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865Y1 - 세라믹 화분 - Google Patents
세라믹 화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7865Y1 KR200477865Y1 KR2020130003352U KR20130003352U KR200477865Y1 KR 200477865 Y1 KR200477865 Y1 KR 200477865Y1 KR 2020130003352 U KR2020130003352 U KR 2020130003352U KR 20130003352 U KR20130003352 U KR 20130003352U KR 200477865 Y1 KR200477865 Y1 KR 20047786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main body
- wall
- porous ceramic
- water receiv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65D85/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for living plants; for growing bul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양토를 충진하여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와, 벽체에 의해 상기 본체부와 구분되어 물이 채워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부면이 개구되고 나머지 면이 다공성 세라믹 벽체로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수조부는 상부면이 개구되고 나머지 면이 벽체로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본체부와 상기 수조부는 상기 다공성 세라믹 벽체에 의해 분할되어 서로 다른 공간을 이루면서 서로 이웃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와 상기 수조부를 구분하는 상기 다공성 세라믹 벽체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다공성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와 상기 수조부를 구분하는 상기 다공성 세라믹 벽체 이외의 나머지 벽체는 물이 통과되지 않는 벽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배양토에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 주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적고, 바닥면에 배수공이 구비될 필요가 없으므로 물 받침판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식물의 식생을 위해 물을 공급하더라도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으므로 물을 낭비하지 않게 되고, 배수공이 없고 물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으므로 화분의 바닥이 더러워지지 않으며, 물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으므로 배양토에 함유된 영양소도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고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양토에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 주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적고, 바닥면에 배수공이 구비될 필요가 없으므로 물 받침판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식물의 식생을 위해 물을 공급하더라도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으므로 물을 낭비하지 않게 되고, 배수공이 없고 물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으므로 화분의 바닥이 더러워지지 않으며, 물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으므로 배양토에 함유된 영양소도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고 그대로 유지될 수 있는 세라믹 화분에 관한 것이다.
화분은 배양토를 담아 꽃이나 나무와 같은 식물을 심거나 물과 꽃을 담아 꽃꽂이를 하는 그릇의 일종이다.
식물이 식재된 화분을 실내외에 배치함으로써 공기 청정, 향기, 정서적 안정감을 주며, 장식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갖는 화분은 식재되는 식물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부분의 화분은 원형이나 사각형 행태가 주를 이루고 있다.
최근에는 가정의 실내외, 사무용 시설의 실내외, 공공시설의 실내외 등에 관상용 또는 특수목적용 등으로 식물이 식재된 화분을 이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인 화분은 내부의 바닥면에 배수를 위한 구멍(배수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화분 내부에는 식물을 심기 위한 배양토가 채워진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화분에 배양토를 채우고 식물을 식재하는 경우에 배양토에 식물에 필요한 영양분을 제공하는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야 한다. 배양토에 물이 공급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배양토 내에 함유된 물은 아래로 빠져나가 배수공으로 배출되거나 물의 증발이 일어나기 때문에 배양토에 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해 주어야 한다.
종래의 일반적인 화분은 이와 같이 배양토에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 주어야 하는 등의 사용상 번거로움이 있다. 배양토에 물을 주는 시기를 놓치거나 장시간에 걸쳐 물을 공급하지 못하는 경우 등에는 식재된 식물이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거나 생육 상태가 불량해 질 수 있고 심한 경우에는 식물이 고사될 수도 있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화분은 배양토에 물을 공급하는 경우에 배양토와 섞인 물이 배수공으로 빠져나게 되므로 화분의 밑이 지저분해지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배수공으로 빠져나온 물을 받기 위한 받침판이 필요하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화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양토에 물을 공급하는 경우에 배양토와 섞인 물이 배수공으로 빠져나게 되므로 물을 낭비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화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물을 공급할 때 배양토에 함유된 영양소도 물과 함께 배수공을 통하여 배출되어 빠져나갈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양토에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 주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적고, 바닥면에 배수공이 구비될 필요가 없으므로 물 받침판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식물의 식생을 위해 물을 공급하더라도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으므로 물을 낭비하지 않게 되고, 배수공이 없고 물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으므로 화분의 바닥이 더러워지지 않으며, 물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으므로 배양토에 함유된 영양소도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고 그대로 유지될 수 있는 세라믹 화분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배양토를 충진하여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와, 벽체에 의해 상기 본체부와 구분되어 물이 채워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부면이 개구되고 나머지 면이 다공성 세라믹 벽체로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수조부는 상부면이 개구되고 나머지 면이 벽체로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본체부와 상기 수조부는 상기 다공성 세라믹 벽체에 의해 분할되어 서로 다른 공간을 이루면서 서로 이웃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와 상기 수조부를 구분하는 상기 다공성 세라믹 벽체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다공성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와 상기 수조부를 구분하는 상기 다공성 세라믹 벽체 이외의 나머지 벽체는 물이 통과되지 않는 벽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화분을 제공한다.
상기 본체부와 상기 수조부를 구분하는 상기 다공성 세라믹 벽체 이외의 나머지 벽체에는 유약이 칠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수조부에는 상기 수조부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조부 내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화분은, 상기 수조부의 상부면을 덮는 착탈 가능한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수조부의 상부면 보다 넓은 면적을 갖고 상기 수조부를 구획하는 벽체의 상부면에 걸쳐지게 구비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수조부의 내부로 하향 삽입되는 결합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평평한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조부 상부면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의 외주면에는 하부로 돌출된 돌기부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세라믹 화분의 외벽에는 상기 돌기부에 대응되게 아래로 오목하게 구비된 요홈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돌기부와 상기 요홈부는 서로 정합되게 구비되며, 상기 돌기부에는 외부로 볼록하게 구비된 복수 개의 요철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조부에 저장된 물이 보다 용이하게 상기 본체부로 스며들게 하기 위하여 상기 수조부의 바닥면은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조부에 저장된 물이 보다 용이하게 상기 본체부로 스며들게 하기 위하여 상기 수조부의 바닥면은 상기 본체부 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을 이루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화분을 위에서 바라볼 때 중앙부에 상기 본체부가 둥근 원형의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 주위를 둘러싸게 상기 수조부가 둥근 도넛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화분을 위에서 바라볼 때 중앙부에 상기 본체부가 타원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 주위를 둘러싸게 상기 수조부가 타원형의 도넛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화분을 위에서 바라볼 때 중앙부에 상기 본체부가 직사각형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 양측에 상기 수조부가 반타원형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세라믹 화분을 위에서 전체적으로 볼 때 타원형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양토를 충진하여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와, 벽체에 의해 상기 본체부와 구분되어 물이 채워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부면이 개구되고 나머지 면이 다공성 세라믹 벽체로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수조부는 상부면과 나머지 면이 벽체로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본체부와 상기 수조부는 상기 다공성 세라믹 벽체에 의해 분할되어 서로 다른 공간을 이루면서 서로 이웃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와 상기 수조부를 구분하는 상기 다공성 세라믹 벽체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다공성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와 상기 수조부를 구분하는 상기 다공성 세라믹 벽체 이외의 나머지 벽체는 물이 통과되지 않는 벽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조부에는 상기 수조부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조부 내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화분을 제공한다.
상기 본체부와 상기 수조부를 구분하는 상기 다공성 세라믹 벽체 이외의 나머지 벽체에는 유약이 칠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수조부에 저장된 물이 보다 용이하게 상기 본체부로 스며들게 하기 위하여 상기 수조부의 바닥면은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조부에 저장된 물이 보다 용이하게 상기 본체부로 스며들게 하기 위하여 상기 수조부의 바닥면은 상기 본체부 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을 이루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화분을 위에서 바라볼 때 중앙부에 상기 본체부가 둥근 원형의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 주위를 둘러싸게 상기 수조부가 둥근 도넛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화분을 위에서 바라볼 때 중앙부에 상기 본체부가 타원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 주위를 둘러싸게 상기 수조부가 타원형의 도넛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화분을 위에서 바라볼 때 중앙부에 상기 본체부가 직사각형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 양측에 상기 수조부가 반타원형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세라믹 화분을 위에서 전체적으로 볼 때 타원형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배양토에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 주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적고, 바닥면에 배수공이 구비될 필요가 없으므로 물 받침판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식물의 식생을 위해 물을 공급하더라도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으므로 물을 낭비하지 않게 되고, 배수공이 없고 물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으므로 화분의 바닥이 더러워지지 않으며, 물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으므로 배양토에 함유된 영양소도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고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1의 A-A' 방향으로 절단하여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라 덮개부로 덮혀진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5의 B-B' 방향으로 절단하여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7의 C-C' 방향으로 절단하여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12의 D-D' 방향으로 절단하여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1의 A-A' 방향으로 절단하여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라 덮개부로 덮혀진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5의 B-B' 방향으로 절단하여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7의 C-C' 방향으로 절단하여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12의 D-D' 방향으로 절단하여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1의 A-A' 방향으로 절단하여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또 다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라 덮개부로 덮혀진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5의 B-B' 방향으로 절단하여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7의 C-C' 방향으로 절단하여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세라믹 화분은, 배양토를 충진하여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110)와, 벽체에 의해 본체부(110)와 구분되어 물이 채워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조부(120)를 포함하며, 본체부(110)는 상부면이 개구되고 나머지 면이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로 둘러싸여 있으며, 수조부(120)는 상부면이 개구되고 나머지 면이 벽체로 둘러싸여 있으며, 본체부(110)와 수조부(120)는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에 의해 분할되어 서로 다른 공간을 이루면서 서로 이웃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부(110)와 수조부(120)를 구분하는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다공성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며, 본체부(110)와 수조부(120)를 구분하는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 이외의 나머지 벽체는 물이 통과되지 않는 벽체로 이루어진다.
본체부(110)는 배양토를 충진하여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상부면이 개구되고 나머지 면이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로 둘러싸여 있으며, 내부의 공간은 배양토를 충진하여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설계에 따라 정해진 크기의 체적을 갖는다.
수조부(120)는 벽체에 의해 본체부(110)와 구분되어 물이 채워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상부면이 개구되고 나머지 면이 벽체로 둘러싸여 있으며, 내부의 공간은 물을 담기 위한 공간으로서 설계에 따라 정해진 크기의 체적을 갖는다.
본체부(110)와 수조부(120)는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에 의해 분할되어 서로 다른 공간을 이루면서 서로 이웃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10)와 수조부(120)는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에 의해 구획된 상태로 일체로 세라믹 화분을 이룬다.
본체부(110)와 수조부(120)를 구분하는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다공성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며, 본체부(110)와 수조부(120)를 구분하는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 이외의 나머지 벽체는 물이 통과되지 않는 벽체로 구비된다. 본체부(110)와 수조부(120)를 구분하는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는 다공성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공성 세라믹은 다수의 기공을 갖는 물질로서 물은 통과할 수 있지만 배양토(흙)는 통과하지 않는 크기의 다수의 기공을 갖는다.
본체부(110)와 수조부(120)를 구분하는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 이외의 나머지 벽체는 물이 통과되지 않는 벽체로 구비되는데, 이는 다공성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벽체에 유약을 칠하고 소성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다공성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벽체에 유약을 바르고 소성하게 되면 유약은 다공성의 기공을 메우는 작용을 하여 물이 통과할 수 없게 된다. 본 고안의 세라믹 화분 제조 시에 본체부(110)와 수조부(120)를 구분하는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에는 유약을 칠하지 않고 소성 공정을 진행하며, 유약을 칠하지 않음으로써 다수의 기공이 그대로 유지되는 상태를 갖게 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부(120)에는 수조부(120)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수조부(120) 내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140)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급수구(140)는 수조부(12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세라믹 화분은 수조부(120)의 상부면을 덮는 착탈 가능한 덮개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조부(120)의 상부면을 덮개부(150)로 덮음으로써 수조부(120)로 불순물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물의 증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견상 안정감을 줄 수 있다. 덮개부(15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덮개부(150)를 열고 수조부(120) 내로 물을 주입할 수 있으며, 덮개부(150)가 구비되더라도 급수구(14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덮개부(150)를 열지 않더라도 급수구(140)를 통해 수조부(120) 내로 물을 주입할 수 있다.
덮개부(150)는 수조부(120)의 상부면 보다 넓은 면적을 갖고 수조부(120)를 구획하는 벽체의 상부면에 걸쳐지게 구비되는 플레이트(152), 플레이트(152)와 연결되고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수조부(120)의 내부로 하향 삽입되는 결합돌출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52)는 평평한 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조부(120) 상부면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바라볼 때 중앙부에 본체부(110)가 둥근 원형의 형태로 구비되고 본체부(110) 주위에 수조부(120)가 둥근 도넛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플레이트(152)도 둥근 도넛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바라볼 때 중앙부에 본체부(110)가 타원 형태로 구비되고 본체부(110) 주위에 수조부(120)가 타원형의 도넛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플레이트(152)도 타원형의 도넛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레이트(152)가 수조부(120) 상부면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됨으로써 안정감과 정돈된 느낌을 주고, 장식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플레이트(152)의 외주면에는 하부로 돌출된 돌기부(152a)가 구비될 수 있고, 세라믹 화분의 외벽(160)에는 돌기부(152a)에 대응되게 아래로 오목하게 구비된 요홈부(160a)가 구비될 수 있다. 돌기부(152)와 요홈부(160a)는 서로 정합되게 구비되며, 돌기부(152a)에는 외부로 볼록하게 구비된 복수 개의 요철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돌기부(152a)를 상부로 밀어서 덮개부(150)를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가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부(120)의 바닥면(120a)은 본체부(110)의 바닥면(110a)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으며, 수조부(120)의 바닥면(120a)을 본체부(110)의 바닥면(110a) 보다 높게 형성할 경우에는 수조부(120)에 저장된 물이 보다 용이하게 본체부(110)와 수조부(120)를 구분하는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를 통해 본체부(110)로 스며들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부(120)의 바닥면(120a)은 본체부(110) 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을 이루게 형성될 수 있는데, 수조부(120)의 바닥면(120a)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수조부(120)에 저장된 물이 보다 용이하게 본체부(110)와 수조부(120)를 구분하는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를 통해 본체부(110)로 스며들 수 있다.
본 고안의 세라믹 화분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바라볼 때 중앙부에 본체부(110)가 둥근 원형의 형태로 구비되고 본체부(110) 주위를 둘러싸게 수조부(120)가 둥근 도넛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세라믹 화분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바라볼 때 중앙부에 본체부(110)가 둥근 원형의 형태로 구비되고, 본체부(110) 주위를 둘러싸게 수조부(120)가 둥근 도넛 형태로 구비되며, 수조부(120)에는 수조부(120) 내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140)가 수조부(120)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세라믹 화분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바라볼 때 중앙부에 본체부(110)가 타원 형태로 구비되고, 본체부(110) 주위를 둘러싸게 수조부(120)가 타원형의 도넛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고안의 세라믹 화분은 위에서 바라볼 때 중앙부에 본체부(110)가 타원 형태로 구비되고, 본체부(110) 주위를 둘러싸게 수조부(120)가 타원형의 도넛 형태로 구비되며, 수조부(120)에는 수조부(120) 내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140)가 수조부(120)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세라믹 화분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바라볼 때 중앙부에 본체부(110)가 직사각형 형태로 구비되고, 본체부(110) 양측에 수조부(120)가 반타원형 형태로 구비되며, 전체적으로 볼때 타원형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세라믹 화분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부(120)의 바닥면(120a)이 본체부(110)의 바닥면(110a)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세라믹 화분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부(120)의 바닥면(120a)이 본체부(110) 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을 이루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12의 D-D' 방향으로 절단하여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세라믹 화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세라믹 화분은, 배양토를 충진하여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110)와, 벽체에 의해 본체부(110)와 구분되어 물이 채워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조부(120)를 포함하며, 본체부(110)는 상부면이 개구되고 나머지 면이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로 둘러싸여 있으며, 수조부(120)는 상부면과 나머지 면이 벽체로 둘러싸여 있으며, 본체부(110)와 수조부(120)는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에 의해 분할되어 서로 다른 공간을 이루면서 서로 이웃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부(110)와 수조부(120)를 구분하는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다공성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며, 본체부(110)와 수조부(120)를 구분하는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 이외의 나머지 벽체는 물이 통과되지 않는 벽체로 이루어지고, 수조부(120)에는 수조부(120)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수조부(120) 내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140)가 구비되어 있다.
본체부(110)는 배양토를 충진하여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상부면이 개구되고 나머지 면이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로 둘러싸여 있으며, 내부의 공간은 배양토를 충진하여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설계에 따라 정해진 크기의 체적을 갖는다.
수조부(120)는 벽체에 의해 본체부(110)와 구분되어 물이 채워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상부면과 나머지 면이 벽체로 둘러싸여 있으며, 내부의 공간은 물을 담기 위한 공간으로서 설계에 따라 정해진 크기의 체적을 갖는다. 수소부(120)는 덮개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덮개부가 상부면의 벽체를 구성하고 있다.
본체부(110)와 수조부(120)는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에 의해 분할되어 서로 다른 공간을 이루면서 서로 이웃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10)와 수조부(120)는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에 의해 구획된 상태로 일체로 세라믹 화분을 이룬다.
본체부(110)와 수조부(120)를 구분하는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다공성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며, 본체부(110)와 수조부(120)를 구분하는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 이외의 나머지 벽체는 물이 통과되지 않는 벽체로 구비된다. 본체부(110)와 수조부(120)를 구분하는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는 다공성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공성 세라믹은 다수의 기공을 갖는 물질로서 물은 통과할 수 있지만 배양토(흙)는 통과하지 않는 크기의 다수의 기공을 갖는다.
본체부(110)와 수조부(120)를 구분하는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 이외의 나머지 벽체는 물이 통과되지 않는 벽체로 구비되는데, 이는 다공성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벽체에 유약을 칠하고 소성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다공성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벽체에 유약을 바르고 소성하게 되면 유약은 다공성의 기공을 메우는 작용을 하여 물이 통과할 수 없게 된다. 본 고안의 세라믹 화분 제조 시에 본체부(110)와 수조부(120)를 구분하는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에는 유약을 칠하지 않고 소성 공정을 진행하며, 유약을 칠하지 않음으로써 다수의 기공이 그대로 유지되는 상태를 갖게 된다.
수조부(120)에는 수조부(120)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수조부(120) 내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140)가 구비되어 있다. 급수구(140)는 수조부(12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부(120)의 바닥면(120a)은 본체부(110)의 바닥면(110a)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으며, 수조부(120)의 바닥면(120a)을 본체부(110)의 바닥면(110a) 보다 높게 형성할 경우에는 수조부(120)에 저장된 물이 보다 용이하게 본체부(110)와 수조부(120)를 구분하는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를 통해 본체부(110)로 스며들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부(120)의 바닥면(120a)은 본체부(110) 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을 이루게 형성될 수 있는데, 수조부(120)의 바닥면(120a)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수조부(120)에 저장된 물이 보다 용이하게 본체부(110)와 수조부(120)를 구분하는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를 통해 본체부(110)로 스며들 수 있다.
본 고안의 세라믹 화분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바라볼 때 중앙부에 본체부(110)가 둥근 원형의 형태로 구비되고, 본체부(110) 주위를 둘러싸게 수조부(120)가 둥근 도넛 형태로 구비되며, 수조부(120)에는 수조부(120) 내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140)가 수조부(120)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세라믹 화분은, 위에서 바라볼 때 중앙부에 본체부(110)가 타원 형태로 구비되고, 본체부(110) 주위를 둘러싸게 수조부(120)가 타원형의 도넛 형태로 구비되며, 수조부(120)에는 수조부(120) 내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140)가 수조부(120)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세라믹 화분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바라볼 때 중앙부에 본체부(110)가 직사각형 형태로 구비되고, 본체부(110) 양측에 수조부(120)가 반타원형 형태로 구비되며, 수조부(120)에는 수조부(120) 내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140)가 수조부(120)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볼때 타원형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세라믹 화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세라믹 화분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세라믹 화분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공성 세라믹을 형성하는 출발원료를 원하는 비율로 배합하고, 용매를 첨가하여 혼합한다.
상기 출발원료는 다공성 세라믹을 형성할 수 있는 세라믹 원료라면 그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점토와 석회석(CaCO3)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출발원료는 점토와, 상기 점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석회석(CaCO3) 25∼7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발원료에는 상기 점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리 프릿, 폐유리 및 장석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리질 물질 5∼35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증류수, 에탄올, 메탄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시에 분산제를 더 첨가할 수 있으며, 상기 분산제는 원료 입자의 응집을 억제하고 분산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며, 유기용제계용 분산제로는 포스페이트 에스테르(Phosphate ester), 폴리에테르 아민(Polyether amine)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수계용 분산제로는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PAA), 폴리아크릴산 나트륨(sodium polyacrylic acid; Na-PAA), 폴리아크릴산 암모늄(ammonium polyacrylic acid; NH4-PAA)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분산성을 높여주는 물질은 본 고안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언급되지 않은 분산제들도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분산제는 출발원료 대비 0.1∼3 중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은 습식 볼밀링(Ball Milling)법, 밀링 미디어(Milling Media)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볼밀링법에 의한 혼합 공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출발원료를 볼밀링기(ball milling machine)에 장입하여 용매와 함께 습식 혼합한다. 볼 밀링기를 이용하여 일정 속도로 회전시켜 출발원료를 기계적으로 분쇄하고 균일하게 혼합한다. 볼 밀링에 사용되는 볼은 알루미나, 지르코니아와 같은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볼은 모두 같은 크기의 것일 수도 있고 2가지 이상의 크기를 갖는 볼을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볼의 크기, 밀링 시간, 볼 밀링기의 분당 회전속도 등을 조절하여 출발원료를 목표하는 입자의 크기로 분쇄한다. 예를 들면, 입자의 크기를 고려하여 볼의 크기는 1㎜∼50㎜ 정도의 범위로 설정하고, 볼 밀링기의 회전속도는 50∼500rpm 정도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볼 밀링은 목표하는 입자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1∼48시간 동안 실시한다. 볼 밀링에 의해 출발원료는 미세한 크기의 입자로 분쇄되고, 균일한 입자 크기 분포를 갖게 되며, 균일하게 혼합되게 된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얻어진 슬러리는 후술하는 성형 및 소결 공정을 거쳐 화분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슬러리를 원하는 화분 형태의 형틀(예컨대, 석고틀)에 주입성형(slip casting)하고 건조 공정을 실시하여 성형체를 형성한다. 상기 건조 공정은 60∼120℃ 정도의 오븐에서 1∼48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 공정에 의해 용매 성분은 대부분 제거되게 된다.
성형된 결과물을 소성한다. 상기 소성 공정은 다음과 같은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온도(600∼900℃)로 승온하여 초벌 소성을 실시한다. 상기 분산제는 유기물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300∼400℃의 온도가 되면 태워져 없어지게 되며, 초벌 소성 온도는 유기물 성분이 타는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이루어지므로 초벌 소성 공정이 완료되면 분산제 성분은 모두 제거되게 된다.
초벌 소성된 결과물에 유약을 바른다. 유약은 도자기의 표면에 얇게 씌워서 광택과 색채 또는 무늬를 내어주는 유리질의 분말을 칭한다. 이러한 유약은 주성분이 SiO2(실리카)로 되어 있다.
상기 유약은 본체부(110)와 수조부(120)를 구분하는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 이외의 나머지 벽체에 칠한다. 유약을 바르고 재벌 소성하게 되면 유약은 다공성의 기공을 메우는 작용을 하여 물이 통과할 수 없게 된다. 본체부(110)와 수조부(120)를 구분하는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에는 유약을 칠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체부(110)와 수조부(120)를 구분하는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에는 유약을 바르지 않고 본체부(110)와 수조부(120)를 구분하는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 이외의 나머지 벽체에는 유약을 칠함으로써, 후술하는 재벌 소성 후에는 본체부(110)와 수조부(120)를 구분하는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는 다공성 세라믹으로 이루어져 물이 통과할 수 있고 본체부(110)와 수조부(120)를 구분하는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 이외의 나머지 벽체는 물이 통과할 수 없게 된다. 본체부(110)와 수조부(120)를 구분하는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를 이루는 다공성 세라믹은 다수의 기공을 갖는 물질로서 물은 통과할 수 있지만 배양토(흙)는 통과하지 않는 크기의 다수의 기공을 갖는다.
유약이 칠해진 결과물은 제2 온도(예컨대, 900∼1300℃)로 승온하고 일정 시간(30분∼24시간) 유지하는 재벌 소성을 실시한 후, 상온까지 냉각한다.
상기 초벌 소성과 재벌 소성은 질소(N2) 또는 아르곤(Ar)과 같은 불활성 가스 분위기나 공기(air) 분위기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소(H2) 분위기에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제조된 세라믹 화분에 식물을 식재하기 위하여 본체부(110)의 내부에 마련되는 공간에 배양토를 채우고, 배양토에 꽃이나 나무 등의 식물을 식재한다. 수조부(120)의 내부에 물을 채워 넣는다.
본체부(110)와 수조부(120)를 구분하는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에 의해 분할되어 서로 이웃하게 위치되는데, 본체부(110)와 수조부(120)를 구분하는 다공성 세라믹 벽체(130)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다공성 세라믹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조부(120)에 채워진 물은 삼투압 현상에 의하여 배양토가 채워진 본체부(110) 내로 스며들기 때문에 배양토는 식재된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수분을 함유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배양토 내에 함유된 물이 증발되더라도 증발된 만큼의 물이 삼투압에 의해 다공성 세라믹 벽체를 통해 배양토로 스며드는 작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시간이 경과하여 수조부(120) 내에 채워진 물이 소진되면 수조부(120)의 상부면 또는 급수구(140)를 통해 수조부(120) 내로 물을 공급하면 된다.
본 고안의 세라믹 화분은 바닥면에 배수공이 구비될 필요가 없으므로 물 받침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0: 본체부
120: 수조부
130: 다공성 세라믹 벽체
140: 급수구
150: 덮개부
152: 플레이트
152a: 돌기부
154: 결합돌출부
160: 세라믹 화분의 외벽
160a: 요홈부
120: 수조부
130: 다공성 세라믹 벽체
140: 급수구
150: 덮개부
152: 플레이트
152a: 돌기부
154: 결합돌출부
160: 세라믹 화분의 외벽
160a: 요홈부
Claims (13)
- 배양토를 충진하여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
벽체에 의해 상기 본체부와 구분되어 물이 채워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조부; 및
상기 수조부의 상부면을 덮는 착탈 가능한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부면이 개구되고 나머지 면이 다공성 세라믹 벽체로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수조부는 상부면이 개구되고 나머지 면이 벽체로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본체부와 상기 수조부는 상기 다공성 세라믹 벽체에 의해 분할되어 서로 다른 공간을 이루면서 서로 이웃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와 상기 수조부를 구분하는 상기 다공성 세라믹 벽체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다공성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와 상기 수조부를 구분하는 상기 다공성 세라믹 벽체 이외의 나머지 벽체는 물이 통과되지 않는 벽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수조부를 구분하는 상기 다공성 세라믹 벽체 이외의 나머지 벽체에는 유약이 칠해져 있고,
상기 수조부에 저장된 물이 보다 용이하게 상기 본체부로 스며들게 하기 위하여 상기 수조부의 바닥면은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 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수조부에 저장된 물이 보다 용이하게 상기 본체부로 스며들게 하기 위하여 상기 수조부의 바닥면은 상기 본체부 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을 이루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화분.
- 배양토를 충진하여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
벽체에 의해 상기 본체부와 구분되어 물이 채워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조부; 및
상기 수조부의 상부면을 덮는 착탈 가능한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부면이 개구되고 나머지 면이 다공성 세라믹 벽체로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수조부는 상부면과 나머지 면이 벽체로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본체부와 상기 수조부는 상기 다공성 세라믹 벽체에 의해 분할되어 서로 다른 공간을 이루면서 서로 이웃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와 상기 수조부를 구분하는 상기 다공성 세라믹 벽체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다공성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와 상기 수조부를 구분하는 상기 다공성 세라믹 벽체 이외의 나머지 벽체는 물이 통과되지 않는 벽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조부에는 상기 수조부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조부 내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와 상기 수조부를 구분하는 상기 다공성 세라믹 벽체 이외의 나머지 벽체에는 유약이 칠해져 있고,
상기 수조부에 저장된 물이 보다 용이하게 상기 본체부로 스며들게 하기 위하여 상기 수조부의 바닥면은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 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수조부에 저장된 물이 보다 용이하게 상기 본체부로 스며들게 하기 위하여 상기 수조부의 바닥면은 상기 본체부 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을 이루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화분.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부에는 상기 수조부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조부 내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을 하는 세라믹 화분.
- 삭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수조부의 상부면 보다 넓은 면적을 갖고 상기 수조부를 구획하는 벽체의 상부면에 걸쳐지게 구비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수조부의 내부로 하향 삽입되는 결합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화분.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평평한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조부 상부면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화분.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외주면에는 하부로 돌출된 돌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세라믹 화분의 외벽에는 상기 돌기부에 대응되게 아래로 오목하게 구비된 요홈부가 구비되며,
상기 돌기부와 상기 요홈부는 서로 정합되게 구비되며,
상기 돌기부에는 외부로 볼록하게 구비된 복수 개의 요철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화분.
- 삭제
- 삭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화분을 위에서 바라볼 때 중앙부에 상기 본체부가 둥근 원형의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 주위를 둘러싸게 상기 수조부가 둥근 도넛 형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화분.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화분을 위에서 바라볼 때 중앙부에 상기 본체부가 타원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 주위를 둘러싸게 상기 수조부가 타원형의 도넛 형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화분.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화분을 위에서 바라볼 때 중앙부에 상기 본체부가 직사각형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 양측에 상기 수조부가 반타원형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세라믹 화분을 위에서 전체적으로 볼 때 타원형의 형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화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3352U KR200477865Y1 (ko) | 2013-04-30 | 2013-04-30 | 세라믹 화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3352U KR200477865Y1 (ko) | 2013-04-30 | 2013-04-30 | 세라믹 화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5712U KR20140005712U (ko) | 2014-11-07 |
KR200477865Y1 true KR200477865Y1 (ko) | 2015-07-30 |
Family
ID=52455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3352U KR200477865Y1 (ko) | 2013-04-30 | 2013-04-30 | 세라믹 화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7865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230112A1 (en) | 2019-05-14 | 2020-11-19 | Zarhi Eran | Apparatus for plant growth |
KR20210152103A (ko) | 2020-06-05 | 2021-12-15 | 박철민 | 향기나는 미생물 영양토 및 이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음이온 방출 세라믹 화분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49852A1 (ko) * | 2020-01-23 | 2021-07-29 | (주) 웰그로 |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및 그 제조 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91770A (ja) * | 1996-01-22 | 1997-07-29 | Horon Corp:Kk | 二重植木鉢 |
JPH11168982A (ja) * | 1997-12-09 | 1999-06-29 | Atariya Nouen:Kk | 植木鉢 |
JP2006101778A (ja) * | 2004-10-06 | 2006-04-20 | Shiga Pref Gov | 植物観賞用容器 |
-
2013
- 2013-04-30 KR KR2020130003352U patent/KR200477865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91770A (ja) * | 1996-01-22 | 1997-07-29 | Horon Corp:Kk | 二重植木鉢 |
JPH11168982A (ja) * | 1997-12-09 | 1999-06-29 | Atariya Nouen:Kk | 植木鉢 |
JP2006101778A (ja) * | 2004-10-06 | 2006-04-20 | Shiga Pref Gov | 植物観賞用容器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230112A1 (en) | 2019-05-14 | 2020-11-19 | Zarhi Eran | Apparatus for plant growth |
EP3968759A4 (en) * | 2019-05-14 | 2023-08-16 | Terra Studio LTD. | PLANT GROWING DEVICE |
US11974528B2 (en) | 2019-05-14 | 2024-05-07 | Terra Studio Ltd. | Tessellated ceramic apparatus for plant growth |
KR20210152103A (ko) | 2020-06-05 | 2021-12-15 | 박철민 | 향기나는 미생물 영양토 및 이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음이온 방출 세라믹 화분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5712U (ko) | 2014-11-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208836A (en) | Jardiniere and method of making same | |
KR200477865Y1 (ko) | 세라믹 화분 | |
US20090119988A1 (en) | Aerial plant planter | |
KR100582270B1 (ko) | 벽걸이형 화분의 제작방법 | |
KR20160063748A (ko) | 꺼먹이 소성기법을 이용한 화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분 | |
KR200490244Y1 (ko) | 화분 | |
JPH08256604A (ja) | 植木鉢 | |
JP7190242B1 (ja) | 植木鉢内蔵保水鉢カバー | |
CN217308414U (zh) | 一种绿植种植盆具 | |
CN212589158U (zh) | 一种新型嵌套式自吸水花盆 | |
KR200285590Y1 (ko) | 도자기 형태를 갖는 가정용 콩나물 재배기 | |
KR200413751Y1 (ko) | 컵 형상 화분 | |
CN214593089U (zh) | 攀岩式种植用的花盆 | |
KR200461584Y1 (ko) | 장식용 미니 화분 | |
KR200339556Y1 (ko) | 난초 재배용 기능성 도자기 화분 | |
JP3035880U (ja) | 植栽用容器 | |
CN2836449Y (zh) | 高盆脚多底孔活底花盆 | |
KR20000049662A (ko) | 판체로된 자연물의 장식부재가 외부면에 일체로 성형되는도자(陶瓷) 제품 | |
KR20120105313A (ko) | 바위솔 재배용 톱밥점토 분경 | |
JPH07312992A (ja) | 植木鉢 | |
JPH11225596A (ja) | 水耕栽培用土壌 | |
JP3025630U (ja) | 植栽領域を表面に有する焼成造形物 | |
CN114190192A (zh) | 一种水气可调的储水种植盆具 | |
KR100348469B1 (ko) | 콩나물 재배기 | |
JP3055510U (ja) | 植木鉢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