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627Y1 - 은사직물을 이용한 전기온열패드 - Google Patents

은사직물을 이용한 전기온열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627Y1
KR200291627Y1 KR2020020020265U KR20020020265U KR200291627Y1 KR 200291627 Y1 KR200291627 Y1 KR 200291627Y1 KR 2020020020265 U KR2020020020265 U KR 2020020020265U KR 20020020265 U KR20020020265 U KR 20020020265U KR 200291627 Y1 KR200291627 Y1 KR 2002916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tton
silver
fabric
pad
charco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2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조
Original Assignee
정인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조 filed Critical 정인조
Priority to KR20200200202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6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6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627Y1/ko

Links

Landscapes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적외선 및 수맥차단효과를 제공하는 전기온열패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트의 표면에 은사를 이용하여 제직한 은사직물을 구성함으로서 기능성의 유지와 함께 패드의 유연성을 증대시킨 은사직물을 이용한 전기온열패드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은, 입자상의 숯가루가 솜에 혼입된 숯솜(3)과, 입자상의 옥가루가 솜에 혼입된 옥솜(4), 및 면상발열체가 코팅된 가요성의 전열판(5), 그리고 화학솜 또는 천연솜 혹은 스폰지 중 1종이상으로 이루어진 패딩솜(6)을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이들 적층체의 표면에는 위사와 경사로 직조되는 직물의 일부에 은사(銀絲; 10)를 일정간격으로 배열하여 구성한 상·하부 은사직물(1,2)로 피복한 후 적층체와 함께 누빈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은사직물을 이용한 전기온열패드{Electric quilt}
본 고안은 원적외선 및 수맥차단효과를 제공하는 전기온열패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트의 표면에 은사를 이용하여 제직한 은사직물을 구성함으로서 기능성의 유지와 함께 패드의 유연성을 증대시킨 은사직물을 이용한 전기온열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이불(요를 포함)은, 이불 커버를 구성하는 천 안쪽의 솜과 솜 사이에 가요성의 면상 발열체를 끼워 넣은 것으로서, 이러한 전기이불 또는 전기요는 인체를 덮거나 바닥에 깔리는 것이기 때문에 푹신하고 비교적 가벼워야 한다. 따라서 내부에 천이 아닌 솜이 삽입된다.
반면에 요 밑의 방바닥에 깔리는 전기매트는 푹신거리거나 가벼울 필요가 없어서 납작한 장판과 유사한 적층구조를 취하고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231393호는 원적외선이 방사되도록 한 원적외선 방사용 매트의 일예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하부로부터 상부로 방수 및 방습원단, 속면, 곁면, 부직포, 탄소열선으로 형성된 바이메탈 온도센서, 알루미늄 박판으로 형성된 화이바그라스, 수맥을 차단하는 동섬유, 참숯이 도포되어 있는 바이오 모노망사를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있고, 이렇게 적층된 소재의 테두리를 특수원단으로 마감처리하고 있다.
다시말해, 다수의 원단이 적층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 열선이 배열된 온도센서가 위치하여 외부의 온도조절기에 의해 온도조절이 가능한 전기매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원단 중 제일 상부에 위치하는 원단의 표면에는 홈이 형성된 다수의 옥이 일정 간격을 두고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옥에 형성된 홈에는 원적외선방사 부재가 삽입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옥에 형성된 홈에는 원적외선 방사 부재인 자수정 또는 은이 삽입 고정되어 있어서 주로 장식적인 효과 외에 간접적인 원적외선 방사효과를 얻도록 한 것이다.
한편, 이같은 전기매트에는 은(銀)이나 동(銅)과 같은 금속성 재료를 내설하여 전자파 및 수맥파의 차단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노력이 경주되고 있으며, 더욱이 음이온의 방출을 통해 항균 소독작용 및 생체에너지의 활성화를 추구하는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기도 하다.
이미 잘 알려진 바와같이, 숯에는 음이온을 증가시키는 작용이 있는데 음이온은 부교감신경에 영향을 주어 기분을 안정시키고 몸의 긴장을 이완하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현대인은 TV,컴퓨터 등 양이온이 다량 배출되는 제품들과 함께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되는 것이어서 양이온이 많은 곳에서는 긴장, 흥분, 초조하기 쉽고 피로가 빨라진다. 그러므로 주위에 숯을 두게 되면 음이온이 증가되고 양이온을 중화시켜 공기가 균형을 취하는 상태가 되어 피로의 감소, 평온한 수면을 취할 수 있다. 인체의 65∼75%가 물로 구성되어 있고, 물 속의 원적외선 파장대가 5∼20m에서 가장 투과가 잘되므로 5∼20m대에서의 원적외선 방사율 측정 결과, 고온이 아닌 40℃에서 (대나무 숯, 참나무 백탄)93%의 방사율이 측정되어 원적외선을 방사하고 있다. 숯은 우수한 흡착성과 도전성(導電性), 축전성(蓄電性)을 가지고 있어 참숯을 텔레비전, 전자레인지, 컴퓨터등 가전제품 옆에 두면 기기에서 방출되는 몸에 해로운 전자파를 차단하거나 흡수해 주는 효과가 있다.
숯은 다공질로서 미생물의 서식처가 되며 특히 유기물의 분해력이 뛰어난 방선균이 잘 살기 때문에 공기 중에 오염된 성분이나 유해한 불순물을 흡착해서 분해하여 공기를 정화시키고 냄새를 제거시켜 준다. 숯은 수면 중 흘리는 땀이나 어린이의 오줌 등 다량의 수분을 순식간에 흡수하여 불순물을 분해한다. 4대 악취물질인 암모니아, 트리, 메틸아민, 메닐머켑탄을 대상으로 하는 실험 결과에 의하면 실험개시 30분후 50% 이상이 제거되었으며, 1시간후 90%이상 흡착 제거되어 탈취 효능이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어 악취를 예방할 수 있다. 숯은 습기가 많을 때는 흡수하고 건조할 때는 수분을 방출해서 실내의 습도를 자연적으로 조절해 준다. 또한 요, 이불 베개 시트나 침대시트 등에 집단적으로 번식하는 집먼지, 진드기의 배설물로 인해 유발되는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피부염 등의 퇴치에도 유용하다
또한, 옥은 인체에 필요한 광물질, 칼슘, 마그네슘을 함유하고 있으며 옥에서 발산하는 파동이 우리 인체 세포에 골고루 침투하여 공명공진 작용을 함으로써 신경 안정과 오장육보의 기능을 강화시켜 주고 혈액순환 원활, 혈액의 약알카리화, 체내의 유해 노폐물 배설 등을 통해 건강을 유지하는데 유용하다. 먼저, 건강을 지켜주는 기(氣)가 발산되지만 양질의 천연옥에서 나오는 생육광선의 기(氣)는 건강생활을 지켜주며 젊음을 주는 효능을 제공하며, 각종 질병을 예방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발생시킨다. 그래서 당뇨병, 순환기장애, 심장병 및 신장장애 등 여러가지 질병에 탁월한 예방효과가 있다고 알려지고 있다. 집안 구석구석 퍼져있는 유해한 곰팡이와 세균의 서식을 억제하는 기능 역시 맥반석, 황토 및 새라믹 등과 비교할 때 옥은 훨씬 풍부한 원적외선 방사 효능이 있다고 알려지고 있다.
이와 함께, 은(silver)은 고대로부터 몸에 착용하고 있으면 신체의 컨디션에 따라 광택이 변하여 자신이 느끼지 못하는 신체의 불균형을 체크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되기도 하였고(은 반지의 광택이 탁해지면 몸이 피로하거나, 생체 리듬이 낮은 경우에 해당됨), 동의보감에서는 은을 분말화하여 복용하는 한약재로써의 역할도 하였데, 은에서 발생하는 음이온은 흑사병 균을 살균할 정도로 방출되는데에서 기인한다.
은(銀)의 효능을 크게 두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는 은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항균작용과 소독작용을 하며 여러가지 균류(菌類)의 감염을 방어하는 예방의학적인 가치가 그것이며, 둘째는 금속인 은(metalic silver)이 방출하는 은 이온(Ag+)의 전기적 부하가 우리 몸에 접촉되므로 심신을 안정시키면서 에너지의 활성을 도모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은은 전자파와 수맥파를 차단하는 역할로도 잘 알려져 있다.
"인체와 전기"의 저자 로버트 베커 박사는, 인체 면역력의 상당부분을 은이 맡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인체내의 은함량이 기준(0.0001%) 이하로 떨어질 때 질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며, 따라서 인체의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은을 다량 체내에 함유하기 위해서는) 땅에 뿌리를 박고 사는 채소를 많이 먹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동의보감에 따르면 은이 뿜어내는 수많은 은이온들은 살균될 뿐만 아니라 은이온이 체내에 스며들어 병균을 효과적으로 격퇴시키고, 또한 전자파나 수맥파등 인체에 유해한 파장을 완벽하게 흡수, 차단하는 한편, 간질 및 경기 등 정신질환과 냉대하와 같은 부인병에 특효가 있다고 소개하고 있다.
이같이 은은 단순히 화학적으로 불활성 금속이 아니다. 지난 세기 동안 수행되어 왔던 의학적 연구결과 은은 다양하고 강력한 의학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능이 큰 물질이라는 것이 확인되고 있으며, 오늘날에도 은은 화상치료, 눈, 귀, 코, 목 등에 생기는 감염, 염증, 기타 미생물에 의해 감염되거나 발병되는 염증등 항생물질을 사용하여 치료해야 하는 질병들의 치료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전기매트는, 솜과 솜 사이에 면상발열체를 집어넣은 것으로 열손실이 많을 뿐만아니라 대부분 카시미론 등의 화학섬유를 사용하기 때문에 정전기가 발생하는 등 인체에 비교적 해롭고 실내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를안고 있는 것이었다.
더욱이 상기한 전기매트의 경우에는 매트의 표면에 부착되는 옥의 홈에 자수정 또는 은과 같은 원적외선 방사부재를 고정시킨 것이기 때문에 원적외선이 방사된다 할지라도 매트의 표면에 군데군데 달려 있어서 그 효과가 미미할 뿐 아니라 매트 표면으로 돌출하고 있어서 취침 중 편안한 수면을 이루지 못하게 하는 한편, 피부가 연약한 어린이나 여성의 경우 통증과 타박상의 원인을 제공하는 등 부작용을 안고 있는 것이었다.
전자파 및 수맥파의 차단효과를 얻기 위하여, 또는 음이온의 방출을 통해 항균 소독작용 및 생체에너지의 활성화를 추구하기 위하여 금속성 재료를 내설하는 경우, 미세하게 분쇄된 입자의 형태로 혹은 얇은 판상의 재료로 가공하여 설치하고 있어 가공성이 크게 떨어뜨리는 현상을 보이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금속재료를 입자상태로 삽입하는 경우에는 금속편이 일측으로 몰리거나 전열체 표면을 손상시켜 누전의 가능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었으며, 얇은 판상으로 삽입하는 경우 역시 유연성이 요구되는 패드의 성질상 패드를 접고 펼치는 잦은 구부림 동작에 의해 박판의 금속이 손상되거나 누전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인체에 유익한 숯과 옥 그리고 은을 이불 내에 함유되도록 하여 이들 성분의 물리적, 화학적 작용이 효과적으로 실현되면서도 이불의 경량성과 보온성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성이 우수한 전기온열매트를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패드의 표면에 은사를 이용하여 제직한 은사직물을 피복하여 줌으로서, 패드의 유연성을 증대시켜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기온열패드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패드 전체 분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표면을 구성하는 은사직물의 평면 구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은사직물, 3 : 숯솜, 4 : 옥솜, 5 : 전열판, 6 : 패딩솜, 10 : 은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입자상의 숯가루가 솜에 혼입된 숯솜과, 입자상의 옥가루가 솜에 혼입된 옥솜, 및 면상발열체가 코팅된 가요성의 전열판, 그리고 화학솜 또는 천연솜 혹은 스폰지 중 1종이상으로 이루어진 패딩솜을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이들 적층체의 표면에는 위사와 경사로 직조되는 직물의 일부에 은사(銀絲)를 일정간격으로 배열하여 구성한 상·하부 은사직물로 피복한 후 적층체와 함께 누빈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은사직물의 일부에 위사 및 경사와 함께 직조되는 상기 은사(銀絲)는, 순도 95%이상, 두께 0.1∼0.4㎜ 이며, 폭이 0.5∼0.8㎜를 유지하도록 연속 가공되는 것을 사용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은사직물(1,2)은 이른바 이불홑청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한 숯솜(3), 옥솜(4), 전열판(5) 및 패딩솜(6)이 모두 상·하부 은사직물(1,2)에 의해 가리워진 상태로 구성된다.
상기 은사직물(1,2)은, 굵기가 일반의 천연 또는 합성사와 거의 같도록 가늘게 늘어뜨린 은사(銀絲; 10)를 사용하여 위사와 경사 중에 등간격으로 일정하게 삽입하는 방법으로 제직한 직물이다.
이때, 상기 은사(10)는, 유효한 효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순도 95%이상을 유지하여야 한다. 은의 순도가 95%이하로서 다량의 불순물이 첨가되는 경우 은이온의 방출은 저하될 수 있고 항균 살균등 의학적 효능은 크게 떨어지게 된다. 이와같이 95%이상의 순도를 유지하는 은사(10)는 내구성이 매우 약하다. 따라서 안정된 장력과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두께 0.1∼0.4㎜, 그리고 폭이 0.5∼0.8㎜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같은 은사(10)는, 일반의 천연 또는 합성사로 구성되는 위사와 경사의 일부로서 직조되어 직물을 구성하게 된다.
다시말해, 상기 은사(1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직물(1,2)의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반복 배열하여 구성하게 되는 것인데, 이같은 제직과정을 통해 은사(10)는 직물(1,2)의 표면에 균일한 분포를 유지한 체 연속적이고도 안정적으로 배치되는 것이며, 이로인해 직물(1,2)의 접힘이나 세탁을 통해서도 손상되지 아니하는 유연성을 보장받게 된다.
이같은 은사직물(1,2)은 상·하 두겹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들 사이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같이 입자상의 숯가루를 포함하고 있는 숯솜(3)과, 옥가루를 포함하는 옥솜(4), 및 면상발열체가 코팅된 가요성의 전열판(5)이 차례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요성 전열판(5)의 일면에는 화학솜 또는 천연솜이나 스폰지 중 1종이상으로 이루어진 패딩솜(6)이 부착되는 것이다.
위사와 경사로 직조되는 직물의 일부에 가늘게 가공된 은사(10)를 일정간격으로 배치하여 구성한 상기 상·하부 은사직물(1,2)을 이들 적층체의 표면에 피복한 후에는 적층체와 함께 일체로 누벼 통상의 이불과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숯솜(3)은 카시미론과 같은 화학솜 또는 천연솜에 일정한 입자 크기로 분쇄한 숯가루를 혼입시켜 숯가루가 솜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한 것이고, 옥솜(4)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미세한 입자의 크기로 분쇄한 옥을 혼입시킨 것이다.
한편 상기 전열판(5)은, 가요성 재질의 표면에 면상 발열체를 프린팅하고, 그 표면을 유리섬유로 코팅해서 전기를 흘리면 설정 온도에 따라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이는 통상의 전열매트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각각의 숯솜(3)과 옥솜(4), 전열판(5) 및 패딩솜(6)을 상·하부 2장으로 피복되며 유연성을 보유하는 상기 은사직물(1,2)로 감싸고 난 다음에는 이들의 가장자리를 박음질하여 줌으로서 하나의 완성된 전기온열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의 전기온열패드는 숯과 옥, 그리고 은을 이불 내에 함유하면서도 이불 본연의 유연성을 확보함으로써, 인체에 이로운 이들 성분의 물리화학적 작용이 효과적으로 실현됨은 물론, 패드의 경량성와 보온성 향상을 최대로 보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입자상의 숯가루가 솜에 혼입된 숯솜과, 입자상의 옥가루가 솜에 혼입된 옥솜, 및 면상발열체가 코팅된 가요성의 전열판, 그리고 화학솜 또는 천연솜 혹은 스폰지 중 1종이상으로 이루어진 패딩솜을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이들 적층체의 표면에는 위사와 경사로 직조되는 직물의 일부에 은사(銀絲)를 일정간격으로 배열하여 구성한 상·하부 은사직물로 피복한 후 적층체와 함께 누빈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사직물을 이용한 전기온열패드.
  2. 제 1항에 있어서, 은사직물의 일부에 위사 및 경사와 함께 직조되는 상기 은사(銀絲)는, 순도 95%이상, 두께 0.1∼0.4㎜ 이며, 폭이 0.5∼0.8㎜를 유지하도록 연속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사직물을 이용한 전기온열패드.
KR2020020020265U 2002-07-05 2002-07-05 은사직물을 이용한 전기온열패드 KR2002916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265U KR200291627Y1 (ko) 2002-07-05 2002-07-05 은사직물을 이용한 전기온열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265U KR200291627Y1 (ko) 2002-07-05 2002-07-05 은사직물을 이용한 전기온열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627Y1 true KR200291627Y1 (ko) 2002-10-11

Family

ID=73125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265U KR200291627Y1 (ko) 2002-07-05 2002-07-05 은사직물을 이용한 전기온열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6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644B1 (ko) 2016-01-14 2017-02-22 마정호 난연성 전자파 차폐 전열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644B1 (ko) 2016-01-14 2017-02-22 마정호 난연성 전자파 차폐 전열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69068B2 (ja) 患者用敷布
KR200291627Y1 (ko) 은사직물을 이용한 전기온열패드
KR19990078969A (ko) 원적외선 섬유부직포의 소재.
CN108882412B (zh) 一种石墨烯负离子发热内暖被
KR100655900B1 (ko) 음이온 및 초장파 발생 흙침대
CN201424539Y (zh) 竹炭竹纤维
KR101393641B1 (ko) 진드기 차단 항균 차렵 침구류
KR200372699Y1 (ko) 기능성 건강매트
CN201185797Y (zh) 多功能复合被
CN214522385U (zh) 一种保温型家用的纺织品
CN201091422Y (zh) 一种磁疗保健恒温褥
CN201185798Y (zh) 多功能复合子母被
KR200183260Y1 (ko) 원적외선이 방사되게한 섬유지
KR101265795B1 (ko) 건강 보조 베개
CN211408326U (zh) 一种吸汗杀菌的垫子
KR200266809Y1 (ko) 이불용 솜
JP2005218651A (ja) 身体装着具
JP2002345615A (ja) 蒲団及び蒲団用シーツ
KR101027114B1 (ko) 전자파 흡수여과장치를 이용한 전자파차단 및 공기정화 숯침대
KR200443658Y1 (ko) 침대 매트리스용 쿠션부재
KR200284373Y1 (ko) 섬유활성탄소부재가 내입된 시트커버
JP5337332B2 (ja) 寝具
KR100352007B1 (ko) 건강 매트리스
KR200381525Y1 (ko) 생황토를 이용한 침구용품
CN205625438U (zh) 一种新型远红外线蚕丝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