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964B1 - 다기능 창호용 프로파일 - Google Patents

다기능 창호용 프로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964B1
KR101876964B1 KR1020160124086A KR20160124086A KR101876964B1 KR 101876964 B1 KR101876964 B1 KR 101876964B1 KR 1020160124086 A KR1020160124086 A KR 1020160124086A KR 20160124086 A KR20160124086 A KR 20160124086A KR 101876964 B1 KR101876964 B1 KR 101876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rotrusion
main body
fixing
fix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4054A (ko
Inventor
최원섭
Original Assignee
(주)명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가 filed Critical (주)명가
Priority to KR1020160124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964B1/ko
Publication of KR20180034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0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창호용 프로파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에 노출되는 프로파일 측면에 장착 돌기를 형성하여 방충망을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게 하거나, 빗물 등이 실내 유입을 차단하게 하고, 외부 마감 몰딩을 끼워서 고정할 수 있게 하며, 때에 따라 빗물 유도판을 끼워서 빗물이 외벽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서 아래로 낙하하게 하여 다시 빗물의 실내 유입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창호용 프로파일{PROFILE FOR WINDOWS AND DOORS}
본 발명은 다기능 창호용 프로파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에 노출되는 프로파일 측면에 장착 돌기를 형성하여 방충망을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게 하거나, 빗물 등이 실내 유입을 차단하게 하고, 외부 마감 몰딩을 끼워서 고정할 수 있게 하며, 때에 따라 빗물 유도판을 끼워서 빗물이 외벽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서 아래로 낙하하게 하여 다시 빗물의 실내 유입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Windows and Doors)는 이용자가 드나들 수 있게 하거나 때에 따라 환기 등을 목적으로 건축물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에 시공하여 건물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창이나 문을 말한다. 창호는 재질에 따라 목제 창호, 금속제 창호 그리고 합성수지 창호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창호는,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기능과 성능을 얻을 수 있게 제작한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81511호
프로파일 내에 프리프레그(Prepreg) 재질의 보강재를 삽입 제작함에 따라 창호 제품의 경량화 및 단열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프리프레그 보강재가 구비된 창호용 프로파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성은, 압출 성형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공간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프리프레그 재질의 보강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창호 제작용 프로파일 내에 프리프레그 재질의 보강재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제작함에 따라 제품의 경량화 및 단열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중 창호에 프리프레그 재질 및 금속재질의 보강재를 선택적으로 혼합적용해줌으로써 단열성 및 내풍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569494호
창호용 프로파일에 관한 것으로, 외기와 접촉하는 제1프레임과, 건물의 내기와 접촉하는 제2프레임 사이에 단열부재가 마련되어 제1 및 제2프레임 사이의 열전달을 차단하므로 내기와 외기의 온도차이에 의해 창호 내측의 프레임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열 부재에는 기밀유지 부재가 설치되어 있어 도어와 제1 및 제2프레임 사이에 외기가 유입되는 공간을 폐쇄하므로 외기가 건물 내부로 유입되어 내부의 열손실이 생기는 것이 방지되어 건축물의 에너지 절약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04133호
방향 창호용 프로파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창호용 프로파일의 제조시 향기가 지속적으로 장기간 발산되도록 프로파일 압출 전의 원료에 파우더 형태의 향료를 배합한 목분-향료 복합체를 포함시켜서 방향을 부여함으로써 향기가 발산되도록 구현한 방향 창호용 프로파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편, 이러한 창호는 최근 들어 PVC 재질로 제작하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창호는 미리 정한 단면 형상을 가진 프로파일을 길이 부재 형태로 제작한 다음, 원하는 길이만큼 잘라서 창호를 제작한다. 이때, 프로파일은 창호 크기에 알맞은 길이로 자르고, 이웃한 끝을 융착하거나 체결하여 통상 격자 형태로 조립하여 창호 프레임을 제작한다.
하지만, 이처럼 제작한 창호 프레임은 통상 건축물의 개구부에 시공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개구부와 창호 프레임 사이로 빗물 등이 실내로 들어와서 누수가 발생할 우려가 크므로 누수 방지를 위한 구성이 필요하다.
(2) 통상 창호 프레임은 실외 측에 방충망을 설치하는 데, 이때 창호 프레임을 난간 등에 설치할 때 창호 프레임을 난간에 너무 가깝게 시공하면 방충망 프레임을 장착할 수 있는 공간 확보가 어렵다.
(3) 이에, 창호 프레임이나 난간을 뜯어낸 다음 다시 시공해야 하므로 그만큼 비용과 시공시간이 늘어난다.
(4) 빗물과 같은 유체는 창호 프레임과 유리 표면을 따라 흐르는 데, 이때 그 틈새로 빗물이 스며들 염려가 있고, 특히 물 끊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이처럼 표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 등이 연결 틈새나 시공 틈새 등을 통해 실내로 들어올 우려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81511호 (공개일 : 2015.07.15) 한국등록특허 제1569494호 (등록일 : 2015.11.10)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04133호 (공개일 : 2016.01.12)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실외 측에 노출되는 프로파일의 측면에 장착 돌기를 돌출 성형하고, 이 장착 돌기로 방충망을 설치할 때 설치 공간을 확보하게 하거나, 프로파일 표면을 따라서 흐르는 빗물 등이 장착 돌기를 따라 흐르게 유도하여 프로파일의 바깥면에서 미리 정한 간격만큼 떨어지게 유도하여 물 끊기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하며, 때에 따라 샌드위치 패널 등과 같은 외부 마감 몰딩을 끼워서 고정하는 고정구 등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다기능 창호용 프로 파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착 돌기와 더불어 거치 부분을 추가하여 이들 장착 돌기와 거치 부분에 빗물 유도판을 끼워서 장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본체 외부의 측면을 통해 흘러내리는 빗물이 이 빗물 유도판을 통해 본체에서 떨어진 곳으로 안내를 받아 흘러내리게 하여 물 끊기 효과와 누수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다기능 창호용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창호용 프로파일은, 한쪽 면에 적어도 하나의 창짝 프레임(F)과 방충망 프레임(S)을 설치하는 가이드(110, 110')와 구조적 강성을 높일 수 있게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공간(150)을 갖춘 본체(100)를 포함하는 창호용 프로파일에서, 상기 본체(100)는 가이드(110')와 이웃한 측면에 방충망 프레임(S)보다 바깥으로 돌출하게 전체 길이에 걸쳐 장착 돌기(120)를 형성하되;, 상기 장착 돌기(120)는 그 가장자리가 가이드(110)를 형성하지 않은 면 쪽으로 꺾이게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110')와 이웃한 측면과 장착 돌기(120) 사이에는 이 측면과 가이드(110') 사이에 예각을 이루도록 격벽(121)을 형성하여, 방충망의 장착 공간을 확보하거나, 물 끊기를 하게 하거나 외부 마감 몰딩(M')을 끼워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장착 돌기(120)는, 본체(100)와 마주하는 면의 가장자리를 뾰족하면서 걸릴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는 건축물의 개구부와 접하는 바닥면과 상기 장착 돌기(120)를 형성한 측면의 가장자리를 본체(100) 안으로 들어가게 형성하여 거치 부분(130)을 형성하고;, 상기 거치 부분(130)은 본체(100)의 측면에서 바깥으로 연장 돌출한 제1지지 돌기(131), 본체(100) 바닥면의 가장자리에서 연장 돌출한 제2지지 돌기(132), 그리고 이 제2지지 돌기(132)와 미리 정한 간격만큼 떨어지게 거치 부분(130)에 돌출한 고정 돌기(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지지 돌기(132)와 고정 돌기(133) 사이에 끼워지면서 이 고정 돌기(133)에 강제로 걸리도록 한쪽 가장자리에 제1고정 부분(141)을 형성하고, 다른 한쪽 가장자리는 미리 정한 폭으로 꺾여서 빗물이 타고 내릴 수 있게 플랜지(142)를 형성하며, 상기 제1고정 부분(141)과 플랜지(142) 사이에 형성하여 상기 장착 돌기(120)에 걸리는 제2고정 부분(143)을 갖춘 제1빗물 유도판(140)을 더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 돌기(132)와 고정 돌기(133) 사이에 끼워지면서 이 고정 돌기(133)에 강제로 걸리도록 한쪽 가장자리에 제1고정 부분(141)을 형성하고, 다른 한쪽 가장자리는 미리 정한 폭으로 꺾여서 빗물이 타고 내릴 수 있게 플랜지(142)를 형성하며, 상기 제1고정 부분(141)과 플랜지(142) 사이에 위치하도록 플랜지(142)가 돌출되지 않은 면에 형성하여 상기 장착 돌기(120)에 걸리는 제3고정 부분(143')을 갖춘 제2빗물 유도판(140')을 더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본체(100)는, 실내 측의 측면에 내부 마감 몰딩(M)을 끼워서 고정할 수 있게 삽입 홈(16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창호용 프로파일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로 제작한 창호 프레임을 난간 등이 설치된 개구부에 장착하더라도 프로파일 측면에 형성한 장착 돌기가 항상 난간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하여 그 사이에 방충망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게 한다. 이에, 별도로 방충망 설치를 위한 공간 확보를 하지 않더라도 누구든지 쉽고 신속하게 방충망을 시공할 수 있어 편리하다.
(2) 장착 돌기가 프로파일의 측면에서 바깥으로 돌출하게 형성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로 제작한 창호 프레임은 실외 측에 노출된 측면이나 유리 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빗물과 같은 유체가 이 장착 돌기를 따라 흘러내린다. 이는, 이 장착 돌기가 물 끊기 기능을 수행하고, 특히 프로파일(창호 프레임)의 측면에서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지게 하여 물 끊기 기능을 수행하므로 빗물 등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여 물 끊기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3) 장착 돌기에 샌드위치 패널과 같은 외부 마감 몰딩을 끼워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쉽고 신속하게 마감 작업을 할 수 있다. 특히, 별도의 공구가 고정 수단이 없이 외부 마감 몰딩을 장착 돌기에 끼워서 시공할 수 있으므로 쉽고 편리하고 시공 작업을 할 수 있다.
(4) 장착 돌기를 형성한 한쪽 가장자리에 거치 부분을 형성하고, 이 장착 돌기와 거치 부분 사이에 빗물 유도판을 실외에서 직접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창호 프레임(프로파일)의 측면을 따라 내려온 빗물 등을 창호 프레임에서 먼 곳으로 흘러내리게 하여 누수 방지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5) 게다가, 장착 돌기에서 빗물이 타고 넘어서 창호 프레임으로 넘어오더라도 다시 이 거치 부분에서 물 끊기 작용을 하므로, 물 끊기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6) 기존 빗물 유도판은 본체 내측에 삽입하는 구조이나, 본 발명의 빗물 유도판은 외부에서 바로 삽입할 수 있어 손쉽게 설치할 수 있고, 때에 따라 실외에서 빗물 유도판을 분리할 수 있다. 게다가, 외부 마감이 끝난 뒤에도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유도판은 언제든지 유지 보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프로파일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프로파일의 전체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b)는 프로파일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프로파일로 제작한 창호 프레임 중에서 상부 프레임으로 사용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프로파일로 제작한 창호 프레임 중에서 하부 프레임으로 사용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프로파일로 제작한 창호 프레임 중에서 하부 프레임에 외부 마감 몰딩을 장착하는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프로파일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프로파일로 제작한 창호 프레임 중에서 하부 프레임으로 사용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제1빗물 유도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제1빗물 유도판을 창호 프레임 중에서 상부 프레임으로 사용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제2빗물 유도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제2빗물 유도판을 창호 프레임 중에서 하부 프레임으로 사용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프로파일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창호용 프로파일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창짝 프레임(F)과 방충망 프레임(S)을 설치하는 가이드(110, 110')와 구조적 강성을 보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간(150)을 갖춘 본체(100)에 장착 돌기(120)를 추가하여 구성한 것이다.
특히, 장착 돌기(120)는 실외에 장착하는 방범창이나 난간 등에 닿게 설치하더라도 이 장착 돌기(120)로 둘러싸인 공간에 방충망(S)을 설치할 수 있게 하거나, 본체(100)에서 흐르는 빗물 등이 본체(100) 측면에서 떨어져서 실외로 내려가게 하여 물 끊기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하거나, 이 장착 돌기(120)와 본체(100) 사이에 외부 마감 몰딩(M')을 끼워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0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한쪽 면에 가이드(110, 110')를 형성한다. 이때, 어느 하나의 가이드(110)는 창짝 프레임(F)을 여닫을 수 있게 안내하는 것이고, 다른 가이드(110')는 방충망 프레임(S)을 장착할 때 사용한다. 이때 창짝 프레임(F)을 안내하는 가이드(110)는 통상 창호를 여닫을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공간(150)을 형성한다. 공간(150)은 본체(100)의 전체 중량을 줄여줄 뿐만 아니라 통상 격자 형태로 제작하여 구조적 강성을 얻을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공간(150)은 가로로 세 개를 연속해서 배치한 것을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프로파일의 단면 형상과 두께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배치 구성하여 제작할 수 있음을 해당 업계 종사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0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측면에 장착 돌기(120)를 돌출 성형한다. 이때, 측면은 방충망 프레임(S)을 설치하는 가이드(110')와 이웃한 측면을 말한다. 특히, 장착 돌기(120)는 이 측면에서 바깥으로 돌출하게 하고, 그 가장자리를 본체(100)의 다른 면, 즉 가이드(110)를 형성하지 않은 면 쪽으로 꺾이게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 돌기(12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체(100) 측면에서 미리 정한 간격(W)만큼 바깥으로 돌출하게 형성하는 데, 이 간격(W)은 창호 프레임을 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0)에 장착한 방충망 프레임(S)이 본체(100) 측면에서 바깥으로 최대한 돌출한 간격(W')보다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로 제작한 창호 프레임과 난간 등을 시공할 때, 창호 프레임과 난간을 맞닿게 시공하거나 그 사이 간격이 어느 정도 이상 되지 않으면 창호 프레임과 난간 사이에 방충망 프레임(S)을 장착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은 이처럼 창호 프레임과 난간을 설치할 때, 난간을 창호 프레임에 맞닿게 시공하더라도 장착 돌기(120)만큼의 간격(W)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이 간격(W) 부분에 방충망 프레임(S)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 돌기(120)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본체(100)와 마주하는 면의 가장자리를 뾰족하면서 걸릴 수 있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실외에 노출되므로 본체(100) 측면을 타고 내려오는 빗물 등이 이 장착 돌기(120)를 따라 흐르게 하여 본체(100)에서 어느 정도 떨어진 곳에서 아래로 떨어지게 하여 물 끊기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장착 돌기(120)는 가장자리를 뾰족하게 형성하므로, 이처럼 흘러내리는 빗물 등이 이 뾰족한 부분을 통해 아래로 떨어지게 하여 물 끊기 효과를 높이면서도 후술할 빗물 유도판을 장착할 때 걸림 돌기 역할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 돌기(120)는, [도 1] 및 [도 4]와 같이, 본체(100) 측면과 장착 돌기(120) 사이에 외부 마감 몰딩(M')을 끼워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외부 마감 몰딩(M')은 강제로 본체(100)와 장착 돌기(120) 사이에 끼워지게 장착할 수도 있고, 장착 돌기(120)의 가장자리가 외부 마감 몰딩(M')을 눌러서 걸림 작용을 하게 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물론, 외부 마감 몰딩(M')에 턱 등을 형성하여 장착 돌기(120)의 걸림 부분이 걸리게 구성할 수도 있음을 해당 업계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장착 돌기(12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이 장착 돌기(120)와 가이드(110')가 인접한 측면 사이에 격벽(121)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격벽(120)은 가이드(110')와 예각을 이루게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을 [도 2]와 같이 상부 프레임으로 사용할 때, 이 측면과 격벽(120) 사이에 빗물이 고이더라도 쉽게 배출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장착 돌기(120)에는 배수 구멍을 뚫어서 빗물 등을 배출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음을 해당 업계 종사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창호 프레임에 장착한 방충망 프레임보다 더 돌출하게 하여 방충망 프레임을 장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거나, 빗물 등이 본체를 타고 흘러내리더라도 빗물이 본체에서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떨어지게 하면서 물 끊기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본체와 장착 돌기 사이에 외부 마감 몰딩을 끼워서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도 활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창호용 프로파일은, [도 5] 내지 [도 10]과 같이, 거치 부분(130)을 형성하여 장착 돌기(120)에서 1차로 물 끊기 한 다음 이 거치 부분(130)에서 2차로 물 끊기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실시예 2]는 상기 장착 돌기(120)와 거치 부분(130)에 빗물 유도판을 장착하여 빗물이 본체(100)에서 미리 정한 만큼 멀어진 곳에서 아래로 떨어지게 구성하여 쉽고 신속하게 빗물 유도판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빗물 등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거치 부분(130)을 추가하고, 여기에 빗물 유도판을 더 추가 장착한 것으로, 여기서는 이들 추가 구성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거치 부분(130)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술한 장착 돌기(120)를 형성한 본체(100) 측면과 본체(100)를 개구부에 장착할 때 이 개구부에 접하는 바닥면이 만나는 가장자리를 본체(100) 안으로 들어가게 하여 형성한다. 여기서, 개구부(Opening)는 건축물에서 창호를 시공하려고 미리 뚫어놓은 관통 부분을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거치 부분(130)은, [도 5]와 같이, 제1지지 돌기(131), 제2지지 돌기(132), 그리고 고정 돌기(133)를 포함한다.
제1지지 돌기(131)는, [도 5]와 같이, 상술한 본체(100)의 측면에서 연장하게 하여 형성한다. 이때, 제1지지 돌기(131)는 상기 장착 돌기(120)를 형성한 측면에 형성하여 [도 6]과 같이 물 끊기 효과를 얻을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제1지지 돌기(131)는 가장자리를 뾰족하게 형성하여 빗물 등이 이 뾰족한 부분을 타고 흘러내리도록 구성한다.
제2지지 돌기(132)는, [도 5]와 같이, 본체(100) 바닥면에서 연장하여 돌출 성형한다. 이때, 제2지지 돌기(132)는, [도 8] 및 [도 10]과 같이 빗물 유도판의 제1고정 부분(141)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감싸면서 빠지지 않게 지지하므로, 이 제1고정 부분(141)의 두께 정도로 돌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돌기(133)는, [도 5]와 같이, 거치 부분(130)에 돌출 성형한다. 이때, 고정 돌기(133)는 상술한 제2지지 돌기(132)와 미리 정한 간격만큼 떨어지게 돌출 성형함으로써, 이 제2지지 돌기(132)와 고정 돌기(133) 사이에 후술할 제1고정 부분(141)을 끼워서 고정 지지하게 한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 6]과 같이, 창호 프레임을 제작할 때 그 하부 프레임, 즉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0)를 개구부 위에 올려놓는 하부 프레임으로 사용할 때, 상술한 장착 돌기(120)를 통해 1차로 물 끊기를 하더라도 이 장착 돌기(120)를 넘어서 빗물이 유입될 수 있는 데, 이때 이 거치 부분(130)이 2차로 물 끊기 작용을 하여 빗물 등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거치 부분(130)은, [도 7] 내지 [도 10]과 같이, 상술한 장착 돌기(120)와 함께 제1 및 제2빗물 유도판(140, 140')을 지지 고정하게 하여 빗물의 실내 유입을 더욱 견고하게 차단하게 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빗물 유도판(140)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0)를 상부 프레임으로 제작할 때 사용하는 빗물 유도판을, 제2빗물 유도판(140')은 [도 9] 및 [도 10]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0)를 하부 프레임으로 제작할 때 사용하는 빗물 유도판을 각각 의미한다.
제1빗물 유도판(140)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한쪽 가장자리에 제1고정 부분(141)을 형성한다. 제1고정 부분(141)은 상술한 제2지지 돌기(132)와 고정 돌기(133) 사이에 끼워지고, 특히 이 고정 돌기(133)에 강제로 걸려서 거치 부분(130) 부분에서 빠지지 않게 지지 고정한다.
또한, 상기 제1빗물 유도판(140)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다른 한쪽 가장자리에 플랜지(142)를 형성한다. 플랜지(142)는 이 다른 한쪽 가장자리를 미리 정한 폭 만큼 꺾인 형태로 제작한다. 이때, 플랜지(142)는 제1빗물 유도판(140)을 따라 유도되어 흐르는 빗물이 플랜지(142)를 따라 아래로 떨어질 수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빗물 유도판(140)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제2고정 부분(143)을 구성한다. 제2고정 부분(143)은 상술한 제1고정 부분(141)과 플랜지(142)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1빗물 유도판(140)에 형성하고, 상술한 장착 돌기(120)에 걸릴 수 있게 돌기 형상으로 제작한다.
이처럼 이루어진 제1빗물 유도판(140)은, [도 8]과 같이, 제1고정 부분(141)을 거치 부분(130)에 끼워 고정하면서 누름에 따라 제2고정 부분(143)이 장착 돌기(120)에 걸려서 고정된다. 이에, 제1빗물 유도판(140)은 빗물이 본체(100) 측면에서 이 제1빗물 유도판(140)의 폭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빗물이 아래로 흘러내리게 한다.
제2빗물 유도판(140')은, [도 9] 및 [도 10]과 같이, 제1고정 부분(141), 플랜지(142), 제3고정 부분(143')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고정 부분(141)과 플랜지(142)는 상술한 제1빗물 유도판(140)에서 설명한 구성과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상기 제2빗물 유도판(140')에 형성한 제1고정 부분(141)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0)를 창호 프레임에서 상하로 마주하게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일 때 거치 부분(130)에 쉽게 장착할 수 있게 그 형상에서만 약간의 차이가 있을 뿐 그 기능은 같다.
제3고정 부분(143')은, [도 9] 및 [도 10]과 같이, 상술한 제2고정 부분(143)과 마찬가지로 상기 장착 돌기(120)에 걸려서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에, 상기 제3고정 부분(143')은 플랜지(141)가 형성되지 않은 면에 돌출 성형함으로써, [도 10]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0)로 창호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을 구성할 때 장착 돌기(120)에 걸리게 하여 제2빗물 유도판(140')을 고정하게 한다.
이처럼 이루어진 제2빗물 유도판(140')은, [도 10]과 같이, 제1고정 부분(141)을 거치 부분(130)에 끼워서 고정 돌기(133)에 걸려서 고정함과 동시에 위로 돌림에 따라 제3고정 부분(143')이 장착 돌기(120)에 걸려서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창호용 프로파일은, [도 11]과 같이, 상술한 [실시예 2]와 같은 구성이나, 삽입 홈(160)을 추가로 구성한 것이다. 이에, 여기서는 추가 구성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실시예 3]은, [도 11]과 같이, 본체(100)의 측면, 바람직하게는 실내에 노출되는 측면에 삽입 홈(160)을 형성한 것이다. 삽입 홈(160)은 창호의 실내 측에 장착하는 내부 마감 몰딩(M)에 삽입 돌기(P)를 형성하고 이 삽입 돌기(P)가 끼워지게 하여 내부 마감 몰딩(M)을 쉽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삽입 홈(160)은 입구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턱을 형성하여, 이 삽입 돌기(P)에 미리 정한 간격으로 형성한 여러 개의 돌기에 걸릴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삽입 돌기(P)를 삽입 홈(160)에 따라 돌기가 삽입 홈(160)에 형성한 턱을 타고 넘어가면서 이웃한 두 개의 돌기 사이에 턱이 걸쳐지게 하여 내부 마감 몰딩(M)을 고정하게 한 것이다.
100 : 본체
110, 110' : 가이드
120 : 장착 돌기
130 : 거치 부분
131 : 제1지지 돌기
132 : 제2지지 돌기
133 : 고정 돌기
140, 140' : 제1, 제2빗물 유도판
141 : 제1고정 부분
142 : 플랜지
143 :제2고정 부분
143' : 제3고정 부분
150 : 공간

Claims (6)

  1. 한쪽 면에 적어도 하나의 창짝 프레임(F)과 방충망 프레임(S)을 설치하는 가이드(110, 110')와 구조적 강성을 높일 수 있게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공간(150)을 갖춘 본체(100)를 포함하는 창호용 프로파일에서,
    상기 본체(100)는 가이드(110')와 이웃한 측면에 방충망 프레임(S)보다 바깥으로 돌출하게 전체 길이에 걸쳐 장착 돌기(120)를 형성하되,
    상기 장착 돌기(120)는 그 가장자리가 가이드(110)를 형성하지 않은 면 쪽으로 꺾이게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110')와 이웃한 측면과 장착 돌기(120) 사이에는 이 측면과 가이드(110') 사이에 예각을 이루도록 격벽(121)을 형성하여, 방충망의 장착 공간을 확보하거나, 물 끊기를 하게 하거나 외부 마감 몰딩(M')을 끼워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상기 본체(100)는 건축물의 개구부와 접하는 바닥면과 상기 장착 돌기(120)를 형성한 측면의 가장자리를 본체(100) 안으로 들어가게 형성하여 거치 부분(130)을 형성하고,
    상기 거치 부분(130)은 본체(100)의 측면에서 바깥으로 연장 돌출한 제1지지 돌기(131), 본체(100) 바닥면의 가장자리에서 연장 돌출한 제2지지 돌기(132), 그리고 이 제2지지 돌기(132)와 미리 정한 간격만큼 떨어지게 거치 부분(130)에 돌출한 고정 돌기(133)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지지 돌기(132)와 고정 돌기(133) 사이에 끼워지면서 이 고정 돌기(133)에 강제로 걸리도록 한쪽 가장자리에 제1고정 부분(141)을 형성하고, 다른 한쪽 가장자리는 미리 정한 폭으로 꺾여서 빗물이 타고 내릴 수 있게 플랜지(142)를 형성하며, 상기 제1고정 부분(141)과 플랜지(142) 사이에 형성하여 상기 장착 돌기(120)에 걸리는 제2고정 부분(143)을 갖춘 제1빗물 유도판(140)을 더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창호용 프로파일.
  2. 제1 항에서,
    상기 장착 돌기(120)는,
    본체(100)와 마주하는 면의 가장자리를 뾰족하면서 걸릴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창호용 프로파일.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서,
    상기 제2지지 돌기(132)와 고정 돌기(133) 사이에 끼워지면서 이 고정 돌기(133)에 강제로 걸리도록 한쪽 가장자리에 제1고정 부분(141)을 형성하고, 다른 한쪽 가장자리는 미리 정한 폭으로 꺾여서 빗물이 타고 내릴 수 있게 플랜지(142)를 형성하며, 상기 제1고정 부분(141)과 플랜지(142) 사이에 위치하도록 플랜지(142)가 돌출되지 않은 면에 형성하여 상기 장착 돌기(120)에 걸리는 제3고정 부분(143')을 갖춘 제2빗물 유도판(140')을 더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창호용 프로파일.
  6. 제1 항에서,
    상기 본체(100)는,
    실내 측의 측면에 내부 마감 몰딩(M)을 끼워서 고정할 수 있게 삽입 홈(16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창호용 프로파일.
KR1020160124086A 2016-09-27 2016-09-27 다기능 창호용 프로파일 KR101876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086A KR101876964B1 (ko) 2016-09-27 2016-09-27 다기능 창호용 프로파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086A KR101876964B1 (ko) 2016-09-27 2016-09-27 다기능 창호용 프로파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054A KR20180034054A (ko) 2018-04-04
KR101876964B1 true KR101876964B1 (ko) 2018-07-10

Family

ID=61975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086A KR101876964B1 (ko) 2016-09-27 2016-09-27 다기능 창호용 프로파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696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0469A (ja) * 1994-12-20 1996-07-02 Toyoda Gosei Co Ltd 建物の窓廻りシール装置
KR200312140Y1 (ko) * 2003-01-22 2003-05-09 (주)무영종합건축사사무소 알루미늄 창의 물막이 및 물끊기용 창대 설치구조
KR200423294Y1 (ko) * 2006-05-15 2006-08-04 김영철 창틀 마감재 고정 구조
KR20060116286A (ko) * 2005-05-09 2006-11-15 박무상 폭 조절기능을 갖는 누수 방지 프레임
KR20120119600A (ko) * 2011-04-22 2012-10-31 우정희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발코니창호 및 그 시공방법
KR101392469B1 (ko) * 2012-04-05 2014-05-07 (주)두린 누수 방지용 창호
KR101473150B1 (ko) * 2014-04-11 2014-12-15 (주)엘지하우시스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JP2015190264A (ja) * 2014-03-28 2015-11-02 株式会社Lixil サッシ窓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0469A (ja) * 1994-12-20 1996-07-02 Toyoda Gosei Co Ltd 建物の窓廻りシール装置
KR200312140Y1 (ko) * 2003-01-22 2003-05-09 (주)무영종합건축사사무소 알루미늄 창의 물막이 및 물끊기용 창대 설치구조
KR20060116286A (ko) * 2005-05-09 2006-11-15 박무상 폭 조절기능을 갖는 누수 방지 프레임
KR200423294Y1 (ko) * 2006-05-15 2006-08-04 김영철 창틀 마감재 고정 구조
KR20120119600A (ko) * 2011-04-22 2012-10-31 우정희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발코니창호 및 그 시공방법
KR101392469B1 (ko) * 2012-04-05 2014-05-07 (주)두린 누수 방지용 창호
JP2015190264A (ja) * 2014-03-28 2015-11-02 株式会社Lixil サッシ窓
KR101473150B1 (ko) * 2014-04-11 2014-12-15 (주)엘지하우시스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1996000170469 A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054A (ko) 201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3964B1 (ko) 커튼월 이중 외피 시스템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CA2880531C (en) Window/door system with flat track having "c"-shaped roller supports
KR102060165B1 (ko) 유리난간대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1872970B1 (ko) 창호 프레임 구조
KR102347829B1 (ko) 커튼월 프로젝트창 단열구조체
KR101876964B1 (ko) 다기능 창호용 프로파일
JP5290736B2 (ja) 建具
KR102075380B1 (ko) 창호 시스템
KR102464446B1 (ko) 창호 일체형 물받이부를 구비한 창틀 유닛
KR101694490B1 (ko) 단열 및 방풍성이 향상된 창호
KR200417783Y1 (ko) 발코니 확장용 창호 구조물
JP4600157B2 (ja) サッシの排水具
KR101586427B1 (ko) 단열 효과를 극대화한 친환경 커튼월
KR20130061831A (ko) 배수홀캡을 구비한 고층용 미서기 시스템 창호
KR102034572B1 (ko) 슬라이딩 개폐방식의 창호가 설치된 문틀의 원활한 배수 및 외풍방지를 위한 조립구조
KR200492022Y1 (ko) 슬라이딩 문짝용 수직패널 구조
KR102102443B1 (ko)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
JP2017095909A (ja) 片引き窓
JP6756589B2 (ja) 断熱枠部材及び建具
KR20170069311A (ko) 단열미서기창이 일체로 설치된 단열커튼월
KR102629333B1 (ko) 기밀성능이 구비된 방재 창호 구조
JP3896545B2 (ja) 建築用形材
KR100759196B1 (ko) 발코니 확장용 창호 구조물
JP6918034B2 (ja) 建具
KR100493897B1 (ko) 무레일형 창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