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5309A -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 - Google Patents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5309A
KR20110115309A KR1020100034741A KR20100034741A KR20110115309A KR 20110115309 A KR20110115309 A KR 20110115309A KR 1020100034741 A KR1020100034741 A KR 1020100034741A KR 20100034741 A KR20100034741 A KR 20100034741A KR 20110115309 A KR20110115309 A KR 20110115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panel
furniture
decorative panel
furniture deco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균
임정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솔붙박이
임정옥
김영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솔붙박이, 임정옥, 김영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솔붙박이
Priority to KR1020100034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5309A/ko
Publication of KR20110115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3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5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A47B96/206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with laminates comprising planar, continuous or separat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1Edge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은, 가구의 외장판넬에 안치되는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에 있어서, 상기 외장판넬의 외표면에 안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치홈에 패널부재가 안치되며, 상기 패널부재 상에 기능성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기능성부재 상에 상기 기능성부재의 효능이 외부로 통풍되도록 통기성시트가 부착되며, 상기 통기성시트 상에 장식무늬홀이 형성된 패턴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FUNCTIONAL PANEL FOR DECORATING FURNITURE}
본 발명은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재를 주로 사용하는 가구는 재질적 특성상 습기의 영향을 비교적 많이 받게 된다. 이러한 습기는 가구 내에 곰팡이나 좀의 번식을 유발하는 것을 물론이고 심지어는 바퀴벌레 등의 해충이 서식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가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측에서는 그 내부에 보관된 이불, 옷 또는 책 등의 물품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취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그 효과가 미흡한 실정이다. 예를 들면, 곰팡이나 좀 등의 박테리아 종류의 번식을 방지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으로 소위 나프탈린 덩어리를 가구 내에 비치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토록 하였으나, 이 경우 나프탈린에서 발생된 냄새가 옷이나 이불 등의 보관물품에 베이게 됨으로써 악취를 유발시킴은 물론 나프탈린 용해액이 물품에 스며들 경우 변색 및 얼룩을 유발시켜 세탁을 해야 하는 번거로운 점이 있다.
또한, 주택에 사용되는 벽지, 가구, 단열재, 합판, 접착제, 마루바닥재 등의 건축재료에 포함된 포름알데히드(HCHO)나 휘발성 유기화합물(VOC)등의 유해물질이 일부는 실내공기를 오염시키며, 그 오염 유해 물질이 새집증후군의 발생 원인이 되고 있으며, 근간에 주택의 기밀화와 단열화를 강조하면서 더욱 그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여기서, 새집증후군은 의학용어로서 새로 지은 주택이나 리모델링하는 기존의 주택에서 발생되는 포름알데히드(HCHO)나 인체 유해 화학물질(VOC)등으로 인하여 실내의 공기가 오염되어 일시적 또는 만성적인 두통, 눈, 코, 목등의 이상 구토, 어지러움, 가려움증등 거주자의 건강에 해를 일으키는 증세를 말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실내 공기 오염의 심각성이 알려지면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그 예로 유해물질을 흡착하거나, 화학적 반응을 통해 제거함으로써 효과를 나타내며, 실내의 적절한 장소에 성형물을 안치하거나 실내의 벽면이나 바닥면에 시공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실내 공기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도, 새 가구에서 방출되는 포름 알데이드향 등과 같은 유해가스를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가구의 외장 판넬에 기능성부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을 안치하는 것에 의하여, 새 가구에서 방출되는 포름 알데이드향 등과 같은 유해가스를 제거할 수 있는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가구의 효용성 한계를 극복하여 방충, 방습 등의 효과와 더불어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에 의한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 숯을 슬라이딩 절단한 기능성 숯 또는 숯을 함유하는 기능성 천연재를 기능성부재로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실내의 습도 및 온도유지는 물론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은, 가구의 외장판넬에 안치되는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에 있어서, 상기 외장판넬의 외표면에 안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치홈에 패널부재가 안치되며, 상기 패널부재 상에 기능성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기능성부재 상에 상기 기능성부재의 효능이 외부로 통풍되도록 통기성시트가 부착되며, 상기 통기성시트 상에 장식무늬홀이 형성된 패턴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치홈은 상기 외장판넬에 상기 패널부재가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상기 외장판넬의 내표면 측에는 차단판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능성부재는, 통 숯을 슬라이딩 절단한 기능성 숯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부재는, 기능성 천연재 100중량부에 산화마그네슘 10~50중량부, 석고 5~10중량부 및 3~20무게% 농도의 젤라틴 수용액10~100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압축성형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기능성 천연재는 숯, 황토 및 옥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패널부재의 테두리에는 테두리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재는 상기 기능성부재의 높이와 같거나 상기 기능성부재의 높이보다 높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기성시트는, 섬유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부재는 상기 패널부재 상에 목공본드, 실리콘, 에폭시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접착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재는, 목재, 플라스틱 부재, 철부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패턴부재의 테두리에는 플렌지가 후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구의 외장 판넬에 기능성부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을 안치하고 있기 때문에, 새 가구에서 방출되는 포름 알데이드향 등과 같은 유해가스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가구의 효용성 한계를 극복하여 탈취, 방충, 방습 등의 효과와 더불어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에 의한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통 숯을 슬라이딩 절단한 기능성 숯 또는 숯을 함유하는 기능성 천연재를 기능성부재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실내의 습도 및 온도유지는 물론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 외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이 안치되는 가구의 외장판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의 패턴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2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20)은, 가구의 외장판넬(10)에 안치되는 장식판넬로서, 상기 외장판넬(10)의 외표면에 안치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안치홈(110)에 패널부재(210)가 안치되며, 상기 패널부재(210) 상에 기능성부재(220)가 부착되고, 상기 기능성부재(220) 상에 상기 기능성부재(220)의 효능이 외부로 통풍되도록 통기성시트(230)가 부착되며, 상기 통기성시트(230) 상에 장식무늬홀(241)이 형성된 패턴부재(240)가 부착된다.
한편, 가구 등에 사용되는 판넬은 중밀도 섬유판(MDF: Medium Density Fiber board), 고밀도 섬유판(HDF: High Density Fiber board), 파티클보드(PB: Particle Board), 합판(Plywood) 등과 같은 가공목재, 또는 원목으로 제작된다.
상기 가구의 외장판넬(10)의 외표면에는, 패널부재(210), 기능성부재(220), 통기성시트(230), 패턴부재(240)가 구비되는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이 안치될 수 있도록, 본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의 두께만큼의 깊이로 안치홈(10)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가구의 외장판넬(10)의 두께가 18mm일 경우에, 안치홈(10)은 10~14mm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치홈(10)에 안치되는 본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은, 12~14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후술하는 패널부재(210)와 테두리부재(211)는 7~8mm, 기능성부재(220)는 3~4mm, 패턴부재(240)는 2~3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부재(210)는, 목재, 플라스틱 부재, 철부재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부재(210)의 테두리에는 테두리부재(211)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기능성부재(220)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기능성부재(220)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테두리부재(211)는 상기 기능성부재(220)의 높이와 같거나 상기 기능성부재(220)의 높이보다 높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성부재(220)는, 패널부재(210) 상에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제는, 목공본드, 실리콘, 에폭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패널부재(210) 상에 상기 기능성부재(230)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로서, 목공본드, 실리콘, 에폭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아크릴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SBR(Styrene- Butadiene Rubber)수지, EVA(Ethylene Vinyl Acetate)수지, SIS(Styrene Isoprene Styrene)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사각형상의 기능성부재(220)가 복수 개로 배치되는 것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사각형상 이외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기능성부재(220)는, 통 숯을 슬라이딩 절단한 기능성 숯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부재(220)는, 기능성 천연재 100중량부에 산화마그네슘 10~50중량부, 석고 5~10중량부 및 3~20무게% 농도의 젤라틴 수용액10~100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압축성형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기능성 천연재는 숯, 황토 및 옥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 혼합물은 숯을 사용할 경우 분말 형태(80mesh 이하의 크기)와 직경이 50mesh~3mm인 입상의 형태를 1:0.1~1 중량비의 형태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입상의 숯이 콘크리트의 지갈, 모래와 같은 역할을 하여 기능성부재의 공극율을 높이고 강도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며, 상기 숯의 종류로는 참나무숯, 활성탄 등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나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숯의 경우 대기 중의 습도에 따라 숯에 포함된 수분의 정도의 크기가 매우 크게 되는 데, 본 발명에서는 숯의 습도가 10% 내외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숯의 습도가 10%보다 높다면 추가되는 젤라틴 수용액의 배합을 조금 줄이고 10%보다 낮다면 젤라틴 수용액의 배합을 늘려 적절히 수분함량을 적절히 조절하도록 한다.
여기서, 산화마그네슘(MgO)과 석고(CaSO4)는 기능성 천연재의 경화를 위한 것으로서, 산화마그네슘은 일반적으로 염화마그네슘과 반응하여 경화가 이루어지지만 염화마그네슘을 이용하는 경우 다량의 염화마그네슘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제조된 기능성부재(220)의 표면에 염화물에 의한 백화현상이 발생되어 외관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염화마그네슘을 대체하여 석고를 이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석고는 물과 결합하여 강도를 발현할 뿐만 아니라, 주성분인 칼슘이 산화마그네슘과 작용하여 시멘트화함으로써, 장기적으로 강도를 증대시키고 내수성을 가짐으로써 본 발명에 가장 적합한 물질인 것이다.
이때, 상기 각 물질의 배합비를 살펴보면, 기능성 천연재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기능성 천연재 100중량부에 산화마그네슘 10~50중량부, 석고 5~10중량부 및 3~20무게% 농도의 젤라틴 수용액 10~10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바, 상기 산화마그네슘이 10중량부 미만이 되면 산화마그네슘이 소량이 되어 기능성 부재(220)의 강도발현이 용이하지 못하고 50중량부를 초과하더라도 더 이상의 강도 증진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석고가 5중량부 미만이 되면 산화마그네슘과의 반응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더라도 더 이상의 강도증진 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젤라틴 수용액은 3~20무게% 농도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젤라틴 수용액의 농도가 3무게% 미만이 되면 젤라틴의 효과를 내기 위해 과량의 젤라틴 수용액이 필요로 되고 20무게%를 초과하면 물의 량이 부족하여 석고와의 작용이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능성 혼합물은 분말 또는 입상의 형태 각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두 가지 형태의 것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상기 기능성 부재(220)는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것은 물론 탈취 및 흡습 기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기능성 부재(220)는 상기와 같이 되는 혼합물을 압축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는 모든 형태로의 가공이 가능하다.
상기 통기성시트(230)는, 섬유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상기 기능성부재(220) 상에 부착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통기성시트(230)는 패널부재(210)의 테두리부재(211)에 타카 등과 같은 체결수단이나, 또는 접착제와 같은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접착된다.
상기 패턴부재(240)는 상기 통기성시트(230) 상에 부착되고, 그 상면에서 하면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장식무늬홀(241)이 형성되어있다. 이때, 장식무늬홀(241)의 형상은 사용자가 원하는 다 양한 형상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재(240)는, 목재, 플라스틱 부재, 철부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턴부재(240)의 재질이 목재인 경우 목재의 섬유질 조직 사이로 미세한 기공조직이 잘 발달되어 있어 숱한 숨구멍이 많이 분포되어 있고, 이러한 숨구멍을 통하여 스며든 숯을 포함하는 기능성부재(230)는 부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숯의 기운이 외부로 잘 뻗고 또 냄새를 잘 빨아들일 수 있으며,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충분히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패턴부재(240)의 재질이 철재인 경우에도 기능성부재(230)의 부착성은 다소 떨어지지만 숯 성분의 외부 방출이나 냄새를 빨아들이는 측면,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효과는 위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패턴부재(240)가 목재, 플라스틱 부재, 철부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소정의 그림이 디자인된 섬유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시트 등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에 의하면, 복수 개의 장식무늬홀(2410)이 형성된 패턴부재(240)를 통하여 고품위의 패턴을 형성하여 멋스러움을 더할 수 있고, 숯과 같은 기능성부재(220)를 사용하여 건강과 최상의 고급스러움을 표현한 품격있는 가구를 제조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가구가 배치된 실내에 화려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20)이 안치되는 가구의 외장판넬(1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20)이 안치되는 가구의 외장판넬(10)은, 안치홈(110)이 그 상면에서 하면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외장판넬(10)의 외표면에 형성된 안치홈(110)은 상기 외장판넬(10)에 상기 패널부재(210)가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공(111)이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공(111)의 후면, 즉 상기 외장판넬(10)의 내표면 측에는 차단판(112)이 형성된다. 이때, 차단판(112) 상에 본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이 부착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의 패턴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의 패턴부재(240)는, 그 상면에서 하면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장식무늬홀(241)이 형성되어 있고, 그 테두리에 플렌지(242)가 후면방향으로 형성되어있다.
이때, 플렌지(242)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패널부재(210)의 테두리부재(211)의 외측을 감싸거나, 또는 상기 테두리부재(211)를 대신하여 상기 기능성부재(22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렌지(242)는 그 높이가 상기 기능성부재(220)의 높이와 같거나 상기 기능성부재(220)의 높이보다 높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숯을 포함하는 기능성 부재(220)가 가구의 외장판넬(10)에 장착되는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에서 예시한 가구의 외장판넬(10) 이외에 침대, 신발장, 주방용 가구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구의 내부 선반에 소정의 홈을 형성하여, 상기 기능성 부재(220)를 안치시킨 다음, 그 위에 망사천이나 소정의 문양이 형성된 패턴부재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하면, 가구의 외장 판넬에 기능성부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을 안치하고 있기 때문에, 새 가구에서 방출되는 포름 알데이드향 등과 같은 유해가스를 제거할 수 있고, 나아가 기존 가구의 효용성 한계를 극복하여 탈취, 방충, 방습 등의 효과와 더불어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에 의한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에 의하면, 통 숯을 슬라이딩 절단한 기능성 숯 또는 숯을 함유하는 기능성 천연재를 기능성부재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실내의 습도 및 온도유지는 물론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가구의 외장판넬(10)에 안치되는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20)에 있어서,
    상기 외장판넬(10)의 외표면에 안치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안치홈(110)에 패널부재(210)가 안치되며, 상기 패널부재(210) 상에 기능성부재(220)가 부착되고, 상기 기능성부재(220) 상에 상기 기능성부재(220)의 효능이 외부로 통풍되도록 통기성시트(230)가 부착되며, 상기 통기성시트(230) 상에 장식무늬홀(241)이 형성된 패턴부재(240)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홈(110)은 상기 외장판넬(10)에 상기 패널부재(210)가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1)의 상기 외장판넬(10)의 내표면 측에는 차단판(1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부재(220)는, 통 숯을 슬라이딩 절단한 기능성 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부재(220)는, 기능성 천연재 100중량부에 산화마그네슘 10~50중량부, 석고 5~10중량부 및 3~20무게% 농도의 젤라틴 수용액10~100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압축성형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기능성 천연재는 숯, 황토 및 옥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210)의 테두리에는 테두리부재(2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재(211)는 상기 기능성부재(220)의 높이와 같거나 상기 기능성부재(220)의 높이보다 높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시트(230)는, 섬유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부재(230)는 상기 패널부재(210) 상에 목공본드, 실리콘, 에폭시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접착되는,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재(240)는, 목재, 플라스틱 부재, 철부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재(240)의 테두리에는 플렌지(242)가 후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
KR1020100034741A 2010-04-15 2010-04-15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 KR201101153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741A KR20110115309A (ko) 2010-04-15 2010-04-15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741A KR20110115309A (ko) 2010-04-15 2010-04-15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309A true KR20110115309A (ko) 2011-10-21

Family

ID=45029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741A KR20110115309A (ko) 2010-04-15 2010-04-15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53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0931A (ko) * 2012-01-06 2013-07-16 강석철 황토블록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황토침대
KR102123865B1 (ko) * 2019-10-16 2020-06-18 주식회사 다다 싱크대용 도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0931A (ko) * 2012-01-06 2013-07-16 강석철 황토블록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황토침대
KR102123865B1 (ko) * 2019-10-16 2020-06-18 주식회사 다다 싱크대용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66193B1 (ja) 塗り壁材組成物
KR100667371B1 (ko) 기능성 숯 보드 적층체의 제조방법
KR100701566B1 (ko) 마감패널
KR20110115309A (ko)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
CN102777007A (zh) 茶末复合装饰板
JP5037029B2 (ja) 板状建材
JP2019504816A (ja) 機能性イメージタ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202866235U (zh) 碳化木质人造板复合地板
KR100913542B1 (ko) 섬유장판
TW531584B (en) A material for improving living environment; building material, laying material, and spraying agent thereof
KR20060070742A (ko) 황토 숯 보드의 제조 방법
JP3707691B2 (ja) 建築用,家具用等の機能性パネル材の構造
CN204510714U (zh) 一种新型木质地板
KR200466442Y1 (ko) 황토 부재
CN105239747A (zh) 一种具有吸附有害气体功能的天花板及其制备方法
JP2010236341A (ja) 杉間伐材に珪藻土内在の木製パネル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
KR200418067Y1 (ko) 기능성 지류
CN206011317U (zh) 一种无甲醛可净化空气家具
KR20070114526A (ko) 건축물용 벽 구조물
WO2005110744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functional charcoal board laminate
JP2003306994A (ja) 建築用パネル
JP4163820B2 (ja) 床下構造
KR101187169B1 (ko) 황토 부재 및 그 제조방법
WO2005110742A1 (en) Air drain of wood-charcoal-different material composite for humanbody-favored building material
KR20150048524A (ko) 벌크형 싱크대 상판용 복합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