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2103A - 향기나는 미생물 영양토 및 이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음이온 방출 세라믹 화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향기나는 미생물 영양토 및 이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음이온 방출 세라믹 화분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2103A
KR20210152103A KR1020200068610A KR20200068610A KR20210152103A KR 20210152103 A KR20210152103 A KR 20210152103A KR 1020200068610 A KR1020200068610 A KR 1020200068610A KR 20200068610 A KR20200068610 A KR 20200068610A KR 20210152103 A KR20210152103 A KR 20210152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obacillus
bacillus
container
fragrant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0124B1 (ko
Inventor
라종덕
박철민
박정호
임정애
라광수
Original Assignee
박철민
박정호
임정애
라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민, 박정호, 임정애, 라광수 filed Critical 박철민
Priority to KR1020200068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124B1/ko
Publication of KR20210152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01G24/23Wood, e.g. wood chips or sawdu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01G24/25Dry fruit hulls or husks, e.g. chaff or coi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01Applying decorations on shaped articles, e.g. by pain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1In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oil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톤치드 향으로 실내공기의 신선함을 상승시키고, 세라믹 용기와 함께 생균토에 의한 채소, 꽃, 식물 성장을 도우며 생산에 농약 등 안정성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향기나는 미생물 영양토와,
세라믹 화분에 의한 원적외선, 음이온 방출 의해 공기 정화 및 수분 조절기능을 가진 화분에 상기 향기나는 미생물 영양토 및 다공성세라믹 볼을 채워 채소, 꽃, 관상식물 등 다양한 식물을 효과적으로 재배하거나 키울 수 있으며, 화분의 하부에 배수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용기 및 향기나는 영양토, 다공성세라믹 자체에서 수분을 머금고 있다가 채소, 꽃, 관상식물 등에 필요한 수분을 적절히 공급해주는 수분 조절기능을 갖는 미생물 영양토 및 다공성세락믹 볼을 포함하는 세라믹 화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향기나는 미생물 영양토 및 이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음이온 방출 세라믹 화분 제조방법{A fragrant microbe vegetation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eramic flowerpot that emits far infrared ray a negative 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톤치드 향으로 실내공기의 신선함을 상승시키고, 세라믹 용기 및 다공성세라믹 볼과 함께 생균토에 의한 수분유지 기능성이 뛰어나 채소, 꽃, 식물 성장에 유익하며, 농약 등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안정성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향기나는 미생물 영양토와,
세라믹 화분 및 다공성세라믹 볼에 의한 원적외선, 음이온 방출 의해 공기 정화 및 수분 조절기능이 뛰어나 채소, 꽃, 관상식물 등 다양한 식물을 효과적으로 재배하거나 키울 수 있으며, 화분의 하부에 배수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세라믹 화분 자체, 영양토 및 다공성세라믹 볼 내에 수분이 머금은 상태에 있다가 채소, 꽃, 관상식물 등에 필요한 수분을 적절히 공급해줄 수 있어 수분 유지 및 조절기능성이 뛰어난 세라믹 화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등록실용신안 20-0477865(등록일자 2015년07월24일)에는 ' 배양토를 충진하여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 벽체에 의해 상기 본체부와 구분되어 물이 채워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조부; 및 상기 수조부의 상부면을 덮는 착탈 가능한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부면이 개구되고 나머지 면이 다공성세라믹 벽체로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수조부는 상부면이 개구되고 나머지 면이 벽체로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본체부와 상기 수조부는 상기 다공성세라믹 벽체에 의해 분할되어 서로 다른 공간을 이루면서 서로 이웃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와 상기 수조부를 구분하는 상기 다공성세라믹 벽체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다공성세라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와 상기 수조부를 구분하는 상기 다공성세라믹 벽체 이외의 나머지 벽체는 물이 통과되지 않는 벽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수조부를 구분하는 상기 다공성세라믹 벽체 이외의 나머지 벽체에는 유약이 칠해져 있고, 상기 수조부에 저장된 물이 보다 용이하게 상기 본체부로 스며들게 하기 위하여 상기 수조부의 바닥면은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 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수조부에 저장된 물이 보다 용이하게 상기 본체부로 스며들게 하기 위하여 상기 수조부의 바닥면은 상기 본체부 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을 이루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화분'에 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 10-1076467(등록일자 2011년10월18일)에는 ' 점토, 페그마타이트, 벤토나이트, 화산석을 포함하는 원료를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상기 분쇄단계에서 분쇄된 점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페그마타이트 13 내지 25중량부와, 벤토나이트 15 내지 25 중량부와, 화산석 3 내지 9중량부를 혼합하여 소지조성물을 준비하는 소지조성단계와; 상기 소지조성물을 물과 혼합하여 반죽하는 혼련단계와; 상기 혼련단계에서 반죽된 반죽물을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성형단계에서 형성된 성형물을 건조 후 소성시키는 소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화분의 제조방법 '에 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 10-1534921(등록일자 2015년07월01일)에는 ' 경량골재 5 내지 65중량%, 반수석고 30 내지 80중량%, 유기질 섬유로 코코피트, 피트모스 또는 셀룰로우즈계 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이 2 내지 12중량%, 증점제 0.1 내지 3중량% 및 계면활성제 0.1 내지 2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산도(pH)가 중성인 복합 다공성세라믹 화분 '에 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화분의 하부에 배수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세라믹 화분, 다공성세라믹 볼, 영양토 내에 수분을 머금고 있다가 화분 내의 수분이 부족한 경우 머금고 있던 수분들이 흘러나와 영양토에 머금도록 함으로써, 장시간 적정 수준의 수분함량이 유지되어 식생에 유리하고, 화분에 물을 주더라도 별도의 배수를 위한 구성이 필요없어 물받침판이 필요없어 깔끔하게 유지관리하기가 쉽다.
또한 상기 세라믹 화분, 다공성세라믹 볼로부터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출되어 실내 환경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켜 줄 수 있고, 미려한 외관과 화분 표면에 새겨지는 글, 그림 등의 문양에 의해 고품격 인테리어 소품으로서의 기능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에서 제시되는 효과는 상기 개시된 등록실용신안 및 등록특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77865(등록일자 2015년07월24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76467(등록일자 2011년10월18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34921(등록일자 2015년07월01일)
본 발명은 피톤치드 향으로 실내공기의 신선함을 상승시키고, 세라믹 용기 및 다공성세라믹 볼과 함께 생균토에 의한 수분유지 기능성이 뛰어나 채소, 꽃, 식물 성장에 유익하며, 농약 등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안정성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향기나는 미생물 영양토와,
세라믹 화분 및 다공성세라믹 볼에 의한 원적외선, 음이온 방출 의해 공기 정화 및 수분 조절기능이 뛰어나 채소, 꽃, 관상식물 등 다양한 식물을 효과적으로 재배하거나 키울 수 있으며, 화분의 하부에 배수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세라믹 화분 자체, 영양토 및 다공성세라믹 볼 내에 수분이 머금은 상태에 있다가 채소, 꽃, 관상식물 등에 필요한 수분을 적절히 공급해줄 수 있어 수분 유지 및 조절기능성이 뛰어난 세라믹 화분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곤충 분변토; 휴믹산(humic acid) 또는 풀빅산(fulvic acid) 중 선택되는 유기산; 측백나무, 편백나무, 잣나무, 솔방울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목재칩; 채종박; 사탕수수박; 미강; 복합토양미생물 생균제; 및 광물;을 포함하는 유기물을 수분 45~65 %, 온도 35~80 ℃의 조건에서 20일~3개월 동안 발효 숙성하고,
상기 발효 숙성된 유기물 60.0~80.0 wt%와 마사토 20.0~40.0 wt%를 혼합한 후 20~30일 동안 숙성하여 수분 20~45 %의 분상 또는 펠렛으로 제조된 향기나는 미생물 영양토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향기나는 미생물 영양토가 담기는 세라믹 용기로서,
흙운모, 멜릴라이트, 제올라이트, 일라이트, 몬모릴라이트, 점토광물, 토로말린, 게르마늄, 생광석, 귀양석, 맥반석, 포졸란광석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용기용 광물을 250~1,000 mesh로 분체하고,
상기 분체된 용기용 광물을 물(water)과 혼합하여 반죽형태로 제조한 후,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낮아지는 계단형 구조의 침전조를 이루고, 상부에서부터 하부방향으로 계단형으로 연속되어 있는 각 침전조에 물이 넘쳐 흐르는 다단구조의 침전탱크로 흘려주어 최하부 침전조에 가라앉은 600~1,000 mesh의 용기용 광물분체를 수득하고,
상기 용기용 광물분체 20.0~50.0 wt%와, 진흙 50.0~80.0 wt%를 혼합한 혼합물 반죽을 두드려 반죽 속의 기포를 제거한 후 숙성한 다음 흙가래를 만들어 용기를 빚되, 용기 하부에 배수홀을 형성하지 않은채 용기를 빚고,
빚은 용기를 그늘에서 건조한 후 600 ~ 800 ℃에서 1차 소성하고,
1차 소성된 용기의 표면에 글, 그림을 도안하고,
도안된 용기를 800 ~ 1100 ℃에서 2차 소성하여 세라믹 용기를 제조하고,
상기 세라믹 용기 내부에 향기나는 미생물 영양토를 채워넣어 완성하는, 향기나는 미생물 영양토를 포함하는 세라믹 화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향기나는 미생물 영양토는 피톤치드 향으로 실내공기의 신선함을 상승시키고, 생균토로서 악취, 파리, 벌레 등의 발생 없이 농약 등에 대한 안정성 문제를 해소하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미생물 영양토를 내부에 담는 세라믹 화분은 원적외선, 음이온방출, 공기 정화 및 수분 조절기능을 가지며, 상기 향기나는 미생물 영양토 및 다공성세라믹 볼을 통해 채소, 꽃, 관상식물 등 다양한 식물을 효과적으로 재배하거나 키울 수 있으며, 배수홀이 하부에 형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상기 미생물 영양토 및 다공성세라믹 볼 및 세라믹 화분 자체 내에서 수분을 머금고 있다가 채소, 꽃, 다양한 식물에 필요한 수분을 적절하게 공급하는 수분조절 기능을 갖는다.
또한 용기의 외면에 테마별 그림과 글로 문양을 새겨넣음으로써 고품격 실내 인태리어 소품으로서의 가치를 제공하여 쾌적한 환경과 함께 사용자의 심신 안정과 건강 유지에 일조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향기나는 미생물 영양토를 포함하는 세라믹 화분의 실제 제품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화분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다공성세라믹 볼의 실제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양토 분상의 실제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양토 펠렛의 실제 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침전탱크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향기나는 미생물 영양토 및 이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음이온 방출 세라믹 화분 제조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 내용을 도면과 함께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곤충 분변토; 휴믹산(humic acid) 또는 풀빅산(fulvic acid) 중 선택되는 유기산; 측백나무, 편백나무, 잣나무, 솔방울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목재칩; 채종박; 사탕수수박; 미강; 복합토양미생물 생균제; 및 광물;을 포함하는 유기물을 수분 45~65 %, 온도 35~80 ℃의 조건에서 20일~3개월 동안 발효 숙성하고,
상기 발효 숙성된 유기물 60.0~80.0 wt%와 마사토 20.0~40.0 wt%를 혼합한 후 20~30일 동안 숙성하여 수분 20~45 %의 분상 또는 펠렛으로 제조된 것이다.
유기물은 곤충 분변토 20.0 ~ 30.0 wt%와,
휴믹산(humic acid) 또는 풀빅산(fulvic acid) 중 선택되는 유기산 20.0 ~ 30.0 wt%와,
측백나무, 편백나무, 잣나무, 솔방울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목재칩 5.0 ~ 15.0 wt%와,
채종박 5.0 ~ 15.0 wt%와,
사탕수수박 10.0 ~ 20.0 wt%와,
미강 5.0 ~ 15.0 wt%와,
복합토양미생물 생균제 3.0 ~ 8.0 wt%와,
광물 5.0 ~ 10.0 wt%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물을 구성하는 곤충 분변토는 유기물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미생물 영양토의 전체 중량에 대해 20.0 ~ 30.0 wt%의 범위 내로 사용량을 한정한다.
상기 유기산은 식물성장에 필수 성분으로 작용하는 것으로서, 미생물 영양토의 전체 중량에 대해 20.0 ~ 30.0 wt%의 범위 내로 사용량을 한정한다.
상기 목재칩은 수분조절 및 미생물 활착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미생물 영양토의 전체 중량에 대해 5.0 ~ 15.0 wt%의 범위 내로 사용량을 한정한다.
상기 채종박은 유기물 및 미생물 에너지원으로서 미생물 영양토의 전체 중량에 대해 5.0 ~ 15.0 wt%의 범위 내로 사용량을 한정한다.
상기 사탕수수박은 수분조절 및 미생물 활착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미생물 영양토의 전체 중량에 대해 10.0 ~ 20.0 wt%의 범위 내로 사용량을 한정한다.
상기 미강은 수분조절 및 미생물의 에너지원으로서, 미생물 영양토의 전체 중량에 대해 5.0 ~ 15.0 wt%의 범위 내로 사용량을 한정한다.
상기 복합토양미생물 생균제는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Streptomyces griseus),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Streptomyces fradiae),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Trichoderma harzianum), 슈도모나스 플루오레센스(Pseudomonas fluorescens), 리조비움 속(Rhizobium sp.), 아조토박터 속(Azotobacrot sp.), 아크로모박터 속(Achromobacter sp.), 셀룰로모나스 피미(Cellulomonas fimi), 류코노스톡 속(Leuconostoc sp.), 케토뮴 속(Chaetomium sp.),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아스퍼질러스 오리제(Aspegillus oryzae), 칸디다 유틸리스(Candida utilis), 바실러스 폴리믹사(Bacillus polymyxa),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코아귤란스(Bacillus coagulans), 바실러스 브레비스(Bacillus brevis), 바실러스 리케니포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 락토바실러스 페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락티스(Lactobacillus lactis)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Streptomyces griseus) 1.0~5.0 wt%,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Streptomyces fradiae) 1.0~5.0 wt%,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Trichoderma harzianum) 1.0~5.0 wt%, 슈도모나스 플루오레센스(Pseudomonas fluorescens) 1.0~5.0 wt%, 리조비움 속(Rhizobium sp.) 1.0~5.0 wt%, 아조토박터 속(Azotobacrot sp.) 1.0~5.0 wt%, 아크로모박터 속(Achromobacter sp.) 1.0~5.0 wt%, 셀룰로모나스 피미(Cellulomonas fimi) 1.0~5.0 wt%, 류코노스톡 속(Leuconostoc sp.) 1.0~5.0 wt%, 케토뮴 속(Chaetomium sp.) 1.0~5.0 wt%,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1.0~5.0 wt%,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1.0~5.0 wt%, 아스퍼질러스 오리제(Aspegillus oryzae) 1.0~5.0 wt%, 칸디다 유틸리스(Candida utilis) 1.0~5.0 wt%, 바실러스 폴리믹사(Bacillus polymyxa) 1.0~5.0 wt%,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1.0~5.0 wt%, 바실러스 코아귤란스(Bacillus coagulans) 1.0~5.0 wt%, 바실러스 브레비스(Bacillus brevis) 1.0~5.0 wt%, 바실러스 리케니포미스(Bacillus licheniformis) 1.0~5.0 wt%,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1.0~5.0 wt%,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1.0~5.0 wt%,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1.0~5.0 wt%,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 1.0~5.0 wt%, 락토바실러스 페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1.0~5.0 wt%, 락토바실러스 락티스(Lactobacillus lactis) 1.0~5.0 wt%를 포함한다.
상기 복합토양미생물 생균제는 미생물을 미강에 배양시켜 놓은 것으로서 유기물 발효숙성의 기능을 갖는다. 미생물 영양토의 전체 중량에 대해 3.0 ~ 8.0 wt%의 범위 내로 사용량을 한정한다.
상기 광물은 포졸란, 맥반석, 토르말린, 게르마늄, 일라이트, 생광석, 운모, 황토 중 선택되는 어느 2종 이상의 광물을 40.0 ~ 100.0 mesh로 분체한 것을 사용한다. 미생물 영양토의 전체 중량에 대해 5.0 ~ 10.0 wt%의 범위 내로 사용량을 한정한다.
상기 유기물의 구체적인 배합예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성분 구성 배합예 1 배합예 2 배합예 3 배합예 4 배합예 5
곤충 분변토 23.2 wt% 23.4 wt% 23.5 wt% 24.1 wt% 26.5 wt%
휴믹산(humic acid) 22.2 wt% 23.5 wt% 25.2 wt% 28.4 wt% 29.8 wt%
편백나무 목재칩 9.2 wt% 10.4 wt% 7.6 wt% 8.2 wt% 6.0 wt%
채종박 9.4 wt% 5.4 wt% 7.5 wt% 6.3 wt% 5.7 wt%
사탕수수박 12.1 wt% 11.3 wt% 10.3 wt% 10.1 wt% 8.9 wt%
미강 12.5 wt% 13.7 wt% 14.1 wt% 14.7 wt% 15.0 wt%
복합토양미생물 생균제* 3.2 wt% 3.8 wt% 3.9 wt% 4.2 wt% 5.1 wt%
광물** 8.2 wt% 8.5 wt% 7.9 wt% 4.0 wt% 3.0 wt%
합 계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 복합토양미생물 생균제는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Streptomyces griseus),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Streptomyces fradiae),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Trichoderma harzianum), 슈도모나스 플루오레센스(Pseudomonas fluorescens),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아스퍼질러스 오리제(Aspegillus oryzae), 칸디다 유틸리스(Candida utilis), 바실러스 폴리믹사(Bacillus polymyxa),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를 동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한다.
** 광물은 포졸란과 맥반석을 동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40.0 ~ 100.0 mesh로 분체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유기물을 이용한 향기나는 미생물 영양토의 제조에 있어, 상기 유기물의 수분 함량이 45~65 %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발효숙성에 문제가 있고, 온도 범위가 35~80 ℃를 벗어날 경우에는 미생물 활착이나 미생물 사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시된 범위 내에서 수분 함량 및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효숙성 기간이 20일 미만인 경우에는 완전한 숙성에 문제가 있고, 3개월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비경제적이며, 보관 장소상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발효숙성 기간은 20일 ~ 3개월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효 숙성된 유기물과 마사토의 혼합에 있어,
상기 유기물의 사용량이 60.0 wt% 미만인 경우에는 식물성장 및 영양성분에 문제가 있고, 80.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질소과잉의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유기물의 사용량은 미생물 영양토의 전체 중량에 대해 60.0 ~ 80.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사토의 사용량이 20.0 wt% 미만인 경우에는 수분조절에 문제가 있고, 40.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펠렛제조에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마사토의 사용량은 미생물 영양토의 전체 중량에 대해 20.0 ~ 40.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미생물 영양토는 세라믹 용기에 충진되어 채소, 꽃, 관상식물 등의 식생에 사용된다.
도 1의 (a) (b)는 본 발명의 세라믹 화분으로 사용될 세라믹 용기의 실제 사진으로서, 보는 각도를 달리하여 보인 사진이다.
도 2는 상기 세라믹 용기에 상기 미생물 영양토가 채워져 완성된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화분(1)은 향기나는 미생물 영양토가 담기는 세라믹 용기로서, 흙운모, 멜릴라이트, 제올라이트, 일라이트, 몬모릴라이트, 점토광물, 토로말린, 게르마늄, 생광석, 귀양석, 맥반석, 포졸란광석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용기용 광물을 250~1,000 mesh로 분체하고,
상기 분체된 용기용 광물을 물(water)과 혼합하여 반죽형태로 제조한 후,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낮아지는 계단형 구조의 침전조를 이루고, 상부에서부터 하부방향으로 계단형으로 연속되어 있는 각 침전조에 물이 넘쳐 흐르는 다단구조의 침전탱크로 흘려주어 최하부 침전조에 가라앉은 600~1,000 mesh의 용기용 광물분체를 수득하고,
상기 용기용 광물분체 20.0~50.0 wt%와, 진흙 50.0~80.0 wt%를 혼합한 혼합물 반죽을 두드려 반죽 속의 기포를 제거한 후 숙성한 다음 흙가래를 만들어 용기를 빚되, 용기 하부에 배수홀을 형성하지 않은채 용기를 빚고,
빚은 용기를 그늘에서 건조한 후 600 ~ 800 ℃에서 1차 소성하고,
1차 소성된 용기의 표면에 글, 그림을 도안하고,
도안된 용기를 800 ~ 1100 ℃에서 2차 소성하여 세라믹 용기(10)를 제조하고,
상기 제조된 세라믹 용기(10) 내부에 향기나는 미생물 영양토(20)를 채워넣어 완성한다.
또한 상기 세라믹 화분(1)은 미생물 영양토(20) 상부에 다공성세라믹 볼(30)을 적층하여 완성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세라믹 볼(30)은
흙운모, 멜릴라이트, 제올라이트, 일라이트, 몬모릴라이트, 점토광물, 토로말린, 게르마늄, 생광석, 귀양석, 맥반석, 포졸란광석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용기용 광물을 250~1,000 mesh로 분체하고,
상기 분체된 용기용 광물을 물(water)과 혼합하여 반죽형태로 제조한 후,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낮아지는 계단형 구조의 침전조를 이루고, 상부에서부터 하부방향으로 계단형으로 연속되어 있는 각 침전조에 물이 넘쳐 흐르는 다단구조의 침전탱크로 흘려주어 최하부 침전조에 가라앉은 600~1,000 mesh의 용기용 광물분체를 수득하고,
상기 용기용 광물분체 30.0 ~ 60.0 wt%와 진흙 40.0 ~ 70.0 wt%를 혼합한 후, 구형 또는 다면 입체형 형태로 형성한 후 400 ~ 600 ℃에서 소성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제시된 다공성세라믹 볼은 미생물 영양토(20)의 상부에 적층형성됨으로써, 상기 미생물 영양토(20)로부터 발생되는 냄새를 흡수하여 제거하고, 세라믹 화분(1), 미생물 영양토(20)와 함께 수분을 머금고 있다가 물을 공급하지 않아 상기 미생물 영양토(20)가 건조할 경우 수분을 배출하여 적정 습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미생물 영양토(20)의 사용형태를 보인 분상 및 펠렛형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광물분체는 도 6에 도시된 다단 계단형 구조의 침전탱크에 의한 침전과정을 거쳐 수득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침전탱크(100)는 계단형 구조의 침전조(110)와, 상기 침전조(110)의 최상부에 설치되어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탱크(120)와, 상기 침전조(110)의 최하부에 설치되어 물을 상기 물공급탱크(120)로 이송하는 이송펌프(130)로 구성되되,
상기 침전조(110)는 물(water)이 흐르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벽의 높이가 낮게 형성된 물흐름유도부(110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600~1,000 mesh의 용기용 광물분체를 수득하기 위한 방법은 계단형 수비분체의 방법으로서, 구체적으로 예로 제10단계의 계단형 구조를 이루어 맨 위의 제1단계에서부터 맨 아래의 제10단계까지 흘러 내려와 가라앉은 분체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제1단계에서부터 제9단계의 침전조(110)에 침전된 광물분체를 다시 모아 다시한 번 제1단계부터 흘려 내려주어 제10단계의 침전조(100)에 침전된 광물분체를 수득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6~8회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600~1,000 mesh의 용기용 광물분체를 수득한다. 상기 광물분체는 완전히 건조하지 않고, 슬러지 형태로 진흙과 혼합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600~1,000 mesh의 용기용 광물분체를 수득하는 이유는 광물분체 내의 라돈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용기용 광물분체를 이용하여 세라믹 화분(1)을 제조하여 실내에 배치할 경우 원적외선 및 음이온은 방사되나 라돈이 방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세라믹 용기(10)는 그 모양에 특별히 한정을 두지 않으나, 횡단면의 형태가 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또는 육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을 이루는 입체 구조를 이룬다.
상기 광물분체의 사용량이 20.0 wt% 미만인 경우에는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사량에 문제가 있고, 50.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용기의 소성에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광물분체의 사용량은 혼합물 반죽 전체 중량에 대해 20.0 ~ 50.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흙의 사용량이 50.0 wt% 미만인 경우에는 용기 소성에 문제가 있고, 80.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원적외선, 음이온 방사체 광물량의 사용량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진흙의 사용량은 혼합물 반죽 전체 중량에 대해 50.0 ~ 80.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소성온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효과 도출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서, 상기 1차 소성온도가 600 ~ 800 ℃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소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용기의 표면이 너무 단단하게 되어 수분을 머금는 기능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시된 1차 소성온도범위 내에서 소성함으로써, 화분의 하부에 출수구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세라믹 화분 내에 수분이 부패하지 않고 세라믹 화분에 의해 흡수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세라믹 화분 내의 미생물 영양토 내의 수분 함량이 줄어들게 되면 수분을 유출시켜 상기 미생물 영양토의 수분 함량을 적정 수준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1차 소성과정을 거친 세라믹 화분(1)은 그 외부 표면에 글, 그림을 도안하고, 도안된 세라믹 화분을 800~1100 ℃에서 2차 소성함으로써 완성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세라믹 화분(1)은 화분 자체내에서 발휘되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기능과 수분 조절기능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세라믹 화분(1)은 필요에 따라 화분 하단부에 바퀴를 부착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바퀴가 달리 선반을 위에 올려 이동의 편의성을 높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화분은 원적외선, 음이온방출, 공기 정화 및 수분으로 인한 피톤치드향이 나며, 수분 조절기능을 가지며, 내부에 향기나는 미생물 영양토 및 다공성세라믹 볼이 채워져 채소, 꽃, 관상식물 등 다양한 식물을 효과적으로 재배하거나 키울 수 있으므로 사람의 심신 안정과 건강 성취감을 향상시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1 : 세라믹 화분
10: 세라믹 용기
20: 미생물 영양토
30: 다공성세라믹 볼
100: 침전탱크
110: 침전조
110a: 물흐름유도부
120: 물공급탱크
130: 이송펌프

Claims (7)

  1. 곤충 분변토; 휴믹산(humic acid) 또는 풀빅산(fulvic acid) 중 선택되는 유기산; 측백나무, 편백나무, 잣나무, 솔방울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목재칩; 채종박; 사탕수수박; 미강; 복합토양미생물 생균제; 및 광물;을 포함하는 유기물을 수분 45~65 %, 온도 35~80 ℃의 조건에서 20일~3개월 동안 발효 숙성하고,
    상기 발효 숙성된 유기물 60.0~80.0 wt%와 마사토 20.0~40.0 wt%를 혼합한 후 20~30일 동안 숙성하여 수분 20~45 %의 분상 또는 펠렛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나는 미생물 영양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유기물은 곤충 분변토 20.0 ~ 30.0 wt%와,
    휴믹산(humic acid) 또는 풀빅산(fulvic acid) 중 선택되는 유기산 20.0 ~ 30.0 wt%와,
    측백나무, 편백나무, 잣나무, 솔방울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목재칩 5.0 ~ 15.0 wt%와,
    채종박 5.0 ~ 15.0 wt%와,
    사탕수수박 10.0 ~ 20.0 wt%와,
    미강 5.0 ~ 15.0 wt%와,
    복합토양미생물 생균제 3.0 ~ 8.0 wt%와,
    광물 5.0 ~ 10.0 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나는 미생물 영양토.
  3. 청구항 2에 있어서,
    복합토양미생물 생균제는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Streptomyces griseus),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Streptomyces fradiae),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Trichoderma harzianum), 슈도모나스 플루오레센스(Pseudomonas fluorescens), 리조비움 속(Rhizobium sp.), 아조토박터 속(Azotobacrot sp.), 아크로모박터 속(Achromobacter sp.), 셀룰로모나스 피미(Cellulomonas fimi), 류코노스톡 속(Leuconostoc sp.), 케토뮴 속(Chaetomium sp.),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아스퍼질러스 오리제(Aspegillus oryzae), 칸디다 유틸리스(Candida utilis), 바실러스 폴리믹사(Bacillus polymyxa),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코아귤란스(Bacillus coagulans), 바실러스 브레비스(Bacillus brevis), 바실러스 리케니포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 락토바실러스 페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락티스(Lactobacillus lactis)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나는 미생물 영양토.
  4. 청구항 2에 있어서,
    복합토양미생물 생균제는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Streptomyces griseus) 1.0~5.0 wt%,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디애(Streptomyces fradiae) 1.0~5.0 wt%,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Trichoderma harzianum) 1.0~5.0 wt%, 슈도모나스 플루오레센스(Pseudomonas fluorescens) 1.0~5.0 wt%, 리조비움 속(Rhizobium sp.) 1.0~5.0 wt%, 아조토박터 속(Azotobacrot sp.) 1.0~5.0 wt%, 아크로모박터 속(Achromobacter sp.) 1.0~5.0 wt%, 셀룰로모나스 피미(Cellulomonas fimi) 1.0~5.0 wt%, 류코노스톡 속(Leuconostoc sp.) 1.0~5.0 wt%, 케토뮴 속(Chaetomium sp.) 1.0~5.0 wt%,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1.0~5.0 wt%,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1.0~5.0 wt%, 아스퍼질러스 오리제(Aspegillus oryzae) 1.0~5.0 wt%, 칸디다 유틸리스(Candida utilis) 1.0~5.0 wt%, 바실러스 폴리믹사(Bacillus polymyxa) 1.0~5.0 wt%,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1.0~5.0 wt%, 바실러스 코아귤란스(Bacillus coagulans) 1.0~5.0 wt%, 바실러스 브레비스(Bacillus brevis) 1.0~5.0 wt%, 바실러스 리케니포미스(Bacillus licheniformis) 1.0~5.0 wt%,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1.0~5.0 wt%,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1.0~5.0 wt%,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1.0~5.0 wt%,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 1.0~5.0 wt%, 락토바실러스 페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1.0~5.0 wt%, 락토바실러스 락티스(Lactobacillus lactis) 1.0~5.0 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나는 미생물 영양토.
  5. 청구항 2에 있어서,
    광물은 포졸란, 맥반석, 토르말린, 게르마늄, 일라이트, 생광석, 운모, 황토 중 선택되는 어느 2종 이상의 광물을 40.0 ~ 100.0 mesh로 분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나는 미생물 영양토.
  6. 청구항 1 내지 5 중 선택되는 어느 1의 향기나는 미생물 영양토가 담기는 세라믹 용기로서, 흙운모, 멜릴라이트, 제올라이트, 일라이트, 몬모릴라이트, 점토광물, 토로말린, 게르마늄, 생광석, 귀양석, 맥반석, 포졸란광석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용기용 광물을 250~1,000 mesh로 분체하고,
    상기 분체된 용기용 광물을 물(water)과 혼합하여 반죽형태로 제조한 후,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낮아지는 계단형 구조의 침전조를 이루고, 상부에서부터 하부방향으로 계단형으로 연속되어 있는 각 침전조에 물이 넘쳐 흐르는 다단구조의 침전탱크로 흘려주어 최하부 침전조에 가라앉은 600~1,000 mesh의 용기용 광물분체를 수득하고,
    상기 용기용 광물분체 20.0~50.0 wt%와, 진흙 50.0~80.0 wt%를 혼합한 혼합물 반죽을 두드려 반죽 속의 기포를 제거한 후 숙성한 다음 흙가래를 만들어 용기를 빚되, 용기 하부에 배수홀을 형성하지 않은채 용기를 빚고,
    빚은 용기를 그늘에서 건조한 후 600 ~ 800 ℃에서 1차 소성하고,
    1차 소성된 용기의 표면에 글, 그림을 도안하고,
    도안된 용기를 800 ~ 1100 ℃에서 2차 소성하여 세라믹 용기를 제조하고,
    상기 제조된 세라믹 용기 내부에 향기나는 미생물 영양토를 채워넣어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나는 미생물 영양토를 포함하는 세라믹 화분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침전탱크는 계단형 구조의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최상부에 설치되어 물(water)을 공급하는 물공급탱크와, 상기 침전조의 최하부에 설치되어 물(water)을 상기 물공급탱크로 이송하는 이송펌프로 구성되되,
    상기 침전조는 물(water)이 흐르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벽의 높이가 낮게 형성된 물흐름유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나는 미생물 영양토를 포함하는 세라믹 화분 제조방법.
KR1020200068610A 2020-06-05 2020-06-05 향기나는 미생물 영양토 및 이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음이온 방출 세라믹 화분 제조방법 KR102450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610A KR102450124B1 (ko) 2020-06-05 2020-06-05 향기나는 미생물 영양토 및 이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음이온 방출 세라믹 화분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610A KR102450124B1 (ko) 2020-06-05 2020-06-05 향기나는 미생물 영양토 및 이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음이온 방출 세라믹 화분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103A true KR20210152103A (ko) 2021-12-15
KR102450124B1 KR102450124B1 (ko) 2022-10-05

Family

ID=78865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610A KR102450124B1 (ko) 2020-06-05 2020-06-05 향기나는 미생물 영양토 및 이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음이온 방출 세라믹 화분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1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81316A (zh) * 2022-06-24 2022-11-04 黄淮学院 用于降解肉制品中霉菌毒素的复合发酵菌剂及高消化率发酵鸡肉干的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219B1 (ko) * 2022-12-13 2023-04-24 주식회사 나암에스앤에이치 기능성 토분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6685A (ja) * 2003-02-26 2004-09-16 Sumitomo Forestry Co Ltd 樹皮乾燥粉末を用いた土壌改良材
KR20060036349A (ko) * 2004-10-25 2006-04-28 홍종만 분변토를 이용한 버섯용 배지의 제조방법
KR101076467B1 (ko) 2008-11-12 2011-10-25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화분 및 그 제조방법
KR101215032B1 (ko) * 2012-04-02 2013-01-09 강종희 유기농 입상펠렛 성형 상토 및 그 제조방법
KR101534921B1 (ko) 2013-09-12 2015-07-24 유기홍 복합 다공성 세라믹 화분
KR200477865Y1 (ko) 2013-04-30 2015-07-30 박천주 세라믹 화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6685A (ja) * 2003-02-26 2004-09-16 Sumitomo Forestry Co Ltd 樹皮乾燥粉末を用いた土壌改良材
KR20060036349A (ko) * 2004-10-25 2006-04-28 홍종만 분변토를 이용한 버섯용 배지의 제조방법
KR101076467B1 (ko) 2008-11-12 2011-10-25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화분 및 그 제조방법
KR101215032B1 (ko) * 2012-04-02 2013-01-09 강종희 유기농 입상펠렛 성형 상토 및 그 제조방법
KR200477865Y1 (ko) 2013-04-30 2015-07-30 박천주 세라믹 화분
KR101534921B1 (ko) 2013-09-12 2015-07-24 유기홍 복합 다공성 세라믹 화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81316A (zh) * 2022-06-24 2022-11-04 黄淮学院 用于降解肉制品中霉菌毒素的复合发酵菌剂及高消化率发酵鸡肉干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124B1 (ko) 202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0124B1 (ko) 향기나는 미생물 영양토 및 이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음이온 방출 세라믹 화분 제조방법
CN109717048A (zh) 一种促进瓜叶菊生长的培养基质及培养方法
CN203827776U (zh) 改善空气污染生态环保盆栽兼鱼缸构造
CN105777418A (zh) 一种营养土
CN101889529B (zh) 一种草本植物自动吸水式盆栽方法
KR20150065116A (ko) 송이버섯 재배용 배지 및 그 제조 방법
CN107129378A (zh) 一种花卉栽培基质及其制备方法
CN113207550A (zh) 一种富硒平菇栽培方法
KR20120005653A (ko) 기능성 상토 및 그의 제조방법
CN110150096A (zh) 一种花卉种植营养土及其生产方法
CN107129377A (zh) 一种用于花卉种植的营养土及其制备方法
CN112931041B (zh) 富硒竹荪的栽培方法
KR101548212B1 (ko) 작물 재배용 배양토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작물의 재배 방법, 상기 배양토 조성물을 포함하는 재배포트, 벽면 녹화 유닛, 유기질 비료, 펠렛 연료 및 상기 배양토 조성물을 사용한 재배포트의 제조 방법.
KR101278758B1 (ko) 음식물쓰레기 및 우분이 주재료로 사용된 육묘용 포트
KR20090053883A (ko) 재배세트
KR100989552B1 (ko) 식물 재배용 포트
KR20170085196A (ko) 양송이 재배용 복토재
KR20190073687A (ko) 뿌리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한 식물재배기 및 식물 재배방법
KR100750656B1 (ko) 압축 배양토 조성 및 그 제조방법
CN109479667A (zh) 一种可再生栽培基质的制备方法和附生类植物的栽培方法
CN103250562B (zh) 一种枸杞根袋料保健香菇的栽培方法
JP2004242604A (ja) 植物育成用容体
TW201528933A (zh) 植栽棉及其製造方法
CN107360887A (zh) 石斛的种植基质及其制备方法
KR102027654B1 (ko)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