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8843A -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8843A
KR20130008843A KR1020110069477A KR20110069477A KR20130008843A KR 20130008843 A KR20130008843 A KR 20130008843A KR 1020110069477 A KR1020110069477 A KR 1020110069477A KR 20110069477 A KR20110069477 A KR 20110069477A KR 20130008843 A KR20130008843 A KR 20130008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ytoncide
mattress
odor
lower layer
upp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9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상
Original Assignee
이효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효상 filed Critical 이효상
Priority to KR1020110069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8843A/ko
Publication of KR20130008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8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5Use of aromatic materials, e.g. her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 A47C27/12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with special fibres, such as acrylic thread, coconut, horseh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7Anti-mite, anti-allergen or anti-bacteri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Abstract

본 발명은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로서, 야자섬유를 압축 성형하여 제조된 판 형상의 부재인 상층부; 야자섬유를 압축 성형하여 제조된 판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상층부의 하면에 배치되는 하층부; 상기 상층부와 하층부 사이에 복수 개 마련되는 공간으로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공간부; 상기 공간부에 수납되며, 피톤치드를 함유하여 외부로 발산할 수 있는 발향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야자섬유를 압축 성형하여 제조된 판 형상의 부재인 상층부 및 하층부와, 상기 상층부와 하층부 사이에 복수 개 마련되는 공간부에 수납되며 피톤치드를 함유하여 외부로 발산할 수 있는 발향재를 구비함으로써, 쿠션감 및 탄력성이 우수하며 피톤치드의 외부 발산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A mattress perfuming phytoncide.}
본 발명은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쿠션감 및 탄력성이 우수하며 피톤치드의 외부 발산이 용이한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코이어(coir)는, 코코넛(coconut palm) 껍질에서 뽑아낸 직선형 야자섬유로서, 길이가 짧고 조직이 강하며, 강도는 그리 크지는 않지만 비교적 탄력성이 있고 가벼우며 물, 특히 바닷물에서 잘 썩지않는다. 이 때문에 로프·어망, 배의 충전재, 쿠션이나 매트리스의 충전재, 빗자루 등에 많이 쓰인다.
이러한 코이어를 압축 성형하여 매트리스 형상으로 만든 것이 소위 '팜록'이라는 충전재인데, 종래부터 침대의 매트리스로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근래에는 저렴한 가격의 합성 섬유 충전재의 등장으로 인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합성 섬유 충전재는, 가격은 저렴하나, 폐섬유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인체에 유해한 가스가 발생할 수 있으며, 오랜 사용으로 인하여 인체에 유해한 미세 먼지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친환경적인 소재로서 인체에 무해하고 탄력성이나 통기성이 우수한 '팜록' 매트리스가 최근 다시 각광을 받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쿠션감 및 탄력성이 우수하며 피톤치드의 외부 발산이 용이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는, 야자섬유를 압축 성형하여 제조된 판 형상의 부재인 상층부; 야자섬유를 압축 성형하여 제조된 판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상층부의 하면에 배치되는 하층부; 상기 상층부와 하층부 사이에 복수 개 마련되는 공간으로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공간부; 상기 공간부에 수납되며, 피톤치드를 함유하여 외부로 발산할 수 있는 발향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발향재는, 편백나무와 삼나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무를 파쇄하여 얻어지는 다수 개의 나무 조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나무 조각은, 최대 직경이 0.5cm 내지 1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상층부와 하층부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가로 부재 및 세로 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격자 구조에 의하여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하층부의 상면에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 홈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상층부와 하층부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중층부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공간부의 평면적이 상기 하층부 평면적의 40% 내지 7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야자섬유를 압축 성형하여 제조된 판 형상의 부재인 상층부 및 하층부와, 상기 상층부와 하층부 사이에 복수 개 마련되는 공간부에 수납되며 피톤치드를 함유하여 외부로 발산할 수 있는 발향재를 구비함으로써, 쿠션감 및 탄력성이 우수하며 피톤치드의 외부 발산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100)는, 침구용으로 사용되는 매트리스(mattress)로서, 상층부(10)와, 하층부(20)와, 공간부(30)와, 발향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층부(10)는, 코이어(coir)와 같은 야자섬유를 압축 성형하여 제조된 사각 평판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코이어들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충분한 통기성이 확보된 부재이다.
상기 하층부(20)는, 상기 상층부(10)와 마찬가지로, 코이어와 같은 야자섬유를 압축 성형하여 제조된 사각 평판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코이어들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충분한 통기성이 확보되며, 상기 상층부(10)의 하면에 배치된다.
상기 공간부(30)는, 상기 상층부(10)와 하층부(20) 사이에 복수 개 마련되는 공간으로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공간부(30)가, 상기 상층부(10)와 하층부(2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가로 부재(31) 및 세로 부재(32)에 의하여 형성되는 격자 구조에 의하여 마련된다. 상기 가로 부재(31) 및 세로 부재(32)의 하면은 상기 하층부(20)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가로 부재(31) 및 세로 부재(32)의 상면은 상기 상층부(10)의 하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하층부(20)의 상면과 상기 가로 부재(31) 및 세로 부재(32)의 측면 및 상기 상층부(10)의 하면에 의하여, 상기 공간부(30)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30)가 외부로부터 격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간부(30)의 평면적이 상기 하층부(20) 평면적의 40% 내지 70%가 되도록 상기 공간부(30)를 마련하는데, 상기 공간부(30)의 평면적이 상기 하층부(20) 평면적의 40% 미만이 되면, 상기 공간부(30)에 수납된 편백 나무 조각(40)들의 전체적인 표면적이 감소되어 피톤치드(P)를 발산하는 능력이 감소되는 단점이 있으며, 상기 공간부(30)의 평면적이 상기 하층부(20) 평면적의 70%를 초과하면, 상기 가로 부재(31) 및 세로 부재(32)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기 상층부(10)의 평면적이 감소하여 전체적인 쿠션감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발향재(40)는, 피톤치드(P)를 함유하여 외부로 발산할 수 있는 부재로서, 상기 공간부(30) 각각에 넘치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양이 수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향재(40)로서, 피톤치드(P)를 함유한 편백나무를 파쇄하여 얻어지는 다수 개의 나무 조각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편백나무는 일반적인 소나무에 비하여 피톤치드(P)의 함유량이 6배 내지 7배 가량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피톤치드(P)(phytoncide)는, 식물이 병원균·해충·곰팡이에 저항하려고 내뿜거나 분비하는 물질로서, 삼림욕을 통해 피톤치드(P)를 마시면 스트레스가 해소되고 장과 심폐기능이 강화되며 살균 및 항균작용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편백 나무 조각(40)은 최대 직경이 0.5cm 내지 1cm가 되도록 파쇄된다. 여기서, 상기 편백 나무 조각(40)의 최대 직경이 0.5cm 미만이 되면, 상기 편백 나무 조각(40)들 사이의 공간이 부족해져서 통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상기 편백 나무 조각(40)의 최대 직경이 1cm 초과되면, 상기 편백 나무 조각(40)들의 전체적인 표면적이 감소되어 피톤치드(P)를 발산하는 능력이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구성의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100)는, 야자섬유를 압축 성형하여 제조된 판 형상의 부재인 상층부(10) 및 하층부(20)와, 상기 상층부(10)와 하층부(20) 사이에 복수 개 마련되는 공간부(30)에 수납되며 피톤치드(P)를 함유하여 외부로 발산할 수 있는 발향재(4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구의 매트리스로 사용될 경우 상기 발향재(40)로부터 발산되는 피톤치드(P)가 상기 상층부(10) 및 하층부(20)의 야자섬유 사이를 쉽게 통과하여 인체에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100)는, 상기 상층부(10) 및 하층부(20)에 사용된 야자섬유로 인하여 인체가 느끼는 쿠션감 및 탄력성이 우수하며, 상기 발향재(40)로부터 발산되는 피톤치드(P)가 상기 상층부(10) 및 하층부(20)의 야자섬유 사이를 통과하여 인체에 도달하므로, 피톤치드(P)의 향기 및 효능이 지속적으로 침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100)는, 상기 발향재(40)로서 피톤치드(P)를 함유한 편백나무를 파쇄하여 얻어지는 다수 개의 나무 조각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다른 나무 조각을 상기 발향재(40)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피톤치드(P)를 장시간 지속적으로 발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100)는, 상기 편백 나무 조각(40)의 최대 직경이 0.5cm 내지 1cm이므로, 상기 편백 나무 조각(40)들 사이의 공간이 적절하게 확보되어 통기성이 우수한 동시에, 상기 편백 나무 조각(40)들의 전체적인 표면적이 적절하게 확보되어 피톤치드(P)를 발산하는 능력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100)는, 상기 공간부(30)의 평면적이 상기 하층부(20) 평면적의 40% 내지 70%이므로, 상기 공간부(30)에 수납된 편백 나무 조각(40)들의 전체적인 표면적이 적절하게 확보되어 피톤치드(P)를 발산하는 능력이 우수한 동시에, 상기 가로 부재(31) 및 세로 부재(32)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기 상층부(10)의 평면적이 적절하게 확보되어 전체적인 쿠션감도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100)는, 상기 공간부(30)가 상기 상층부(10)와 하층부(2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가로 부재(31) 및 세로 부재(32)에 의하여 형성되는 격자 구조에 의하여 마련되므로, 상기 공간부(30)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금형 없이도 상기 공간부(30)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상층부(10) 및 하층부(20)를 재단하고 남은 자투리 부재를 상기 가로 부재(31) 및 세로 부재(32)로 사용할 수도 있어, 전체적인 제조 경비가 감소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200)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200)의 구성 및 효과는 상술한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100)의 구성 및 효과와 대부분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그 차이점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200)는, 상기 공간부(30)가, 상기 가로 부재(31) 및 세로 부재(32)에 의하여 형성되는 대신에, 상기 하층부(120)의 상면에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 홈(30)에 의하여 마련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여기서 상기 홈(30)은 상기 하층부(120)의 압축 성형 시에 함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200)는, 상기 공간부(30)가 상기 하층부(120)의 상면에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 홈(30)에 의하여 마련되므로, 상기 복수 개의 홈(30)을 한꺼번에 형성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돌기부(미도시)를 구비한 금형을 사용한다면, 별도의 부재(31, 32)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하층부(120)의 압축 성형 시에 상기 복수 개의 홈(30)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200)는, 상기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100)에 비하여, 대량 자동 생산에 더욱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300)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300)의 구성 및 효과는 상술한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100)의 구성 및 효과와 대부분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그 차이점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300)는, 상기 공간부(30)가, 상기 가로 부재(31) 및 세로 부재(32)에 의하여 형성되는 대신에, 상기 상층부(10)와 하층부(20)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관통공(51)이 형성되어 있는 중층부(50)에 의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공간부(30)가, 상기 관통공(51)의 측면과 상기 상층부(10)의 하면 및 상기 하층부(20)의 상면에 의하여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격리된다.
상기 중층부(50)는, 상기 상층부(10) 및 하층부(20)와 마찬가지로, 코이어와 같은 야자섬유를 압축 성형하여 제조된 사각 평판 형상의 부재이며, 상기 관통공(51)은 펀칭 작업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300)는, 상기 공간부(30)가, 복수 개의 관통공(51)이 형성되어 있는 중층부(50)에 의하여 형성되므로, 상기 복수 개의 관통공(51)을 한꺼번에 형성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펀치부(미도시)를 구비한 금형을 사용한다면, 별도의 부재(31, 32)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공간부(30)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300)는, 상기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100)에 비하여, 대량 자동 생산에 더욱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향재(40)로서, 피톤치드(P)를 함유한 편백나무를 파쇄하여 얻어지는 다수 개의 나무 조각이 사용되고 있으나, 편백나무와 삼나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무를 파쇄하여 얻어지는 다수 개의 나무 조각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 10 : 상층부
20 : 하층부 30 : 공간부
31 : 가로 부재 32 : 세로 부재
40 : 발향재 50 : 중층부
51 : 관통공 P : 피톤치드

Claims (7)

  1. 야자섬유를 압축 성형하여 제조된 판 형상의 부재인 상층부;
    야자섬유를 압축 성형하여 제조된 판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상층부의 하면에 배치되는 하층부;
    상기 상층부와 하층부 사이에 복수 개 마련되는 공간으로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공간부;
    상기 공간부에 수납되며, 피톤치드를 함유하여 외부로 발산할 수 있는 발향재;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향재는, 편백나무와 삼나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무를 파쇄하여 얻어지는 다수 개의 나무 조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나무 조각은, 최대 직경이 0.5cm 내지 1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상층부와 하층부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가로 부재 및 세로 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격자 구조에 의하여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하층부의 상면에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상층부와 하층부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중층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의 평면적이 상기 하층부 평면적의 40% 내지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
KR1020110069477A 2011-07-13 2011-07-13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 KR201300088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477A KR20130008843A (ko) 2011-07-13 2011-07-13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477A KR20130008843A (ko) 2011-07-13 2011-07-13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843A true KR20130008843A (ko) 2013-01-23

Family

ID=47838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9477A KR20130008843A (ko) 2011-07-13 2011-07-13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884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560A (ko) * 2016-12-09 2018-06-19 강유신 코이어 블럭
US10488058B2 (en) 2014-12-31 2019-11-26 Lg Electronics Inc. Outdoor device of an air conditio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88058B2 (en) 2014-12-31 2019-11-26 Lg Electronics Inc. Outdoor device of an air conditioner
KR20180066560A (ko) * 2016-12-09 2018-06-19 강유신 코이어 블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8843A (ko)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
JP5988470B2 (ja) 靴中敷
KR200481418Y1 (ko) 편백나무 옹이를 포함하는 방향제
KR20220145071A (ko) 잣나무를 이용한 침구류
KR101308052B1 (ko) 다층 구조의 베갯잇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편백 베개
JP2006095103A (ja) 乾燥樹葉入り枕及び乾燥樹葉入り防虫芳香剤
JP5053031B2 (ja) 健康機器
JP3707691B2 (ja) 建築用,家具用等の機能性パネル材の構造
KR101787947B1 (ko) 왕겨숯을 이용한 냉장고 탈취제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냉장고 탈취제 및 냉장고 탈취포장체
KR20230000333U (ko) 교체가능한 나무조각을 포함하여 천연산림향을 방출하고 천연가습기능을 발휘하는 침대헤드프레임 구조물
KR200473719Y1 (ko) 자연향을 발산하는 친환경 나무침대
KR200420799Y1 (ko) 천연 무늬목과 콜크를 이용한 신발 인솔
JP2009240449A (ja) 充填材及び繊維製品
CN201403886Y (zh) 一种防虫羊毛板
KR20130107714A (ko) 식물 식재용 황토패널
KR101237557B1 (ko) 한지를 이용한 방석
JP2007040009A (ja) 畳床
JP3078834U (ja) 畳床構造
KR200296531Y1 (ko) 오목홈을 갖춘 깔개 또는 신발깔창용 플레이트
KR100896024B1 (ko) 친환경 파티션
KR200334873Y1 (ko) 베개
KR101843803B1 (ko) 원적외선과 향이 발산되는 건강매트 및 그 제조방법
JP3216331U (ja) 無機質調湿・吸湿材を嵌め込んだ木質板スノコ
KR200480176Y1 (ko) 침대용 매트리스
JP3115834U (ja) 自然素材製の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