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009U - 생분해가 가능한 유골함 - Google Patents

생분해가 가능한 유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009U
KR20120006009U KR2020110001354U KR20110001354U KR20120006009U KR 20120006009 U KR20120006009 U KR 20120006009U KR 2020110001354 U KR2020110001354 U KR 2020110001354U KR 20110001354 U KR20110001354 U KR 20110001354U KR 20120006009 U KR20120006009 U KR 201200060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hes
weight
parts
biodegradable
upp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3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요섭
Original Assignee
심요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요섭 filed Critical 심요섭
Priority to KR20201100013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6009U/ko
Publication of KR201200060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00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07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material used, e.g. biodegradable material; Use of several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60Aspects relating to the preparation, properties or mechanical treatment of green bodies or pre-for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친환경적이면서 생분해가 가능한 재료를 이용하여 유골함을 제작함으로써 유골을 유골함에 수납한 후 토양에 매립 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생분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생분해가 가능한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측에 유골을 수용할 수 있는 수납홈(111)이 구비되어 있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상단을 커버하는 상부캡(120)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유골함(100)에 있어서,
상기 유골함(100)은 황토 30중량부, 맥반석 20중량부, 게르마늄 10중량부, 마사토 10중량부, 구연산 20중량부로 이루어진 원료를 혼합하고 숙성시킨 후 프레스로 압착하여 몸체(110)와 상부캡(120)을 각각 성형하고, 상기와 같이 성형된 몸체(110)와 상부캡(120)을 30일간 자연건조시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생분해가 가능한 유골함{BIODEGRADABLE POSSIBLE CINERARY URN}
본 고안은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골함을 제조하는 데 있어 생분해가 가능하도록 하여 유골함에 유골을 담아 토양에 매립 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생분해가 이루어져 흙과 함께 자연으로 돌아갈 수 있어 사람은 물론 애완 동물의 유골을 보관할 수 있는 매립형 생분해가 가능한 유골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양권에서 조상에 대한 의식은 매우 엄격하며 이들 중 묘에 대한 관심은 상당하며, 최근에 들어서 전통 매장식보다 화장을 하고 유골을 유골함에 넣어서 납골당에 안치시키는 사람들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안치용 유골함은 보통 자기나 석재 또는 목재로 만들어져 안치하도록 되어 있으나, 납골당 안치 후 점차 세월이 흐름에 따라 무연고 유골함이 증가되어질 수밖에 없고 이에 따른 유골함 관리가 어려워져 미래 화장문화에서의 문제점으로 대두될 수 있는 우려를 낳고 있다. 또한, 애완동물을 키우는 가정의 경우 근래에는 애완동물에 대한 애정을 간직하기 위해 별도의 납골시설에 안치 시키게 되는데, 이 또한 세월이 흐름에 따라 관리에 어려움을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수목장(樹木葬)은 유해를 잘 보존하고 후손과 밀접한 유대를 유지할 수 있는 장묘법으로 산림에서 나무를 자르고 산을 헐며 묘석을 세우는 자연파괴를 막을 수 있고, 묘지관리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장묘법이다. 이러한 종래의 수목장(樹木葬)은 주로 화장에 의해 처리된 미세한 유골분을 부패가 용이한 상자 또는 보자기로 감싸 나무 주변에 묻거나 그 위에 나무 또는 꽃을 심는 산골형 수목장을 실시하는 장묘문화이다.
여기서, 나무 주변에 묻은 유골분이 담긴 유골함은 고인이 나무와 함께 상생한다는 자연회귀의 정신을 가지고 지내는 장례법인 만큼, 내측에 담긴 고인의 유골과 함께 부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유골함은 목재로 제작하고, 제작된 유골함에 옷칠을 함으로써 유골함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유골의 부패를 방지하고, 유골을 오랫동안 변질되지 않도록 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목장에서의 유골함은 내측에 담긴 고인의 유골은 물론이거니와, 유골을 수용하는 유골함이 용이하게 부패되지 않음으로써 유골 및 유골함이 자연분해가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유골을 담은 후 유골함의 내측에 남는 공간이 발생하여 유골함을 묻은 지반의 붕괴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유골함 관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화장 후 남은 유골을 유골함에 보관시킨 상태에서 수목장 등과 같은 토양 매립형태로 유골함을 묻게 되면, 일정 기간이 지난 후 자연분해가 진행되어 자연스럽게 흙으로 돌아갈 수 있는 생분해가 가능한 유골함을 제공함으로 유골함 관리의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본 고안인 생분해가 가능한 유골함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 적 수단은 [내측에 유골을 수용할 수 있는 수납홈(111)이 구비되어 있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상단을 커버하는 상부캡(120)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유골함(100)에 있어서,
상기 유골함(100)은 황토 30중량부, 맥반석 20중량부, 게르마늄 10중량부, 마사토 10중량부, 구연산 20중량부로 이루어진 원료를 혼합하고 숙성시킨 후 프레스로 압착하여 몸체(110)와 상부캡(120)을 각각 성형하고, 상기와 같이 성형된 몸체(110)와 상부캡(120)을 30일간 자연건조시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가 가능한 유골함]을 제공함으로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생분해가 가능한 유골함은, 주재료가 황토, 맥반석, 게르마늄, 마사토, 구연산으로 이루어짐으로 인해 외부로부터의 습기 차단 등의 효과를 통해 내부에 보관되어지는 유골의 보존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유골함의 크랙 발생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유골함 성분이 친환경적이면서 생분해가 가능한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토양의 미생물에 의해 생분해가 이루어지게 되어 토양으로 자연스럽게 복원되는 장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수목장 및 자연장 등에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유골함은 제조과정에서 열을 가하지 않는 프레스 성형 방식으로 성형 제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분해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작이 간단하여 대량 생산에 용이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생분해가 가능한 유골함의 제작 공정 블럭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생분해가 가능한 유골함에 있어서 몸체와 상부캡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이다.
이하, 본 고안인 생분해가 가능한 유골함에 대하여 상세하게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생분해가 가능한 유골함의 제작 공정 블럭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생분해가 가능한 유골함에 있어서 몸체와 상부캡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로,
본 고안은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측에 유골을 수용할 수 있는 수납홈(111)이 구비되어 있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상단을 커버하는 상부캡(120)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유골함(100)을 제작하는 데 있어,
상기 유골함(100)을 전체 중량부 대비 황토 30중량부, 맥반석 20중량부, 게르마늄 10중량부, 마사토 10중량부, 구연산 20중량부로 이루어진 원료를 혼합하고 숙성시킨 후 프레스로 압착하여 몸체(110)와 상부캡(120)을 각각 성형하고, 상기와 같이 성형된 몸체(110)와 상부캡(120)을 30일간 자연건조시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인 생분해가 가능한 유골함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은 도 1에서와 같은 공정에 따라 생분해가 가능한 유골함을 제조할 수 있다.
즉, 원료혼합단계(S10)와, 숙성단계(S20), 프레스 성형단계(S30), 자연건조단계(S40)의 시계열 수순에 의해 생분해가 가능한 유골함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원료혼합단계(S10)는 본 고안의 주재료인 황토, 맥반석, 게르마늄, 마사토, 구연산을 혼합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재료들을 혼합하는 것은 별도의 기계장치에 의해 혼합하게 되는 것은 물론이며,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각각의 재료들을 혼합하는 비율인데 본 고안에 의한 유골함(100)은 전체 중량부 대비 황토 30중량부, 맥반석 20중량부, 게르마늄 10중량부, 마사토 10중량부, 구연산 20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황토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황토1g 속에는 약 2억~2억5천 마리의 미생물이 살고 있어 다양한 효소들이 복합적으로 순환작용에 도움을 주고, 입자가 곱고 많은 산소를 함유하고 있어 정화능력이 뛰어나며 탈취, 탈지의 성질이 있어 해독력, 흡수력, 자정력 등이 뛰어난 것이다.
또한, 상기 맥반석은 맥반석 1㎤당 3만 ~ 15만개의 다층다공질로 구성되어 있고 표면적이 넓어 오염물질, 중금속 등을 흡착. 분해하는 작용으로 시멘트 독성을 중화시키며, 항균, 방충 및 강한 탈취력을 보이고 있으며, 원적외선 방사에 의한 공명, 공진, 흡수작용 등으로 물품의 선도유지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게르마늄은 산화성이 강한 산소 원자를 갖는 화학적 특성 때문에 독성물질을 흡입하여 화학적으로 결합한 후 독성이 없는 다른 물질을 만드는 제독작용을 하며, 특히 수은, 카드늄, 등의 중금속의 오염 제독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마사토는 일반적으로 암석이 부서지거나 풍화하여 생성된 것으로 석영입자가 70%이상이고 소량의 장석과 점토가 포함되어 있으며, 지구의 지층 분포상 상당량이 존재하여 국내 지층에서는 60%이상이 분포되어 있고 그 분포위치가 지리적으로 접근이 용이한 하천 주변, 낮은 구릉이나 산 등에 산재되어 있으며, 통기성, 배수성 등이 좋은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구연산은 무색 투명의 결정.입자 또는 백색의 분말로 냄새가 없고 강력한 산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공기 중에 방치하면 흡습하여 결정 구연산이 되는데, 이러한 구연산은 귤속 과일에서 주로 발견되는 약한 유기산으로, 이러한 구연산은 자연적인 보존제이며 음식이나 음료수에 산성 또는 신 맛을 첨가하기 위해 쓰고, 환경 친화적인 청소제로 쓰이며, 식품의 변색, 비타민c의 분해를 억제해 보존성을 향상 시키고, 항산화제와 병용하면 산하방지효과를 증대 시키며, 곰팡이 및 악취 제거에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재료를 혼합하여 본 고안인 생분해가 가능한 유골함을 제조하게 되어 외부로부터의 습기차단 등의 효과를 통해 내부에 보관되어지는 유골의 보존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유골함의 크랙 발생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유골함 성분이 친환경적이면서 생분해가 가능한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토양의 미생물에 의해 생분해가 이루어지게 되어 토양으로 자연스럽게 복원되는 장점을 갖고 있어 수목장 및 자연장 등에 적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숙성단계(S20)는 원료혼합단계(S10)를 통해 혼합된 재료를 일정기간 자연 숙성시키는 단계로, 본 고안에서는 실온에서 숙성을 실시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재료들이 쉽게 부패하거나 냉각되지 않도록 10~20도의 온도에서 하루 정도 숙성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숙성단계(S20)를 통해 조성된 황토, 맥반석, 게르마늄, 마사토, 구연산 혼합물을 일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프레스 성형단계(S30)를 실시한다.
즉, 상기 혼합된 재료를 유골함(100)의 몸체(110) 및 상부캡(120)의 형상으로 된 성형틀에 각각 투입한 후 일정한 압력으로 프레스를 가압하여 몸체(110)와 상부캡(120)의 형상으로 각각 성형시키게 된다.
이때, 일반적인 성형 방법인 소성이나 유약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혼합된 주재료만 프레스 성형하여 일정기간이 지난 후 자연 분해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됨과 함께 자연 분해로 인한 토양 오염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프레스 성형단계(S30)를 통해 성형된 유골함(100)을 실온에서 30일간 자연 건조시키는 자연건조단계(S40)를 실시한 후 보관 및 이동을 위한 포장작업을 실시함으로써 본 고안인 생분해가 가능한 유골함이 완성되어 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고안은 사람의 유골이나 애완동물의 유골을 담아서 땅속에 수목장이나 자연장의 형태로 매립하여 관리되며, 일정 기간 동안은 원형의 형태를 유지하다가 땅속 조건이나 환경조건(온도, 습기, 미생물)에 따라 자연스럽게 반응을 시작하여 분해가 이루어지면서 토양에 복원되어지게 된다.
즉, 주원료가 토양을 이루고 있는 성분인 황토, 맥반석, 게르마늄, 마사토, 구연산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열을 가하지 않는 프레스 성형작업으로 인해 제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자연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특히 땅속에서의 분해도가 우수하여 토양 오염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자연으로 환원되어지는 것이다.
S10; 원료혼합 단계
S20; 숙성 단계
S30; 프레스 성형 단계
S40; 자연건조 단계
100; 유골함 110; 몸체
111; 수납홈 120; 상부캡

Claims (1)

  1. 내측에 유골을 수용할 수 있는 수납홈(111)이 구비되어 있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상단을 커버하는 상부캡(120)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유골함(100)에 있어서,
    상기 유골함(100)은 황토 30중량부, 맥반석 20중량부, 게르마늄 10중량부, 마사토 10중량부, 구연산 20중량부로 이루어진 원료를 혼합하고 숙성시킨 후 프레스로 압착하여 몸체(110)와 상부캡(120)을 각각 성형하고, 상기와 같이 성형된 몸체(110)와 상부캡(120)을 30일간 자연건조시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가 가능한 유골함.
KR2020110001354U 2011-02-18 2011-02-18 생분해가 가능한 유골함 KR2012000600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354U KR20120006009U (ko) 2011-02-18 2011-02-18 생분해가 가능한 유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354U KR20120006009U (ko) 2011-02-18 2011-02-18 생분해가 가능한 유골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009U true KR20120006009U (ko) 2012-08-28

Family

ID=53683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354U KR20120006009U (ko) 2011-02-18 2011-02-18 생분해가 가능한 유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600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662A (ko) * 2019-06-19 2020-12-30 박종철 추모를 위한 형상 제조용 골분이 함유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KR20230075937A (ko) * 2021-11-23 2023-05-31 이성주 2중 유골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662A (ko) * 2019-06-19 2020-12-30 박종철 추모를 위한 형상 제조용 골분이 함유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KR20230075937A (ko) * 2021-11-23 2023-05-31 이성주 2중 유골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47120A (ko) 한약 찌꺼기를 이용한 퇴비 및 그 제조방법
KR101277855B1 (ko) 기능성 상토 제조방법
CN101780290A (zh) 一种多功能芳香型矿物空气净化剂的制作方法
CN105311660A (zh) 一种具备抑菌杀菌作用的植物源除臭剂
KR20120006009U (ko) 생분해가 가능한 유골함
CN101720605A (zh) 无公害蔬菜的病虫防治方法
Avidov et al. Using polyethylene sleeves with forced aeration for composting olive mill wastewater pre-absorbed by vegetative waste
KR101658156B1 (ko) 적색셰일 분말과 msm이 포함된 흡착탈취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306090B1 (ko) 편백나무로 표면처리된 매트리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28717A (ko) 애완용 고양이 분변 처리제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애완용 고양이 분변 처리제
KR20110001563U (ko) 침구에 사용되는 기능성 솜
CN103044091A (zh) 一种利用锯木屑做花木营养基的方法
CN113816654A (zh) 膨润土基复合猫砂及其制备方法
KR20220145071A (ko) 잣나무를 이용한 침구류
KR100878311B1 (ko) 흙침대용 황토 조성물
KR20090101784A (ko) 유해성분 흡착 및 살균기능을 가지는 화분
KR200433174Y1 (ko) 장식물이 배치된 납골함 안치단의 구조
KR200437150Y1 (ko) 수목장용 납골함
Pawlett et al. The contribution of natural burials to soil ecosystem services: Review and emergent research questions
KR101828692B1 (ko) 양파와 소금을 주요성분으로 하는 보드 제조방법
KR102314874B1 (ko) 살균 탈취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190000722U (ko) 친환경 유골함
KR200297402Y1 (ko) 밀폐형 실내 정원
KR100885607B1 (ko) 기능성 숯
KR200412726Y1 (ko) 식물 재배 부직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