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022B1 - 유아용 쿠션 매트 - Google Patents

유아용 쿠션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022B1
KR102585022B1 KR1020220148764A KR20220148764A KR102585022B1 KR 102585022 B1 KR102585022 B1 KR 102585022B1 KR 1020220148764 A KR1020220148764 A KR 1020220148764A KR 20220148764 A KR20220148764 A KR 20220148764A KR 102585022 B1 KR102585022 B1 KR 102585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
cushion
far
infants
cushion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8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목지윤
Original Assignee
(주)보화산업
목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화산업, 목지윤 filed Critical (주)보화산업
Priority to KR1020220148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 A47D15/001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47C27/007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permeable to liquid or air in a special w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4Means for protecting against undesired influence, e.g. magnetic radiation or static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5Use of aromatic materials, e.g. her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6Use of three-dimensional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the layer being formed of fibres, chips, or particles, e.g. MDF, HDF, OSB, chipboard, particle board, h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layer of regularly- arranged cells, e.g. a honeycomb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natural stone or artificial sto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쿠션 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의 배설물 침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육각 벌집구조의 쿠션부재에 의해 완충이 가능하도록 제작되고 피톤치드가 발생되는 천연소재와 황토, 숯을 혼합한 제품을 배치하여 인체에 유익한 건강 기능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항균과 살균으로 위생적인 환경을 오래 유지하여 유아를 보다 쾌적하게 돌볼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정육각형 벌집 구조로 리브(11)들이 서로 연결되며 바닥면에 홀(12)이 관통되는 상하 한쌍의 쿠션부재(10)들과, 옥, 황토, 맥반석, 토르말린, 숯을 각각 700∼2000 메쉬의 분말상태로 파쇄하여 혼합하여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재질의 주머니(21)에 충진되어 한쌍의 쿠션부재(10)들 사이로 위치되는 원적외선팩(20)과, 이 원적외선팩(20)의 내부에 위치되어 외부 전원으로 발열되는 히터부재(30)와, 상기 쿠션부재(10)들의 외측에 각각 위치되며 향기 방출이 가능한 파우치(41)에 분말 상태로 담겨져 피톤치드를 방출시키는 편백나무팩(40)과, 편백나무팩(40) 및 원적외선팩(20)으로 유아들이 배설물 유입을 차단하는 보호시트(50)와, 가장 외측에서 상기 각 구성물들을 감싸는 외피(60)로 구성되되,
상기 쿠션부재(10)들은 실리콘재로 이루어지며, 주머니(21)와 파우치(41) 및 외피(60)는 직물지로 선택되고, 상기 히터부재(30)는 온도조절기(31)에 의해 선택된 온도로 발열되도록 하며, 상기 보호시트(50)는 고어텍스(Gore-tex)로 된 일방향성 투과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Description

유아용 쿠션 매트{Baby Cushion Mat}
본 발명은 유아용 쿠션 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의 배설물 침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육각 벌집구조의 쿠션부재에 의해 완충이 가능하도록 제작되고 피톤치드가 발생되는 천연소재와 황토, 숯을 혼합한 제품을 배치하여 인체에 유익한 건강 기능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항균과 살균으로 위생적인 환경을 오래 유지하여 유아를 보다 쾌적하게 돌볼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아나 유아는 신체 근육이 발달되어 있지 않고 뼈가 채 굳지 않아 대부분 누워서 보내거나 잠을 자게 되므로, 그 시간을 보내기 위한 장소는 매우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침대나 베개, 요람, 포대기류 등이 예전부터 개발되어 오고 있다.
통상의 영, 유아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침대는 대개 사각형태의 목재틀로 골조를 형성한 후 그 내부의 바닥판에 매트를 깔아 사용하고 있으나, 방안의 습도와 온도가 불규칙한 조건하에 유아를 매트에 눕혀 놓았을 경우, 호흡기 질환이나 땀띠, 습진 등에 자주 노출되어 버리게 된다.
더구나, 움직임이 불가능한 영아들이 사용하기에는 적합할지 몰라도 어느 순간 기어 다니거나 일어설 정도로 자라게 되면 침대에서 쉽게 떨어져 심각한 부상을 입게 될 가능이 매우 높아진다.
목재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침대류는 가격이 매우 비싸고 상당한 점유공간을 차지하게 됨은 물론 부상의 우려 때문에 소비자가 선뜻 구매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국내 공개특허 제2005-0000814호 공보에는 아기에게 보다 쾌적하고 안전한 잠자리를 제공하면서 벌레 등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영아용 침대」에 대해 개시되어 있고, 또 공개특허 제2006-0025251호 공보에는 아기의 수면이나 휴식시에 편안함을 제공하고 살균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별도 모빌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아기의 시각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용도 유아용 매트」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침대의 바닥부와 측면부가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어 제작되는 것이기 때문에 별도의 매트나 쿠션 등을 반드시 사용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고, 또 여러 부품들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므로 제작이 난해하고 비용이 증가하게 됨은 물론 바닥을 통한 공기 유통이 원활하지 못하여 건강에 해를 주게 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여 특허등록 제0930289호에서와 같이, 통기성이 우수한 쿠션들을 이용하여 아기 건강을 지키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잠자리가 보다 편안하고 보관이 간편하며, 통상의 모빌이나 방충망을 간단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시각적인 발달을 꾀하고 해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유아침구」에 대해 제안된 바 있다.
그런데, 이러한 침구류에 사용되는 매트는 부드러운 솜을 넣어 제작한 커버체를 누빔 처리된 바닥요 내에 넣어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유아들의 배설물로 인하여 매트가 쉽게 오염되어 버리게 됨은 물론 이로 인해 수시로 바닥요로부터 커버체를 분리해 낸 후 각각 세탁하여 건조시켜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다.
국내 공개특허 제2005-0000814호 (영아용 침대) 국내 공개특허 제2006-0025251호 (다용도 유아용 매트) 국내 특허등록 제0930289호 (유아침구)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육각형 벌집구조의 리브들로 연결된 쿠션부재에 의해 완충 및 쿠션효능이 우수한 유아용 쿠션 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톤치드가 발생되는 천연소재와 황토, 숯을 혼합한 분말을 일정 두께의 팩으로 배치하여 인체에 유익한 건강 기능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항균과 살균으로 위생적인 환경을 오래 유지하여 유아를 보다 쾌적하게 돌볼 수 있도록 된 유아용 쿠션 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 둘레에 유아들의 배설물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쿠션부재 사이에 공기가 흘러 순환될 수 있도록 하여 쾌적하고 오염을 장기간 방지할 수 있는 유아 침구용 쿠션매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열히트에 의해 특히 동절기에도 적절한 온도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열에 의해 황토와 숯 등에서 발생되는 인체 유익한 성분의 생성 효율을 증폭시킬 수 있도록 한 유아 침구용 쿠션매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육각형 벌집 구조로 리브(11)들이 서로 연결되며 바닥면에 홀(12)이 관통되는 상하 한쌍의 쿠션부재(10)들과,
옥, 황토, 맥반석, 토르말린, 숯을 각각 700∼2000 메쉬의 분말상태로 파쇄하여 혼합하여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재질의 주머니(21)에 충진되어 한쌍의 쿠션부재(10)들 사이로 위치되는 원적외선팩(20)과,
이 원적외선팩(20)의 내부에 위치되어 외부 전원으로 발열되는 히터부재(30)와,
상기 쿠션부재(10)들의 외측에 각각 위치되며 향기 방출이 가능한 파우치(41)에 분말 상태로 담겨져 피톤치드를 방출시키는 편백나무팩(40)과,
편백나무팩(40) 및 원적외선팩(20)으로 유아들이 배설물 유입을 차단하는 보호시트(50)와,
가장 외측에서 상기 각 구성물들을 감싸는 외피(60)로 구성되되,
상기 쿠션부재(10)들은 실리콘재로 이루어지며, 주머니(21)와 파우치(41) 및 외피(60)는 직물지로 선택되고,
상기 히터부재(30)는 온도조절기(31)에 의해 선택된 온도로 발열되도록 하며,
상기 보호시트(50)는 고어텍스(Gore-tex)로 된 일방향성 투과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첫째, 육각형 벌집구조의 리브들로 연결된 쿠션부재에 의해 완충 및 쿠션효능이 우수하다.
둘째, 피톤치드가 발생되는 천연소재와 황토, 숯을 혼합한 분말을 일정 두께의 팩으로 배치하여 인체에 유익한 건강 기능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항균과 살균으로 위생적인 환경을 오래 유지하여 유아를 보다 쾌적하게 돌볼 수 있게 된다.
셋째, 일방향성 투과부재를 이용해 유아들의 배설물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쿠션부재 사이에 공기가 흘러 순환될 수 있도록 하여 쾌적하고 오염을 장기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넷째, 발열히트에 의해 특히 동절기에도 적절한 온도로 숙면을 취할 수 있다.
다섯째, 열에 의해 황토와 숯 등에서 발생되는 인체 유익한 성분의 생성 효율을 증폭시킬 수 있어 특히 유아에게 매우 유익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아용 쿠션 매트를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유아용 쿠션 매트를 구성을 분해한 확대 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이 조립된 상태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5는 쿠션부재의 일부 확대 평면도.
도 6은 쿠션부재의 일부 확대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쿠션 매트는, 유아의 배설물 침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육각 벌집구조의 쿠션부재에 의해 완충이 가능하도록 제작되고 피톤치드가 발생되는 천연소재와 황토, 숯을 혼합한 제품을 배치하여 인체에 유익한 건강 기능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항균과 살균으로 위생적인 환경을 오래 유지하여 유아를 보다 쾌적하게 돌볼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아용 쿠션 매트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을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분해한 상태로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이 유아용 쿠션 매트로 사용되기 위해 각 요소들이 조립된 상태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A부 확대도이다.
도 5는 쿠션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확대 평면도이고, 도 6은 쿠션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쿠션부재(10)들은 두개가 한쌍으로 서로 대칭되게 위치되는데, 정육각형 벌집 구조로 리브(11)들이 서로 연결되며 바닥면에는 홀(12)이 관통되어 후술하는 원적외선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쿠션부재(10)들은 탄력성이 우수한 실리콘 재로 리브(11)들이 벌집 구조의 정육각형으로 연결되며, 바닥면에는 홀(12)이 뚫어진 상태로 도 1에서와 같이 직사각 판넬 형상으로 성형된다.
따라서, 유아들이 침구 매트로 사용될 때 체중의 압력을 분산하여 피부와 미세혈관을 누르지 않게 함으로써, 편안함과 유연함을 제공할 수 있고, 리브(11)들이 서로 연결되는 자체 탄성과 유연성으로 지지력 및 형상 유지 효과를 갖게 된다.
그리고, 인체의 다양한 체형에 용이하게 대응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된 쿠션부재(10)는 리브(11)들이 상하 외측을 향하도록 대칭되게 배치한 상태에서 그 중앙에는 원적외선팩(20)을 위치시키게 된다.
원적외선팩(20)은 옥, 황토, 맥반석, 토르말린, 숯을 각각 700∼2000 메쉬의 분말상태로 파쇄하여 혼합하여 주머니(21)에 충진하여 이루어진다.
주머니(21)는 위 분말 가루들은 배출되지 않고 이들 분말 성분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 및 건강에 유익한 향기와 성분들 배출이 가능하도록 직물지로 제작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상기 옥이나 황토, 맥반석, 토르말린, 숯 등은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이 발산되어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생체 면역기능을 강화시킴은 물론 숙면 및 피로회복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물질들은 항균성을 띠고 있기 때문에 일반 건축자재에서 발생하는 포름 알데히드, 대장균, 녹농균 등과 같은 유해 물질로 인한 새집 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 원적외선팩(20)의 내부에는 온도조절기(31)에 의해 온도 조절이 가능한 히터부재(30)가 설치된다.
히터부재(30)는 외부 전원으로 온도조절기(31)를 통해 선택된 온도로 발열되어 침구 매트를 사용한 유아들에게 적절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 히터부재(30)에 의해 적절한 온도로 발열하게 되면 원적외선이나 음이온 발산효과가 더 상승되고, 편백나무팩(40)으로부터 발생되는 피톤치드의 방출 성능도 더 향상시킬 수도 있게 된다.
상기 편백나무팩(40)은 상기 쿠션부재(10)들 외측에 각각 위치되며 향기 방출이 가능한 파우치(41)에 편백나무 소재가 분말 상태로 담겨져 피톤치드를 방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천연 편백나무 분말은 피톤치드 발산 효과가 가장 높다고 알려져 있다.
피톤치드(Phyton Cide)의 주성분은 테르펜이라는 물질이며, 바로 이 물질이 숲 속의 향긋한 냄새를 만들어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고 말초 혈관을 단련시키고 심폐 기능을 강화시키며 기관지 천식과 폐결핵 치료, 심장 강화에도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또 피부를 소독하는 약리 작용과 아울러 병원균이나 해충을 물리치는 효과도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편백나무팩(40) 및 원적외선팩(20)으로 유아들이 배설물로 부터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각 구조물이 적층된 상태에서 외측에는 유연한 보호시트(50)를 위치시키게 된다.
이 보호시트(50)는 일방향성 투과부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일방향성 투과부재로는 고어텍스(Gore-tex)가 선택된다.
즉, 고어텍스(Gore-tex)와 같이 일방향성 투과부재는 일방향으로 공기는 투과되면서 습기는 차단시키는 기능을 갖게 된다.
고어텍스(Gore-tex)는 열이나 약품에 강한 테플론계 수지를 늘려서 가열하여 무수한 작은 구멍을 뚫은 아주 엷은 막으로써, 구멍의 크기 설정에 의해 최소 입자가 큰 수분은 통하지 못하게 되고 최소 입자가 수분보다 매우 작은 공기나 수증기는 통과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유아들로부터 소변과 같은 액상 분비물이 발생될 때 수분은 상기한 기능성 분말이 담겨진 파우치(41)나 주머니(21)를 향해 침투되는 것은 차단하게 되고, 피톤치드나 원적외선 및 음이온과 같은 유익한 성분들은 그 입자가 매우 작게 되므로 상기 일방향성 투과부재(30)인 고어텍스(Gore-tex)를 원활하게 통과하게 된다.
그러나, 소변과 같은 분비물은 입자가 거칠어지면서 입자 크기가 커지게 되어 고어텍스를 관통할 수 없게 되어, 상기한 편백나무팩(40) 및 원적외선팩(20)들이 오염되어 훼손 경우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각 구성물들이 각각 중첩된 상태에서 가장 외부는 촉감이 부드럽고 유연한 직물지 소재의 외피(60)로 커버하게 된다.
직물커버 역할의 외피(60) 가장자리에 지퍼(도시생략)를 부착하여 필요시 내부 개봉이 가능하여 교체나 세척 등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유아용 쿠션 매트는 상하 대칭구조이므로 방향성 없이 양쪽면 모두 동일한 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완충 및 쿠션효능이 우수하면서도 피톤치드가 발생되는 천연소재와 황토, 숯을 혼합한 분말을 일정 두께의 팩으로 배치하여 인체에 유익한 건강 기능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항균과 살균으로 위생적인 환경을 오래 유지하여 유아를 보다 쾌적하게 돌볼 수 있는 것이다.
또, 일방향성 투과부재를 이용해 유아들의 배설물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쿠션부재 사이에 공기가 흘러 순환될 수 있도록 하여 쾌적하고 오염을 장기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쿠션부재
20 - 원적외선팩
30 - 히터부재
40 - 편백나무팩
50 - 보호시트
60 - 외피

Claims (5)

  1. 정육각형 벌집 구조로 리브(11)들이 서로 연결되며 바닥면에 홀(12)이 관통되는 상하 한쌍의 쿠션부재(10)들과,
    옥, 황토, 맥반석, 토르말린, 숯을 각각 700∼2000 메쉬의 분말상태로 파쇄하여 혼합하여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재질의 주머니(21)에 충진되어 한쌍의 쿠션부재(10)들 사이로 위치되는 원적외선팩(20)과,
    이 원적외선팩(20)의 내부에 위치되어 외부 전원으로 발열되는 히터부재(30)와,
    상기 쿠션부재(10)들의 외측에 각각 위치되며 향기 방출이 가능한 파우치(41)에 분말 상태로 담겨져 피톤치드를 방출시키는 편백나무팩(40)과,
    편백나무팩(40) 및 원적외선팩(20)으로 유아들이 배설물 유입을 차단하는 보호시트(50)와,
    가장 외측에서 상기 각 구성물들을 감싸는 외피(60)로 구성되되,
    상기 쿠션부재(10)들은 실리콘재로 이루어지며, 주머니(21)와 파우치(41) 및 외피(60)는 직물지로 선택되고,
    상기 히터부재(30)는 온도조절기(31)에 의해 선택된 온도로 발열되도록 하며,
    상기 보호시트(50)는 고어텍스(Gore-tex)로 된 일방향성 투과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쿠션 매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148764A 2022-11-09 2022-11-09 유아용 쿠션 매트 KR102585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764A KR102585022B1 (ko) 2022-11-09 2022-11-09 유아용 쿠션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764A KR102585022B1 (ko) 2022-11-09 2022-11-09 유아용 쿠션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022B1 true KR102585022B1 (ko) 2023-10-10

Family

ID=88291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8764A KR102585022B1 (ko) 2022-11-09 2022-11-09 유아용 쿠션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022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0814A (ko) 2003-06-25 2005-01-06 윤진규 영아용 침대
KR20060025251A (ko) 2004-09-15 2006-03-21 윤인경 다용도 유아용 매트
KR200442839Y1 (ko) * 2007-06-08 2008-12-17 이형기 황토침대용 매트리스
KR100930289B1 (ko) 2009-03-12 2009-12-09 김재원 유아 침구
KR20110021448A (ko) * 2009-08-26 2011-03-04 유유자 온열매트
KR101285974B1 (ko) * 2011-09-15 2013-07-12 김현희 유아 침구용 쿠션매트
KR200476458Y1 (ko) * 2013-10-25 2015-03-03 박기수 친환경 침대용 온열보료
JP2017501823A (ja) * 2013-12-31 2017-01-19 テンピュール−ペディック・マネジメント・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マットレス用カバーアセンブリ
KR101938117B1 (ko) * 2018-09-03 2019-01-11 신동길 에어 메쉬 매트
KR20190042793A (ko) * 2017-10-17 2019-04-25 김경환 한방 기능성 아로마 메트리스 및 그 아로마의 조성물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0814A (ko) 2003-06-25 2005-01-06 윤진규 영아용 침대
KR20060025251A (ko) 2004-09-15 2006-03-21 윤인경 다용도 유아용 매트
KR200442839Y1 (ko) * 2007-06-08 2008-12-17 이형기 황토침대용 매트리스
KR100930289B1 (ko) 2009-03-12 2009-12-09 김재원 유아 침구
KR20110021448A (ko) * 2009-08-26 2011-03-04 유유자 온열매트
KR101285974B1 (ko) * 2011-09-15 2013-07-12 김현희 유아 침구용 쿠션매트
KR200476458Y1 (ko) * 2013-10-25 2015-03-03 박기수 친환경 침대용 온열보료
JP2017501823A (ja) * 2013-12-31 2017-01-19 テンピュール−ペディック・マネジメント・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マットレス用カバーアセンブリ
KR20190042793A (ko) * 2017-10-17 2019-04-25 김경환 한방 기능성 아로마 메트리스 및 그 아로마의 조성물
KR101938117B1 (ko) * 2018-09-03 2019-01-11 신동길 에어 메쉬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974B1 (ko) 유아 침구용 쿠션매트
JPH08308888A (ja) 床ずれ防止装置
CN105029981B (zh) 枕头
KR102585022B1 (ko) 유아용 쿠션 매트
JP4269068B2 (ja) 患者用敷布
KR20110021448A (ko) 온열매트
KR20060011912A (ko) 원적외선방사 편백나무 온열침대
KR200474979Y1 (ko) 피톤치드 베개
KR20110001563U (ko) 침구에 사용되는 기능성 솜
JP2005328901A (ja) ユーカリの葉を用いた健康寝具、芳香袋、入浴剤
KR20150141357A (ko) 애완동물용 돌침대
KR20190042793A (ko) 한방 기능성 아로마 메트리스 및 그 아로마의 조성물
KR101559826B1 (ko) 기능성 침대매트리스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기능성 침대매트리스
JP3124364U (ja) 寝具
KR20220145071A (ko) 잣나무를 이용한 침구류
KR101707093B1 (ko) 살균기
JP3161614U (ja) 使い捨て用寝具
KR200264229Y1 (ko) 매트리스
KR20140000218U (ko) 욕창방지용 침대매트리스
KR20140119403A (ko) 압사 방지 기능을 갖는 영아용 요람
KR20050007260A (ko) 숯이 내장된 팜 매트리스
US10882288B2 (en) Multifunction mat
KR102629601B1 (ko) 기능성 경추 베개
JP3042314U (ja) 遠赤外線放射マット
KR200361845Y1 (ko) 숯이 내장된 팜 매트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