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6173A - 편백나무를 이용한 베개 - Google Patents

편백나무를 이용한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6173A
KR20140006173A KR1020120068899A KR20120068899A KR20140006173A KR 20140006173 A KR20140006173 A KR 20140006173A KR 1020120068899 A KR1020120068899 A KR 1020120068899A KR 20120068899 A KR20120068899 A KR 20120068899A KR 20140006173 A KR20140006173 A KR 20140006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cypress
phytoncide
wool
chi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8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규
Original Assignee
박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규 filed Critical 박상규
Priority to KR1020120068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6173A/ko
Publication of KR20140006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1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편백나무에 일정한 수분을 공급하고 별도의 장치 없이 편백나무 자체에서 피톤치드가 발생하는 편백나무를 이용한 베개를 제공한다. 그 베개는 칩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편백나무 칩과 편백나무 칩을 둘러싸는 양모 패딩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편백나무를 양모로 패딩(padding)함으로써, 편백나무에 일정한 수분을 공급하고 별도의 장치 없이 편백나무 자체에서 피톤치드를 발생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편백나무를 이용한 베개{Pillow using hinoki cypress}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편백나무에서 방출되는 피톤치드(phytoncide)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편백나무를 이용한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하는 데에 사용된다. 그런데 상기 베개는 인체에서 분비되는 땀이나 노폐물로 인해 악취가 발생되고, 천식, 비염, 알레르기, 아토피성 피부염 등과 같은 질병을 유발하는 각종 세균이나 집먼지 진드기 등의 해충이 서식할 수 있는 유리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현대인은 무수규산, 산화알루미늄 등 광물성 미네랄이 부족하면 몸속에 독성을 중화시키지 못하여, 배설능력이 떨어지고 세포가 활발하게 활동하지 못하며 각종 질병에 노출되게 된다.
한편, 피톤치드(phytoncide)는 수목이 각종 병원균, 해충 및 세균으로부터 스스로를 방어하기 위해 공기 중에 발산하는 천연 항균물질로서,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제와 대체의학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피톤치드는 주성분인 트로폴론(tropolone) 계통의 유기화합물이 살균, 항균, 진정, 탈취, 스트레스 해소, 알레르기 및 피부질환의 면역기능증대, 집먼지 진드기 퇴치 및 기피효과 등 인체에 유익한 다양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편백나무는 이러한 피톤치드를 방출하는 양이 가장 큰 수목으로 알려져 있어서, 이를 적용한 수많은 베개가 제조되고 있다. 즉, 베개의 겉감 또는 속감 안에 칩(chip)이나 목재편 등의 편백나무를 장입하고 밀봉하면, 편백나무에서 피톤치드가 발생하는 베개가 된다. 이때, 편백나무에서 다량의 피톤치드를 방출하려면 일정한 수분을 공급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편백나무를 이용한 베개는 수분이 항상 존재하는 환경에 사용되지 않으므로, 수분의 공급이 중단되어 편백나무에서 피톤치드의 유출이 어렵게 된다. 만일, 별도로 수분을 공급하는 장치를 베개에 부착하면, 베개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가격 상승의 요인이 되며, 그 장치로 인한 여러 가지의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편백나무에 일정한 수분을 공급하고 별도의 장치 없이 편백나무 자체에서 피톤치드가 발생하는 편백나무를 이용한 베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베개는 칩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편백나무 칩(chip) 및 상기 복수개의 편백나무 칩을 둘러싸는 양모 패딩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양모 패딩을 덮는 겉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편백나무 칩은 일정한 직경을 갖는 구슬로 이루어거나 직경이 서로 다른 구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편백나무 칩의 크기 및 혼합비는 베개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다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편백나무를 이용한 베개에 의하면, 피톤치드를 발생하는 구슬 모양의 편백나무 칩을 양모(羊毛)로 패딩(padding)함으로써, 편백나무에 일정한 수분을 공급하여 별도의 장치 없이도 편백나무 자체에서 피톤치드가 발생하는 베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편백나무를 이용한 베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편백나무를 이용한 베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피톤치드를 발생하는 편백나무를 양모(羊毛)로 패딩(padding)함으로써, 편백나무에 일정한 수분을 공급하고 별도의 장치 없이 편백나무 자체에서 피톤치드가 발생하는 편백나무를 이용한 베개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양모 패딩의 특성을 상세하게 살펴보고, 상기 양모 패딩이 편백나무에서 피톤치드를 생성하게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양모와 편백나무가 조합된 베개에 대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편백나무 베개의 문제점을 해결하였기 때문에, 그 범주를 베개에 한정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편백나무를 이용한 제1 베개(1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때, 베개의 형태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원형의 단면을 가진 베개를 예로 든 것에 불과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베개(100)는 복수개의 편백나무 칩(10)과 복수개의 편백나무 칩(10)을 둘러싸는 양모 패딩(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경우에 따라, 양모 패딩(20)을 속감으로 하고 천연소재인 면(cotton), 죽 섬유(bamboo fabric) 등을 양모 패딩(20)을 덮는 겉감(30)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양모 패딩(20) 및 겉감(30)의 두께는 제1 베개(100)의 형태나 크기에 따라 다르게 정할 수 있다.
편백나무 칩(10)은 구슬 형태가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사용자의 뒤척임에 따라 베개에 닿는 면적과 모양이 변하게 되는 데, 구슬은 이에 부응하여 적절히 변형되어 자연스러운 굴곡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구슬은 구슬 사이에 공기층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게 하여 양모 패딩(20)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층은 수분이 이동하는 통로가 되며, 또한 편백나무 칩(10)에서 발생하는 피톤치드가 저장되고 방출되는 공간이다.
편백나무는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자연 치유력을 증대하며, 면역기능을 강화시키고, 환경호르몬 등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효과를 가지며, 부패 방지 및 악취제거에 탁월한 피톤치드 및 향기로 살균, 정화작용, 각종 아토피성 피부염과 같은 피부질환을 완화하는 트로폴론(tropolone) 치환체인 히노끼티올(hinokitiol; 편백정유)이라는 휘발성 물질이 축적되어 오랫동안 발산됨으로써 인체에 이로운 작용을 한다고 알려진 나무이다. 또한, 목재가 된 후에 수분에 접촉되어도 곰팡이가 나지 않고 부패 및 부식되지 않으며, 수분을 흡수하면 오히려 진한 피톤치드를 내뿜어 강력한 항균, 방부, 살균효과를 가진다. 이에 따라, 편백나무는 사우나, 욕조, 족욕기, 반신 욕기 등 건강 목욕제품뿐만 아니라 침대를 비롯한 가구는 물론 도마에도 이용되고 있다.
양모 패딩(20)은 습도 조절 능력이 뛰어나 항상 뽀송뽀송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장마철이나 무더운 여름을 포함한 4계절 사용이 가능한 천연섬유 제품이다. 사용자가 양모에 접촉하면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여, 여름이면 땀과 수분을 흡수하여 시원함과 쾌적함을 느끼게 해주고 겨울에는 적절한 수분인 40 내지 60%를 유지시켜 건조함을 막고 보습 및 보온을 한다. 또한, 일반 면(cotton)에 비하여 약 2배, 합성섬유, 예컨대 폴리에스테르의 약 40배에 달하는 수분을 흡수하는 능력이 있고, 주변의 온도와 습도에 따라 수분을 배출하는 능력도 뛰어나다. 다시 말해, 양모 패딩(20)은 항온 및 수분 항상성이 다른 섬유에 비해 우수한 천연섬유로 이루어진다.
또한, 양모 패딩(20)은 동물성이지만 숯과 유사하게 공기 중의 화학물질이나 유해한 환경호르몬을 흡착하여 정화하는 능력이 있고, 천연섬유가 가지는 항균 및 항 곰팡이의 기능은 물론 악취를 제거하는 소취기능이 탁월하다. 나아가, 양모 패딩(20)은 잘 오염되지 않으며, 정전기로 인한 집진현상이 없어, 오염물질이 묻어도 쉽게 제거되어 비염, 아토피, 알레르기, 천식 등을 일으키는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하다. 이와 같이, 양모 패딩(20)은 그 자체로도 베개에 적용하면 인체에 유용하다.
그런데 양모 패딩(20)은 일정한 습기를 제공하는 수분 항상성으로 인하여, 편백나무(10)에서 피톤치드를 발생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베개(100)에 접촉하게 되면 양모 패딩(20)은 사용자가 배출하는 습기를 신속히 빨아들인다. 빨아들인 수분을 바깥으로 다시 신속히 배출하는 능력 또한 탁월하다. 이로 인해, 양모 패딩(20)은 사용자가 수면이나 휴식을 취하는 동안 코나 피부 등을 통하여 배출되는 수분을 흡수하여 편백나무 칩(10)에 전달한다.
편백나무 칩(10)은 양모 패딩(20)에 의해 사용자의 수분을 전달받아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효능이 있는 피톤치드를 다량으로 뿜어낸다. 즉, 사용자가 제1 베개(100)를 사용하지 않으면, 흡수한 수분이나 노폐물을 외부로 방출하는 양모 패딩(20)에 의해 편백나무 칩(10) 사이의 공기층에 피톤치드를 흡수하여 보관한다, 그 후, 사용자가 다시 제1 베개(100)를 사용하면, 상기 공기층을 누르게 되므로, 상기 피톤치드를 호흡을 통하여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베개(100)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조합되어 이루어진다. 먼저, 제1 베개(100)의 내부에는 피톤치드를 발생시키는 편백나무 칩(10)이 구슬의 형태로 장입되어 있어서, 발생한 피톤치드를 구슬 사이의 공기층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수분 항상성이 있는 양모 패딩(20)에 의해 편백나무 칩(10)은 사용자로부터 수분을 공급받아 피톤치드를 발생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베개(100)는 양모 패딩(20)에 의해 편백나무 칩(10)에 일정한 수분을 공급하므로, 별도의 장치 없이 편백나무 칩(10) 자체에서 피톤치드가 발생하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편백나무를 이용한 제2 베개(2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제2 베개(200)는 제1 베개(100)에 비하여, 편백나무 칩의 형태를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인 양모 패딩(20) 및 겉감(30)은 제1 베개(100)와 같은 기능 및 역할을 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2 베개(200)의 편백나무 칩(12)은 큰 구슬(12a) 및 작은 구슬(12b)이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작은 구슬(12a)은 큰 구슬(12a) 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역할을 한다. 작은 구슬(12a)이 큰 구슬(12a) 사이의 공간을 메우면, 제1 베개(100)와는 달리 조밀한 공기층이 형성된다. 공기층이 조밀하게 됨에 따라, 편백나무 칩(12)에 발생한 피톤치드를 제2 베게(200) 내에 보다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으며, 피톤치드가 제2 베개(200)에 머무르는 시간을 제1 베개(100)에 비해 오랫동안 지속시킬 수 있다.
큰 구슬(12a)과 작은 구슬(12b)의 직경 및 혼합비는 제2 베개(200)의 형태 및 크기 등에 따른 피톤치드 분산 및 지속시간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경 및 혼합비는 양모 패딩(20) 및 겉감(30)의 두께 및 섬유 구조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나아가, 편백나무 칩(10, 12)을 이루는 구슬의 직경을 보다 다양하게 하여 피톤치드의 분산 및 지속시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제1 베개 200; 제2 베개
10, 12; 편백나무 칩
20; 양모 패딩 30; 겉감

Claims (5)

  1. 칩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편백나무 칩(chip); 및
    상기 복수개의 편백나무 칩을 둘러싸는 양모 패딩으로 이루어진 편백나무를 이용한 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모 패딩을 덮는 겉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를 이용한 베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백나무 칩은 일정한 직경을 갖는 구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를 이용한 베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백나무 칩은 직경이 서로 다른 구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를 이용한 베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백나무 칩의 크기 및 혼합비는 베개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를 이용한 베개.
KR1020120068899A 2012-06-27 2012-06-27 편백나무를 이용한 베개 KR201400061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899A KR20140006173A (ko) 2012-06-27 2012-06-27 편백나무를 이용한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899A KR20140006173A (ko) 2012-06-27 2012-06-27 편백나무를 이용한 베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052U Division KR200473197Y1 (ko) 2014-01-03 2014-01-03 편백나무를 이용한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173A true KR20140006173A (ko) 2014-01-16

Family

ID=50141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8899A KR20140006173A (ko) 2012-06-27 2012-06-27 편백나무를 이용한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61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2036A (zh) * 2016-01-28 2016-06-15 上海安丁生物(汤阴)药业有限公司 三香红木枕
KR20160084634A (ko) * 2015-01-06 2016-07-14 가우디가구 주식회사 목침용 또는 베개속용 목재부재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4634A (ko) * 2015-01-06 2016-07-14 가우디가구 주식회사 목침용 또는 베개속용 목재부재 제조방법
CN105662036A (zh) * 2016-01-28 2016-06-15 上海安丁生物(汤阴)药业有限公司 三香红木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780383U (zh) 一种汽车脚垫
KR20140006173A (ko) 편백나무를 이용한 베개
KR200473197Y1 (ko) 편백나무를 이용한 베개
JP2005328901A (ja) ユーカリの葉を用いた健康寝具、芳香袋、入浴剤
KR20060011912A (ko) 원적외선방사 편백나무 온열침대
KR20090115985A (ko) 편백나무를 마감재로 한 온열침대
KR20120068789A (ko) 인체에 이로운 향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주어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주는 푹신푹신한 석재 또는 목재 쿠션 침대를 제조하는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 주면서 욕창의 발생을 방지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푹신푹신한 석재 또는 목재 쿠션 침대
KR20160072367A (ko) 발가락 건강 보조기구
KR101681510B1 (ko) 신발 깔창
KR101265795B1 (ko) 건강 보조 베개
KR200473752Y1 (ko) 편백나무 쿠션체
KR200407202Y1 (ko) 흡습기능을 갖는 매트리스
JP3164907U (ja) 寝たきりの人用の握り具
KR200214221Y1 (ko) 원적외선 음이온이 방사되는 향기나는 솜으로 만드는 침구
KR200469330Y1 (ko) 피톤치드향을 발향토록 하는 유아용 이불.
KR20120001338U (ko) 활성탄 부직포/폼을 함유한 기능성 신발깔창
KR200438557Y1 (ko) 해충퇴치기능을 가진 침대용 매트리스
KR200460760Y1 (ko) 건식 족욕기
CN205410624U (zh) 一种具有功能防护单的枕头
KR200431384Y1 (ko) 기능성 소재가 도포된 침구
KR20150018671A (ko) 기능성 충전재가 내장된 침대매트리스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
KR200419981Y1 (ko) 피톤치드 세라믹볼이 측면에 내장된 온열 침대 매트리스
JP3166623U (ja) 寝たきりの人用の握り具
JP2004010547A (ja) 鉱物組成物、及びこれを含有させたシート基材、並びにこれを用いたシート状部材
TWM486293U (zh) 具芳香氣味之墊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CV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