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5795B1 - 건강 보조 베개 - Google Patents

건강 보조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5795B1
KR101265795B1 KR1020110147591A KR20110147591A KR101265795B1 KR 101265795 B1 KR101265795 B1 KR 101265795B1 KR 1020110147591 A KR1020110147591 A KR 1020110147591A KR 20110147591 A KR20110147591 A KR 20110147591A KR 101265795 B1 KR101265795 B1 KR 101265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filling member
health supplement
sleep
heal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7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4113A (ko
Inventor
임용재
Original Assignee
임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용재 filed Critical 임용재
Publication of KR20130044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38Bed linen
    • A47G9/0253Pillow sl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강 보조 베개는 베개속으로 충전되는 충전부재 및 상기 충전부재를 감싸는 내피와 상기 내피의 외부를 감싸는 외피로 이루어진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부재는 흑단나무 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강 보조 베개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재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광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안정적인 숙면을 유도하면서 위생적으로도 쾌적한 효과를 가진 건강 보조 베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강 보조 베개{Health-aid pillow}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정적인 숙면을 유도하는 건강 보조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면은 외부 환경을 인식하고 반응하는 능력이 가역적, 반복적, 정상적으로 정지되어 있는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정의되지만, 실질적으로 수면은 뇌의 활동 뿐만 아니라, 다른 신체 부위의 생리학적 변화와도 깊이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수면에 장애가 있는 경우 혈압, 체온 등 기초적인 신체 상태 뿐만 아니라, 기억력, 집중력, 창의력 등의 인지적 기능, 나아가 고혈압, 당뇨, 심장병 등의 질환에 까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최근 들어, 산업 발달과 함께 정보사회가 고도화되면서 인간의 정신 노동 강도 역시 높아지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수면 장애가 발생하는 비율도 높아지고 있는데, 우리나라 성인의 절반 정도가 급성 불면증 10%는 만성 불면증을 경험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있다. 또한, 수면 장애는 여러 가지 개인적, 사회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며 학습장애, 능률저하, 안전사고, 정서장애, 산업재해 등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일상 생활에서 안정적인 수면을 취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쾌적하고 안정적인 수면을 위해서는 침구류가 중요한데, 침구류 중에서도 수면을 취하기 편안한 자세를 만들어 주는 베개는 누울 때 목을 받쳐주면서 어깨와 허리 등의 신체 균형을 잡아줌으로써 목과 뒷머리의 근육을 이완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숙면을 이루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침구용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숙면을 돕는 효과를 가진 베개속으로 충전되는 재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에 대한 연구나 제품 등이 널리 알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베개속으로 사용되는 솜, 메밀, 왕겨나 소나무, 편백나무등의 소프트우드의 경우 베개의 사용 기간이 경과하면서 건조되어 재료 상호간 마찰에 의한 먼지나 분말 형태의 이물질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사용자에게 호흡기 질환 등을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표백제, 형광 염료 등의 화학 약품을 사용하여 제조된 베개의 커버 부재는 사용자의 머리에서 분비된 물질과 땀, 습기에 오염되어 집 진드기 등의 해충 및 각종 세균의 증식을 방지하지 못하므로 사용자에게 피부질환 등을 유발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정적인 숙면을 유도하면서 위생적으로도 쾌적한 건강 보조 베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강 보조 베개는 베개속으로 충전되는 충전부재 및 상기 충전부재를 감싸는 내피와 상기 내피의 외부를 감싸는 외피로 이루어진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부재는 흑단나무 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건강 보조 베개에 있어서 상기 흑단나무 칩은 직경의 크기가 3∼7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건강 보조 베개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재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광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예의 또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광물은 운석(隕石)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예의 또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건강 보조 베개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한지 섬유 및 천연 순면 중 적어도 하나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예의 또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커버부재는 숯, 홍화, 자초, 오배자, 소목, 쪽, 감국, 율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천연 염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추신경계를 억제하는 생물학적 활성 성분을 가진 흑단나무를 베개속 충전부재로 사용함으로써 중추신경억제 효과를 통한 만성 피로 및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수면 장애를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흑단나무 칩을 포함하는 베개속 충전부재에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광물, 특히 운석(隕石)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수면 중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여 보다 안정적인 숙면을 유도할 수 있다.
아울러, 천연 성분으로 이루어진 커버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항균, 항취 효과 및 피부질환 완화 및 예방 효과에 의하여 위생적으로도 쾌적한 수면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보조 베개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보조 베개의 커버부재 및 커버부재에 의하여 내장된 충전부재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보조 베개(1)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보조 베개의 커버부재 및 커버부재에 의하여 내장된 충전부재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건강 보조 베개(1)는 베개속으로 충전되는 충전부재(10)와 상기 충전부재(10)를 감싸는 내피(21)와 상기 내피(21)의 외부를 감싸는 외피(22)로 이루어진 커버부재(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베개 속 충전부재(10)로 이용되는 흑단나무는 감나무과에 속하며 열대지방에서 자생하는 식물로, 색상, 내구성, 경도 및 광택이 뛰어나 목재로서 널리 이용될 뿐만 아니라, 설사나 이질, 기침 등의 치료제로 사용되면서 약리적 효과도 인정받아 왔다. 특히 최근 발표된 논문에 의하면 흑단에서 추출된 물질이 중추신경을 억제하여 실험에 사용된 동물의 숙면을 유도하고 수면을 연장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알려지기도 하였다(Oriental Pharmacy and Experimental Medicine 2004 4(4) 249-252).
흑단나무는 하드 우드(Hard wood)로서 강도가 매우 강하여 아무리 오랜 시간 사용하여도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는 편백나무, 왕겨, 메밀과 같은 베개 속과는 달리 건조성으로 인한 마찰력에서 발생되는 미세가루로 호흡기 질환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5mm 내외의 크기의 가공할 경우 수면 시 목과 머리의 지압효과로서 혈류 흐름을 원활하게 도와 피로 회복을 촉진시켜 최적의 수면 상태를 유도한다. 또한, 흑단 나무의 특성상 장마철, 또는 어떠한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습기를 흡수하지 않으므로 기존 베개에서 장마철이나 여름의 수면시 땀 흡수로 종종 발생되는 퀴퀴한 냄새와 각종 집 진드기 균의 생성을 억제하여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나무 자체가 단단하므로 오랜 기간동안 베개속을 교체하지 않고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베개속 충전부재(10)로 이용되는 흑단나무 칩은 입상 형태, 분말 형태, 톱밥 형태, 펠릿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의 모양으로 가공될 수 있으며, 입상이나 펠릿 형태인 경우 다면체, 구체, 원통형, 다각형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칩의 직경은 3∼7㎜, 더욱 바람직하게는 5mm 내외일 수 있는데, 이러한 크기의 충전부재(10)는 머리 형태에 따라 유동성이 좋아 사용자의 머리가 베개 위에서 자기잡기 편할 뿐만 아니라, 목과 머리에 지압 효과를 향상시켜 수면 중 혈류 흐름을 원활히 하고 피로 회복을 촉진시키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본 발명에 따른 건강 보조 베개는 상기 흑단나무 칩을 포함하는 베개속 충전부재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광물(미도시)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광물은 분쇄되거나 과립 또는 입상 형태로 상기 흑단나무 칩과 함께 내피(21)에 의하여 내장될 수 있으며,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광물로는 운석(隕石)이나 토르말린, 게르마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운석(隕石)이란, 지구의 중력에 의하여 대기권으로 진입한 유성체가 대기 중에서 완전히 소멸되지 않고 지표면에 떨어진 광물을 이르는 것으로, 그 성분에 따라 석질운석, 철질운석, 석철질운석 세가지로 분류된다. 석질운석은 지구상의 규산염 광물이 주성분이고, 소량의 철, 니켈, 황화물 등이 함유되어 있다. 비중은 3.4 정도이고, 운석의 93%를 차지하고 있다. 철질운석은 철과 니켈이 99%를 차지하고 있고, 비중은 7.8이다. 지표로 떨어진 모든 운석 중 무게로 약 5%가 철질운석이다. 석철질운석은 60%가 철로 구성되어 있는데, 운석의 1.5% 정도밖에 안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루머루타이트(rumurutiite), 몰다바이트(moldavite), 테크타이트(tektite), 기베온(gibeon), 감람석 등의 운석 물질이 본 발명의 건강 보조 베개의 충전부재에 포함되는 광물일 수 있다.
운석의 한 종류로서 몰다바이트(moldavite)는 대표적인 원적외선 방사 물질인 Al2O3, SiO2 다량 포함되어 있어, 이러한 원적외선이 공기를 음이온화 함으로써 양이온을 중화시켜 냄새를 제거한다. 물과 단백질로 만들어진 피부와 만나 광선이나 근적외선 등은 피부에 남지 않고 원적외선만 흡수, 침투되어 인체 자기 발열을 하게 하여 혈액의 흐름 및 발한 작용을 촉진시킨다. 또한, 인체에 쌓인 노폐물과 중금속을 배출시키고, 진정 효과를 높이며, 항균, 방충, 제습효과도 있다.
한편, 석질운석에 포함된 감람석은 일반 광석에 비해 3∼4 배의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음이온(생체이온) 발생율이 탁월하게 높은데 이러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은 화학적, 전기적, 방사성 물질 등의 원인인 공기오염을 정화시키고, 건축재에서 실내에 발산되는 포르말린 등의 유해물질을 정화시시키며, 담배연기나 불쾌한 냄새를 분해,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운석의 또다른 종류인 테크타이트(tektite)의 성분 중 하나인 코에사이트(coesite)는 석영과 같은 화학성분을 가지고 있어,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하면, 결정의 양단에 전기적 분극이 생기고 압전기 현상으로 불리는 진동이 나타난다. 우리 몸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물을 통해 코에사이트(coesite)의 진동은 우리 몸의 분자에 영향을 미쳐 우리 몸의 분자는 공명, 진동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코에사이트(coesite)의 에너지는 직접적으로 우리 몸에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다. 근육의 힘을 증가시키고 방사능으로부터 보호하고 정전기를 제거한다. 코에사이트(coesite)는 강력한 에너지 저장체로 불면증이나 스트레스를 치유하는 데에도 탁월한 효능을 보인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강 보조 베개의 커버부재(20)는 충전부재(10)를 감싸는 내피(21)와 내피를 외부에서 감싸는 외피(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주재(20)의 재질로는 한지 섬유 및 천연 순면(Organic Cotton) 중 적어도 하나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지 섬유란,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천연 섬유로 원적외선 방출과 항균성, 소취성능, 흡한속건성, 용이한 염색성 등 다양한 기능이 있다. 또한, 세균 및 곰팡이류를 살균시키며, 몸에서 분비되는 땀 비듬 등 노폐물 때문에 생기는 세균의 증식을 억제, 방취하는 효과가 뛰어나므로, 알레르기성 질환과 피부가 약한 사람에게 특히 좋다. 전기 저항이 극히 작으므로, 화학적 가공섬유보다 건조하고 낮은 습도에서 발생하기 쉬운 정전기 발생이 적고, 먼지가 잘 묻지 않으며 수면시 주변의 가전 제품에서 나오는 전자파를 흡수하여 소멸시키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열의 근원인 적외선 반사기능이 있어 겨울철 몸에서 나오는 원적외선을 몸쪽으로 복사시켜 몸의 체온을 따뜻하게 보호하고, 여름철에는 외기 태양열을 바깥쪽으로 반사시켜 열전도율을 낮춤어 줌으로써 시원한 느낌을 준다. 이러한 한지 섬유 특유의 습도 조절 기능은 가습작용과 건습피부나 피부미용효과도 있어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도 가지고 있다.
특히, 한지 섬유는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사람에게 불쾌감을 주어 수면방해, 식욕감퇴, 불쾌지수 등을 유발시키는 암모니아에 대한 탈취율이 높으므로, 인체에 땀 및 수분을 신속하게 흡수하여 발산시킴으로써 언제나 쾌적한 상태의 수면을 유지하도록 유도하고 습기가 많은 장마철에도 쾌적상태를 유지, 겨울엔 보온성이 좋아 건강하고 쾌적한 수면을 돕는다.
천연 순면 역시 친환경적 관리로 재배되는 유기농 목화로서 화학처리를 하지 않으므로 연약한 피부의 아토피성 피부 질환 예방에도 좋다.
한편, 이러한 커버부재(20)는 숯을 이용한 천연 염색을 통해 만들어 질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숯을 비롯한 홍화, 자초, 오배자, 소목, 쪽, 감국, 율금 등 천연 염색의 모든 재료들이 천연염료만을 사용하여 색감을 만들 수 있다. 숯의 천연 염색은 친환경 소재로서 원적외선 음이온을 방출함으로서 인체의 건강에 유익하다. 숯을 이용한 천연 염색은 체내에서 중금속을 흡착, 분해 작용을 도와 생체리듬의 기를 살리는 원적외선 음이온을 뿜어내어 혈액순환, 신진대사 활동을 촉진하고, 각종 성인병 예방과 피로해소, 항균, 방충 효과가 뛰어나 피부질환을 예방하고, 감촉이 부드럽고 또한 강력한 흡착 탈취효과로 각종 냄새를 중화와 풍부한 산소 함유량으로 정수 및 정화 작용도 뛰어나 땀 흡수력이 우수하여 쾌적한 수면을 도와준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건강 보조 베개
10.. 충전부재 20.. 커버부재
21.. 내피 22.. 외피

Claims (6)

  1. 베개속으로 충전되는 충전부재; 및
    상기 충전부재를 감싸는 내피와 상기 내피의 외부를 감싸는 외피로 이루어진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부재는 흑단나무 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보조 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흑단나무 칩은 직경의 크기가 3∼7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보조 베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재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광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보조 베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물은 운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보조 베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한지 섬유 및 천연 순면 중 적어도 하나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보조 베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숯, 홍화, 자초, 오배자, 소목, 쪽, 감국, 율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천연 염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보조 베개.








KR1020110147591A 2011-10-21 2011-12-30 건강 보조 베개 KR1012657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343 2011-10-21
KR20110108343 2011-10-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113A KR20130044113A (ko) 2013-05-02
KR101265795B1 true KR101265795B1 (ko) 2013-05-21

Family

ID=48656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7591A KR101265795B1 (ko) 2011-10-21 2011-12-30 건강 보조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57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6579B1 (ko) * 2023-07-28 2024-04-09 박성주 베개용 충전재 및 이를 가지는 베개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6579B1 (ko) * 2023-07-28 2024-04-09 박성주 베개용 충전재 및 이를 가지는 베개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113A (ko) 201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70016B (zh) 一种活性炭中药枕
KR101265795B1 (ko) 건강 보조 베개
KR20110001563U (ko) 침구에 사용되는 기능성 솜
KR20130082207A (ko) 베개의 제조방법
KR200452717Y1 (ko) 편백나무를 이용한 침대용 매트리스
JP2005328901A (ja) ユーカリの葉を用いた健康寝具、芳香袋、入浴剤
KR20060125973A (ko) 수면촉진 숨쉬는 베개용볼 및 베개 제작방법
KR20220145071A (ko) 잣나무를 이용한 침구류
KR200419981Y1 (ko) 피톤치드 세라믹볼이 측면에 내장된 온열 침대 매트리스
KR20140006173A (ko) 편백나무를 이용한 베개
KR200291627Y1 (ko) 은사직물을 이용한 전기온열패드
KR200214221Y1 (ko) 원적외선 음이온이 방사되는 향기나는 솜으로 만드는 침구
KR100757668B1 (ko) 황토 베개
KR101128147B1 (ko) 황토석 - 편백나무제 침구속재
KR20110100390A (ko) 빅터 건강 밴드
KR200371482Y1 (ko) 참숯으로부터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책상
KR100279905B1 (ko) 쑥을 이용한 침구류의 제조방법
KR200205024Y1 (ko) 베갯속
CN2621521Y (zh) 天然活性炭椰棕床褥
KR200337509Y1 (ko) 벽돌
KR20010061900A (ko) 치약 및 마사지용 크림으로 맥반석을 사용하는 방법
KR20110002047U (ko) 매트
KR200324271Y1 (ko) 모데나이트와 섬유활성탄소를 이용한 침구
KR200473197Y1 (ko) 편백나무를 이용한 베개
KR20000001158U (ko)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