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5116A - 송이버섯 재배용 배지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송이버섯 재배용 배지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5116A
KR20150065116A KR1020140005402A KR20140005402A KR20150065116A KR 20150065116 A KR20150065116 A KR 20150065116A KR 1020140005402 A KR1020140005402 A KR 1020140005402A KR 20140005402 A KR20140005402 A KR 20140005402A KR 20150065116 A KR20150065116 A KR 20150065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e
medium
microorganism
culture
a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5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윤성
정동섭
Original Assignee
오윤성
정동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윤성, 정동섭 filed Critical 오윤성
Publication of KR20150065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11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20Culture media, e.g. compo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01G24/15Calcined rock, e.g. perlite, vermiculite or clay aggreg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01G24/23Wood, e.g. wood chips or sawdu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01G24/25Dry fruit hulls or husks, e.g. chaff or coi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otany (AREA)
  • Soi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이버섯 재배용 배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살아있는 소나무를 이용하지 않고 인공적인 배지에서 자연산 송이 특유의 향과 맛, 식감, 영양 등을 그대로 유지하는 송이버섯을 단기간에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송이버섯 재배용 배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송이버섯 재배용 배지는, 목재로 이루어진 유기물기재, 입자 상태의 토양 광물로 이루어진 무기물기재, 및 미생물 배양체와 당류가 포함된 배지양분용액을 혼합하고 숙성한 배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미생물 배양체는 소나무의 뿌리 또는 주변 토양에서 송이의 생장을 촉진하는 미생물을 채취하여 배양한 것이다.

Description

송이버섯 재배용 배지 및 그 제조 방법 {Culture medium for growing pine mushroo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송이버섯의 인공 재배를 위한 배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유의 향과 맛을 비롯한 자연산 송이의 특성을 그대로 간직한 송이버섯을 인공적인 재배를 통해 단기간에 대량 생산 가능하게 하는 송이버섯 재배용 배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송이버섯(pine mushroom, tricholoma matsutake)은 주름버섯목 송이과에 속하며, 소나무의 뿌리에 공생균을 형성하여 소나무로부터 영양을 얻는 외생균근으로, 주로 적송림 토양에 자생한다. 송이버섯은 외형이 크고 육질이 충실하며 독특한 향과 맛, 식감 등을 지닌 최고의 식용버섯으로 여겨져 특히 한국을 비롯한 일본, 중국 등의 동아시아 지역에서 선호되고 있다. 또한 고혈압 완화, 항산화 활성, 항암작용 등을 하는 약리성분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기능성 식품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송이는 포자를 이용하여 번식하는데, 소나무 근처에서 발아된 송이의 포자는 균사를 형성한 다음 소나무의 뿌리, 특히 잔뿌리에 착생한다. 균사가 착생된 소나무의 뿌리는 백색 또는 담황색에서 흑갈색으로 색이 변하면서 균근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균근은 땅 속에서 방석 모양으로 생육 번식하면서 백색의 뜸(소집단)을 형성하며 고리 모양으로 둥글게 퍼져나가는데, 땅 위에서 볼 때는 소나무를 중심으로 환을 형성하는 것이 육안으로 관찰되므로 이를 균환(菌環)이라 한다. 균환이 형성된 땅 내부의 온도가 19℃ 이하로 5 ~ 7일간 유지되면 균사로부터 송이 자실체의 원기가 형성되고, 형성된 원기가 땅 위로 나와 성장하여 송이 자실체, 즉 통상적으로 식용하는 송이버섯이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송이는 생육에 필요한 탄수화물 등의 유기물 영양분을 소나무의 뿌리로부터 공급받고 토양으로부터 각종 무기물 영양분을 흡수하여 소나무의 뿌리로 전달하는 공생관계를 이루므로, 송이의 생장에는 살아있는 소나무와 그 주변의 특별한 환경이 필요하여 다른 일반적인 버섯에 사용되는 재배방법으로는 송이버섯을 인공적으로 재배할 수가 없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송이 종균을 인공 배양하고 살아있는 소나무를 이용하여 배양된 종균을 자실체로 생육하는 송이버섯 재배 방법이 주로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어, 특허등록 제390048호에는 자연산 송이버섯의 자실체에서 분리된 송이 균주에 펄라이트, 스페그넘 피트모스의 혼합 상토와 K-액상배지를 가하고, 소나무 종자를 무균 발아시켜 얻은 무균 발아묘를 상기 혼합 상토에 치상한 다음, 상기 송이균주와 공동 배양하여 송이 균근이 형성된 소나무 묘목을 수득하고, 이 송이 균 감염 묘목을 재배하여 송이버섯을 생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특허등록 제474136호에는 송이버섯으로부터 분리한 송이 균을 배양하여 액체 종균을 수득하고, 이를 소나무 주위에 관주하는 형태로 접종하여 송이버섯을 생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송이 균근이 형성된 소나무 묘목을 재배할 경우 이로부터 송이가 발생할 확률은 15% 정도에 불과하고, 송이의 액체 종균을 소나무 주위에 관주할 경우에도 이로부터 송이가 발생할 확률은 최대 35%에 불과하여 상기한 종래의 송이 재배 방법은 생산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송이의 생육을 위하여 소나무 묘목을 심어 키우거나 자생된 소나무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소나무가 서식하는 넓은 재배지가 소요되어 단위 면적당 송이 소출량이 매우 적고, 관리 및 유지에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며, 기후 조건 등으로 인해 송이의 생산 가능 시기가 매우 짧게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배양된 송이 종균을 이용하여 살아있는 소나무 없이 인공 배지에서 송이버섯을 재배하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배지에서 송이를 재배하기 위해서는 송이 종균이 자실체로 성장하기까지 균사체의 번식, 자실체 원기의 발생, 자실체의 성장 등 각 생장 단계에 적합한 환경을 배지에서 제공할 수 있어야 하는데, 현재까지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는 배지 및 그 제조 기술은 개발되지 못한 상태이다. 몇몇 연구에서는 인공적인 배지에서 송이 균사체의 번식이나 송이 자실체의 발생에 성공한 사례가 보고되고 있으나, 이는 실험실적 수준에 불과할 뿐, 상용화가 불가능할 정도로 생산성이 떨어져 실질적인 송이의 대량 재배 기술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종래의 배지에서 재배된 송이버섯은 자연산 송이에 비해 맛과 영양이 부족할 뿐 아니라, 자연상 송이 특유의 향이 없어 상품 가치가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살아있는 소나무를 이용하지 않고 인공적인 배지에서 자연산 송이 특유의 향과 맛, 식감, 영양 등을 그대로 유지하는 송이버섯을 단기간에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송이버섯 재배용 배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송이버섯 재배용 배지는, 목재로 이루어진 유기물기재, 토양 광물로 이루어진 무기물기재, 및 미생물 배양체와 당류가 포함된 배지양분용액을 혼합하고 숙성한 배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미생물 배양체는 소나무의 뿌리 또는 주변 토양에서 송이의 생장을 촉진하는 미생물을 채취하여 배양한 것이다.
상기 미생물 배양체는 미생물을 소나무 뿌리 및 토양과 함께 채취하고 당류가 포함된 배양액을 공급하여 배양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지 조성물은 숙성이 완료된 후 혼합된 숙성소나무용액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숙성소나무용액은 소나무를 넣고 끓인 물을 식힌 후에 상기 미생물 배양체를 혼합하여 숙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숙성소나무용액의 소나무는 관솔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배지 조성물은 다공성 광물로 이루어진 무기물수용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무기물수용체는 팽창된 질석 분쇄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지 조성물은 다공성 식물 조직체로 이루어진 유기물수용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유기물수용체는 코코피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지 조성물은 게르마늄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물기재는 소나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물기재는 황토, 마사토, 분쇄된 맥반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지 제조 방법은, 소나무 뿌리 또는 주변 토양에서 송이의 생장을 촉진하는 미생물을 채취하고 배양하여 미생물 배양체를 제조하는 단계; 물에 당류 및 상기 미생물 배양체를 혼합하여 배지양분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목재로 이루어진 유기물기재와 토양 광물로 이루어진 무기물기재에 상기 배지양분용액을 혼합하고 숙성하여 배지 조성물을 만드는 배지 재료 혼합 및 숙성 단계를 포함한다.
소나무를 물에 넣어 끓이고 식힌 다음 상기 미생물 배양체를 혼합한 후 숙성시켜 숙성소나무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지 조성물에 상기 숙성소나무용액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생물 배양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미생물을 소나무 뿌리 및 토양과 함께 채취하고 12 ~ 40℃의 온도에서 당류가 포함된 배양액을 공급하여 7 ~ 60일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생물 배양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미생물을 동충하초에서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자연산과 동일한 송이버섯을 시기의 제한 없이 대량으로 인공 재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에게는 고품질의 식재료를 저렴한 비용으로 상시 제공할 수 있고, 생산자에게는 부가가치가 높은 새로운 수익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봄이 되면 소나무의 뿌리 부분에는 성장을 위한 양분을 보다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머리카락 같이 가는 잔뿌리가 다수 발생한다. 잔뿌리에 기생하는 미생물들은 기능을 마친 잔뿌리를 섭취하여 분해하고, 이 미생물의 배설물이 주변의 토양에 잔류하면서 송이의 포자가 생장하기 위한 양질의 영양 성분을 제공하게 된다. 인공적인 재배에 있어 송이의 발생율 및 성장성을 높이고 재배된 송이가 자연의 향과 맛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배지에 상기한 미생물의 배설물이 포함되도록 하여 자연산 송이의 생장 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와 같이 미생물에 의한 송이의 자연적 생장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미생물 배양체를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송이의 발생 및 성장에 적합한 환경을 구비한 배지를 제조함으로써, 살아있는 소나무가 아닌 인공적인 재배 장소에서 자연상 송이와 동일한 특성을 갖는 송이버섯을 생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송이버섯 재배용 배지는 미생물 배양체 제조 단계, 배지양분용액 제조 단계, 및 배지 재료 혼합 및 숙성 단계를 통해 만들어진다.
상기 미생물 배양체는 배지를 숙성하는 과정에서 소나무의 뿌리 및 주변 토양에 자생하는 미생물이 배지의 유기물 재료를 분해하고 배설물을 배출하도록 하여 자연산 송이의 성장 환경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환경이 조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배지양분용액 및 숙성소나무용액의 재료가 되며, 경우에 따라 배지를 이루는 고체 재료의 혼합 과정에서 직접 첨가되는 재료가 될 수도 있다. 상기 미생물 배양체 제조 단계는 송이가 자생하는 소나무의 뿌리 및 주변 토양에서 송이가 좋아하는 미생물을 채취하고, 이를 배양하여 고체 또는 액체 상태의 미생물 배양체를 얻는 것이다. 상기 미생물은 섬유질 및 염분을 분해하는 능력을 가진다.
한편, 한국균학회지 39권 3호에 개시된 '송이버섯과 공생하는 소나무 세근으로부터 분리된 내생균의 다양성'(2011, 경북대학교/농촌진흥청, 유영현/윤혁준/우주리/임순옥/이진형/공원식/김종국)에 의하면, 송이버섯과 공생하는 소나무 세근(잔뿌리)에서 분리된 내생균은 크게 자낭균문(Ascomycota)에 속하는 그룹과 털곰팡이아문(Mucoromycotina)에 속하는 그룹으로 분류된다. 자낭균문에 속하는 그룹에는 Trichocomaceae과에 속하는 Penicillium속, Aspergillus속, Talaromyces속, Helotiales목에 속하는 Phialocephala속, Clavicipitaceae과에 속하는 Chaunopycnis속, Dermateaceae과에 속하는 Cryptosporiopsis속 등이 포함되고, 털곰팡이아문에 속하는 그룹에는 Mortierellaceae과에 속하는 Mortierella속과 Umbelopsis속이 포함된다. 이들 내생균의 빈도는 자낭균문에 속하는 Penicillium속 10 종, Aspergillus속 1종, Talaromyces속 1종, Phialocephala속 1종, Chaunopycnis속 1종, Cryptosporiopsis속 1종, 털곰팡이아문에 속하는 Mortierella속 2종, Umbelopsis속 1종으로, 자낭균문 및 털곰팡이아문에 속하는 내생균이 각각 15종 및 3종 분리 동정되고, 자낭균문에 속하는 Penicillium속 내생균이 10종으로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국제학술심포지움에서 발표된 '송이 자생지 토양의 위치별 미생물 분리 및 동정'(2002, 전남대학교, 조성훈/박찬영/은종방)에 의하면, 송이버섯 자생지의 토양 중에서 소나무 50cm, 1m 위 또는 아래의 토양에서 Bacillus cereus, Leuconostoc lacti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cereus, Enterobacter intermedius 등이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소나무 세근 내생균들과 토양 미생물들이 존재하는데, 이들이 각각 송이버섯의 발생 및 성장에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그러나, 상기의 미생물들 중 적어도 일부가 소나무 세근과 주변 토양에 서식하면서 송이버섯의 발생 및 성장을 위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분명할 것이므로, 송이가 자생하는 지역에서 가급적 우수한 품질의 송이가 자생하는 소나무의 뿌리 및 주변 토양과 함께 미생물을 채취하고 이를 배양하여 미생물 배양체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생물의 배양은 통상적인 미생물 배양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12 ~ 40℃, 바람직하게는 18 ~ 30℃의 온도에서 설탕 등의 양분이 포함된 배양액을 공급하여 7 ~ 60일, 바람직하게는 15 ~ 30일 정도 배양한다. 바람직하게는 채취된 소나무 뿌리 및 토양과 함께 미생물을 배양한다. 또한, 채취한 미생물을 동충하초를 이용하여 배양하면 송이에 유익한 세균의 번식은 촉진되고 송이에 해가 되는 잡균의 번식이 억제되어 더욱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배지양분용액은 배지를 이루는 고체 재료에 송이의 생장을 위한 영양성분과 미생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배지양분용액 제조 단계는 물에 영양성분과 상기 미생물 배양체를 혼합하고 12 ~ 40℃, 바람직하게는 18 ~ 30℃의 온도에서 1 ~ 10시간, 바람직하게는 4 ~ 5시간 정도 숙성하여 배지양분용액을 만든다. 상기 영양성분은 설탕이나 과당과 같은 당류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며, 당류는 물 100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3 ~ 30,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15의 중량비로 혼합한다. 미생물 배양체는 물 100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0.1,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 ~ 0.03의 중량비로 혼합한다.
상기 배지 재료 혼합 및 숙성 단계는 유기물기재와 무기물기재를 혼합하고, 여기에 상기 배지양분용액을 혼합하여 숙성함으로써 송이가 발생하고 성장할 수 있는 기본적인 배지 조성물을 만드는 것이다.
상기 유기물기재는 송이버섯의 발생 및 성장을 위한 유기물 양분의 공급원인 동시에 추가로 공급되는 양분과 수분의 저장소 기능을 하는 것으로, 나무를 잘게 부순 파쇄물이 사용될 수도 있고, 목재의 가공 부산물로 발생된 톱밥이 사용될 수도 있다. 참나무를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의 나무가 재료로 사용될 수 있는데, 단일 종의 나무가 사용될 수도 있고 여러 종의 나무가 혼합된 것이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물기재를 이루는 나무는 소나무를 포함하거나 전체가 소나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소나무가 혼합된 경우 재배된 송이버섯의 향이 더욱 진하게 되며, 이를 위해 전체 유기물기재 중에서 소나무가 3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물기재는 송이버섯의 발생 및 성장을 위한 무기물 양분의 공급원인 동시에 배지의 영양 성분과 수분을 흡수했다가 소정 양씩 서서히 방출하여 송이가 생장하는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토양을 구성하는 다양한 암석 풍화물 입자, 즉 자갈, 모래, 미사, 점토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연에서 채취한 황토나 마사토, 또는 분쇄한 맥반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물기재는 유기물기재 100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3 ~ 40의 중량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20의 중량비로 혼합한다.
상기 유기물기재와 무기물기재, 배지양분용액을 혼합한 후 12 ~ 40℃, 바람직하게는 18 ~ 30℃의 온도에서 20 ~ 60일, 바람직하게는 약 35 ~ 45일 정도 숙성한다. 이때, 1 ~ 8일, 바람직하게는 4일 정도에 한 번씩 혼합물을 뒤집어 섞어주어 산소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물기재가 충분히 숙성되어 섬유질이 분해되면(이 과정에서 미생물의 배설물이 발생된다) 기본적인 배지의 조성물 제조가 완료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숙성이 완료된 상기 배지 조성물에 숙성소나무용액을 혼합하고, 배지의 혼합 또는 숙성 과정이나 숙성이 완료된 후에 무기물수용체 또는 유기물수용체를 추가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숙성소나무용액은 숙성이 완료된 상기 배지 조성물에 추가로 혼합하여 수분과 함께 소나무 향 성분, 미생물 배설물을 공급하는 것으로, 그 제조 단계는 다음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소나무, 바람직하게는 관솔, 더욱 바람직하게는 소나무를 잘라내 뿌리가 일부 썩고 남은 관솔을 수집하여 0.1 ~ 10cm, 바람직하게는 1 ~ 2cm 정도로 파쇄하고, 이 파쇄된 소나무를 물에 넣고 끓여 멸균 처리하는 동시에 조직을 약화시키고 성분을 용출시킨다. 이때, 소나무(관솔)는 물 100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 ~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10의 중량비로 투입한다. 끓이는 시간은 1시간 정도가 바람직하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의 소나무 끓인 물을 40 ~ 60℃ 정도의 중온으로 식힌 다음 상기 미생물 배양체를 투입하고 잘 혼합한 다음 10 ~ 40℃, 바람직하게는 18 ~ 30℃,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내외의 상온에서 20 ~ 60일, 바람직하게는 30 ~ 50일, 가장 바람직하게는 40일 정도 숙성시켜 숙성소나무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미생물 배양체의 혼합 비율은 소나무 끓인 물에 투입한 소나무 100에 대하여 미생물 배양체를 0.1 ~ 5, 바람직하게는 0.3 ~ 1,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정도의 중량비로 혼합한다. 숙성이 완료된 숙성소나무용액은 상기 배지 조성물에 바로 투입할 수도 있고 투입 전에 가열하여 살균 처리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배지 조성물에 추가하는 상기 무기물수용체로서는 가열 팽창된 질석 분쇄물을 비롯한 다공성 광물이 선택될 수 있고, 상기 유기물수용체로서는 코코피트를 비롯한 다공성 식물 조직체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질석은 Mg, Fe, Al으로 이루어진 천연 광물질로서 900 ~ 1000℃ 정도로 가열하면 층 사이에 있던 수분이 증기로 변하면서 팽창하여 완전 무균 상태인 수많은 공극을 구비하여 미생물의 생장에 최적의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송이의 발생 및 성장을 촉진한다. 상기 코코피트는 야자수의 섬유물질로 미생물 침투에 저항성이 있어 잡균의 번식을 방지하며, 산화 및 분해가 잘 되지 않으면서 보수력이 높아 수분 및 양분을 흡수했다가 장기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수용체의 기능을 한층 더 보완해준다. 상기 무기물수용체 및 유기물수용체는 각각 상기 유기물기재 100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5 ~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5의 중량비로 혼합한다.
또한, 상기 배지 조성물에 선택적으로 게르마늄을 첨가할 수 있다. 게르마늄은 배지에 송이 균사의 활착을 촉진하고, 재배된 송이버섯에 게르마늄 성분이 포함되도록 하여 영양성분을 높이며, 버섯의 향과 식감을 증진하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무기물기재, 유기물기재 및 배지양분용액의 혼합 및 숙성을 행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숙성소나무용액, 무기물수용체, 유기물수용체 및 게르마늄을 혼합하여, 배지 조성물의 제조가 완료되면 이를 적당한 크기와 형태, 예를 들어 입방체 형태로 뭉쳐진 덩어리로 성형하고 고온에서 살균 처리한다. 바람직하게는, 배지의 성형 및 살균 전이나 후에 상기 배지 조성물을 공기의 소통은 가능하되 외부의 잡균과 오염물의 침입은 방지하도록 용기나 주머니 형태의 포장재에 담는 입봉 과정을 행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배지에 송이 종균을 접종한 후 송이 생육에 적합하도록 온도와 습도, 빛을 조절해주면 송이 균사체의 증식, 융기 형성, 자실체 원기 발생 및 성장의 과정을 거쳐 자연 송이와 동일한 맛과 향, 식감, 영양을 갖는 송이버섯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16)

  1. 목재로 이루어진 유기물기재, 토양 광물로 이루어진 무기물기재, 및 미생물 배양체와 당류가 포함된 배지양분용액을 혼합하고 숙성한 배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미생물 배양체는 소나무의 뿌리 또는 주변 토양에서 송이의 생장을 촉진하는 미생물을 채취하여 배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이버섯 재배용 배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배양체는 미생물을 소나무 뿌리 및 토양과 함께 채취하고 당류가 포함된 배양액을 공급하여 배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이버섯 재배용 배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지 조성물은 숙성이 완료된 후 혼합된 숙성소나무용액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숙성소나무용액은 소나무를 넣고 끓인 물을 식힌 후에 상기 미생물 배양체를 혼합하여 숙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이버섯 재배용 배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숙성소나무용액의 소나무는 관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이버섯 재배용 배지.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조성물은 다공성 광물로 이루어진 무기물수용체를 더 포함하는 송이버섯 재배용 배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수용체는 팽창된 질석 분쇄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이버섯 재배용 배지.
  7.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조성물은 다공성 식물 조직체로 이루어진 유기물수용체를 더 포함하는 송이버섯 재배용 배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수용체는 코코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이버섯 재배용 배지.
  9.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조성물은 게르마늄을 더 포함하는 송이버섯 재배용 배지.
  10.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기재는 소나무를 포함하는 송이버섯 재배용 배지.
  11.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기재는 황토, 마사토, 분쇄된 맥반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송이버섯 재배용 배지.
  12. 소나무 뿌리 또는 주변 토양에서 송이의 생장을 촉진하는 미생물을 채취하고 배양하여 미생물 배양체를 제조하는 단계;
    물에 당류 및 상기 미생물 배양체를 혼합하여 배지양분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목재로 이루어진 유기물기재와 토양 광물로 이루어진 무기물기재에 상기 배지양분용액을 혼합하고 숙성하여 배지 조성물을 만드는 배지 재료 혼합 및 숙성 단계
    를 포함하는 송이버섯 재배용 배지 제조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배지 조성물에 다공성 무기물로 이루어진 무기물 수용체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이버섯 재배용 배지 제조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소나무를 물에 넣어 끓이고 식힌 다음 상기 미생물 배양체를 혼합한 후 숙성시켜 숙성소나무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지 조성물에 상기 숙성소나무용액을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이버섯 재배용 배지 제조 방법.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배양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미생물을 소나무 뿌리 및 토양과 함께 채취하고 12 ~ 40℃의 온도에서 당류가 포함된 배양액을 공급하여 7 ~ 60일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이버섯 재배용 배지 제조 방법.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배양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미생물을 동충하초에서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이버섯 재배용 배지 제조 방법.
KR1020140005402A 2013-12-04 2014-01-16 송이버섯 재배용 배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651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0112 2013-12-04
KR1020130150112 2013-12-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116A true KR20150065116A (ko) 2015-06-12

Family

ID=535036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5402A KR20150065116A (ko) 2013-12-04 2014-01-16 송이버섯 재배용 배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40005401A KR20150065115A (ko) 2013-12-04 2014-01-16 송이버섯 재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5401A KR20150065115A (ko) 2013-12-04 2014-01-16 송이버섯 재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5006511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98538A (zh) * 2015-10-26 2015-12-30 云南省热带作物科学研究所 辣木幼苗专用营养液及其制备方法
CN107821000A (zh) * 2017-10-30 2018-03-23 青川山水涧旅游资源开发有限公司 一种黄金木耳的段木栽培方法
CN109673469A (zh) * 2018-12-28 2019-04-26 云南云叶化肥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促生长功能育苗基质的制备方法
KR20200006426A (ko) * 2018-07-10 2020-01-2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풀하임 곰보버섯 인공재배 방법
KR20200101560A (ko) * 2019-02-19 2020-08-28 신무섭 균사체 생성과 포자 착상율 제고를 위한 혼합액 추출방법
KR102213012B1 (ko) * 2020-10-12 2021-02-04 송성은 진균 유래 기능성소재 생산을 위한 저분자저밀도이온화미네랄배지,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버섯배지분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98538A (zh) * 2015-10-26 2015-12-30 云南省热带作物科学研究所 辣木幼苗专用营养液及其制备方法
CN107821000A (zh) * 2017-10-30 2018-03-23 青川山水涧旅游资源开发有限公司 一种黄金木耳的段木栽培方法
KR20200006426A (ko) * 2018-07-10 2020-01-2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풀하임 곰보버섯 인공재배 방법
CN109673469A (zh) * 2018-12-28 2019-04-26 云南云叶化肥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促生长功能育苗基质的制备方法
KR20200101560A (ko) * 2019-02-19 2020-08-28 신무섭 균사체 생성과 포자 착상율 제고를 위한 혼합액 추출방법
KR102213012B1 (ko) * 2020-10-12 2021-02-04 송성은 진균 유래 기능성소재 생산을 위한 저분자저밀도이온화미네랄배지,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버섯배지분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115A (ko) 2015-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87787B (zh) 一种利用葡萄蔓屑栽培金福菇、大杯蕈珍稀食用菌的方法
CN102283013B (zh) 利用杏鲍菇废菌渣栽培高品质秀珍菇的方法
CN105900692B (zh) 一种利用玉米芯栽培猴头菇的方法
JP3781434B2 (ja) アガリクス葺の子実体の人工菌床栽培方法
KR20150065116A (ko) 송이버섯 재배용 배지 및 그 제조 방법
CN101491195A (zh) 暗褐网柄牛肝菌菌种的培养方法
CN102657028A (zh) 一种花香菇的覆土栽培方法
CN104641929A (zh) 一种羊肚菌的人工高产栽培方法
CN103910581B (zh) 一种多维双孢菇栽培基料及其制备方法
CN107353138A (zh) 适用于盐碱地改良的复混肥及其生产方法
CN105794496A (zh) 一种黑牛肝菌工厂化瓶栽方法
CN104106374B (zh) 利用甘蔗渣、桑杆和玉米渣生产姬菇的方法
CN103250529A (zh) 一种利用益生菌营养物栽培菊花的方法
CN102273377A (zh) 一种牛肝菌或红菌的栽培方法
CN103250554B (zh) 一种核桃壳粉袋料保健金针菇的栽培方法
CN103004453A (zh) 一种食用菌栽培种的制作方法以及培养基制作原料
CN101690453A (zh) 聚生离褶伞的菌床培养物
KR20110006267A (ko) 느타리버섯 재배용 원료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느타리버섯의 재배 방법
CN103270889B (zh) 一种秀珍菇畦床生料覆土栽培技术
KR100965631B1 (ko) 바실러스 속 미생물 함유 상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625A (ja) 食用きのこの栽培法および培地
CN102603372B (zh) 简易烟草专用am真菌菌肥生产工艺
KR102632218B1 (ko) 발효액비 및 이를 이용한 작물 재배 방법
CN108059562A (zh) 一种切叶种植专用生物有机肥及其制备方法
CN103250562B (zh) 一种枸杞根袋料保健香菇的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