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402Y1 - 밀폐형 실내 정원 - Google Patents

밀폐형 실내 정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402Y1
KR200297402Y1 KR2020020028373U KR20020028373U KR200297402Y1 KR 200297402 Y1 KR200297402 Y1 KR 200297402Y1 KR 2020020028373 U KR2020020028373 U KR 2020020028373U KR 20020028373 U KR20020028373 U KR 20020028373U KR 200297402 Y1 KR200297402 Y1 KR 2002974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ntainer
lower container
pearlite
la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3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찬
Original Assignee
조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미정 filed Critical 조미정
Priority to KR20200200283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4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4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402Y1/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와 격리된 밀폐 용기안에 살아있는 식물을 식재(植栽)하고 관수(灌水)나 소독과 같은 별도의 관리 없이도 유지가 가능하도록 한 밀폐형 실내 정원으로서 투명한 용기내부에 기능성 배양토를 층층히 깔고, 식물을 식재한후 돌, 숯 등 각종 자연재료로 조경한후 밀봉하여 식물의 증산작용, 광합성 및 호흡작용에 의하여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고, 오염 및 병충해 등 외부의 영향으로부터도 보호될 수 있어, 일반 가정 뿐 아니라 오염이 심한 공공장소에 설치하여도 계절에 관계없이 생생한 자연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단순한 관상용 제품 뿐 아니라, 테이블과 같은 생활용품에도 응용할 수 있어서 실내장식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정서함양과 교육적 측면에서도 그 활용도가 매우 높다.

Description

밀폐형 실내 정원{AIRTIGHT INDOOR GARDEN}
본 고안은 외부와 격리된 밀폐 용기안에 살아있는 식물을 식재(植栽)하고 관수(灌水)나 소독과 같은 별도의 관리 없이도 유지가 가능하도록 한 밀폐형 실내 정원으로서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라 자연을 접할 기회가 점점 줄어드는 현대인에게 손쉽게 대자연의 신비와 아름다움를 느낄 수 있도록 고안 되었다.
최근 자연과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삭막한 콘크리트로 둘러싸인 공간을 탈피하여 자연친화적인 생활공간을 만드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나, 나날이 가속되는 도시화로 주거형태가 단독주택에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으로 변화하면서, 정원과 같이 생활속에서 자연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빌딩의 옥상에 정원을 만들거나, 화분이나 작은 조경물 등으로 실내를 장식하고 있으나, 이들은 비용과 시간을 들여서 꾸준히 관리해주지 않으면 유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투명한 용기내부에 기능성 배양토를 층층히 깔고, 식물을 식재한후, 돌, 숯 등 각종 자연재료로 조경한후 밀봉하여 외부의 영향을 받지않고 자체 순환에 의하여 유지될 수 있는 밀폐형 실내 정원이다.
본 고안은 식물의 증산작용과 광합성 및 호흡작용에 의하여 별도의 관수나 환기 없이도 장시간 유지가 가능하고, 외부의 오염물이나 병충해로부터 보호가 가능하여 관리가 용이하며, 식재된 식물의 광합성 작용으로 발생된 산소를 이용하여 작은 곤충이나 관상용 조류를 사육할 수도 있다.
또한, 단순한 관상용 제품 뿐 아니라, 테이블과 같은 생활용품에도 응용할 수 있어서 실내장식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정서함양과 교육적 측면에서도 그 활용도가 매우 높다.
본 고안에 있어서 식물의 식재 및 조경에는 자갈, 밭흙, 질석, 제오라이트, 피트모스, 펄라이트, 숯 등의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단순한 식재나 조경의 목적외에 이들 재료가 가지는 고유한 기능으로 인하여, 식재된 식물 뿐 아니라 사람에게도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이들 식재 및 조경재료의 특징과 기능에 대하여 약술하면 다음과 같다.
질석은 운모와 비슷한 광물로서 질석 원석을 1100℃정도의 고온에서 처리하여 원예용 질석을 만드는데, 무게가 가벼워 다루기가 쉽고 통기성과 배수성이 탁월하며 고온처리에 의해 무균상태이므로 병충해와 잡초로 인한 피해를 막을 수 있다.
제오라이트(Zeolite)는 장석류 광물의 일종으로서 내부에 있는 미세한 세공속에 물분자들이 채워져 있는데 가열하면 내포된 물분자가 증발하여 수증기를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
배양토에 제오라이트를 사용하면 내부의 세공으로 인하여 보수력(保水力) 및 보비력(保肥力)이 증대되고 염기성 치환작용으로 일정한 산성도를 유지하며 규산,칼슘, 철, 마그네슘, 나트륨 등의 미량요소를 지속적으로 완급(緩給)하고 유해가스인 황화수소 등을 흡착, 분리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피트모스(Peat Moss)는 물이끼(Sphagnum Moss)가 오랫동안 물 속의 지층속에 갇혀 있으면서 공기가 차단되어 완전히 썩지 못하고 탄화되어 만들어 진 것으로 보수성 및 통기성이 뛰어나고 유기질이 풍부하다.
피트모스는 자기 무게의 최고 20배까지 물을 흡수할 수 있어 식재된 식물은 필요한 만큼 서서히 그리고 오랫동안 물을 공급 받을 수 있고, 일반적인 유기질 거름이 1년 이내에 분해되는 것에 비하여 수년동안 서서히 분해가 이루어지며, 산성도가 쉽게 변하지 않고 무균상태이며 잡초종자가 없는 특징이 있다.
펄라이트는 진주암(眞珠岩)을 약 760 ∼ 1200℃의 고온으로 가열, 팽창시켜 제조하는 것으로 표면이 수많은 세공들로 이루어져 있어 보수성, 보비성 및 통기성이 우수하고 가열과정에서 소독이 되기 때문에 무균상태로 잡초종자나 해충이 없다.
숯은 나무를 고온에서 연소시킨 것으로 거의 무균상태에 가깝고, 수많은 공극으로 인하여 흡착력이 뛰어나 물이나 공기를 정화하는 특징이 있으며, 물속의 광물 이온을 흡착하여 경수를 연수로 변환함으로써 식물의 저항력을 높이고,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음이온을 증가시키는 등 식물 뿐 아니라 사람에게도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이렇듯 본 고안은 전술한 재료들을 적절하게 배합하여 밀폐된 공간에서도 식물이 자체 순환 작용에 의하여 살아갈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것으로, 장기간 관수나 소독 등의 관리가 필요 없고 외부의 영향으로부터도 보호될 수 있어, 일반 가정 뿐 아니라 오염이 심한 공공장소에 설치하여도 계절에 관계없이 생생한 자연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있어서 A - A′선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을 테이블에 적용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 : 하부용기 12 : 상부용기
13 : 밀폐고리 14 : 패킹
15 : 관리구 16 : 밀폐덮개
17 : 전구 18 : 광섬유
19 : 광원 20 : 받침대
21 : 자갈층 22 : 마사층
23 : 숯조각층 24 : 펄라이트혼합층
25 : 식재층 26 : 소형화분
27 : 접합날개 28 : 상판
본 고안은 외부와 격리되어 자체의 순환과정에 의하여 생명을 유지해가는 하나의 생태계라 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생태계의 원활한 순환를 방해할 수 있는 요소라고 할 수 있는 각종 유해성 세균, 잡초 및 유해물질을 배제하기 위하여 제작 단계에서부터 철저히 살균, 소독된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자체 순환만으로 식물이 생존하여야 하므로 일반 토양보다 우수한 보수력, 통기성, 항균성 등을 갖추어야 하며 내부 환경이 급격하게 변하지 않는 항상성 (恒常性)을 유지하고 식물의 생존에 필요한 각종 요소를 장기간에 걸쳐서 지속적으로 공급해 줄 수 있어야 하므로 다양한 재료를 적절하게 혼합 사용하여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의 상세한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서와 같이 하부용기(11)의 내부에는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배양토가 채워지는데, 우선 자갈층(21)을 깔고, 그 위에 입경 1 ∼ 3mm의 마사층(22)을 자갈층(21) 두께의 3분의 1 두께로 깔고, 그 위에 숯조각층(23)을 자갈층(21) 두께의 2분의 1 두께로 깔고, 그 위에 펄라이트혼합층(24)을 자갈층(21) 두께의 2분의 1 두께로 깔고, 그 위에 밭흙, 질석, 제오라이트, 피트모스등을 혼합한 식재층(25)을깔고, 최상단의 식재층(25)에 식물을 심게 된다.
여기서 펄라이트혼합층(24)은 밭흙, 입경 2mm의 세립 펄라이트, 입경 3mm의 조립 펄라이트가 80:14:6의 부피비율로 혼합된 것이고, 식재층(25)은 밭흙, 질석, 제오라이트, 피트모스가 65:20:10:5의 부피비율로 혼합된 것이다.
습도가 높고 빛이 비교적 약한 용기 내부의 환경을 고려하여 식재하는 식물은 아열대군의 음지 식물을 주로 사용하며, 한정된 공간임을 감안하여 지나치게 성장할 우려가 있는 식물의 경우 성장하지 못하도록 생장점을 자르고 생장억제제를 분무한 후 식물 뿌리를 소형화분(26)에 넣어서 왜성화(矮性化)한 후, 식재층(25)에 바로 심지 않고 소형화분(26)에 심은 채로 배치하게 된다.
식물의 식재가 끝나면 숯, 수석, 야광석, 이끼류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조경을 하고 일정한 양의 물을 관수한후 상부용기(12)를 덮고 밀폐고리(13)를 이용하여 밀봉한다.
이러한 밀폐고리(13)는 밀폐용기 등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종류로 상, 하부 용기에 연결부를 형성하고 이 연결부 일측에 고무나 합성수지재의 패킹(Packing)(14)을 내삽하여, 밀폐고리(13)를 잠그면 패킹(14)이 압축되면서 밀폐되는 구조를 가진다.
본 고안을 테이블에 응용할 경우 하부용기(11)의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접합날개(27)를 형성하고 그 위에 패킹(14)을 설치한후, 상부용기(12)대신에 강화유리 등으로 이루어진 상판(28)을 올려놓게 되며, 상판(28)의 자중으로 인하여 패킹이 압축되면서 밀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용기의 내측면에는 김서림 방지 코팅(Anti-Fog Coating)을 하여 식물의 증산작용으로 발생한 수증기가 용기 내측면에 응결하는 결로(結露)현상으로 인하여 시야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듯 밀폐된 용기안에서도 식물이 살아갈 수 있는 원리는 식물의 광합성 작용과 호흡작용에 의하여 산소, 이산화탄소 등의 가스교환 작용이 일어나고 부족한 이산화탄소는 배양토내에 섞인 피트모스가 분해되는 과정에서 보충되게 되며, 식물의 증산작용에 의해 방출되는 수분은 다시 배양토로 흡수되어 식물의 뿌리를 통하여 흡수되게 되는 순환작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식물이 식재된 용기 내부에는 식물의 광합성 작용으로 인하여 산소가 풍부하기 때문에 작은 곤충류나 관상용 조류 등 동물을 식물이나 조경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수용할 수 있고, 이 경우 용기에 작은 관리구(15)와 이를 밀봉할 수 있는 밀폐덮개(16)를 설치하여 이들 동물에게 물과 먹이를 제공하게 된다.
동물을 넣을 때에는 배양토에서 피트모스의 양을 줄여야 하는데 이는 피트모스가 분해되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량을 높이고 내부를 다습하게 하므로 동물에게 해로울 수 있기 때문이다.
장식효과를 높이거나, 빛이 부족한 곳에서 식물의 광합성 작용을 활성화 시키기 위하여 용기 내부에 방수처리된 전구(17)나 광섬유(18)를 배치하여 조명을 할 수 있으며, 외부의 온도가 낮을 경우 전구(17)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용기 내부의 온도를 높일 수 있고, 내부 온도를 낮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외부의 광원(19)에서 발생하는 빛만을 전달하여 열이 발생하지 않는 광섬유(18)를 사용함으로써 용기 내부의 지나친 온도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본 고안의 기술요지는 하부용기(11)의 내부에 자갈층(21)이 깔리고, 그 위에 입경 1 ∼ 3mm의 마사층(22)이 자갈층(21)의 3분의 1 두께로 깔리며, 그 위에 숯조각층(23)이 자갈층(21)의 2분의 1 두께로 깔리고, 그 위에 펄라이트혼합층(24)이 자갈층(21)의 2분의 1 두께로 깔리며, 그 위에 식재층(25)이 깔리고, 식재층(25)에는 살아있는 식물이 식재되며, 하부용기(11)의 측면에는 관리구(15)가 구비되고, 관리구(15)를 밀봉할 수 있는 밀폐덮개(16)가 구비되며, 하부용기(11)의 상단에는 패킹(14)과 밀페고리(13)가 구비되고, 하부용기(11)위에 내측면에 김서림 방지 코팅이 된 투명한 상부용기(12)가 덮여져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실내 정원으로서,
상기 펄라이트혼합층(24)은 밭흙, 입경 2mm의 세립 펄라이트, 입경 3mm의 조립 펄라이트가 80:14:6의 부피비율로 혼합된 것이고, 식재층(25)은 밭흙, 질석, 제오라이트, 피트모스가 65:20:10:5의 부피비율로 혼합된 것이며,
상기 하부용기(11)를 지지하는 받침대(20)가 구비되고, 받침대(20) 내부에는 광원(19)이 구비되며, 용기 내부에 광원(19)과 연결된 광섬유(18)가 설치되어 조명을 할 수 있거나,
용기 내부에 방수처리된 전구(17)를 설치하여 조명 및 온도조절을 할 수 있으며,
상기 하부용기(11)의 상단에 접합날개(27)가 형성되고, 접합날개(27)의 상부면에 패킹(14)이 설치되며, 접합날개(27)위에 하부면에 김서림 방지 코팅이 된 투명한 상판(28)이 덮여져 밀봉될 수 있고,
상기 하부용기(11) 내부에 식물이 식재된 소형화분(26)을 배치하여 식재된 식물이 왜성화(矮性化)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실내 정원 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외부와 격리된 밀폐 용기안에 살아있는 식물을 식재하고 관수나 소독과 같은 별도의 관리 없이도 유지가 가능하도록 한 밀폐형 실내 정원으로서, 식물의 증산작용, 광합성 및 호흡작용에 의한 자체 순환작용에 의하여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고, 오염 및 병충해 등 외부의 영향으로부터도 보호될 수 있어, 일반 가정 뿐 아니라 오염이 심한 공공장소에 설치하여도 계절에 관계없이 생생한 자연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식재된 식물의 광합성 작용으로 발생된 산소를 이용하여 작은 곤충이나 관상용 조류를 사육할 수 도 있고, 단순한 관상용 제품 뿐 아니라, 테이블과 같은 생활용품에도 응용할 수 있어서 실내장식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식물의 식재 및 조경에는 자갈, 밭흙, 질석, 제오라이트, 피트모스, 펄라이트, 숯 등의 다양한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이들 재료가 가지는 고유한 기능으로 인하여 식재된 식물 뿐 아니라 사람에게도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도록 하였을 뿐 아니라, 삭막한 현대문명 속에서 자연의 신비함을 생활주변에서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정서함양과 교육적 측면에서도 그 활용도가 매우 높다.

Claims (6)

  1. 하부용기(11)의 내부에 자갈층(21)이 깔리고; 그 위에 입경 1 ∼ 3mm의 마사층(22)이 자갈층(21)의 3분의 1 두께로 깔리고; 그 위에 숯조각층(23)이 자갈층(21)의 2분의 1 두께로 깔리고; 그 위에 펄라이트혼합층(24)이 자갈층(21)의 2분의 1 두께로 깔리고; 그 위에 식재층(25)이 깔리고; 식재층(25)에는 살아있는 식물이 식재되고; 하부용기(11)의 측면에는 관리구(15)가 구비되고; 관리구(15)를 밀봉할 수 있는 밀폐덮개(16)가 구비되고; 하부용기(11)의 상단에는 패킹(14)과 밀페고리(13)가 구비되고; 하부용기(11)위에 내측면에 김서림 방지 코팅이 된 투명한 상부용기(12)가 덮여져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실내 정원.
  2. 제 1 항에 있어서, 펄라이트혼합층(24)은 밭흙, 입경 2mm의 세립 펄라이트, 입경 3mm의 조립 펄라이트가 80:14:6의 부피비율로 혼합된 것이고; 식재층(25)은 밭흙, 질석, 제오라이트, 피트모스가 65:20:10:5의 부피비율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실내 정원.
  3.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용기(11)를 지지하는 받침대(20)가 구비되고; 받침대(20) 내부에는 광원(19)이 구비되고; 하부용기(11)의 상단에 상부용기(12)가결합되어 형성된 공간 내부에 광원(19)과 연결된 광섬유(18)가 설치되어 조명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실내 정원.
  4.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용기(11)의 상단에 상부용기(12)가 결합되어 형성된 공간 내부에 방수처리된 전구(17)를 설치하여 조명 및 온도조절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실내 정원.
  5.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용기(11)의 상단에 접합날개(27)가 형성되고; 접합날개(27)의 상부면에 패킹(14)이 설치되고; 접합날개(27)위에 하부면에 김서림 방지 코팅이 된 투명한 상판(28)이 덮여져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실내 정원.
  6.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용기(11) 내부에 식물이 식재된 소형화분(26)을 배치하여 식재된 식물이 왜성화(矮性化)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실내 정원.
KR2020020028373U 2002-09-19 2002-09-19 밀폐형 실내 정원 KR2002974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373U KR200297402Y1 (ko) 2002-09-19 2002-09-19 밀폐형 실내 정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373U KR200297402Y1 (ko) 2002-09-19 2002-09-19 밀폐형 실내 정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402Y1 true KR200297402Y1 (ko) 2002-12-11

Family

ID=73128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373U KR200297402Y1 (ko) 2002-09-19 2002-09-19 밀폐형 실내 정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4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133B1 (ko) * 2020-10-27 2022-02-14 진예빈 이끼석을 활용한 조경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133B1 (ko) * 2020-10-27 2022-02-14 진예빈 이끼석을 활용한 조경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8993B1 (ko) 이끼벽과 실내식물을 이용한 공기청정용 실내정원 시스템
JP2009296928A (ja) 室内観賞用苔庭の栽培装置
KR20150078928A (ko) 복합 기능을 갖는 천연 가습기
CN104322262A (zh) 一种石莲花属的栽培方法
KR100943824B1 (ko) 다목적 화분
KR101146895B1 (ko) 실내 공기정화를 위한 식물정화 장치
WO2017064338A1 (es) Sistema modular versátil para jardines verticales y horizontales
KR20080097302A (ko) 벽면 조경물 및 이의 제작방법
KR200297402Y1 (ko) 밀폐형 실내 정원
KR101836799B1 (ko) 새싹삼의 재배방법
CN204598764U (zh) 以自然生态法培植植物的盆栽箱结构
KR20210152103A (ko) 향기나는 미생물 영양토 및 이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음이온 방출 세라믹 화분 제조방법
KR100555063B1 (ko) 항균성 상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 식재 화분
JP2007325582A (ja) ランを栽培するための花瓶
CN105009851A (zh) 一种药百合种植方法
KR102034933B1 (ko)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
KR20080084088A (ko) 건강을 위한 음이온 발생 산수풍경 화분
KR100843350B1 (ko) 수분 흡수성이 우수한 항균성 상토 조성물 및 이를포함하는 화분
KR20190010093A (ko) 향균성 상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 식재 화분
KR200370206Y1 (ko) 화초 재배장소가 구비된 테이블
KR200365120Y1 (ko) 수조가 구비된 화분
CN215774440U (zh) 一种基于仿生立体的无底洞花盆
KR102632276B1 (ko) 생육환경을 가변조정할 수 있는 자연친화적인 실내수직형 벽면 조경장치
Rayaprolu et al. Interior Softscaping
KR200407824Y1 (ko) 기능성 실내조경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