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954B1 - 물 유입 차단 및 단열 구조를 가진 해안용 슬라이딩 창호 - Google Patents

물 유입 차단 및 단열 구조를 가진 해안용 슬라이딩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954B1
KR102439954B1 KR1020210120172A KR20210120172A KR102439954B1 KR 102439954 B1 KR102439954 B1 KR 102439954B1 KR 1020210120172 A KR1020210120172 A KR 1020210120172A KR 20210120172 A KR20210120172 A KR 20210120172A KR 102439954 B1 KR102439954 B1 KR 102439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water
window
in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은정
장순철
Original Assignee
강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은정 filed Critical 강은정
Priority to KR1020210120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9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4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specially adapted for sliding doors 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유입 차단 및 단열 구조를 가진 해안용 슬라이딩 창호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단식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창호의 실외측과 실내측 창틀프레임의 경계부분 구조에 착탈식 월류차단부를 구비하여 비바람이 물턱 또는 레일과 부딪치거나 풍압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월류하여 창틀과 창짝 프레임 사이 틈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다단으로 차단하면서 노출된 창틀 프레임에 대한 단열 성능도 개선시키는 해안용 슬라이딩 창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실외측 창틀부(11)와 실내측 창틀부(12)로 이루어지되 물 유입 차단을 위해 실내측 창틀부가 높게 단차진 구조를 가지는 창틀 프레임(1)과; 상기 창틀 프레임에 설치되어 좌우 슬라이딩 되는 실외측 창짝 프레임(21)과 실내측 창짝 프레임(22)으로 이루어지는 창짝 프레임(2)과; 상기 창틀 프레임의 실내측 창틀부 전단에 설치되어 실외측에서 유입되는 물의 월류를 다중 차단하면서 노출된 창틀 프레임에 대한 단열을 제공하는 착탈식 월류차단부(3);를 포함하는 물 유입 차단 및 단열 구조를 가진 해안용 슬라이딩 창호를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 유입 차단 및 단열 구조를 가진 해안용 슬라이딩 창호{Sliding window for coastal having water inflow blocking and insul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물 유입 차단 및 단열 구조를 가진 해안용 슬라이딩 창호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비바람이 강한 해안가 등에 위치한 아파트, 가옥 또는 기타 건물에 설치된 슬라이딩 창호로 유입되는 물을 효과적으로 다단 차단하면서도 단열 성능을 증대시킨 구조를 가진 슬라이딩 창호에 관한 것이다.
창호는 창과 문을 말하는 것으로 실내와 실외를 격리시켜 바람을 막으면서 실내로 채광이 잘 들게 하거나 실내의 환기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그 구조는 기본적으로 골격을 이루는 창틀(또는 문틀) 프레임과 창틀 프레임에 고정 또는 작동되도록 장착되는 창짝(또는 문짝)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창호는 개폐 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 방식이 있는데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인 창호로는 창틀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창짝이 좌우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창호가 있다.
슬라이딩 창호의 시공방법은 보통 창틀 프레임을 발코니 또는 건물 외벽에 먼저 시공하고, 이후 시공된 창틀 프레임에 유리가 설치된 창짝 프레임을 끼워 넣어 설치한다.
상기한 슬라이딩 창호의 구조는 단창 또는 이중창에 상관 없이 보통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레일이 형성된 창틀 프레임에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창짝 프레임이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소재는 보통 알루미늄 또는 피브이씨 소재로 이루어져 진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슬라이딩 창호일 경우 창틀에 형성된 레일들과, 레일과 레일 사이에 위치한 창틀 프레임의 수평면이 대부분 동일한 높이와 단차를 가지고 있어서, 해안가 등에 위치한 아파트, 가옥 또는 기타 건물에서 설치된 슬라이딩 창호일 경우 유입되는 빗물을 차단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슬라이딩 창호중 실내측 창짝 프레임이 실외측 창짝 프레임보다 높게 형성하여 단차를 가진 계단식으로 구성하여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슬라이딩 창호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계단식 구조를 가진 슬라이딩 창호는 실외측과 실내측 창틀 프레임의 경계부분 구조가 단순하게 높이만 차이가 나는 단차를 가진 단순 구조여서 유입되는 빗물이 실내측 창틀프레임에 부딪친 후 경계부 구조를 넘어 실내쪽으로 넘어올 수 있다는 구조적 단점이 여전히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구조는 실외측과 실내측 프레임이 단차를 가지거나 물턱이 구비되어도 비바람이 몰아칠 경우 유입된 빗물의 수위가 단차진 구조나 물턱 또는 레일보다 높지 않더라도 단차진 프레임 또는 물턱 또는 레일과 직접 부딪치면서 또는 풍압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물이 상승하여 창틀과 창짝 프레임 사이 틈을 통해 유입되는 단점을 차단할 수 없다는 구조적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구조는 슬라이딩 창 구조상 특히, 단창 구조의 슬라이딩 창호일 경우 닫힌 상태에서는 실외측보다 실내측이 높게 단차가 진 구조라 할지라도 높이가 높은 실내측 창틀 프레임이 직접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비바람이 몰아칠 경우 또는 풍압에 의해 손쉽게 수직방향으로 흐르면서 실내측 창틀 프레임을 월류하여 유입된다는 점과 외기와 접하는 실내측 창틀 프레임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단열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는 구조적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 계단식 구조를 가진 슬라이딩 창호의 실외측과 실내측 창틀프레임의 경계부분 구조가 단차가 형성됨으로써 실내측 창틀 프레임 부분이 실외 공기와 접하는 면적이 커져 겨울철과 같이 실내외 실외간의 온도차가 클 경우 열교환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창짝 프레임을 통한 단열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는 구조적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계단식 구조를 가진 슬라이딩 창호는 실내쪽에서 먼 실외쪽 창짝프레임이 큰 구조를 가질 수 밖에 없어 실내측 창틀 프레임을 통과해 설치하기가 어렵다는 또 다른 시공상의 구조적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2168197(2020.10.14.등록)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2020686(2019.09.04.등록)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896771(2018.09.03.등록)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575007(2015.12.01.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계단식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창호의 실외측과 실내측 창틀프레임의 경계부분 구조에 착탈식 월류차단부를 구비하여 비바람이 물턱 또는 레일과 부딪치거나 풍압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월류하여 창틀과 창짝 프레임 사이 틈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다단으로 차단하면서 노출된 창틀 프레임에 대한 단열 성능도 개선시키는 해안용 슬라이딩 창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계단식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창호의 실내측에 빗물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착탈식 물턱을 구비하여 물 유입을 방지하면서 창호 설치가 용이한 구조를 가진 해안용 슬라이딩 창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실외측 창틀부와 실내측 창틀부로 이루어지되 물 유입 차단을 위해 실내측 창틀부가 높게 단차진 구조를 가지는 창틀 프레임과;
상기 창틀 프레임에 설치되어 좌우 슬라이딩 되는 실외측 창짝 프레임과 실내측 창짝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창짝 프레임과;
상기 창틀 프레임의 실내측 창틀부 전단에 설치되어 실외측에서 유입되는 물의 월류를 다중 차단하면서 노출된 창틀 프레임에 대한 단열을 제공하는 착탈식 월류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유입 차단 및 단열 구조를 가진 해안용 슬라이딩 창호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창틀 프레임은 실외측 창틀부와 실내측 창틀부 간을 물턱이 형성된 단열바로 연결되고, 상기 물턱에는 일측면 이상에 모헤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창틀 프레임은 레일의 전단 또는 후단에 물턱이 형성되되, 실외측 창틀부에서는 레일의 전단에 경사 구조의 유체방해돌기가 형성된 물턱이 설치되고, 실내측 창틀부에서는 레일의 전단에 경사 구조의 유체방해돌기가 형성된 물턱이 설치되고 레일의 후단에 경사구조의 유체방해턱과 상단 모헤어부가 형성된 물턱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실내측 창틀부의 레일의 후단에 설치된 물턱 상단에는 착탈식 물턱이 체결되어 구성되되, 착탈식 물턱은 하부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실외측 방향으로는 사선 가공된 유체방해턱이 형성되며, 상단에는 모헤어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착탈식 월류차단부는 유입되는 물이 상승하지 못하게 흐름을 가이드 하여 되돌아 나가게 이루어진 유체 가이드부와;
유체 가이드부 상부에 형성되어 틈새를 통한 물 또는 먼지의 유입을 차단하는 가스켓부와;
유체 가이드부의 후방에 형성되어 실내측 창틀부와 체결되면서 단열을 제공하는 단열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유체 가이드부는 물을 수용하면서 되돌아 나가도록 하단가이드와 수직가이드 사이의 모서리가 경사가이드로 구성되고, 수직가이드에서 상부 끝단에서 실외측으로 돌출된 상단가이드의 끝단에는 다시 하부로 돌출된 차수부가 형성되어 물의 월류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단열체결부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실내측 창틀부의 전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삽입홈과 측면 결합 및 전방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착탈식 월류차단부는 합성 단열소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슬라이딩 창호는 단창 구조의 슬라이딩 창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해안용 슬라이딩 창호는 계단식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창호의 실외측과 실내측 창틀프레임의 경계부분 프레임 구조에 착탈식 월류차단부를 구비함으로써 비바람이 강한 해안가 등에 위치한 아파트, 가옥 또는 기타 건물에 설치된 슬라이딩 창호에 강한 비바람이나 풍압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월류하여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물을 다단으로 차단하면서도 노출된 창틀 프레임에 대한 단열 성능도 함께 개선시켰다는 효과와,
또한 계단식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창호의 실내측에 빗물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착탈식 물턱을 구비하여 물 유입을 방지하면서도 실외측 창짝 프레임의 설치가 용이한 구조를 가진다는 효과를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해안용 슬라이딩 창호의 실내측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 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 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월류차단부를 보인 상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물턱을 구비한 해안용 슬라이딩 창호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해안용 슬라이딩 창호의 물 유입 차단 흐름과 단열 구조를 보인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수직방향 또는 수평 방향이라는 것은 창호가 건물에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창호의 상하방향을 수직방향이라 하고, 창호의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을 수평 방향이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실외측 또는 실내측이라는 것은 창호가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측단면도일 경우는 좌측이 실외측이고 우측이 실내측이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창호에 사용되는 재료는 알루미늄 소재와 피브이씨 소재로 설명하지만 금속소재가 알루미늄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라 다른 금속소재도 사용될 수 있고, 합성수지 소재가 피브이씨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열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합성수지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해안용 슬라이딩 창호의 실내측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 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 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월류차단부를 보인 상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물턱을 구비한 해안용 슬라이딩 창호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해안용 슬라이딩 창호의 배수흐름 및 단열 구조를 보인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해안용 슬라이딩 창호는, 실외측 창틀부(11)와 실내측 창틀부(12)로 이루어지되 물 유입 차단을 위해 실내측 창틀부가 높게 단차진 구조를 가지는 창틀 프레임(1)과;
상기 창틀 프레임에 설치되어 좌우 슬라이딩 되는 실외측 창짝 프레임(21)과 실내측 창짝 프레임(22)으로 이루어지되,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창짝 프레임(2)과;
상기 창틀 프레임의 실내측 창틀부 전단에 설치되어 실외측에서 유입되는 물의 월류를 다중 차단하면서 노출된 창틀 프레임에 대한 단열을 제공하는 착탈식 월류차단부(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창짝 프레임(2)은 창틀 프레임에 설치되어 직접 슬라이딩 되거나 마찰을 줄이거나 주행력을 높이기 위해 롤러(23)가 설치되어 좌우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창짝 프레임(2)은 창틀 프레임(1)의 실내측 창틀부(12) 단차가 높게 형성되는 구조상 실외측 창짝 프레임(21) 보다 실내측 창짝 프레임(22)이 작은 크기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창짝 프레임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부에는 유리(24);가 끼워진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해안용 슬라이딩 창호는 단창 구조의 슬라이딩 창호로 도시되었지만 이중창 구조의 슬라이딩 창호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실외측 창틀부와 실내측 창틀부를 각각 2개의 레일이 형성된 창틀프레임으로 구성하고 각 창틀부에 좌우 슬라이딩되는 한쌍의 창짝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이중창 구조의 슬라이딩 창호로 구성하면 된다. 이때 실외측 창틀부에 설치된 한쌍의 창짝 프레임과 실내측 창틀부에 설치된 한쌍의 창짝 프레임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진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은 중간 창틀 프레임으로 구획되어 각 공간마다 한쌍으로 이루어진 창짝 프레임이 설치되는 이중 중중연창 구조의 슬라이딩 창호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단창 구조의 슬라이딩 창호로 구성되어 닫힌 상태에서 실외측 창틀부(11) 보다 높은 실내측 실내측 창틀부(12)에 직접 부딪치는 비바람에 의한 물의 수직방향 월류를 통한 유입을 차단하는데 더욱 효과적인 구조이다.
상기 착탈식 월류차단부(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프레임의 수평 및 수직 프레임 시공 구조에 모두 적용된다. 다만 이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유입되는 물이 쉽게 고여 월류할 수 있는 구조 즉, 수평 방향으로 시공된 창틀 프레임의 하단부 위주로 설명한다.
창틀 프레임(1)은 압출된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할 수 있는데, 금속재로 구성시는 금속재를 통한 열전도에 의한 열손실을 방지하여 단열 성능을 높이기 위해 실외측 창틀부(11)와 실내측 창틀부(12) 간을 상부에 물턱(131)이 형성된 단열바(13)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단열바(13)는 강성, 단열 성능 및 내후성이 좋은 폴리아미드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와 같은 물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공지의 합성수지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상관없다.
또한 단열바(13)와 이웃하는 금속재 실외측 창틀부(11)와 실내측 창틀부(12) 간에 도브테일 또는 끼움 구조로 형성하면 된다. 이와 같이 구조가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일체화되고 임의의 지점에서 피스 또는 볼트 결합되어 일체화 됨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단열바(13)의 상단에 형성된 물턱(131)에는 상부 실외측 또는 실내측 중 적어도 일측면 이상에 모헤어부(132)가 형성되어 공기의 유입 또는 물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창틀 프레임(1)은 상부로 돌출된 레일(100)의 전단 또는 후단에 물턱(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턱(14)은 실외측 창틀부(11)에서는 레일(100)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실외측면에 유체방해돌기(141)가 형성될 수 있다. 유체방해돌기(141)는 기류 또는 물의 유입을 방해하는 구성으로 복수개의 돌기가 실외측에서 실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압출된 구조로 구성된다.
유체방해돌기(141)는 기류가 유입될 경우는 내측 하부 공간으로 유입된 기류가 하부방향으로 유입되어 나가면서 인접한 기류와 속도 차이로 인한 와류가 발생되어 기류의 흐름을 다단으로 방해하면서 지체되도록 하여 기류의 유입을 방해한다. 이와 같은 유체방해돌기는 우천 시보다는 평상시 먼지의 유입이나 공기 흐름에 의한 단열을 높이는데 적당하다, 물론 비바람이 휘몰아칠 때에도 동일한 작용을 함은 물론이다. 또한 유체방해돌기(141)는 창짝 프레임 하부에 형성된 모헤어부와 함께 설치될 수 있어서 창짝과 창틀 틈새를 통한 기류의 흐름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물과 같은 액체가 유입할 경우는 물턱(14) 따라 바람 등에 의해 또는 물턱과의 부딪히면서 충돌하면서 물턱을 넘을 수 있는데, 복수개의 돌기로 구성된 유체방해돌기(141)에 의해 물의 상승을 다단으로 차단하여 자중에 의해 사선방향을 따라 흐르다가 흘러내리게 되고, 동시에 이와 같은 물에 의해 유입되는 물을 함께 떨어뜨리는 역할 즉, 건물의 처마에서 떨어지는 물과 같은 역할을 제공하게 된다. 이로 인해 우천 시 물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창짝 프레임 하부에 형성된 모헤어부와 함께 설치될 수 있어서 창짝과 창틀 틈새를 통한 물의 유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물턱(14)은 실내측 창틀부(12)에서는 상부로 돌출된 레일(100)의 전단에 형성된 물턱(14)에는 유체방해돌기(141)가 형성되고 후단에 형성된 물턱(14)에는 유체방해턱(142)과 모헤어부(143)가 형성된다.
상기 유체방해턱(142)은 주로 실내측 창틀부(12)의 제일 후단에 형성되어 물의 유입을 최종적으로 차단하는 구성으로 유체방해돌기(141)에 형성된 돌기보다 길게 사선으로 돌출되어 기류 또는 물과 같은 액체의 유입을 막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실내측 창틀부(12)의 유체방해턱(142)이 형성된 물턱(14)의 상단에는 모헤어부(143)가 설치되어 창짝 프레임과 접촉하여 물의 유입을 차단하게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측 창틀부(12)의 제일 후단에 형성된 물턱(14)의 상단과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 다단 물 차단 구조를 제공하는 착탈식 물턱(15)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착탈식 물턱(15)은 그 하단에 위치한 물턱(14)이 실외측 창짝 프레임(21)과 실내측 창짝 프레임(22)의 설치시 크기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걸림 문제 때문에 원하는 만큼 높이를 크게 형성하여 물 유입 차단 작용을 극대화할 수 없다는 구조적 단점을 해결한 구성이다. 따라서 착탈식 물턱(15)은 모든 실외측 창짝 프레임(21)과 실내측 창짝 프레임(22)을 설치한 후 추가적으로 장착하면 물 유입 차단 작용을 극대화하게 된다.
착탈식 물턱(15)의 구조는 하부에는 체결홈(151)이 형성되어 하부에 위치한 물턱(14)의 상단 모헤어부(143)와 체결되고, 실외측 방향으로는 사선 가공된 유체방해턱(152)이 형성되어 유체의 유입을 방지하고, 상단에는 모헤어부(153)가 설치되어 창짝 프레임과 접촉하여 물의 유입을 차단하게 구성된다.
착탈식 월류차단부(3)는 유입되는 물이 상승하지 못하게 흐름을 가이드 하여 되돌아 나가게 이루어진 유체 가이드부(31)와;
유체 가이드부(31) 상부에 형성되어 틈새를 통한 물 또는 먼지의 유입을 차단하는 가스켓부(32)와;
유체 가이드부(31)의 후방에 형성되어 실내측 창틀부(12)와 체결되면서 단열을 제공하는 단열체결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체 가이드부(31)는 물을 수용하면서 되돌아 나가도록 물이 초기 유도되는 하단가이드(31a)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유입된 물의 상부 방향 이동을 수용하여 물의 자중에 의해 낙하하도록 상승력을 흡수시키게 형성된 수직가이드(31b) 사이의 모서리가 물의 흐름 방향을 변경시키는 경사가이드(31c)로 구성되고, 수직가이드(31b)에서 상부 끝단에서 실외측으로 돌출되어 상부방향 이동을 차단시키면서 자중에 의해 낙하시키도록 형성된 상단가이드(31d)의 끝단에는 다시 하부로 돌출된 차수부(31e)가 형성되어 최종적으로 물의 월류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단가이드는 하부에 위치하는 창틀 프레임(1)에 대한 단열제공 면적을 크게 하면서 유입되는 물 흐름을 안정적으로 경사가이드로 유도하도록 상단가이드 보다 길게 형성하는게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유체 가이드부가 구성됨으로써 창틀 프레임(1)의 실외측 창틀부(12) 보다 높은 단차를 가지는 실내측 창틀부(12)와 그 상부에 위치한 창짝 프레임(2)의 실내측 창짝 프레임(22) 사이 틈새를 통한 물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가스켓부(32)는 삽입홈(32a)과 여기에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유입되는 물, 먼지, 외기의 유입을 다단 차단하는 탄성력을 가지는 합성수지재 가스켓(32b)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유체 가이드부(31)의 차수부(31e)에 직접 부딪쳐 일부 물이 유입될 경우 또는 직접 공간부를 통해 물이 유입될 경우 다중 구조로 이루어진 가스켓(32b)에 의해 유입이 차단되게 된다.
가스켓의 소재는 탄성력을 가지면서 내구성 및 내후성을 가진 공지의 합성수지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된다.
이로 인해 창틀 프레임(1)의 실외측 창틀부(12) 보다 높은 단차를 가지는 실내측 창틀부(12)와 그 상부에 위치한 창짝 프레임(2)의 실내측 창짝 프레임(22) 사이 틈새를 통한 물의 유입을 추가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상기 단열체결부(33)는 걸림홈(33a)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측면 결합 및 전방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데, 삽입 부피를 크게 형성하여 창틀 프레임(1)에 대한 단열제공 면적을 크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실외측 공기가 높게 단차진 실내측 창틀부(12)와 접촉하는 부분에 대한 열전도를 차단시켜 창호의 단열 성능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착탈식 월류차단부(3)의 소재는 합성 단열소재로 구성되는데 강성, 단열 성능 및 내후성이 좋은 폴리아미드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와 같은 물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공지의 합성수지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상관없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착탈식 월류차단부(3)의 설치를 위해 실내측 창틀부(12)의 전단부에 걸림턱(121a)이 형성된 삽입홈(121)이 형성되어 착탈식 월류차단부(3)가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실내측 창틀부(12)의 레일(100) 전단에 설치된 유체방해돌기(141)가 형성된 레일물턱(14)의 하단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물 유입 차단 효과를 극대화하게 된다.
착탈식 월류차단부(3)의 설치방법은 실내측 창틀부(12)의 측방향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원류차단부의 탄성 정도에 따라 전방을 통해 삽입될 수도 있다. 전방으로 삽입될 경우는 시공시 설치의 편리성이 증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해안용 슬라이딩 창호의 물 유입 차단 흐름과 단열 구조를 보인 확대도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열바(13)에 물턱(131)이 형성되지 않은 일반적인 형태로 설명하지만 물턱(131)이 형성되어도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됨은 물론이다.
외부에서 유입되는 빗물은 창틀 프레임(1)의 실외측 창틀부(11)에서 실내측 창틀부(12)로 유입되다가 실내측 창틀부(12)의 전단에 설치된 착탈식 월류차단부(3)를 만나면서 착탈식 월류차단부(3)를 구성하는 유체 가이드부(31)에 의해 물을 수용하면서 되돌아 나가게 된다.
유체 가이드부(31)에서의 물 흐름은 하단가이드(31a)를 따라 유입되는 물이 경사가이드(31c)에서 흐름방향이 반전되어 되돌아가거나 일부 수직가이드(31b)를 통해 상부방향으로 유입되는 물은 실외측으로 돌출된 상단가이드(31d)의 끝단에서 하부로 돌출된 차수부(31e)에 막혀 하부로 낙하하게 되어 월류가 차단되게 된다.
또한 유체 가이드부(31)의 차수부(31e)에 직접 부딪쳐 일부 물이 틈새 쪽으로 유입될 경우 또는 직접 공간부를 통해 물이 유입될 경우 다중 구조로 이루어진 가스켓(32b)에 의해 유입이 차단되게 된다.
또한 이를 통과 할 경우의 레일(100)의 전단 또는 후단에 물턱(14)과 물턱에 형성된 경사 구조를 가진 유체방해돌기(141)에 의해 실외측에서 실내측 방향으로 의 물 유입이 차단되게 된다.
한편, 내측 창틀부(12)의 전단부에 형성된 삽입홈(121)와 체결하고 있는 착탈식 월류차단부(3)의 단열체결부(33)는 항시 실외측 공기가 실내측 창틀부(12)와 접촉하는 부분에 대한 열전도를 차단시켜 창호의 단열 성능을 높이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창틀 프레임 (2) : 창짝 프레임
(3) : 착탈식 월류차단부 (11) : 실외측 창틀부
(12) : 실내측 창틀부 (13) : 단열바
(14) : 물턱 (15) : 착탈식 물턱
(21) : 실외측 창짝 프레임 (22) : 실내측 창짝 프레임
(23) : 롤러 (24) : 유리
(31) : 유체 가이드부 (31a) : 하단가이드
(31b) : 수직가이드 (31c) : 경사가이드
(31d) : 상단가이드 (31e) : 차수부
(32) : 가스켓부 (32a) : 삽입홈
(32b) : 가스켓 (33) : 단열체결부
(33a) : 걸림홈 (100) : 레일
(121) : 삽입홈 (121a) : 걸림턱
(131) : 물턱 (132) : 모헤어부
(141) : 유체방해돌기 (142) : 유체방해턱
(143) : 모헤어부 (151) : 체결홈
(152) : 유체방해턱 (153) : 모헤어부

Claims (9)

  1. 실외측 창틀부(11)와 실내측 창틀부(12)로 이루어지는 단창 구조의 슬라이딩 창호에 있어서,
    물 유입 차단을 위해 실외측 창틀부(11) 보다 실내측 창틀부(12)가 높게 단차진 구조를 가지고, 착탈식 월류차단부(3)의 설치를 위해 실내측 창틀부(12)의 레일(100) 전단에 설치된 유체방해돌기(141)가 형성된 레일물턱(14)의 하단부 위치에 걸림턱(121a)이 형성된 삽입홈(121)이 형성된 금속재 창틀 프레임(1)과;
    상기 창틀 프레임에 설치되어 좌우 슬라이딩 되는 실외측 창짝 프레임(21)과 실내측 창짝 프레임(22)으로 이루어지되, 실내측 창짝 프레임(22)이 실외측 창짝 프레임(21)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게 형성된 창짝 프레임(2)과;
    상기 창틀 프레임의 실내측 창틀부 전단에 설치되어 실외측에서 유입되는 물의 월류를 다중 차단하면서 노출된 창틀 프레임에 대한 단열을 제공하는 합성 단열소재의 착탈식 월류차단부(3);를 포함하되,
    상기 창틀 프레임(1)은 실외측 창틀부(11)와 실내측 창틀부(12) 간을 물턱(131)이 형성된 단열바(13)로 연결되고, 상기 물턱(131)에는 일측면 이상에 모헤어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착탈식 월류차단부(3)는 유입되는 물이 상승하지 못하게 흐름을 가이드 하여 되돌아 나가게 이루어진 유체 가이드부(31)와; 유체 가이드부(31) 상부에 형성되어 틈새를 통한 물 또는 먼지의 유입을 차단하는 가스켓부(32)와; 유체 가이드부(31)의 후방에 형성되어 실내측 창틀부(12)와 체결되면서 단열을 제공하는 단열체결부(33);를 포함하되,
    상기 유체 가이드부(31)는 물을 수용하면서 되돌아 나가도록 하단가이드(31a)와 수직가이드(31b) 사이의 모서리가 경사가이드(31c)로 구성되고, 수직가이드(31b)에서 상부 끝단에서 실외측으로 돌출된 상단가이드(31d)의 끝단에는 다시 하부로 돌출된 차수부(31e)가 형성되어 물의 월류를 차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단가이드(31a)는 창틀 프레임(1)에 대한 단열제공 면적을 크게 하면서 유입되는 물 흐름을 안정적으로 경사가이드(31c)로 유도하도록 상단가이드(31d) 보다 길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유입 차단 및 단열 구조를 가진 해안용 슬라이딩 창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창틀 프레임(1)은 레일(100)의 전단 또는 후단에 물턱(14)이 형성되되, 실외측 창틀부(11)에서는 레일(100)의 전단에 경사 구조의 유체방해돌기(141)가 형성된 물턱(14)이 설치되고, 실내측 창틀부(12)에서는 레일(100)의 전단에 경사 구조의 유체방해돌기(141)가 형성된 물턱(14)이 설치되고 레일(100)의 후단에 경사구조의 유체방해턱(142)과 상단 모헤어부(143)가 형성된 물턱(1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유입 차단 및 단열 구조를 가진 해안용 슬라이딩 창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창틀부(12)의 레일(100)의 후단에 설치된 물턱(14) 상단에는 착탈식 물턱(15)이 체결되어 구성되되, 착탈식 물턱(15)은 하부에는 체결홈(151)이 형성되고 실외측 방향으로는 사선 가공된 유체방해턱(152)이 형성되며, 상단에는 모헤어부(15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유입 차단 및 단열 구조를 가진 해안용 슬라이딩 창호.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체결부(33)는 걸림홈(33a)이 형성되어 실내측 창틀부(12)의 전단부에 걸림턱(121a)이 형성된 삽입홈(121)과 측면 결합 및 전방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유입 차단 및 단열 구조를 가진 해안용 슬라이딩 창호.
  8. 삭제
  9. 삭제
KR1020210120172A 2021-09-09 2021-09-09 물 유입 차단 및 단열 구조를 가진 해안용 슬라이딩 창호 KR102439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172A KR102439954B1 (ko) 2021-09-09 2021-09-09 물 유입 차단 및 단열 구조를 가진 해안용 슬라이딩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172A KR102439954B1 (ko) 2021-09-09 2021-09-09 물 유입 차단 및 단열 구조를 가진 해안용 슬라이딩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9954B1 true KR102439954B1 (ko) 2022-09-02

Family

ID=83281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172A KR102439954B1 (ko) 2021-09-09 2021-09-09 물 유입 차단 및 단열 구조를 가진 해안용 슬라이딩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95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606B1 (ko) * 2012-05-22 2013-03-19 (주)하이산업 물막이를 구비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KR101559318B1 (ko) * 2015-08-07 2015-10-13 전진우 풍지 구조를 갖는 레일 및 이를 구비한 미서기창
KR101575007B1 (ko) 2013-12-30 2015-12-07 주식회사 케이씨씨 담수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용 창틀
KR101896771B1 (ko) 2016-09-22 2018-09-07 (주)엘지하우시스 수밀 최적화 구조가 적용된 입면 분할 창호
KR102020686B1 (ko) 2014-10-06 2019-09-10 (주)엘지하우시스 물 유입 차단을 위한 창틀프레임
KR102168197B1 (ko) 2017-06-29 2020-10-20 (주)엘지하우시스 해안용 발코니 이중창
KR102199168B1 (ko) * 2020-11-12 2021-01-06 김태희 우수 차단 부재 및 이를 포함한 창호 프레임
KR102277890B1 (ko) * 2020-11-12 2021-07-15 한빛건설 주식회사 기밀성 및 수밀성과 방충기능을 갖는 단열 창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606B1 (ko) * 2012-05-22 2013-03-19 (주)하이산업 물막이를 구비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KR101575007B1 (ko) 2013-12-30 2015-12-07 주식회사 케이씨씨 담수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용 창틀
KR102020686B1 (ko) 2014-10-06 2019-09-10 (주)엘지하우시스 물 유입 차단을 위한 창틀프레임
KR101559318B1 (ko) * 2015-08-07 2015-10-13 전진우 풍지 구조를 갖는 레일 및 이를 구비한 미서기창
KR101896771B1 (ko) 2016-09-22 2018-09-07 (주)엘지하우시스 수밀 최적화 구조가 적용된 입면 분할 창호
KR102168197B1 (ko) 2017-06-29 2020-10-20 (주)엘지하우시스 해안용 발코니 이중창
KR102199168B1 (ko) * 2020-11-12 2021-01-06 김태희 우수 차단 부재 및 이를 포함한 창호 프레임
KR102277890B1 (ko) * 2020-11-12 2021-07-15 한빛건설 주식회사 기밀성 및 수밀성과 방충기능을 갖는 단열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9369B2 (en) Door threshold water return systems
CA2780995C (en) Watertight patio door assembly
KR102020686B1 (ko) 물 유입 차단을 위한 창틀프레임
KR200449143Y1 (ko) 단열성 및 기밀성이 향상된 미닫이 창호
KR102277890B1 (ko) 기밀성 및 수밀성과 방충기능을 갖는 단열 창호
KR101929705B1 (ko) 방수효과가 향상된 창틀
US20170183896A1 (en) Drain track devices, assemblies and systems
KR101717570B1 (ko) 창틀 프레임 구조체
KR101467319B1 (ko) 빗물유입방지 미서기 창호
KR102439954B1 (ko) 물 유입 차단 및 단열 구조를 가진 해안용 슬라이딩 창호
KR102075380B1 (ko) 창호 시스템
KR20230114049A (ko) 단열기능을 갖는 해수 및 빗물유입방지용 미서기창호
KR102032838B1 (ko) 블라인드 일체형 창호
KR100844550B1 (ko) 창문프레임의 보조프레임
KR200419514Y1 (ko) 이중 창호
KR101793476B1 (ko) 단열성과 기밀성이 우수한 창호
US10968682B2 (en) Reversible door frame threshold, and door system including same
KR200314547Y1 (ko) 단열 및 기밀성이 우수한 고강도 합성수지제 창호
KR102034572B1 (ko) 슬라이딩 개폐방식의 창호가 설치된 문틀의 원활한 배수 및 외풍방지를 위한 조립구조
JP4600157B2 (ja) サッシの排水具
KR101499085B1 (ko)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창호시스템
KR102172592B1 (ko) 중연창의 중간바 배수구조
KR100996270B1 (ko) 창틀의 상,하부 프레임 구조
KR102215247B1 (ko) 이중 창호 시스템
KR100710403B1 (ko) 플랫 새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