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654B1 -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 - Google Patents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654B1
KR102027654B1 KR1020170159737A KR20170159737A KR102027654B1 KR 102027654 B1 KR102027654 B1 KR 102027654B1 KR 1020170159737 A KR1020170159737 A KR 1020170159737A KR 20170159737 A KR20170159737 A KR 20170159737A KR 102027654 B1 KR102027654 B1 KR 102027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at
far
ginseng
solution
s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1392A (ko
Inventor
박승찬
Original Assignee
박승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찬 filed Critical 박승찬
Priority to KR1020170159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654B1/ko
Publication of KR20190061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4Sheets, multiple sheets or m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25Root crops, e.g. potatoes, yams, beet or wasabi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01G24/46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multi-lay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1/00Mixtures of fertilisers belonging individually to different subclasses of C05
    • C05G3/0064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20Liquid fertilis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Soi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otan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지시트층 일면에 산양삼 종자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산양삼 종자가 배치된 상기 한지시트층 일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한지시트층은 한지시트를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액비조성물에 침지시킨 후 건조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 및 이를 이용한 산양삼의 재배방법은 산양삼의 재배에 있어서 산지토양에서 산양삼 종자의 발아율을 높이고, 산양삼의 주근 및 측근의 균형있는 발달을 높임과 동시에 비료사용으로 인한 염류집적 장애를 해소함으로써 산양삼의 생산 저해요소를 제거할 수 있고, 식생기반이 활성화된 이후 자연상태에서 자연분해되어 환경문제를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 식물이 발육되기 쉽고 식생 기반이 불충분한 식생 대상장소에 대하여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벼운 중량으로 운반 및 파종이 용이하여 파종이 어려운 비탈면과 같은 지형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효율적으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METHOD OF PREPAIRING VEGETATION SHEET FOR WOOD-CULTIVATED GINSENG AND VEGETATION SHEET FOR WOOD-CULTIVATED GINSENG PREPARED FROM THE SAME}
본 발명은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산양삼의 재배에 있어서 산지토양에서 산양삼 종자의 발아율을 높이고, 산양삼의 주근 및 측근의 균형있는 발달을 높임과 동시에 비료사용으로 인한 염류집적 장애를 해소함으로써 산양삼의 생산 저해요소를 제거할 수 있는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에 관한 것이다.
산삼(山蔘)은 오갈피과 식물에 속하는 다년생 숙근초로서, 주로 사람의 모양을 닮은 살이 많은 뿌리를 약용으로 쓰는 식물이다. 산삼은 천연 산삼의 종자가 산림 내의 자연 환경 속에서 자연적으로 발아하여 번식생육한 삼을 말하며, 산양삼은 산삼의 종자를 산 속에 파종하여 자연상태 그대로 자생시킨 삼을 말한다. 산삼과 산양삼의 학명은 모두 Panaxginseng C.A . Mayer로 어원을 보면 'Pan'은 '모든 것', 'Axos'는 '의학'이라는 뜻으로 '만병 통치'의 의미를 가진다.
산양삼에 들어있는 사포닌 및 비사포닌계 물질(Panacen, 다당류, 아미노산 유도체, 폴리아세틸렌 유도체, 페놀화합물)은 약리활성이 우수하고 자유라디칼(free radical) 제거에 탁월한 효능을 가져 항암, 혈압강하, 지질강하, 간독성 제거 등의 목적으로 다양하게 이용된다. 이처럼 우수 효능을 지닌 산양삼의 주요 약리성분은 PD(proto panaxadiol), PT(proto panaxatriol)계로 나누어지며, 산양삼에 포함된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s)의 함량은 일반 인삼에 비해 최대 3 내지 4배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산양삼의 재배에 있어서는 산양삼이 습도 및 온도, 토양, 일조량 등 모든 환경조건에 영향을 많이 받아 재배가 용이하지 않다.
구체적으로, 산양삼의 재배조건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입지조건으로 산양삼은 직사광선을 싫어하고 수분을 좋아하는 식물이므로 햇빛을 직접 쬐지 않아 여름철에 시원한 북향이나 북동향이 좋다. 토양 조건으로 화강암이나 석회암 지대보다는 퇴적암지대 특히 사암지대가 적합하며, 마사토 등의 미숙 토양보다는 약산성이나 중성의 사질 양토나 양질사토가 적합하다. 특히 양토에 자갈과 돌이 섞이고, 낙엽이 썩은 부식질이 쌓이며 배수가 잘 되는 토양이 산양삼을 재배하는 조건으로 바람직하다. 산양삼의 생육적온은 15℃ 내지 25℃으로 기온이 25℃를 넘고 비가 자주 오면 산양삼 잎에 갈색 병반이 생기고 생장이 정지한다.
산양삼은 인삼이 6년 동안 평균 80g 정도 자라는 것과 비교하여 47년 동안 불과 평균적으로 50g 밖에 자라지 못하는 등 그 성장속도가 느리다. 특히 생육 조건이 열악한 곳에서의 산양삼은 140년생이라도 2~3g밖에 자라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산양삼의 우수한 효능에도 불구하고 느린 성장속도를 촉진시키고자, 일부 산양삼 재배자들은 비료, 퇴비 및 농약을 이용하여 인삼을 재배하는 방법을 그대로 산양삼의 재배에 적용하여 산양삼의 가치를 떨어뜨리고 있다. 특히 산양삼 재배시 유기물이 과다한 퇴비를 사용함으로써, 유기물에 의한 유기산이 토양에 과잉 방출되어 삼의 표피가 붉게 변하는 적변삼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예컨대 한국공개특허출원 제10-2011-0085687호에는 갈잎, 칡순, 은행잎, 마늘, 뽕잎, 백옥가루, 어패류, 목초액, 볏짚 등을 물에서 발효시킨 발효액비를 산양삼 재배 시 시비하는 방법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할 경우, 산양삼에 적변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0850315호에서는 인삼, 산삼 또는 산양삼 종자를 인위적 환경에서 발아시킨 후 살충제, 살균제 등의 농약을 처리한 토양에 이식시키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 방법으로 재배한 삼에는 여전히 잔류농약이 존재하여 산양삼의 가치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산양삼의 가치를 유지하고, 안전하게 산양삼의 생육을 향상시키면서 산양삼의 유리한 성분을 배가시킬 수 있는 산양삼의 재배방법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산양삼의 재배에 있어서 산지토양에서 산양삼 종자의 발아율을 높이고, 산양삼의 주근 및 측근의 균형있는 발달을 높임과 동시에 비료사용으로 인한 염류집적 장애를 해소함으로써 산양삼의 생산 저해요소를 제거할 수 있는 최적의 산양삼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식생기반이 활성화된 이후 자연상태에서 자연분해되어 환경문제를 전혀 발생하지 않는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경년(經年)변화에 따라서 지반과 일체가 되어 환경파괴가 되지 않는 재질만으로 형성하여, 식물이 발육되기 쉽고 식생 기반이 불충분한 식생 대상장소에 대하여 대응할 수 있는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한지시트층 일면에 산양삼 종자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산양삼 종자가 배치된 상기 한지시트층 일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한지시트층은 한지시트를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액비조성물에 침지시킨 후 건조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액비조성물은 원적외선 방출용액을 제조하는 제1공정, 전착제를 제조하는 제2공정, 유황발효액을 제조하는 제3공정, 및, 상기 전착제와 상기 유황발효액을 혼합하는 제4공정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비조성물은 바나듐(V)과 크롬(Cr), 셀레늄(Se), 게르마늄(Ge), 아연(Zn)의 미네랄성분이 함유되고, 유용 미생물(EM: Effective Microorganism)이 배양된 원적외선 방출용액을 제조하는 제1공정과; 천연의 식물로부터 얻어지는 해충방제액과 식용유 및 상기 제1공정에서 수득된 원적외선 방출용액을 혼합하여 살균·살충성분이 함유되고 해충기피향을 발산하는 전착제를 제조하는 제2공정과; 상기 제1공정에서 수득된 유용 미생물이 배양된 원적외선 방출용액으로 유황을 법제하고, 법제된 유황액을 유용 미생물으로 발효시켜 유황발효액을 제조하는 제3공정과; 상기 제1공정에서 수득된 유용 미생물이 배양된 원적선 방출용액과, 제2공정에서 수득된 전착제와, 제3공정에서 수득된 유황발효액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는 제4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공정은 상기 제1공정에서 수득된 유용 미생물이 배양된 원적외선 방출용액을 60 내지 80중량%, 상기 제2공정에서 수득된 전착제를 15 내지 25중량%, 제3공정에서 수득된 유황발효액을 5 내지 15중량%로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식물성 접착제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한 후 건조시켜 제조된 것이며, 상기 식물성 접착제는 쌀가루, 찹쌀가루, 밀가루, 및 옥수수가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곡물분말을 물과 가열 및 교반하여 제조된 곡물 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한지시트층 일면에 상기 산양삼 종자를 배치하고, 그 위에 친환경 생분해성 필름을 적층한 후, 라미네이팅 접합 과정을 거쳐 일체로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친환경 생분해성 필름은 스테아린산 1 내지 4중량%, 중질탄산칼슘 30 내지 55중량%, 비닐케톤계공중합폴리머 4 내지 12중량%, 폴리에틸렌왁스 3 내지 8중량%, 젖당 7 내지 15중량%, 에틸아세테이트 1 내지 5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 내지 7중량%, 가루우유 10 내지 20중량%, 이소부틸알코올 1 내지 5중량%, 벤젠 1 내지 4중량%, 및 저분자폴리에틸렌(LMPE) 2 내지 7중량%를 혼합한 생분해성화합물에 플라스틱수지를 혼합가공한 후 압출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는 산지토양에서 산양삼 종자의 발아율을 높이고, 산양삼의 주근 및 측근의 균형있는 발달을 높임과 동시에 비료사용으로 인한 염류집적 장애를 해소함으로써 산양삼의 생산 저해요소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생기반이 활성화된 이후 자연상태에서 자연분해되어 환경문제를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 식물이 발육되기 쉽고 식생 기반이 불충분한 식생 대상장소에 대하여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벼운 중량으로 운반 및 파종이 용이하여 파종이 어려운 비탈면과 같은 지형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효율적으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라 제조된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의 제조방법은 한지시트층 일면에 산양삼 종자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산양삼 종자가 배치된 상기 한지시트층 일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한지시트층은 한지시트를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액비조성물에 침지시킨 후 건조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라 제조된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100)는 한지시트층(110); 한지시트층(110) 일면에 배치된 산양삼 종자(111); 및 산양삼 종자(111)를 고정시키는 동시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코팅층(120)을 포함한다.
한지시트층(110)은 수용성 시트로서 우수나 인공적인 살수에 의해 쉽게 용해됨으로써, 산양삼 종자(111)가 배양토로부터 적절하게 영양분을 공급받는 등 산양삼 종자(111)가 발아하고 성장하는데 방해되지 않으면서 생장에 도움을 준다.
산양삼 종자(111)는 1m2 당 10 내지 25g 정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양삼 종자(111)는 유용 미생물군(EM: Effective Microorganism)에 침지하였다가 사용하거나, 황토 등의 해롭지 않은 점착제를 이용하여 유용 미생물군을 종자에 점착시킬 수 있다. 유용 미생물군은 농업생산성 증대를 목적으로 개발된 것으로,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등의 유산균,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 속 등의 효모, 광합성 세균, 방선균(Actinomyces) 등으로 구성된 미생물군으로, 식물세포를 활성화시키는 효소 및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하여 식물세포에 유용하다. 농업용 유용 미생물군은 시판 중인 것 또는 배양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지시트층(110)은 한지시트를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액비조성물에 침지시킨 후 건조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액비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크게 원적외선 방출용액을 제조하는 제1공정과, 전착제를 제조하는 제2공정과, 유황발효액을 제조하는 제3공정과, 상기 전착제와 유황발효액을 혼합하는 제4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공정에서 제조되는 원적외선 방출용액에는 바나듐(V)과 크롬(Cr), 셀레늄(Se), 게르마늄(Ge), 아연(Zn) 등의 미네랄성분이 함유되고, 유용 미생물(EM: Effective Microorganism)이 배양되도록 한다.
상기 제1공정에서 원적외선 방출용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바나듐(V), 셀레늄(Se), 아연(Zn)을 함유하는 제주송이(Scoria)와, 게르마늄(Ge), 귀양석, 토르말린(Tourmaline), 맥반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원적외선 방사체를 나노(Nano) 입자크기를 갖는 소(小)직경의 제1분말, 중(中)직경의 제2분말 및 대(大)직경의 제3분말로 각각 분말화한다(제1단계).
그런 다음, 상기 작은 입자크기의 원적외선 방사체분말과 큰 입자크기의 원적외선 방사체분말을 콜로이드 은이온(Ag+)용액에 투입하고, 교반하여 작은 입자크기의 원적외선 방사체분말이 큰 입자의 원적외선 방사체분말의 표면에 부착되도록 한 다음 여과·건조시키는 과정을 다수회 반복하여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복합분말체를 제조한다(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복합분말체를 여과시킬 때, 바나듐(V)과 크롬(Cr), 셀레늄(Se), 게르마늄(Ge), 아연(Zn)의 미네랄성분이 함유된 원적외선 방출용액이 배출되는데, 이 원적외선 방출용액에 유용 미생물을 배양시키면, 미네랄성분이 함유되고 유용 미생물이 배양된 원적외선 방출용액이 수득될 수 있다(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유용 미생물의 배양을 위하여, 미네랄성분이 함유된 원적외선 방출용액에 유용 미생물의 배지역할을 하는 미강(米糠), 밀기울, 현미분말을 첨가한 다음 유용 미생물 원액을 접종시키고, 20∼40℃에서 24∼74시간 동안 혐기(嫌氣) 발효시키면, 바나듐, 셀레늄, 게르마늄, 아연 등의 미네랄 성분과 유용 미생물이 함유된 원적외선 방출용액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 원적외선 방사체로 적용되는 제주송이는 제주도 화산지역에 많이 분포되어 있는데, 바나듐, 셀레늄, 아연, 크롬,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주된 결정상이 사장석(Plagioclase), 휘석(Pyroxene) 및 자철석(Hematite)으로 구성되어 있고, SiO2+Al2O3+Fe2O3의 총함량이 72∼79%에 이르며, 원적외선도 92% 이상 방출되는 광물질이다.
이와 같이 제주송이에는 황토, 옥, 맥반석, 게르마늄석 등에는 없는 이산화티타늄이 천연상태로 3∼7% 포함되어 있어 자체적으로 광촉매작용을 할 수 있는데, 제주송이는 빛에너지를 받아 전자(電子)를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음에 따라 정공이 곳곳에서 발생되면서 반영구적으로 항균, 살균, 탈취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우수한 유기물 분해, 초친수성 기능을 가지는 천연물질이며 중금속 흡착력도 뛰어나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귀양석은 지각변동 과정에서 고온 열수작용에 의해형성된 광산에 존재하는 암석으로 군마장석이라 불리우는 장석의 한 종류이다.
귀양석의 주 성분은 산화규소 75.50%, 산화알루미늄 14.00%, 산화칼륨 4.50%, 산화나트륨 4.30%, 산화칼슘 0.34%이다.
귀양석에는 백색계 귀양석과 적색계 귀양석의 두 종류가 있는데, 백색계 귀양석은 원적외선 방사율이 상온(25℃)에서 96%로 천연 광석중에서 제일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적색계 귀양석은 음이온 발생량이 최대 24,140개/cc로 천연광석중에서 제일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천연 게르마늄석의 주요 성분은 SiO2 70 ~ 80%, Al2O3 13 ~ 22%, Fe2O3 0.04 ~ 2%, CaO 0.03 ~ 3.0%, MgO 0.4% 이하, K2O 0.06 ~ 4%, Na2O 0.1 ~ 3%, H2O 1.5 ~ 5%의 조성으로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용 미생물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많은 미생물중에서 사람에게 유익한 미생물 10종 80군을 조합 배양한 복합 미생물제제로서, 유산균군(群), 효모균군(群), 광합성균군(群), 방선균군(群), 사상균군(群)을 포함한다.
이 같은 유용 미생물은 산소의 존재 유무와 관계 없이 생장할 수 있는 통성혐기성균으로, 광합성균은 탄소원을 유기물에서 얻으며 에너지는 햇빛으로부터 공급받고, 젖산균과 효모는 탄소원을 유기물에서 얻으며 유기 화합물을 산화하여 에너지를 얻는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제2공정에서 제조되는 전착제에는 천연의 식물로부터 얻어지는 해충방제액과 식용유 및 상기 제1공정에서 수득된 원적외선 방출용액을 혼합하여 살균·살충성분이 함유되고 해충기피향을 발산되도록 한다.
상기 제2공정에서 전착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은행(銀杏), 돼지감자, 백두옹(白頭翁), 계피를 열수(熱水) 추출하여 살균·살충성분이 함유되고, 해충기피향을 발산하는 해충방제액을 제조한다(제1단계).
그런 다음, 카놀라유, 포도씨유, 해바라기유, 대두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식용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1단계에서 수득된 해충방제액을 2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고, 40∼60℃로 가열하여 식용유 혼합물을 만든다(제2단계).
그런 다음, 상기 제1공정에서 수득된 원적외선 방출용액 80중량부에 대하여 수산화칼륨(KOH: 가성알칼리)을 4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고, 여기에 상기 제2단계에서 수득된 식용유 혼합물을 2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한 다음 완전히 혼합되도록 충분히 교반한 후 25∼40℃에서 3∼15일 동안 숙성시키면, 살균·살충성분이 함유되고 해충기피향을 발산하는 전착제가 얻어진다(제3단계).
상기 제3공정에서 제조되는 유황발효액은 상기 제1공정에서 수득된 유용 미생물이 배양된 원적외선 방출용액으로 유황을 법제하고, 법제된 유황액을 유용 미생물으로 발효시켜 얻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제3공정에서 유황발효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상기 제1공정에서 수득된 유용 미생물이 배양된 원적외선 방출용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독되지 않은 유황분말을 10∼2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고, 25∼60℃에서 24∼72시간 동안 숙성·제독시켜 법제된 유황액을 제조한다(제1단계).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황은 식물 또는 농작물의 뿌리에서 SO4형태로 흡수된 후 체내에서 환원되어 유기 화합물 합성의 원소로 사용되며, 세포의 원형질을 구성하고, 효소를 생성하여 세포호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유용 미생물이 배양된 원적외선 방출용액과 유황분말이 상기의 비율로 혼합되도록 하고, 25∼60℃의 온도에서 24시간을 방치하면, 유황을 먹이로 활동하는 유용 미생물이 배양된 원적외선 방출용액이 닿는 부분부터 제독되지 않은 유황이 서서히 가라앉기 시작한다.
이 후 2일째부터는 제독되지 않은 유황과 유용 미생물이 함유된 원적외선 방출용액의 혼합액을 나무막대기나 교반기 장치를 이용하여 저어준다.
이는, 제독되지 않은 유황과 유용 미생물이 함유된 원적외선 방출용액이 신속하게 혼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혼합액의 내부에 적정량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유용 미생물군의 균(菌) 중에서 호기성 미생물의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유용 미생물군의 균 중 식물의 광합성 활동에 유용하고 식물을 단단하고 건강하게 해주는 미생물인 광합성균은 25∼60℃에서 활성도가 가장 높고 온도가 내려갈수록 활성이 둔화되다가 5℃ 이하에서 생명활동이 거의 정지되므로 항상 25∼60℃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유산균, 효모와 같은 일부 미생물은 60℃를 초과해서도 활성도가 높기는 하나, 식물의 생장 및 발육을 위하여 광합성균이 꼭 필요하므로 상기한 제독되지 않은 유황분말과 유용 미생물이 함유된 원적외선 방출용액의 혼합액의 최고 온도는 60℃를 초과하지 말아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독되지 않은 유황분말과 유용 미생물이 함유된 원적외선 방출용액의 혼합액이 적정온도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저장조의 가열장치에 온도조절 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한다.
이때, 가열장치를 저장조내에 직접 투입하여 가열하게 되면 가열장치에 근접한 유용 미생물이 고온으로 인하여 사멸할 우려가 있으므로 저장조 외부에 가열장치를 설치하여 간접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용 미생물의 균중 유산균 종류들은 pH 4 근처의 산성일 때 활동성이 가장 강하게 작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유용한 유산균 종류들은 토양과 작물에 사용될 때 유해한 미생물들의 생육을 억제하거나 혹은 먹이 활동을 저해하여 유해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유용 미생물이 함유된 원적외선 방출용액 혼합된 상태에서 미쳐 제독되지 않은 유황성분은 특유의 살균 및 살충력으로 토양과 작물의 유해 미생물을 사멸시키거나 증식(增殖)을 억제하는 한편, 유용 미생물을 활성화시킨다.
또, 상기 제독되지 않은 유황성분은 유용 미생물의 균(菌)중 일부 유산균의 대사활동에 이용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생성되는 대사산물은 토양 내의 난분해성 물질들을 가용화하고 이를 작물이 영양분으로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 다음, 상기 법제된 유황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당밀(唐蜜)을 2∼10중량부, 천일염을 0.5∼5.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여 혼합하고(제2단계), 상기 법제된 유황액과 당밀 및 천일염의 혼합액을 발효조에 옮긴 후 유용 미생물 원액을 1.0∼5.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접종한 다음, 25∼60℃에서 24∼72시간 동안 발효시키면, 유황발효액이 제조된다(제3단계).
본 발명의 상기 제4공정에서는 상기 제1공정에서 수득된 유용 미생물이 배양된 원적외선 방출용액을 60∼80중량%, 상기 제2공정에서 수득된 전착제를 15∼25중량%, 제3공정에서 수득된 유황발효액을 5∼15중량%로 혼합한다.
상기한 제1공정 내지 제4공정에 따라 제조된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농작물용 액비조성물은 유용 미생물이 배양된 원적외선 방출용액이 60∼80중량%, 전착제가 15∼25중량%, 유황발효액이 5∼15중량%로 혼합되어 바나듐(V), 크롬(Cr), 셀레늄(Se), 게르마늄(Ge), 아연(Zn)의 미네랄성분과 유용 미생물이 풍부하게 함유되고, 원적외선을 방출하며, 천연의 식물에서 추출한 살균·살충성분이 함유된다.
코팅층(120)은 한지시트층(110) 일면에 배치된 산양삼 종자(111)를 고정시키는 동시에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고, 천연성분으로부터 유래하므로 자연분해가 가능하여 친환경적이다.
일 구체예로서 코팅층(120)은 산양삼 종자(111)가 배치된 한지시트층(110) 일면에 식물성 접착제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한 후 건조시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로서 코팅층(120)은 산양삼 종자(111)가 배치된 한지시트층(110) 일면에 친환경 생분해성 필름을 적층한 후 라미네이팅 접합 과정을 거쳐 한지시트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접착제는 쌀가루, 찹쌀가루, 밀가루 또는 옥수수가루 등 곡물의 분말을 물과 가열 및 교반하여 제조된 곡물 풀인데, 이러한 곡물로 이루어진 식물성 접착제가 도포됨에 따라, 산양삼 종자를 한지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풍부한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쌀가루, 찹쌀가루, 밀가루 또는 옥수수가루 등의 곡물 분말을 물과 9:1의 부피비로 가열 및 교반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친환경 생분해성 필름은 스테아린산 1 내지 4중량%, 중질탄산칼슘 30 내지 55중량%, 비닐케톤계공중합폴리머 4 내지 12중량%, 폴리에틸렌왁스 3 내지 8중량%, 젖당 7 내지 15중량%, 에틸아세테이트 1 내지 5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 내지 7중량%, 가루우유 10 내지 20중량%, 이소부틸알코올 1 내지 5중량%, 벤젠 1 내지 4중량%, 및 저분자폴리에틸렌(LMPE) 2 내지 7중량%를 혼합한 생분해성화합물에 플라스틱수지를 혼합가공한 후 압출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상기 친환경 생분해성 필름은 스테아린산 2중량%, 중질탄산칼슘 45중량%, 비닐케톤계공중합폴리머 7.5중량%, 폴리에틸렌왁스 5중량%, 젖당 11.8중량%, 에틸아세테이트 2.5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중량%, 가루우유 15.5중량%, 이소부틸알코올 1.8중량%, 벤젠 1.4중량%, 및 저분자폴리에틸렌(LMPE) 4.5중량%를 혼합한 생분해성화합물에 플라스틱수지를 혼합가공한 후 압출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수지는 LDPE, LLDPE, HDPE, PP, PSP, 및 P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LDPE는 Low Density Polyethylene의 약어로서 저밀도폴리에틸렌을, HDPE는 High Density Polyethylene의 약어로서 고밀도폴리에틸렌을, LLDPE는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의 약어로서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을, PP는 Polypropylene의 약어로서 폴리프로필렌을, 그리고 PSP는 Polystyrene Paper의 약어를 각각 의미하는 것이다.
일 구체예로서, 상기 친환경 생분해성 필름은 상기 생분해성화합물 40중량%, 상기 플라스틱수지로서 LDPE 12중량%, 및 LLDPE 48중량%를 혼합하여 압출성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친환경 생분해성 필름은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연 분해되어 환경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친환경 생분해성 필름의 두께는 0.01mm 내지 0.03mm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의 형상을 판 형상으로 나타내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환경 조건과 필요에 따라 테이프 형상, 로프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과 다양한 크기로 제조되어 다양하게 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는 산양삼의 재배에 있어서 산지토양에서 산양삼 종자의 발아율을 높이고, 산양삼의 주근 및 측근의 균형있는 발달을 높임과 동시에 비료사용으로 인한 염류집적 장애를 해소함으로써 산양삼의 생산 저해요소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생기반이 활성화된 이후 자연상태에서 자연분해되어 환경문제를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 식물이 발육되기 쉽고 식생 기반이 불충분한 식생 대상장소에 대하여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벼운 중량으로 운반 및 파종이 용이하여 파종이 어려운 비탈면과 같은 지형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Claims (8)

  1. 한지시트층 일면에 산양삼 종자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산양삼 종자가 배치된 상기 한지시트층 일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한지시트층은 한지시트를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액비조성물에 침지시킨 후 건조하여 제조된 것이고,
    상기 산양삼 종자는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유산균,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 속 효모, 광합성 세균 및 방선균(Actinomyces)으로 구성된 미생물에 침지 후 사용되고,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식물성 접착제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한 후 건조시켜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식물성 접착제는 쌀가루, 찹쌀가루, 밀가루, 및 옥수수가루로 이루어진 곡물분말을 물과 가열 및 교반하여 제조된 곡물 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비조성물은 원적외선 방출용액을 제조하는 제1공정, 전착제를 제조하는 제2공정, 유황발효액을 제조하는 제3공정, 및, 상기 전착제와 상기 유황발효액을 혼합하는 제4공정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비조성물은 바나듐(V)과 크롬(Cr), 셀레늄(Se), 게르마늄(Ge), 아연(Zn)의 미네랄성분이 함유되고, 유용 미생물(EM: Effective Microorganism)이 배양된 원적외선 방출용액을 제조하는 제1공정;
    천연의 식물로부터 얻어지는 해충방제액과 식용유 및 상기 제1공정에서 수득된 원적외선 방출용액을 혼합하여 살균·살충성분이 함유되고 해충기피향을 발산하는 전착제를 제조하는 제2공정;
    상기 제1공정에서 수득된 유용 미생물이 배양된 원적외선 방출용액으로 유황을 법제하고, 법제된 유황액을 유용 미생물으로 발효시켜 유황발효액을 제조하는 제3공정; 및
    상기 제1공정에서 수득된 유용 미생물이 배양된 원적선 방출용액과, 제2공정에서 수득된 전착제와, 제3공정에서 수득된 유황발효액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는 제4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공정은 상기 제1공정에서 수득된 유용 미생물이 배양된 원적외선 방출용액을 60 내지 80중량%, 상기 제2공정에서 수득된 전착제를 15 내지 25중량%, 제3공정에서 수득된 유황발효액을 5 내지 15중량%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
KR1020170159737A 2017-11-27 2017-11-27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 KR102027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737A KR102027654B1 (ko) 2017-11-27 2017-11-27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737A KR102027654B1 (ko) 2017-11-27 2017-11-27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392A KR20190061392A (ko) 2019-06-05
KR102027654B1 true KR102027654B1 (ko) 2019-10-01

Family

ID=66844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737A KR102027654B1 (ko) 2017-11-27 2017-11-27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6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5226B1 (ko) * 2019-11-05 2021-11-12 김도진 수용성 게르마늄과 각종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상 비료를 이용한 인삼 재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7866A (ja) * 2000-03-06 2001-09-14 Suzuki Sogyo Co Ltd 植物生育環境付与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含有する土壌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土壌改良方法
KR101205154B1 (ko) * 2011-09-01 2012-11-27 밍 준 리앙 육묘용 매트형 상토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0308B2 (ja) * 1992-08-10 1997-08-13 株式会社巴川製紙所 農業用マルチシート
KR101718211B1 (ko) * 2015-05-16 2017-04-04 김인상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농작물용 액비(液肥)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7866A (ja) * 2000-03-06 2001-09-14 Suzuki Sogyo Co Ltd 植物生育環境付与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含有する土壌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土壌改良方法
KR101205154B1 (ko) * 2011-09-01 2012-11-27 밍 준 리앙 육묘용 매트형 상토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392A (ko)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88685B (zh) 一种富硒花生的高产栽培方法
CN108668830B (zh) 一种抗病抗虫有机蔬菜种植基质
CN105165512B (zh) 台湾桤木控偏冠四季扦插快繁方法
CN104054563B (zh) 一种实用高效无土栽培蔬菜和花卉营养基质材料的生产方法
KR101677369B1 (ko) 씨앗 부착 직파용 친환경 복합 기능 파종 시트
CN103960102A (zh) 一种中秋酥脆枣丰产栽培的方法
US20130316903A1 (en) Solid Plant Nutrient Compositions
CN104045381B (zh) 一种苗圃种植土壤配方
CN108781968A (zh) 一种套种茶树和黑木耳的方法
CN110024642B (zh) 一种利用植物源腐殖酸有机肥种植富硒水稻的方法
CN105850638A (zh) 一种大棚水果黄瓜早春栽培方法
Naznin et al. Influence of organic amendments and bio-control agent on yield and quality of tuberose
CN111466263A (zh) 一种日光温室辣椒栽培的贴接育苗方法
CN1080463A (zh) 麦秸、稻草生料袋栽培平菇高产技术
JPH0625A (ja) 食用きのこの栽培法および培地
CN112772280B (zh) 一种红托竹荪-羊肚菌-蔬菜轮作栽培方法
Fasola et al. Nutritional requirements of Volvariella speciosa (Fr. ex. Fr.) Singer, a Nigerian edible mushroom
KR102027654B1 (ko)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산양삼 종자용 식생시트
CN101642036A (zh) 真菌生物防治剂的施用方法
CN112136644A (zh) 一种移栽苗床的制备方法
CN101595816A (zh) 木霉生物防治剂的施用方法
KR100356762B1 (ko) 복합 미생물 배양체 제조방법 및 복합 미생물 배양체를이용한 비료 제조방법
CN2603602Y (zh) 一种作物健康生长的复合纸
CN109220280B (zh) 一种促进胡杨无性繁殖的嫁接方法
CN108617300A (zh) 一种番石榴树的嫁接育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