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1443B1 - 창문 - Google Patents

창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1443B1
KR100951443B1 KR1020090071199A KR20090071199A KR100951443B1 KR 100951443 B1 KR100951443 B1 KR 100951443B1 KR 1020090071199 A KR1020090071199 A KR 1020090071199A KR 20090071199 A KR20090071199 A KR 20090071199A KR 100951443 B1 KR100951443 B1 KR 100951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indow frame
sealing member
glass
glass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응규
Original Assignee
(주)융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융기 filed Critical (주)융기
Priority to KR1020090071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4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창의 테두리를 따라 창틀이 결합되는 구조를 갖되, 유리창의 외부에는 창틀과 만나는 부분을 외부밀봉부재로 밀봉 처리하고, 유리창의 내부에는 창틀과 만나는 부분을 내부밀봉부재로 밀봉 처리한 구조를 갖는 창문에 있어서, 상기 유리창의 두께 면(바닥면, 측면, 상면)과 창틀이 만나는 부분에 차단밀봉부재를 설치하여 유리창의 두께 면과 창틀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은 상기 구조에서와 같이 3중 밀봉 구조를 갖기 때문에 수밀성, 기밀성, 단열성이 향상되고 제품의 질과 만족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유리창, 창틀, 외부밀봉부재, 내부밀봉부재, 차단밀봉부재

Description

창문{Window}
본 발명은 창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창과 창틀 사이의 밀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리창과 창틀이 결합되는 부분 즉, 유리창의 외부 테두리와 유리창의 내부 테두리 및 유리창의 두께 면과 대응되는 부분에 밀봉부재를 장착하여 3중 밀봉구조를 갖는 창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벽이나 지붕에 창문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창문은 집안에서 밖을 내다 볼 수 있도록 하고 집안으로 햇빛이 들어올 수 있도록 하며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치된다.
도 1에는 종래의 창문 구조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보면, 일반적인 창문은 유리창(10)과 창틀(20)로 구성되며, 유리창(10)의 테두리를 따라 창틀(20)이 조립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유리창(10)의 외면과 내면에는 창틀(20)과 만나는 테두리 부분이 밀봉처리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물론 종래의 밀봉 처리는 대 부분이 실리콘을 쏴서 밀봉 처리를 하게 된다. 참고로, 유리창(10)의 두께 면과 창틀(20)이 직접 닿지 않도록 서로의 조립 부분에는 군데 군데에 별도의 스페이서(S)를 두어 틈새를 유지한다.
그러나 상술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창문 구조는 유리창의 외면과 내면 테두리에 실리콘 쏴서 밀봉 처리를 하기 때문에 폭우와 태풍이 오면 외부에 밀봉 처리된 부분의 미세한 틈새로 물이 침투하여 강한 바람에 의해 내부에 밀봉 처리된 부분의 미세한 틈새로 물이 역류하여 실내로 들어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2중 밀봉구조는 밀봉 처리된 부분이 노화되거나 강한 폭우와 태풍이 불어 닥치는 상황이 오면 밀봉이 확실하게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2중 밀봉구조는 상술한 이유에 의해 기밀성 및 단열성도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유리창과 창틀이 결합되는 부분 즉, 유리창의 외부 테두리와 유리창의 내부 테두리 및 유리창의 두께 면과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밀봉부재를 장착하여 3중 밀봉구조를 갖도록 함으로 수밀성, 기밀성, 단열성을 향상시킨 창문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은, 유리창의 테두리를 따라 창틀이 결합되는 구조를 갖되, 유리창의 테두리 외면은 유리창과 실외측 창틀이 만나는 부분에서 실외측 창틀에 고정 설치되는 외부밀봉부재로 밀봉 처리하고, 유리창의 테두리 내면은 유리창과 실내측 창틀이 만나는 부분에서 실내측 창틀에 고정 설치되는 내부밀봉부재로 밀봉 처리한 구조를 갖는 창문에 있어서, 상기 유리창의 외면과 내면 사이의 두께를 형성하는 면과 창틀이 만나는 부분에 창틀에 고정 설치되는 차단밀봉부재를 설치하여 유리창의 두께를 형성하는 면과 창틀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게 구성되되, 상기 차단밀봉부재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차단부와 차단부의 일부분에서 외부로 돌출된 결합부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부가 창틀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를 갖으며, 상기 차단밀봉부재의 결합부가 창틀의 결합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유리창을 결합하면 유리창에 의해 중공의 차단부가 눌리면서 압축 변형되어 넓은 면적으로 틈새를 차단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창문은 유리창과 창틀이 결합되는 부분 즉, 유리창의 외부 테두리 부분과 유리창의 내부 테두리 부분, 뿐만 아니라 유리창의 두께 면에 각각 밀봉부재가 설치되어 3중 밀봉 구조를 갖기 때문에 수밀성, 기밀성, 단열성이 향상되고 제품의 질과 만족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구조를 나타낸 분리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구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문은 유리창(10)의 테두리를 따라 창틀(20)이 결합되는 구조를 갖되, 유리창(10)의 테두리 외면에는 유리창(10)과 실외측 창틀(20)이 만나는 부분에서 실외측 창틀(20)에 고정 설치되는 외부밀봉부재(30)로 밀봉 처리하고, 유리창(10)의 테두리 내면에는 유리창(10)과 실내측 창틀(20)이 만나는 부분에서 실내측 창틀(20)에 고정 설치되는 내부밀봉부재(40)로 밀봉 처리하며, 유리창(10)의 외면과 내면 사이의 두께를 형성하는 면(즉, 유리창의 바닥면, 양측면, 상면)과 창틀(20)이 만나는 부분을 차단밀봉부재(100)로 밀봉 처리하여 3중 차단 구조를 갖게 구성된다. 참고로, 유리창(10)의 두께를 형성하는 면과 창틀(20)의 조립 부분에는 서로 간에 직접 닿지 않도록 군데 군데에 별도의 스페이서(S)를 두어 틈새(G)를 유지한다.
여기서, 외부밀봉부재(30)와 내부밀봉부재(4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스킷 즉, 고무패킹을 결합하여 밀봉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종래와 같이 실리콘 액을 쏴서 밀봉 처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차단밀봉부재(100)를 설치한 것으로, 이 구조를 좀더 설명하면 유리창(10)의 두께를 형성하는 면과 창틀(20) 사이의 틈새(G)를 차단하기 위해 차단밀봉부재(100)가 설치된다. 이러한 차단밀봉부재(100)는 내부가 중공(112)으로 형성된 차단부(110)와 차단부(110)의 일부분에서 외부로 돌출된 결합부(1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창틀(20)에는 차단밀봉부재(100)의 결합부(120)와 대응되는 결합홈(22)이 형성되며, 이 결합홈(22)에 차단밀봉부재(100)의 결합부(120)가 결합되어 고정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차단밀봉부재(100)의 결합부(120)가 창틀(20)의 결합홈(22)에 결합된 상태에서 유리창(10)을 결합하면 중공(112)의 차단부(110)가 눌리면서 압축 변형되어 넓은 면적으로 틈새(G)를 차단하게 구성된다. 이때, 차단부(110)의 내부를 중공(112)으로 형성하는 것은 탄성력을 주어 외부에서 힘을 가했을 때 압축 변형이 더 크게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외부밀봉부재(30)와 차단밀봉부재(100)의 사이에는 그 틈새로 물이 침투하였을 때 자연 배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창틀(20)에 하방향으로 배수공(24)이 관통 형성되게 구성된다. 이는 외부밀봉부재(30)와 유리창(10) 사이의 미세한 사이로 침투한 물이 외부밀봉부재(30)와 차단밀봉부재(100)의 사이에서 고여 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유리창과 창틀의 구조는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 로, 유리창의 테두리를 창틀이 감싸도록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창문이라면 어는 것이든 본 발명에 따른 차단밀봉부재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창문은 유리창의 테두리 외면 부분의 틈새와 유리창의 테두리 내면 부분의 틈새 그리고 유리창의 두께를 형성하는 면과 창틀 사이의 틈새에 각각 밀봉부재를 장착하여 밀봉 처리하였기 때문에 외부에서 강한 폭우와 태풍이 불어 닥쳐 외부밀봉부재와 유리창의 미세한 틈새로 물이 침투한다 하더라도 침투한 물이 차단밀봉부재에 막혀 실내로 침투하는 현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창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구조를 나타낸 분리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구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유리창 20: 창틀
22: 결합홈 24: 배수공
30: 외부밀봉부재 40: 내부밀봉부재
100: 차단밀봉부재 110: 차단부
120: 결합부

Claims (3)

  1. 유리창의 테두리를 따라 창틀이 결합되는 구조를 갖되, 유리창의 테두리 외면은 유리창과 실외측 창틀이 만나는 부분에서 실외측 창틀에 고정 설치되는 외부밀봉부재로 밀봉 처리하고, 유리창의 테두리 내면은 유리창과 실내측 창틀이 만나는 부분에서 실내측 창틀에 고정 설치되는 내부밀봉부재로 밀봉 처리한 구조를 갖는 창문에 있어서,
    상기 유리창의 외면과 내면 사이의 두께를 형성하는 면과 창틀이 만나는 부분에 창틀에 고정 설치되는 차단밀봉부재를 설치하여 유리창의 두께를 형성하는 면과 창틀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게 구성되되,
    상기 차단밀봉부재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차단부와 차단부의 일부분에서 외부로 돌출된 결합부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부가 창틀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를 갖으며, 상기 차단밀봉부재의 결합부가 창틀의 결합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유리창을 결합하면 유리창에 의해 중공의 차단부가 눌리면서 압축 변형되어 넓은 면적으로 틈새를 차단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2. 삭제
  3. 삭제
KR1020090071199A 2009-08-03 2009-08-03 창문 KR100951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199A KR100951443B1 (ko) 2009-08-03 2009-08-03 창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199A KR100951443B1 (ko) 2009-08-03 2009-08-03 창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1443B1 true KR100951443B1 (ko) 2010-04-07

Family

ID=42219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199A KR100951443B1 (ko) 2009-08-03 2009-08-03 창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4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794B1 (ko) * 2016-08-11 2016-10-18 금산씨엔씨(주) 기능성 밀폐재
KR101825151B1 (ko) * 2015-07-09 2018-02-09 박환규 단열 창호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913U (ko) * 1997-07-22 1999-02-18 원린수 방열, 방풍 및 방음용 창틀부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913U (ko) * 1997-07-22 1999-02-18 원린수 방열, 방풍 및 방음용 창틀부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151B1 (ko) * 2015-07-09 2018-02-09 박환규 단열 창호 시스템
KR101666794B1 (ko) * 2016-08-11 2016-10-18 금산씨엔씨(주) 기능성 밀폐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9584B2 (en) Curtain wall system
KR100919994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드 창호
CN204646022U (zh) 带安全护边和内排水构造的玻璃幕墙开启窗
TWI678459B (zh) 開放式隔熱玻璃單元
KR100951443B1 (ko) 창문
KR101203941B1 (ko) 창틀의 단열 및 마감구조
CN210828850U (zh) 一种内开窗结构
KR20110001759A (ko) 커튼 월
CN206571344U (zh) 带纱窗的手摇式外开窗
KR101281356B1 (ko) 커튼 월
JP5268809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JP2018150678A (ja) カーテンウォール
CN220645756U (zh) 一种高密封性的平开窗
JP2018204232A (ja) パネル体
KR100645421B1 (ko) 이중단열창
JP2015108272A (ja) サッシ
KR20090105516A (ko) 코너 기밀 가스켓을 포함한 창호
KR101172413B1 (ko) 창호
KR101840710B1 (ko) Al창호 단열차단구조
KR200384044Y1 (ko) 이중단열창
CN106481191A (zh) 一种具有隔音层的铝合金门窗
KR101421979B1 (ko) 시스템 창호의 단열장치
KR20150098165A (ko) 알루미늄-피브이씨 일체형 복합 이중창호
CN106481231A (zh) 一种填充惰性气体的铝合金门窗
CN201412027Y (zh) 四道密封塑钢窗型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