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8197B1 - 해안용 발코니 이중창 - Google Patents

해안용 발코니 이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8197B1
KR102168197B1 KR1020170082215A KR20170082215A KR102168197B1 KR 102168197 B1 KR102168197 B1 KR 102168197B1 KR 1020170082215 A KR1020170082215 A KR 1020170082215A KR 20170082215 A KR20170082215 A KR 20170082215A KR 102168197 B1 KR102168197 B1 KR 102168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rails
outdoor
rail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986A (ko
Inventor
김차남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70082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8197B1/ko
Publication of KR20190001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52Frames;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8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water or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 E05Y2900/15Balcony gl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의 맨 실외측에 구비된 레일을 실내측에 구비된 나머지 레일에 비해 낮게 형성하고 상기 나머지 레일은 동일한 높이로 형성해줌으로써, 창호 시공 시 실내측에서 실내측 창짝 및 실외측 창짝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한 해안용 발코니 이중창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진 실내측 창짝(210)과 실외측 창짝(220)이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의 레일(110)이 구비되는 창틀프레임(100);을 포함하되,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맨 실외측에 구비된 레일(114)은 실내측에 구비된 나머지 레일(111 ~ 113)에 비해 낮게 형성되고, 상기 나머지 레일(111 ~ 113)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Description

해안용 발코니 이중창{Balcony window}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틀프레임의 내주면을 실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함과 아울러 실외측의 레일 높이를 낮춰줌으로써, 레일 사이에 물이 고이지 않고 원활한 배수가 가능하도록 한 해안용 발코니 이중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안용 발코니 이중창은 고풍압용 스틸 보강재가 삽입되어 강한 바람에도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확보한 것으로, 비바람이 강한 해안지역이나 고층아파트에 적합하다.
또한 해안용 발코니 이중창은 창틀프레임의 실외측에 구비된 방충망 레일의 높이를 낮게 형성해줌으로써 창호 레일 사이에 빗물이나 결로수(이하, '물'이라 함)가 고이지 않고 바로 배수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실내로 물이 넘치거나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기존의 해안용 발코니 이중창은 레일이 실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계단형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계단식 프레임을 갖는 발코니 창호에 대하여 종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53445호(공고일: 2006.12.06) 등으로 선 출원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발코니 창호는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실내측 창짝과 실외측 창짝의 사이즈가 달라 시공 시 어려움이 있다.
즉 각각 한 쌍의 실내측 창짝과 실외측 창짝이 결합되는 창틀프레임은 실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계단식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실외측 창짝이 실내측 창짝에 비해 사이즈가 크다. 다시 말해 창틀프레임의 실내측에서 실외측 창짝을 레일에 결합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실외측 창짝의 경우 별도의 스카이 장비를 이용하여 창틀프레임의 실외측에서 한 쌍의 실외측 창짝을 순차적으로 결합하는 방식으로 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실외측 창짝 결합 방식은 고층일수록 시공이 어려우며,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창틀프레임의 맨 실외측에 구비된 레일을 실내측에 구비된 나머지 레일에 비해 낮게 형성하고 상기 나머지 레일은 동일한 높이로 형성해줌으로써, 창호 시공 시 건축물의 실내측에서 실내측 창짝 및 실외측 창짝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한 해안용 발코니 이중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창틀프레임의 내주면을 실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해줌으로써 자연배수가 가능하도록 한 해안용 발코니 이중창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해안용 발코니 이중창은,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진 실내측 창짝과 실외측 창짝이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의 레일이 구비되는 창틀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창틀프레임의 맨 실외측에 구비된 레일은 실내측에 구비된 나머지 레일에 비해 낮게 형성되고, 상기 나머지 레일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의 맨 실외측에 구비된 레일을 실내측에 구비된 나머지 레일에 비해 낮게 형성하고 상기 나머지 레일은 동일한 높이로 형성해줌으로써, 창호 시공 시 실내측에서 실내측 창짝 및 실외측 창짝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레일이 구비된 창틀프레임의 내주면을 실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해줌으로써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안용 발코니 이중창의 실내측 입면도,
도 2는 도 1의 I-I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틀프레임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코니 이중창의 배수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안용 발코니 이중창의 실내측 입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틀프레임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해안용 발코니 이중창(1)은,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진 실내측 창짝(210)과 실외측 창짝(220)이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의 레일(110)이 구비되는 창틀프레임(100)을 포함하되,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맨 실외측에 구비된 레일(114)은 실내측에 구비된 나머지 레일(111 ~ 113)에 비해 낮게 형성되고, 상기 나머지 레일(111 ~ 113)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보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창틀프레임(100)의 하부 내주면은 자연배수가 용이하도록 실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101)(도 3 참조)이 구비된다.
아울러 실외측 레일(114)이 형성된 창틀프레임(100)의 내주면은 하향 단턱(103)지게 형성된 계단식 구조가 적용되어 소정의 담수공간(S)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실외측 창짝(220) 중 맨 외측의 실외측 창짝(220a)은 하향 단턱(103)지게 형성된 실외측 레일(114)에 결합된다. 실외측 레일(114)은 나머지 레일(111 ~ 113)에 비해 높이가 낮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담수공간(S)에 물이 가득 차더라도 실내측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복수의 레일(110)에는 유입된 물이 자연 배수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공(미도시)이 관통 형성된다.
한편, 상기 실외측 레일(114)에 결합되는 실외측 창짝(220a)은 나머지 창짝에 비해 사이즈가 크다. 즉 실외측 레일(114)이 나머지 레일(111 ~ 113)에 비해 낮게 형성됨에 따라, 그만큼 실외측 창짝(220a)의 사이즈가 나머지 실외측 창짝(220b) 및 실내측 창짝(210)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
이 경우 나머지 레일(111 ~ 113)은 높이가 모두 동일하며, 이에 따라 상기 레일(111 ~ 11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짝(210, 220b) 역시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된다.
따라서, 창틀프레임(100)에 복수의 창짝을 결합하는 작업을 건축물의 실내측에서 모두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이즈가 제일 큰 맨 실외측 창짝(220a)을 제일 먼저 결합하고, 그 이후로 사이즈가 동일한 나머지 실외측 창짝(220b)과 한 쌍의 실내측 창짝(220)을 순차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만약 한 쌍의 실외측 레일(113, 114)이 모두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경우라면 실내측에서 한 쌍의 실외측 창짝(220a, 220b)을 모두 결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즉 배경 기술에서 문제점으로 언급한 바와 같이 맨 실외측 창짝(220a)의 결합은 가능하나, 나머지 실외측 창짝(220b)은 실외측 레일(113, 114)에 비해 높게 형성된 실내측 레일(111, 112)에 걸리게 됨으로써 실외측 레일(113)에 끼움 결합 자체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복수의 레일(110) 중에서 맨 실외측 레일(114)만 낮게 형성해줌으로써, 실내측에서 복수의 레일(110)에 실내,외측 창짝(210, 220)을 모두 끼움 결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실외측에는 실외측 레일(114)에 비해 낮게 형성되는 방충망 레일(115)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실외측 레일(114)과 방충망 레일(115) 사이의 공간에 고인 물이 넘치더라도 실내측으로 유입되지 않고 실외측으로 배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실내측 창짝(210)과 실외측 창짝(220)이 결합되는 레일(112, 113) 사이의 내주면에는 양측 공간을 구획해주는 물막이턱(117)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물막이턱(117)은 나머지 레일(111 ~ 113)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물막이턱(117)에 의해 실내측 레일(111, 112)과 실외측 레일(113, 114) 사이에 고인 물이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창호 시공 후 사용자의 보행 시 물막이턱(117)에 발이 걸리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해안용 발코니 이중창(1)은, 창틀프레임(100)의 맨 실외측에 구비된 레일(114)을 실내측에 구비된 나머지 레일(111 ~ 113)에 비해 낮게 형성하고 상기 나머지 레일(111 ~ 113)은 동일한 높이로 형성해줌으로써, 창호 시공 시 실내측 창짝(210) 및 실외측 창짝(220)을 모두 실내측에서 결합할 수 있다.
아울러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복수의 레일(110)이 구비된 창틀프레임(100)의 내주면을 실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해줌으로써 실외측으로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해안용 발코니 이중창 100 : 창틀프레임
103 : 단턱 110 : 레일
115 : 방충망 레일 117 : 물막이턱
210 : 실내측 창짝 220 : 실외측 창짝
S : 담수공간

Claims (7)

  1.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진 실내측 창짝(210)과 실외측 창짝(220)이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의 레일(110)이 구비되는 창틀프레임(100);을 포함하되,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실외측 한쪽에 구비된 레일(114)의 상측 끝단은 상기 실외측 다른 한쪽에 구비된 레일(113)과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실내측 한쪽 및 다른 한쪽에 구비된 레일(112)(113)의 상측 끝단에 비해 낮게 형성되고, 상기 레일(111 ~ 113)은 상측 끝단이 서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실외측 한쪽 및 다른 한쪽에 구비된 레일(113)(114)이 위치한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한쪽 내주면은 상기 실내측 한쪽 및 다른 한쪽에 구비된 레일(111)(112)이 위치한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다른 한쪽 내주면에 비해 하향 단턱(103)지면서 담수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한쪽 내주면과 다른 한쪽 내주면 모두는 배수가 용이하도록 실외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경사면(101)으로 형성되며,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다른 한쪽 내주면 상에는 상기 실외측 다른 한쪽에 구비된 레일(113)과 상기 실내측 한쪽에 구비된 레일(112) 사이에서 돌출 형성되어 양측으로 공간을 구획해주는 물막이턱(117)이 형성되되, 상기 물막이턱(117)의 상측 끝단은 상기 레일(111 ~ 113)의 상측 끝단의 높이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레일(111 ~ 114) 및 상기 물막이턱(117)에는 실내측으로 유입된 물이 자연 배수에 의해 실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공이 각각 관통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해안용 발코니 이중창.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실외측에는,
    상기 레일(114)에 비해 낮게 형성된 방충망 레일(115);을 더 포함하는 해안용 발코니 이중창.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082215A 2017-06-29 2017-06-29 해안용 발코니 이중창 KR102168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215A KR102168197B1 (ko) 2017-06-29 2017-06-29 해안용 발코니 이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215A KR102168197B1 (ko) 2017-06-29 2017-06-29 해안용 발코니 이중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986A KR20190001986A (ko) 2019-01-08
KR102168197B1 true KR102168197B1 (ko) 2020-10-20

Family

ID=65021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215A KR102168197B1 (ko) 2017-06-29 2017-06-29 해안용 발코니 이중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81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954B1 (ko) 2021-09-09 2022-09-02 강은정 물 유입 차단 및 단열 구조를 가진 해안용 슬라이딩 창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800B1 (ko) * 2013-05-21 2015-05-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시스템 창호
KR102020686B1 (ko) * 2014-10-06 2019-09-10 (주)엘지하우시스 물 유입 차단을 위한 창틀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954B1 (ko) 2021-09-09 2022-09-02 강은정 물 유입 차단 및 단열 구조를 가진 해안용 슬라이딩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986A (ko) 201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6924B2 (en) Structure for blocking heat transfer through thermal bridge of curtain wall building
US8898973B2 (en) Building cavity ventilation system
KR102020686B1 (ko) 물 유입 차단을 위한 창틀프레임
KR101242606B1 (ko) 물막이를 구비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KR101896771B1 (ko) 수밀 최적화 구조가 적용된 입면 분할 창호
KR102168197B1 (ko) 해안용 발코니 이중창
KR102199168B1 (ko) 우수 차단 부재 및 이를 포함한 창호 프레임
TWI507595B (zh) 鋁門窗
CN204827066U (zh) 带防盗防蚊蝇金刚网的平开门窗
TW201730422A (zh) 具有滴水溝槽之無框玻璃門或窗配置
KR100758844B1 (ko) 창 및 그 창틀구조
CN104563830A (zh) 一种中置遮阳一体化双层玻璃窗
CN205713839U (zh) 一种铝合金窗排水孔结构
KR101234273B1 (ko) 문짝프레임 구조
KR20230114049A (ko) 단열기능을 갖는 해수 및 빗물유입방지용 미서기창호
CN204511253U (zh) 一种中置遮阳一体化双层玻璃窗
CN204343947U (zh) 一种住宅窗户的遮阳卷帘
KR101352686B1 (ko) 내부 덧창 부착이 가능한 시스템 창호
KR100919284B1 (ko) 창틀배수장치를 이용한 창틀시공방법
JP2016148207A (ja) サッシ
CN215213210U (zh) 一种节能外开窗排水结构
JP2002194955A (ja) 屋外用バリアフリーサッシの高水密装置(掃除構造)
KR101603047B1 (ko) 공동주택의 외부 난간을 이용한 레일식 차양 덧문 시스템
JP6918034B2 (ja) 建具
KR101203940B1 (ko) 빗물 배수구조가 형성된 창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