토 또는 황토 패널의 내부 또는 하면에 설치되는 온수공급관과, 이 온수공급관과 연결되는 보일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황토 보료의 일측에는 상기 가온유닛과, 수분공급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설치되는데, 이 제어부에는 습도계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황토보료(30)를 이루는 황토 또는 황토 패널의 함습된 상태를 측정하여 수분공급유닛의 펌프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습도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침대(10)는 사용하는 과정에서 가온유닛(60)에 의해 반복적을 황토패널(30)이 가열됨에 따라 함수율이 떨어지고, 미생물의 활성도가 점차적으로 떨어지게 되는데, 수분공급수단(40)에 의해 황토 또는 황토 패널에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이러한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황토 또는 황토패널(30)에 함습율이 떨어지면 설치된 상기 제어부(80)의 수위치를 조작하여 수분공급유닛의 펌프(43)를 구동시켜 상기 물탱크(43)에 저장된 물을 수분공급관(41)으로 펌핑한다. 이와 같이 펌핑된 물은 수분공급공을 통하여 황토 또는 황토패널(30)과 단열시트(32)의 상면 즉, 단열시트와 황토 또는 황토 패널의 경계부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수분공급관을 통하여 단열시트의 상면으로 공급된 물은 삼투압현상에 의해 황토패널의 함습율을 높이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수분공급관(41)의 외주면에 해면체(45)가 설치된 경우 이 해면체(45)가 물을 일정기간 머금은 상태가 되므로 황토패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급된 수분이 공급됨으로써 황토패널(30)를 구성하는 황토가 지속적으로 습윤과 건조가 반복되어짐으로서 팽창과 수축이 이루어져 황토의 분자활동을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특히 황토에 함유되어 있는 물질중 이산화 규소가 50 %이상 함유되어 있는데, 수분이 공급됨으로써 산소와 친화력이 높은 이산화 규소의 가수분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산소의 흡착력이 높아져 황토 내에서의 산소 용존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황토에 함유되어 있는 카라타제와 같은 미생물 효소가 활성화 됨으로써 침대에서 수면을 취하는 인체 내부에서 발생되는 활성산소를 유발하는 과산화 수소를 물과 산소로 분해하여 노화방지에 도움을 주게 된다. 특히 황토에는 수만은 미생물이 공존하여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는데, 황토에 수분이 공급되면 미생물들이 가용화되면서 순환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의 침대는 황토패널에 반복적으로 수분을 공급하여 황토성분중 무기 원소들과 미생물 효소들의 가수분해 분자활동을 유지시켜 줌으로써 황토의 고유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특히 함습율을 높이기 위하여 지장수를 공급하는 경우 황토에 미생물과 무기원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커버가 친환경 및 기능성 목재인 편백나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가온수단에 의해 황토보료의 가온 시 수분이 증발하여 상기 커버(35) 즉, 편벽나무에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피톤치드와 같은 기능성 물질의 방출을 활성화시켜 산림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편백나무로 이루어진 상부판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황토패널로부터 방출되는 수증기에 의해 편백나무에 수분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황토침대
20;침대본체
30;황토보료
35;커버부재
40;수분공급유닛
41;수분공급관 42;수분공급공
43;물탱크 44;펌프
60;가온유닛

Claims (6)

  1. 침대 본체와, 상기 침대 본체에 설치되는 황토보료를 구비한 황토 침대에 있어서,
    상기 황토보료는
    목재로 이루어진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 상에 설치되는 방수 및 단열을 위한 단열시트와, 하부판의 가장자리 및 하부판 상면을 구획하는 구획부재들에 의해 하부판과 결합되는 상부판을 가진 커버와;
    상기 상, 하부판과 구획부재에 의해 구획된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는 황토패널과;
    상기 상, 하부판 및 구획부재들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황토패널과 단열재의사이의 경계부를 통하여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단열시트와 대응되는 황토패널의 하부에 사행형상으로 설치되며 단열시트와 대응되는 하부에 수분공급공이 형성된 수분공급관과, 상기 수분공급관의 입구 및 출구와 연결되는 물탱크와, 상기 수분공급관에 설치되는 펌프를 구비한 수분공급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수분공급관에 형성된 수분공급공은 수분공급관의 입구측으로부터 출구측으로 갈수록 수분공급공의 수가 많아지거나 직경이 커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침대.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는 편백나무로 이루어지며, 상기 목재에는 복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침대.

  5. 삭제
  6. 삭제
KR1020100085344A 2010-09-01 2010-09-01 황토 침대 KR101049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344A KR101049967B1 (ko) 2010-09-01 2010-09-01 황토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344A KR101049967B1 (ko) 2010-09-01 2010-09-01 황토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9967B1 true KR101049967B1 (ko) 2011-07-15

Family

ID=44923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344A KR101049967B1 (ko) 2010-09-01 2010-09-01 황토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99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799B1 (ko) * 2013-03-29 2014-12-08 장소연 수분공급수단이 구비된 황토침대
KR101539858B1 (ko) * 2013-10-23 2015-07-27 배숙환 황토 구들장 침대
KR101809096B1 (ko) 2016-06-28 2017-12-14 박기수 황토보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2746A (ko) * 2007-09-28 2009-04-01 주식회사 신경 황토 숯 보드를 이용한 매트
KR100915283B1 (ko) * 2008-10-27 2009-09-03 이창규 황토가 내장된 순환식 편백나무 침대
KR20090127032A (ko) * 2008-12-05 2009-12-09 이석안 찜질용 평상
KR101001732B1 (ko) 2010-07-07 2010-12-20 최기선 황토와 숯이 포함된 기능성 편백 온열 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2746A (ko) * 2007-09-28 2009-04-01 주식회사 신경 황토 숯 보드를 이용한 매트
KR100915283B1 (ko) * 2008-10-27 2009-09-03 이창규 황토가 내장된 순환식 편백나무 침대
KR20090127032A (ko) * 2008-12-05 2009-12-09 이석안 찜질용 평상
KR101001732B1 (ko) 2010-07-07 2010-12-20 최기선 황토와 숯이 포함된 기능성 편백 온열 침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799B1 (ko) * 2013-03-29 2014-12-08 장소연 수분공급수단이 구비된 황토침대
KR101539858B1 (ko) * 2013-10-23 2015-07-27 배숙환 황토 구들장 침대
KR101809096B1 (ko) 2016-06-28 2017-12-14 박기수 황토보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967B1 (ko) 황토 침대
KR20120046579A (ko) 빨래 건조실 겸용 개인용 사우나
KR200222609Y1 (ko) 황토타일과 구조
KR101045054B1 (ko) 숯 침대 및 그 제조방법
KR101645559B1 (ko) 공기 질 개선효과와 결로현상 방지구조를 갖는 이동식 황토방
KR20090115985A (ko) 편백나무를 마감재로 한 온열침대
KR100934715B1 (ko) 황토침대
KR200463988Y1 (ko) 참숯이 내장된 황토패널을 이용한 찜질 및 난방장치
KR101133648B1 (ko) 실내 청정기능을 갖춘 침대
KR20110079105A (ko) 황토분말과 식물성 섬유를 이용한 황토침대
KR101012597B1 (ko) 찜질용 평상
KR200405673Y1 (ko) 침대용 보료
KR200207209Y1 (ko) 숯,황토,소금 및 쑥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KR101809096B1 (ko) 황토보료
KR20070095146A (ko) 황토침대
CN205322221U (zh) 脚部烘干器
KR101468799B1 (ko) 수분공급수단이 구비된 황토침대
CN211781714U (zh) 一种改进后的重症监护输氧室内的保湿装置
KR101178163B1 (ko) 황토볼을 이용한 침대
CN202604306U (zh) 一种多层被胎
KR100816644B1 (ko) 대마황토를 이용한 찜질방
KR20070091816A (ko) 물 침대용 매트리스 원단
KR200418175Y1 (ko) 황토침대용 매트
KR20030016797A (ko) 황토벽체
KR200231400Y1 (ko) 침구용 코르크 매트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