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5071A - 잣나무를 이용한 침구류 - Google Patents

잣나무를 이용한 침구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5071A
KR20220145071A KR1020210051697A KR20210051697A KR20220145071A KR 20220145071 A KR20220145071 A KR 20220145071A KR 1020210051697 A KR1020210051697 A KR 1020210051697A KR 20210051697 A KR20210051697 A KR 20210051697A KR 20220145071 A KR20220145071 A KR 20220145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pine
bedding
frame
matt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정
Original Assignee
김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정 filed Critical 김미정
Priority to KR1020210051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5071A/ko
Publication of KR20220145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0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5Use of aromatic materials, e.g. her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7Anti-mite, anti-allergen or anti-bacteri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02Processes;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5/00Manufacture of non-flat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잣나무를 이용한 침구류에 관한 것으로, 잣나무의 부산물이 살균되도록 수증기로 훈증하고 파쇄한 후, 피톤치드에 침지하고 건조하여 피톤치드가 발산되는 충진재를 구성하고, 충진재가 채워진 충진재파우치를 베개나 매트리스와 같은 침구류에서 구성하여, 수면시 충진재에서 발산되는 피톤치드에 의해 수면의 질을 높임과 동시에 침구류의 미생물의 발생을 억제하고, 충진재에 의한 통기성과 제습력으로 수면 중 인체에서 발산되는 수분을 제거하여 쾌적한 수면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하여 폐기 비용이 발생되는 잣나무가 오히려 경제적인 가치를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잣나무를 이용한 침구류 {BEDDING USING NUT PINE}
본 발명은 잣나무를 이용한 침구류에 관한 것으로, 잣나무의 부산물이 살균되도록 수증기로 훈증하고 파쇄한 후, 피톤치드에 침지하고 건조하여 피톤치드가 발산되는 충진재를 구성하고, 충진재가 채워진 충진재파우치를 베개나 매트리스와 같은 침구류에서 구성하여, 수면시 충진재에서 발산되는 피톤치드에 의해 수면의 질을 높임과 동시에 침구류의 미생물의 발생을 억제하고, 충진재에 의한 통기성과 제습력으로 수면 중 인체에서 발산되는 수분을 제거하여 쾌적한 수면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하여 폐기 비용이 발생되는 잣나무가 오히려 경제적인 가치를 가지게 된다.
울창한 숲으로 이루어진 산에서 공기를 들이마시면 상쾌한 기분이 느껴지는데, 그런 기분을 느끼게 해주는 물질이 나무에서 발산되는 피톤치드(Phytoncide) 때문이다.
피톤치드는 잣나무 소나무, 편백나무 등의 침엽수에서 다량 발산되는데, 그 이유는 침엽수에서 생성되는 송진의 주성분이 테르펜(Terpene)과 지방산이고, 피톤치드의 주성분이 테르펜이기 때문이다.
피톤치드는 식물이 만들어 내어 미생물을 살균하는 휘발 및 비휘발성 화합물로서, 연구결과 항염과 항균, 살충, 면역 증진, 탈취, 신경안정, 및 스트레스 조절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잣나무는 피톤치드가 다량 발산되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수종으로 대한민국 중, 북부 지방의 높고 추운 지역에서 잘 자라는데, 특히 가평의 기후와 토질이 잣나무가 생육하기에 적합하여 국내에 서식하는 잣나무 중 약 40%가 가평군에서 서식 되고 있으며, 가평 잣나무에서 생산된 잣은 타 지역에서 생산된 잣에 비해 맛과 품질이 월등하다.
이는 한국농림기상학회지, 제4권 제1호(2002.03.01)에 기재된 "지역별 잣나무 차대검정림의 초기생장에 미치는 미기후의 영향"(신만용/국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김영채/경희대학교 임학과)의 연구결과에서도 가평의 잣나무가 다른 지역에 비하여 월등히 우수한 생장을 보이고 있다고 발표하였다.
하지만, 잣나무나 소나무를 고사시키는 소나무재선충이 창궐 되었고, 정부의 방제 노력에도 불구하고 나무가 고사되는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소나무재선충의 방제방법은 소나무재선충에 감염된 나무를 벌목하여 소각하고, 그루터기에는 약제를 살포한 후 일정기간 비닐로 덮어 소나무재선충을 사멸시키고 있는데, 방제 목적으로 벌목된 나무는 소각되기 때문에 목재 자원이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소나무재선충에 감염된 나무를 활용하기 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창안되었는데, 관련기술로는 특허 제102111066호(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목재의 제조방법)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침구류인 베개나 매트리스의 소재인 라텍스나 메모리폼은 합성수지 소재로는 제습력과 통기성이 거의 없기 때문에, 취침시 발산되는 땀에 의해 침구류가 쉽게 오염되는 것은 물론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이 증식될 수 있기 때문에 베게 커버 또는 매트리스 커버를 자주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소나무재선충에 감염된 나무는 감염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타지역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벌목 후 소각하기 때문에 목재 자원의 낭비와 많은 방제 비용이 소요되고 있다.
이에 고사목을 소각하지 않고 활용하는 방안으로 전술한 특허 제102111066호에서는 소나무재선충의 감염에 의한 고사목에 약품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소독한 후, 건조하여 건축용 목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안되어 있으나, 고사목의 약품처리는 환경오염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소나무재선충에 감염된 잣나무를 약품이나 화학처리를 배제한 친환경적 방법으로 살균하여 피톤치드가 발산되도록 구성된 충진재를 충진재파우치에 채워넣고, 이 충진재파우치를 베개나 매트리스와 같은 침구류에 간편하게 사용하도록 구성하여, 취침시 침구류의 충진재에서 발산되는 피톤치드에 의해 수면의 질을 높이고, 침구류의 소재인 라텍스나 메모리폼에서 기대할 수 없는 제습력과 통기성이 확보되어 쾌적한 수면을 유도함과 동시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버려지는 잣나무를 활용하여 피톤치드가 발산되는 충진재를 침구류인 베개나 매트리스에 사용하여 쾌적한 수면을 유도함과 동시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고 수면시 발생되는 습기를 제거하도록 창안된 것으로서, 침구류에 있어서, 잣나무 옹이 40중량% 내지 50중량%와, 잣 껍데기 20중량% 내지 30중량%와, 잣송이10 중량% 내지 20중량% 및 잣나무 잎 10 중량% 내지 20중량%를 증기로 훈증한 후, 건조하여 기반재를 형성하고 기반재를 파쇄하되, 입경(粒徑) 0.5mm 내지 20mm만 수집하여 입상체를 형성하며, 입상체를 피톤치드액에 3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침지한 후 건조하여 형성된 충진재가 충진재파우치(21)에 채워지도록 구성되고, 프레임(11)은 베개(31)가 안치되도록 상부가 개방되되, 내부에 다수의 격실(13)로 구획되도록 지지판(12)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성되고, 격실(13)은 충진재파우치(21)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덮개(14)는 프레임(11)에 끼워져 격실(13)을 덮도록 구성되되, 충진재파우치(21)가 삽입된 격실(13)과 연통되는 덮개공(15)이 형성되며, 베개(31)는 프레임(11)에 끼워지되 덮개공(15)과 연통되는 통기공(32)이 형성되어, 충진재파우치(21)의 충진재에서 발산되는 피톤치드가 덮개(14)의 덮개공(15)과 베개(31)의 통기공(32)을 통해 발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잣나무를 이용한 침구류이다.
또한, 잣나무 옹이 40중량% 내지 50중량%와, 잣 껍데기 20중량% 내지 30중량%와, 잣송이10 중량% 내지 20중량% 및 잣나무 잎 10 중량% 내지 20중량%를 증기로 훈증한 후, 건조하여 기반재를 형성하고 기반재를 파쇄하되, 입경(粒徑) 0.5mm 내지 20mm만 수집하여 입상체를 형성하며, 입상체를 피톤치드액에 3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침지한 후 건조하여 형성된 충진재가 충진재파우치(21)에 채워지도록 구성되고, 프레임(11)은 매트리스(34)가 안치되되, 프레임(11)의 좌우 내측면에는 지지관(16)의 양 말단이 끼워지도록 형성된 끼움홈(18)이 일정한 간격으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지지관(16)은 양 말단이 프레임(11)의 끼움홈(18)에 끼워져 배열되되 상면에는 매트리스(34)의 통기공(32)과 연통되는 지지관공(17)이 형성되고, 매트리스(34)는 프레임(11)에 안치되되, 지지관공(17)과 연통되는 통기공(32)이 형성되어, 충진재파우치(21)의 충진재에서 발산되는 피톤치드가 지지관(16)의 지지관공(17)과 매트리스(16)의 통기공(32)을 통해 발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잣나무를 이용한 침구류이다.
본 발명은 소나무재선충에 감염되어 벌목된 잣나무와 잣나무의 부산물을 살균하여 파쇄한 후, 피톤치드액에 침지하여 건조한 충진재를 충진재파우치에 채우고, 충진재파우치를 베개나 매트리스와 같은 침구류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수면 중 충진재에서 발산되는 피톤치드에 의하여 수면의 질을 높임과 동시에 침구에 서식할 수 있는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고, 뛰어난 통기성과 제습력으로 쾌적한 수면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특히 폐기되던 잣나무를 활용하므로, 폐기 비용이 발생하는 잣나무가 오히려 경제적인 가치를 가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침구류인 베개가 구성된 상태를 예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2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침구류인 매트리스가 구성된 상태를 예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4의 주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침구류 프레임에 지지관이 끼워져 배열된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침구류 프레임과 분리대 사이에 지지관이 끼워져 배열된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우선. 침구류에 구성되는 충진재의 재료인 잣나무 옹이, 잣껍데기, 잣송이 및 잣나무 잎을 깨끗한 물로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혼합이 용이하도록 건조한다.
잣나무 옹이에는 송진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송진에는 피톤치드의 주성분인 테르펜(Terpene)의 함유량이 많은데, 송진은 종기의 고름을 없애주고 환부를 살균하여 염증을 치유하는 약리작용 효과가 있어 오래전부터 고약의 원료로도 사용되고 있다.
잣껍데기와 잣송이 및 잣나무 잎은 침엽수가 우거진 숲에 들어갔을 때 느낄 수 있는 특유의 향이 발산되고, 통기성과 제습력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세척된 잣나무 옹이 40중량% 내지 50중량%와, 잣껍데기 20중량% 내지 30중량%와, 잣송이10 중량% 내지 20중량%와, 잣나무 잎 10중량% 내지 20중량%로 구성된 충진재 재료를 수증기로 훈증하여 소나무재선충을 포함한 해충과 미생물을 완전히 소멸시킨 후 건조하여 기반재를 형성하고, 기반재를 파쇄기에 투입하여 파쇄하되, 입경(粒徑) 0.5mm 내지 20mm의 충진재는 수집하고, 그 외의 입경으로 파쇄하여 입상체를 형성한다.
입경 0.5mm 이하의 입상체는 충진재파우치(21)의 섬유 망목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입경 20mm를 초과하는 입상체는 피부에 닿았을 때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제거해야 한다.
입상체는 잣나무에서 추출한 별도의 피톤치드액에 3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침지하여 입상체에 피톤치드액을 흡수시키 후, 통풍이 잘 되는 그늘에서 수분 함유율이 0.5% 이하가 되도록 충분히 건조하여 충진재를 형성하는데, 직물 소재의 충진재파우치(21)에 충진재를 채워넣으면 충진재파우치(21)의 충진재에서 다량의 피톤치드가 발산된다.
이러한 충진재파우치(21)는 도 1에 구성된 베개(31)가 안치되는 프레임(11)의 격실(13)에 끼워지거나, 도 3에 구성된 매트리스(34)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관(16)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도 1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프레임(11)은 상부가 개방되어 침구류인 베개(31)가 안치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내부에 다수의 격실(13)이 형성되도록 지지판(12)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성되고, 지지판(12)에 의해 구획된 격실(13)에는 충진재파우치(21)가 삽입된다.
지지판(12)의 상부에는 프레임(11)의 상부에 끼워져 프레임(11)과 함께 침구류인 베개(31)의 하중을 지지하는 덮개(14)가 구성되는데, 덮개(14)에는 충진재파우치(21)가 삽입된 격실(13)과 연통되는 덮개공(15)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프레임(11)의 상부에 안치되어 덮개(14)에 의해 지지되는 베개(31)는 라텍스 또는 메모리폼과 같은 합성수지 소재로 구성되는데, 베개(31)에 수직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기공(32)은 덮개공(15)을 통해 충진재파우치(21)가 삽입된 격실(13)과 연통 되도록 통기공(32)의 하면과 덮개공(15)이 맞닿도록 형성되며, 직물소재의 커버(33)는 베개(31)의 외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을 취침시 베개(31)로 사용하면 도 2에서와 같이 프레임(11)의 격실(13)에 삽입된 충진재파우치(21)의 충진재에서 발산되는 피톤치드가 덮개(14)의 덮개공(15)과 베개(31)의 통기공(32)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므로, 숙면을 유도함과 동시에, 충진재의 우수한 통기성과 제습력으로 침구류에 서식할 수 있는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고, 땀과 같은 습기를 제거하여 쾌적한 수면을 유도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은 도 3에서와 같이 침규류인 매트리스(34)가 안치되도록 구성된 프레임(11)이 구성되되, 프레임(11)의 좌우 내측면에는 지지관(16)의 양 말단이 끼워져 프레임(11)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끼움홈(18)이 일정한 간격으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사각 관 형태의 지지관(16)은 양 말단이 프레임(11)의 끼움홈(18)에 끼워져 프레임(11)에 안치된 매트리스(34)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지지관(16)의 내부에는 충진재파우치(21)가 삽입되고, 지지관(16)의 상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관공(17)이 형성된다.
프레임(11)의 상부에 안치되고 지지관(16)에 의해 하중이 지지되는 매트리스(34)는 라텍스 또는 메모리폼과 같은 합성수지 소재로 구성되는데, 하면이 지지관공(17)과 맞닿는 다수의 통기공(32)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직물소재의 커버(33)는 매트리스(34)의 외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을 취침시 사용하면 도 4에서와 같이 충진재파우치(21)의 충진재에서 발산되는 피톤치드가 지지관(16)의 지지관공(17)과 매트리스(34)의 통기공(32)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므로, 취침시 숙면을 유도함과 동시에, 우수한 통기성과 제습력으로 침구류에 서식할 수 있는 미생물의 증식이 억제되고 땀과 같은 습기를 제거하여 쾌적한 수면을 유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프레임(11)에 끼워져 매트리스(34)이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관(16)의 배열 간격을 조절하여 매트리스(34)의 부위별 탄성을 조절할 수 있는데, 지지관(16)의 간격이 좁게 배열한 부분은 매트리스(34)를 단단히 받치게 되고, 반대로 지지관(16)의 간격이 넓게 배열한 부분은 매트리스(34)를 느슨하게 받치게 되기 때문에, 매트리스(34)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침구류인 매트리스(34)를 사용할 때, 허리 부분의 메트리스(34) 탄성을 높이고, 다리 부분의 메트리스(34) 탄성을 낮추고 싶으면,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는 지지관(16)의 간격을 좁혀서 프레임(11)의 끼움홈(18)에 끼워 넣고, 사용자의 다리 부분에는 지지관(16)의 간격을 넓혀서 프레임(11)의 끼움홈(18)에 끼워 넣으면, 매트리스(34)는 지지관(16)의 간격이 좁은 부분은 매트리스(34)의 하중이 단단히 지지되고, 지지관(16)의 간격이 넓은 부분은 매트리스(34)의 하중이 느슨하게 지지되므로, 사용자의 요구에 맞추어 메트리스(34)의 탄성을 조절하여 보다 편안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임(11)의 중앙에 좌우를 구분하는 분리대(19)를 구성하되, 분리대(19)의 좌우면에는 프레임(11)의 끼움홈(18)과 마주보는 끼움홈(18)을 형성하고, 지지관(16)은 양단이 각각 프레임(11)의 끼움홈(18)과 분리대(19)의 끼움홈(18)에 끼워지는 길이로 형성하면, 매트리스(34)를 동시에 사용하는 2명이 사용자 요구에 맞추어 지지관(16)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각자의 요구에 맞추어 매트리스(34)의 탄성을 조절하여 편안하게 숙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충진재는 피톤치드의 발산량이 감소할 경우 충진재파우치(21)를 교체하거나, 충진재파우치(21)에서 충진재를 인출하고, 피톤치드액에 충진재를 침지한 후 건조한 충진재를 충진재파우치(21)에 채워넣어 재활용할 수 있다.
11 : 프레임
12 : 지지판
13 : 격실
14 : 덮개
15 : 덮개공
16 : 지지관
17 : 지지관공
18 : 끼움홈
19 : 분리대
21 : 충진재파우치
31 : 베개
32 : 통기공
33 : 커버
34 : 매트리스

Claims (2)

  1. 침구류에 있어서,
    잣나무 옹이 40중량% 내지 50중량%와, 잣 껍데기 20중량% 내지 30중량%와, 잣송이10 중량% 내지 20중량% 및 잣나무 잎 10 중량% 내지 20중량%를 증기로 훈증한 후, 건조하여 기반재를 형성하고 기반재를 파쇄하되, 입경(粒徑) 0.5mm 내지 20mm만 수집하여 입상체를 형성하며, 입상체를 피톤치드액에 3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침지한 후 건조하여 형성된 충진재가 충진재파우치(21)에 채워지도록 구성되고,
    프레임(11)은 베개(31)가 안치되도록 상부가 개방되되, 내부에 다수의 격실(13)로 구획되도록 지지판(12)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성되고, 격실(13)은 충진재파우치(21)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덮개(14)는 프레임(11)에 끼워져 격실(13)을 덮도록 구성되되, 충진재파우치(21)가 삽입된 격실(13)과 연통되는 덮개공(15)이 형성되며,
    베개(31)는 프레임(11)에 끼워지되 덮개공(15)과 연통되는 통기공(32)이 형성되어,
    충진재파우치(21)의 충진재에서 발산되는 피톤치드가 덮개(14)의 덮개공(15)과 베개(31)의 통기공(32)을 통해 발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잣나무를 이용한 침구류.
  2. 침구류에 있어서,
    잣나무 옹이 40중량% 내지 50중량%와, 잣 껍데기 20중량% 내지 30중량%와, 잣송이10 중량% 내지 20중량% 및 잣나무 잎 10 중량% 내지 20중량%를 증기로 훈증한 후, 건조하여 기반재를 형성하고 기반재를 파쇄하되, 입경(粒徑) 0.5mm 내지 20mm만 수집하여 입상체를 형성하며, 입상체를 피톤치드액에 3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침지한 후 건조하여 형성된 충진재가 충진재파우치(21)에 채워지도록 구성되고,
    프레임(11)은 매트리스(34)가 안치되되, 프레임(11)의 좌우 내측면에는 지지관(16)의 양 말단이 끼워지도록 형성된 끼움홈(18)이 일정한 간격으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지지관(16)은 양 말단이 프레임(11)의 끼움홈(18)에 끼워져 배열되되 상면에는 매트리스(34)의 통기공(32)과 연통되는 지지관공(17)이 형성되고,
    매트리스(34)는 프레임(11)에 안치되되, 지지관공(17)과 연통되는 통기공(32)이 형성되어,
    충진재파우치(21)의 충진재에서 발산되는 피톤치드가 지지관(16)의 지지관공(17)과 매트리스(16)의 통기공(32)을 통해 발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잣나무를 이용한 침구류.
KR1020210051697A 2021-04-21 2021-04-21 잣나무를 이용한 침구류 KR202201450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697A KR20220145071A (ko) 2021-04-21 2021-04-21 잣나무를 이용한 침구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697A KR20220145071A (ko) 2021-04-21 2021-04-21 잣나무를 이용한 침구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071A true KR20220145071A (ko) 2022-10-28

Family

ID=83835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697A KR20220145071A (ko) 2021-04-21 2021-04-21 잣나무를 이용한 침구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50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2159B1 (ko) * 2022-12-29 2023-07-07 주식회사 인아트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2159B1 (ko) * 2022-12-29 2023-07-07 주식회사 인아트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45071A (ko) 잣나무를 이용한 침구류
KR101414452B1 (ko) 항균 및 탈취 기능을 가진 침대용 매트리스
KR100348133B1 (ko) 건강증진용 혼합물 제조방법 및 그 혼합물이 부착된 침구커버
JP2006095103A (ja) 乾燥樹葉入り枕及び乾燥樹葉入り防虫芳香剤
KR200474979Y1 (ko) 피톤치드 베개
KR20110001563U (ko) 침구에 사용되는 기능성 솜
KR20120025264A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테이블
KR20100082569A (ko) 기능성 침구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135Y1 (ko) 자연발효를 이용한 찜질방의 구조
KR200438557Y1 (ko) 해충퇴치기능을 가진 침대용 매트리스
JP3161954U (ja) 芳香袋
KR100878311B1 (ko) 흙침대용 황토 조성물
KR20130008843A (ko) 피톤치드 발향 매트리스.
KR200469330Y1 (ko) 피톤치드향을 발향토록 하는 유아용 이불.
KR101417510B1 (ko) 피톤치드 인형
KR101265795B1 (ko) 건강 보조 베개
KR20190042793A (ko) 한방 기능성 아로마 메트리스 및 그 아로마의 조성물
JP2001286368A (ja) 炭と松脂を用いた吸着シートとその使用方法
KR102585022B1 (ko) 유아용 쿠션 매트
KR20120006009U (ko) 생분해가 가능한 유골함
KR100757668B1 (ko) 황토 베개
KR20000001158U (ko) 베개
JP3161614U (ja) 使い捨て用寝具
KR20220086158A (ko) 항균 탈취와 원적외선 및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파우치를 활용한 다기능성 제품
KR200205024Y1 (ko) 베갯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