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824Y1 - 기능성 실내조경 구조 - Google Patents

기능성 실내조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824Y1
KR200407824Y1 KR2020050027868U KR20050027868U KR200407824Y1 KR 200407824 Y1 KR200407824 Y1 KR 200407824Y1 KR 2020050027868 U KR2020050027868 U KR 2020050027868U KR 20050027868 U KR20050027868 U KR 20050027868U KR 200407824 Y1 KR200407824 Y1 KR 2004078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charcoal
aquatic
present
plant
landscap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78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 순 김
Original Assignee
현 순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 순 김 filed Critical 현 순 김
Priority to KR20200500278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8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8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8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2Other organic fertilisers from peat, brown coal, and similar vegetable deposits
    • C05F11/04Horticultural earth from pea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반적인 미감과 청량감은 물론 사람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실내의 공기를 탈취 또는 정화하는 기능성도 가지고 있는 실내용 조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관상용 식물(11)이 식재되며 식물(11)이 식재된 분토(12) 속에는 겉에서 보이지 않도록 대나무숯(13)이 내장된 화분(10): 수조(21)에 수생식물(22)과 관상어(23)가 방생되어 수용되며 저면에는 일라이트(24)가 살포되는 수생연못(20): 다수의 대나무숯(32)이 수용된 용기(31)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겉에서 보이지 않도록 음이온발생장치(33)가 내장된 대나무숯함(30): 상기 화분(10), 수생연못(20) 및 대나무숯함(30)을 받쳐 지지하는 받침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능성 조경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실내조경 구조 {Functional Landscaping Structure in Chamb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라 완성되는 기능성 실내조경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대나무숯이 적용된 화분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일라이트가 적용된 수생연못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라 음이온발생장치가 적용된 대나무숯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화분 11: 식물
12: 분토 13: 대나무숯
20: 수생연못 21: 수조
22: 수생식물 23: 관상어
24: 일라이트 30: 대나무숯함
31: 용기 32: 대나무숯
33: 음이온발생장치 40: 받침대
본 고안은 실내용 조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미감과 청량감은 물론 사람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실내의 공기를 탈취 또는 정화하는 기능성도 가지고 있는, 기능성 실내조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조경이라 하면, 실내의 공간에 식물체가 식재된 화분이나 수석등과 어우러진 분재, 또는 관상어가 수용된 어항 등을 적소에 배치하여 사용자에게 미감을 주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서, 통상 "식물의 냄새와 향기를 제공하거나, 그 밖에 비교적 소형인 자연물을 이용하여 선형미, 색채미, 구성미 등 미적, 장식적 효과를 주는 구조"로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내조경은 사람에게 심리적 안정감과 휴식장소를 제공하고 현대 기술사회에서 쌓이는 이른 바 테크노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여유를 줄 뿐만 아니라, 실내공기를 정화하고 산소를 공급하며, 일정량의 소음을 흡수 및 차폐하는 효과도 가지고 있고, 나아가 실내의 적절한 습기를 유지하고 실온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에너지를 절약하는 효과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실내조경 구조에 고유한 휴식 및 관조 기능 이외에 실내조경 시스템 또는 실내조경을 위한 구성요소에 기능성을 부여하고자 하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능성은 허브 등 천연 방향식물을 이용하여 탈취 및 방향 기능을 부여하는 기본적인 수준으로부터 인공폭포를 이용하는 음이온발생 기능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실내조경 시스템 또는 이의 구성요소중 어느 하나에 기능성을 부여하려는 시도는 기존의 특허/실용신안 상의 선행기술로도 종종 개시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03374호에 보면, 자연석 질감을 가지는 다양한 형상의 인공자연석체와 함께 다양한 형상의 화분체, 그리고 화초에 급수된 후 배수되는 물을 집수할 수 있는 집수부를 하나의 받침대 상에 단일체로 FRP 수지와 석분 등을 조합하여 성형 구성한 조경용 화분을 제공함으로써, 경량이고 내구성이 클 뿐만 아니라 염가이면서도 고가의 자연석 질감을 그대로 구현하여 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조경용 화분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191459호에는, 인공조경 화분 내부에 내장되는 공기정화기와, 인공조경에 공기흡입구 역할을 하는 다수의 구멍을 구비하며, 인공조경의 화분 내부에 내장되는 공기정화기에 휘산용 향과 음이온발생기가 장착되며, 리모컨 컨트롤로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며, 인공조경을 화분에 부착하거나 화분 상단에 콘센트가 설치될 수도 있는, 인공조경에 내장된 공기정화기에 대해 개시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194225호에는, 베이스 역할을 하는 본체와, 베이스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수단과,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흡입수단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골고루 분배하는 에어분배수단과, 흡입수단의 일측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본체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와, 물탱크 물공급상에 설치되어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와, 물탱크와 근접되게 본체에 고정되어 물의 이동을 제어하는 넘침방지턱과, 상기 본체내에 채워져 오염된 공기로부터 유해물질 및 먼지를 흡착 제거함과 동시에 나무가 심어지는 담체로 구성되는, 조경을 이용한 공기청정 및 습도조절기에 대해 개시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2-0020156호에는, 본체부와, 화분을 지지하는 거치대가 형성된 본체부 상단부와, 배수구가 형성된 본체부 하단부와,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에 장착된 풍량세기조절기, 타이머, 전원스위치로 구성된 강제송풍수단부와, 본체부의 측부에 투명한 수위측정부로 구성되는, 심지 관수 화분에 대해 개시된 바 있다.
이밖에,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5-0088680호에는, 지지대 상에 고정되는 크랭크는 양단에 원판휠을 구비하고, 크랭크의 중심상에 위치하는 보조휠은 외주면에 다수의 링크를 개재하며, 보조휠 상의 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물받이대는 크랭크 상의 크랭크핀을 중심으로 방사형태로 설치되고, 물받이대는 이송가능하게 장치되며, 가이드와 슬라이드관을 구비하는 이송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전 및 조경용 물레방아에 대해 개시된 바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들 모두는 화분이나 물레방아 등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에 공기정화기 또는 향발생기 등 이미 기존의 완제품으로 상품화된 기능성 요소를 단순 조합하여 제작함으로써 숨기고자 한 것일 뿐 기능성 조경이라고 하기에는 부족함이 있거나, 조경 구성요소를 어느 하나만 사용함으로써 조경적 요소가 차지하는 비율이 너무 작아서 조경이라기보다는 하나의 장식물에 가깝거나, 그 구성이 너무 복잡하여 실제 실현에 어려움이 있거나 비용이 크게 소요되는 등의 단점들 중 하나 이상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2 이상의 조경적 구성요소를 통합한 통합조경 형태의 조경구조를 구성하되, 여기에 공기정화, 음이온 발생, 원적외선 방사, 산소발생, 악취제거 등의 기능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그 구성이 단순하여 실제 구현 가능성이 높은, 기능성 조경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관상용 식물이 식재되며 식물이 식재된 분토 속에는 겉에서 보이지 않도록 대나무숯이 내장된 화분: 수조에 수생식물과 관상어가 방생되어 수용되며 저면에는 일라이트가 살포되는 수생연못: 다수의 대나무숯이 수용된 용기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겉에서 보이지 않도록 음이온발생장치가 내장된 대나무숯함: 상기 화분, 수생연못 및 대나무숯함을 받쳐 지지하는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능성 조경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일반적인 미감과 청량감은 물론 사람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실내의 공기를 탈취 또는 정화하는 기능성도 가지고 있는 실내용 조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식물체와 수생연못, 탈취를 위한 대나무숯 및 이들을 놓아 수용하기 위한 테이블에 기능성을 부여한 실내조경 구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식물체, 수생연못, 대나무숯 및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실내조경 구조에 있어서, 식물체가 식재된 화분의 분토 속에 해독을 위한 대나무숯을 심고, 수생식물 및/또는 물고기가 방생된 수생연못에는 일라이트를 살포하여 산소를 발생시키고, 대나무숯에는 음이온발생장치를 은폐시켜 내장하여 구성되는, 기능성 실내조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들과 변형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기능성 실내조경 구조에서 구체적인 식물체의 종류나, 받침대의 재질, 수생연못에 방사되는 물고기의 종류 등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관계 없는 것들은 생략되었는 바, 이와 같은 생략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축소되지 않음은 당 업자에게 있어 자명한 일이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라 완성되는 기능성 실내조경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대나무숯이 적용된 화분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일라이트가 적용된 수생연못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라 음이온발생장치가 적용된 대나무숯함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대나무숯은 대나무를 1000℃의 고온에서 구워 만들어낸 것으로 일반 숯보다 미세한 구멍이 많아 숯 표면적이 일반 목탄(木炭)의 3배-10배 이상 넓기 때문에 흡착, 흡수 효과와 이에 따른 해독, 탈취 효과 역시 일반 숯의 최소 4배 이상이어서 숯 가운데서도 최고의 숯으로 손꼽는 것이다.
또한, 대나무숯은 이와 같이 넓은 표면적에 의한 탈취, 해독 효과 이외에도 음이온을 발생시키고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효과도 가지고 있으며, 그 수명이 반영구적이므로 교체할 필요가 없고 3-6개월에 한 번씩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 말려 주는 것으로 충분하다.
본 고안에 사용된 일라이트(illite)는 점토입자 크기의 미립질 광물로서, 화학식은 (K,H3O)AL2(Si,Al)4O10(H2O,OH)2이고, 일반적인 백운모와 흡사한 판상구조를 가지며, 경도는 1-2이고 비중은 2.6-2.9인 흑색, 갈흑색 및 녹흑색의 점토광물이다.
대기 중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오염물질 즉 담배연기, 아황산가스(SO2), 질소산화물(NOx), 일산화탄소(CO), 오존(O3) 및 각종 유해물질은 양(+)이온을 형성 하고 있는데, 일라이트는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특성으로 인해 이들 양이온을 중화시켜 제거하며, 특히 오존(O3)과 같은 경우에는 일련의 이온교환 반응에 의해 유해한 오존을 오히려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산소 (O2)로 만들어 줌으로써, 공기를 깨끗하고 신선하게 유지시켜 주며, 산소결핍현상을 해결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해준다.
또한, 일라이트는 다이아몬드 다음으로 원적외선을 가장 많이 방사하는 기적의 돌이라고도 알려져 있는데, 사람이 원적외선을 받으면 몸속에 있는 물분자가 활성화되고 활성에너지로 변해 건강을 찾을 수 있으며, 또한 산소 및 음이온 발산, 유독가스 및 향균 작용, 각종 오염물질이나 독성을 흡수하여 분해하기도 한다.
일라이트의 원적외선 방사 효능은 관절염, 디스크, 노인성질환, 아토피성피부염, 특히 비만치료에 탁월하고 일라이트석에 직접 문지르고 찜질하면 통증을 완화 또는 경감시킬 수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대나무숯 용기에 음이온발생장치를 내장하여 구비하는데, 전기장을 발생시켜 음이온을 생성하는 전기식과 이른바 전기석이라 불리우는 토르말린을 이용하는 방식, 및 물을 충돌 및 비산시켜 음이온을 대기중으로 발산시키는 물이용방식 등 어떤 형태의 음이온 발생장치를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실내용 조경 구조중 한 구성요소인 대나무숯 용기 내에 내장되어 구비된다는 특성상 비교적 소형인 전기식이 바람직하다.
이하, 이상과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고안 기능성 실내조경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실내조경 구조는, 관상용 식물(11)이 식재되며 식물(11)이 식재된 분토(12) 속에는 겉에서 보이지 않도록 대나무숯(13)이 내장된 화분(10): 수조(21)에 수생식물(22)과 관상어(23)가 방생되어 수용되며 저면에는 일라이트(24)가 살포되는 수생연못(20): 다수의 대나무숯(32)이 수용된 용기(31)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겉에서 보이지 않도록 음이온발생장치(33)가 내장된 대나무숯함(30): 및 상기 화분(10), 수생연못(20) 및 대나무숯함(30)을 받쳐 지지하는 받침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식물(11)이 식재된 화분(10)에 대나무숯(13)을 내장하는 것은 숯의 흡착 작용을 이용한 실내의 탈취 및 해독 효과를 얻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용기(31)에 대나무숯(32)을 수용하여 외장되는 대나무숯함(30)의 효과를 더욱 상승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식물이 식재된 화분(10)은 그 사용하는 분토의 종류에 따라 실내에 부식취를 발생시킬 수도 있는데, 대나무숯(13)은 이렇게 발생하는 분토(12)의 부식취를 제거해주는 역할도 겸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대나무숯(13)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모습이 밖으로 드러나 전체 식물(11)이 주는 미감을 해치지 않도록 화분 분토(12) 속에 파묻 혀 내장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분토(12)로는 일반적인 화분용 흙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관계 없으나, 피트모스를 주성분으로 하는 상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사용된 피트모스(Peat Moss)란 물이끼(sphagnum moss)가 오랫동안 물 속의 지층 속에 갇혀있으면서 공기가 차단되어 완전히 썩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탄화되어 만들어진 토양을 말하는 것으로서, 특히 북미의 습지에서 많이 생산 공급되는 흡수력이 대단히 큰 토양을 말한다.
수생연못(20)은 최근 들어 조경용으로 각광받는 구성요소로서, 기본적으로 기밀성 수조(21)와 수면에 식생하는 부들 등의 수생식물(22), 관상어(23) 및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된 물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고안에서는 여기에 일라이트(24)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수조(21)의 물에 지속적으로 산소를 발생시켜 공급하는 기능을 부여하였다.
본 고안에서 일라이트(24)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생연못 수조(21)에 살포되어 바닥에 침전됨으로써 실제 연못의 니토처럼 수행환경의 저층을 형성하는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대나무숯함(30) 역시 최근 대나무숯의 효능이 널리 알려지면서 크게 각광받는 조경요소로서 처음부터 탈취 및 해독을 목적으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조경적 요소라기 보다는 오히려 기능적 요소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이와 같은 기본적인 기능에 더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이온발생장치(33)가 내장되어 구성됨으로써, 탈취/해독이라는 소극적 또는 방어적 기능성에 음이온 방출이라는 적극적 기능성을 부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음이온발생장치로는 소형의 전기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상기 받침대(40)는 상기 화분(10)과 수생연못(20) 및 대나무숯함(30)을 일정 높이로 받쳐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분(10), 수생연못(20) 및 대나무숯함(30)을 바닥에 놓는 형식으로 구성하고자 할 경우 생략될 수도 있다.
생략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 상기 받침대(40)에는 일라이트가 함유되고 솔향캡슐이 첨가된 니스가 도포되어 실내의 공기중에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동시에 은은한 솔향이 풍기도록 하는 기능이 추가된다.
일라이트는 원래 입자가 고운 진흙 형상의 물질이므로, 원목 재질의 탁자를 칠하고자 할 때 니스와 함께 단순 혼합하여 용이하게 덧칠할 수 있다.
솔향 캡슐의 경우 솔향을 비롯한 자연향을 마이크로캡슐화한 것으로서, AROMA®(일신화학,대한민국) 등의 이름으로 시중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으며,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물질과 쉽게 혼화되므로 역시 니스와 함께 단순 혼합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기능성 조경구조에는 공기정화, 악취제거 및 항균기능을 가지는 광촉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광촉매(Photocatalyst)란 말 그대로 빛(Photo=Light)과 촉매(Catalyst)의 합성어로서 빛을 에너지원으로 촉매 반응을 진행시키는 물질을 말한다.
이러한 광촉매의 종류에는 TiO2, ZnO, CdS등 여러 종류가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광여기 반응을 이르키는데 필요한 에너지가 387.5nm 정도이어서 태양광으로부터 충분한 에너지를 받을 수 있고,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광활성이 우수하고, 인체에 무해한 TiO2가 사용되었다.
본 고안에서 광촉매로 사용되는 TiO2는 상기 화분(10), 수생연못(20)의 수조(21), 대나무숯함(30)의 용기(31) 및 받침대(40) 중 하나 이상에 도포되는 도료에 포함되는 형태로 적용된다.
이렇게 도포된 광촉매는 실내 공기를 정화하고, 악취를 제거하며, 항균기능을 가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기능성 실내조경 구조는 다양한 기능성 요소가 구비된다는 기술적 사상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에서, 그리고 본 고안을 바탕으로 당 업자에게 자명한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구체화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이 완성됨으로써, 관상용 식물(11)이 식재되며 식물(11)이 식재된 분토(12) 속에는 겉에서 보이지 않도록 대나무숯(13)이 내장된 화분 (10): 수조(21)에 수생식물(22)과 관상어(23)가 방생되어 수용되며 저면에는 일라이트(24)가 살포되는 수생연못(20): 다수의 대나무숯(32)이 수용된 용기(31)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겉에서 보이지 않도록 음이온발생장치(33)가 내장된 대나무숯함(30): 상기 화분(10), 수생연못(20) 및 대나무숯함(30)을 받쳐 지지하는 받침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능성 실내조경 구조가 제공될 수 있게 되었다.
본 고안이 완성됨으로써, 2 이상의 조경적 구성요소를 통합한 통합조경 형태의 조경구조를 구성하되, 여기에 공기정화, 음이온 발생, 원적외선 방사, 산소발생, 악취제거 등의 기능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그 구성이 단순하여 실제 구현 가능성이 높은, 기능성 조경구조가 제공될 수 있게 된 것이다.

Claims (4)

  1. 관상용 식물(11)이 식재되며 식물(11)이 식재된 피트모스 주성분의 분토(12) 속에는 겉에서 보이지 않도록 대나무숯(13)이 내장된 화분(10):
    수조(21)에 수생식물(22)과 관상어(23)가 방생되어 수용되며 저면에는 일라이트(24)가 살포되는 수생연못(20): 및
    다수의 대나무숯(32)이 수용된 용기(31)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겉에서 보이지 않도록 전기식 음이온발생장치(33)가 내장된 대나무숯함(3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실내조경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10), 수생연못(20) 및 대나무숯함(30)을 받쳐 지지하는 받침대(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실내조경 구조.
  3. 제 1항 또는 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받침대(40)에는 일라이트가 함유되고 솔향캡슐이 첨가된 니스가 도포되어 구 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실내조경 구조.
  4. 제 1항 또는 제 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분(10), 수생연못(20)의 수조(21), 대나무숯함(30)의 용기(31) 및 받침대(40) 중 하나 이상에는 광촉매로서 TiO2가 포함된 도료가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실내조경 구조.
KR2020050027868U 2005-09-28 2005-09-28 기능성 실내조경 구조 KR2004078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868U KR200407824Y1 (ko) 2005-09-28 2005-09-28 기능성 실내조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868U KR200407824Y1 (ko) 2005-09-28 2005-09-28 기능성 실내조경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824Y1 true KR200407824Y1 (ko) 2006-02-03

Family

ID=44481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868U KR200407824Y1 (ko) 2005-09-28 2005-09-28 기능성 실내조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8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780B1 (ko) * 2018-01-22 2019-06-07 주식회사 숨터 융합형 나노워셔 공기청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780B1 (ko) * 2018-01-22 2019-06-07 주식회사 숨터 융합형 나노워셔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342117Y (zh) 一种植物型空气净化器
KR100785930B1 (ko) 실내공기 정화를 위한 자동 온실시스템
US8894741B2 (en) Water, light and airflow control system and configuration for a plant air purifier
JP3145848U (ja) 植物を用いた空気浄化器
CN204682200U (zh) 一种具有生态空气净化功能的植物鱼缸
KR20070079756A (ko) 인조화분소재의 가습방법 및 그 장치
KR100559084B1 (ko) 식물-토양을 이용한 실내 공기 정화장치
CN105776755A (zh) 小型污水与空气处理的一体式净化装置
KR100937105B1 (ko) 화분 일체형 공기청정기
CN104707473B (zh) 一种植物空气净化装置
KR100943824B1 (ko) 다목적 화분
KR100250160B1 (ko) 관상어수조를 이용한 수경재배 및 정화장치
KR20090069035A (ko) 공기정화기능을 가진 실내조경 시설물
KR200407824Y1 (ko) 기능성 실내조경 구조
CN210900514U (zh) 一种迷迭香室内栽培盘
KR100209822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가습기
JP6757063B2 (ja) 植物による空間内の消臭方法
KR20060101943A (ko) 조명등용 전등갓
KR101950878B1 (ko) 탁상용 식물 공기 청정기
KR100748584B1 (ko) 항균, 탈취 기능을 갖는 다용도 용기
KR200394637Y1 (ko) 가습형 공기 청정기
RU68310U1 (ru) Аппаратно-биолог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KR200300168Y1 (ko) 음이온발생 화분
JP3094803U (ja) 空気清浄機
KR101730814B1 (ko) 허브식물 재배용 화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