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7624Y1 - 목재 방화문 - Google Patents

목재 방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7624Y1
KR200287624Y1 KR2020020017306U KR20020017306U KR200287624Y1 KR 200287624 Y1 KR200287624 Y1 KR 200287624Y1 KR 2020020017306 U KR2020020017306 U KR 2020020017306U KR 20020017306 U KR20020017306 U KR 20020017306U KR 200287624 Y1 KR200287624 Y1 KR 2002876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ire
wood
front panel
out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3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교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흥강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흥강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흥강판
Priority to KR20200200173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76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6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624Y1/ko

Links

Landscapes

  • Special Wing (AREA)

Abstract

화재발생시 연기 및 유독성 가스를 완전하게 차단시킬 수 있어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목재 방화문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목재 방화문은 목재로 제작되며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전면패널 및 배면패널을 구비한다. 이러한 전면패널 및 배면패널의 사이에는 외부로부터의 열 또는 냉기를 차단시켜 내부를 보온 또는 보냉 시키는 단열충진제가 배치된다. 또한, 전면패널 및 배면패널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단열충진제를 한정하는 외곽패널이 장착된다. 이때, 외곽패널 및 단열충진제 사이에는 외곽패널을 따라 발포성 수지가 배치된다. 발포성 수지는 일정온도 이상에서 팽창반응하는 물질로 제작되어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발포성 수지가 팽창반응을 하고 이러한 발포성 수지가 외곽패널을 문틀 프레임측으로 가압하여 문틀프레임과 외곽패널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킨다.

Description

목재 방화문{A fire door made of wood}
본 고안은 목재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패널과 배면패널, 전면패널과 배면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충진재, 단열충진재가 배치된 전면패널과 배면패널의 외주면을 감싸는 외곽패널 및 외곽패널의 내측면을 따라 장착되는 발포성수지를 구비함으로써, 화재발생시 발포성수지가 팽창함과 아울러 외곽패널을 문틀 프레임 측으로 가압하여 틈새로 스며드는 연기 및 유독성가스를 완전하게 차단시킬 수 있어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목재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석유화학제품이 많이 사용된다. 석유화학제품은 화염에 약할 뿐만 아니라 연소되면서 다량의 유독성 가스를 방출하게 된다.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여 석유화학제품에서 방출되는 유독성 가스는 인명을 질식하게 하여 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보는 실정이다. 화재 발생시 이러한 유독성 가스의 확산을 건물 내부에서 차단 또는 지연시킨다면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실내를 오가는 이동통로이면서 방을 밀폐시키는 유일한 차단 역할을 하는 문은 목재로 제작되어 화기에 약할 뿐만 아니라, 문을 원활히 열고 닫기 위하여 약간의 틈을 형성하기 때문에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유독성 가스를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전면패널과 배면패널, 전면패널과 배면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충진재, 단열충진재가 배치된 전면패널과 배면패널의 외주면을 감싸는 외부패널 및 외부패널의 내측면을 따라 장착되는 발포성수지를 구비함으로써, 화재발생시 발포성수지가 팽창함과 아울러 외곽패널을 문틀 프레임 측으로 가압하여 틈새로 스며드는 연기 및 유독성가스를 완전하게 차단시킬 수 있어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목재 방화문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목재 방화문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목재 방화문 110 : 전면패널
112 : 제 1 장식재 120 : 배면패널
122 : 제 2 장식재 130 : 단열충진재
140 : 외곽패널 150 : 발포성수지
160 : 내화성 도료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목재로 제작되는 전면패널;
목재로 제작되며 전면패널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배면패널;
전면패널 및 배면패널의 사이에 배치되며 전면패널 전방과 배면패널 후방의 열을 차단시켜주는 단열충진재;
목재로 제작되며 전면패널 및 배면패널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단열충진재를 전면패널 및 배면패널의 사이에 한정하는 외곽패널; 그리고
외곽패널과 단열충진재 사이에서 외곽패널을 따라서 배치되며 일정온도 이상의 화기에 노출되면 팽창 반응하여 외곽패널을 문틀 프레임 측으로 가압시킴과 동시에 외곽패널과 문틀 프레임과의 틈새를 밀폐하는 발포성 수지를 포함하는 목재 방화문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전면패널과 배면패널, 전면패널과 배면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충진재, 단열충진재가 배치된 전면패널과 배면패널의 외주면을 감싸는 외부패널 및 외부패널의 내측면을 따라 장착되는 발포성수지를 구비함으로써, 화재발생시 발포성수지가 팽창함과 아울러 외곽패널을 문틀 프레임 측으로 가압하여 틈새로 스며드는 연기 및 유독성가스를 완전하게 차단시킬 수 있어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목재 방화문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목재 방화문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2는 도1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목재 방화문(100)은 전면패널(110), 배면패널(120), 단열충진재(130), 외곽패널(140) 및 발포성수지(150)를 포함한다.
먼저, 전면패널(110) 및 배면패널(120)은 사용자에게 편안함과 자연적인 느낌을 그대로 전달할 수 있는 목재로 제작된다. 이러한 전면패널(110) 및 배면패널(120)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때, 전면패널(110) 및 배면패널(120)의 대향하는 면상에는 다양한 문양을 가지는 장식재(112, 122)가 양각 또는 음각되어 시각적으로 미려함을 제공한다. 또한, 전면패널(110) 및 배면패널(120)에는 화기에 약한 목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내화성 도료(160)가 도포된다. 바람직하게는 내화성 도료(160)는 목재 또는 플라스틱 등의 가연성 물질에 도포하여 착화를 방지하거나 착화시간을 지연시키는 도료로써, 물유리, 각종 에멀션 수지 및 염소화합물 등의 난연재료에 각종의 안료나 불연 고체물질을 첨가한 난연성(難燃性)재료를 채택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화기에 의해 가열되면 발포하여 가연물질(可燃物質)과의 사이에 차단층을 만들어 열이 전도되는 것을 지연시키는 내화성 도료를 채택한다. 이와 같이 배치된 전면패널(110) 및 배면패널(120) 사이에는 단열충진재(130), 외곽패널(140) 및 발포성수지(150)가 배치된다.
단열충진재(130)는 통상의 단열재를 사용하며, 전면패널(110) 및 배면패널(12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단열충진재(130)는 전면패널(110) 전방과 배면패널(120) 후방의 열을 차단시켜준다.
한편, 외곽패널(140)은 전면패널(110) 및 배면패널(120)과 마찬가지로 목재로 제작되며, 전면패널(110) 및 배면패널(12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전면패널(110) 및 배면패널(120)의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충진재(130)를 한정한다. 이러한 외곽패널(140)에는 전면패널(110) 및 배면패널(120)과 마찬가지로 내화성 도료(160)가 도포된다. 이때, 외곽패널(140)과 단열충진재(130) 사이에는 외곽패널(140)을 따라서 발포성 수지(150)가 배치된다.
발포성수지(150)는 기포를 만들어 내는 수지로 일정온도 이상의 화기에 의하여 기화되며 기포를 형성하여 팽창한다. 이러한 발포성 수지(150)는 일정온도 이상의 화기에 노출되면 팽창 반응하여 외곽패널(140)을 문틀 프레임측으로 가압시킴과 동시에 외곽패널(140)과 문틀 프레임과의 틈새를 밀폐시킨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목재 방화문(100)이 화재시에 작용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에 따른 목재 방화문(100)은 문틀 프레임(도시되지 않음)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목재 방화문(100)에 화기가 번지게 되면 전면패널(110), 배면패널(120) 및 외곽패널(140)에 도포된 내화성 도료(160)가 반응을 하여 가연성 물질인 전면패널(110), 배면패널(120) 및 외곽패널(140)에 화기가 전달되는 것을 늦추어 주어 일차적인 방화작용을 한다. 또한 계속하여 방화문(100)의 내부로 화기가 전달되어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외곽패널(140)과 단열충진재(130) 사이에 배치된 발포성 수지(150)가 반응하여 팽창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포성 수지(150)가 팽창하게 되면, 발포성 수지(150)는 외곽패널(14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팽창되고 외곽패널(140)을 문틀 프레임 측으로 가압하게 되며 방화문(100)과 문틀 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켜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목재 방화문(100)은 전면패널(110), 배면패널(120) 및 외곽패널(140)에 내화성 도료(160)가 도포됨으로써, 가연성 재료인 목재로 제작된 전면패널(110), 배면패널(120) 및 외곽패널(140)이 화기에 의해 전소되는 것을 지연시키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목재 방화문(100)은 외곽패널(140)과 단열충진재(130) 사이에 외곽패널(140)을 따라 발포성 수지(150)를 배치함으로써, 화재발생시 일정온도 이상의 화기가 방화문(100)의 내부로 침투하면 발포성 수지(150)가 반응하여 팽창하고, 팽창한 발포성 수지(150)는 외곽패널(140)을 문틀 프레임 측으로 가압하여 외곽패널(140)과 문틀 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완벽하게 밀폐시켜주어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연기 및 유독가스로부터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목재로 제작되는 전면패널(110);
    목재로 제작되며 상기 전면패널(110)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배면패널(120);
    상기 전면패널(110) 및 상기 배면패널(120)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전면패널(110) 전방과 상기 배면패널(120) 후방의 열을 차단시켜주는 단열충진재(130);
    목재로 제작되며 상기 전면패널(110) 및 상기 배면패널(12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단열충진재(130)를 상기 전면패널(110) 및 상기 배면패널(120)의 사이에 한정하는 외곽패널(140); 그리고
    상기 외곽패널(140)과 상기 단열충진재(130) 사이에서 상기 외곽패널(140)을 따라서 배치되며 일정온도 이상의 화기에 노출되면 팽창 반응하여 상기 외곽패널(140)을 문틀 프레임측으로 가압시킴과 동시에 상기 외곽패널(140)과 상기 문틀 프레임과의 틈새를 밀폐하는 발포성 수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방화문.
  2.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전면패널(110) 및 상기 배면패널(120)의 대향하는 면상에는 다양한 문양을 가지는 장식재(112, 1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방화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110), 상기 배면패널(120) 및 상기 외곽패널(140)에는 화기에 약한 목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내화성 도료(160)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방화문.
KR2020020017306U 2002-06-05 2002-06-05 목재 방화문 KR2002876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306U KR200287624Y1 (ko) 2002-06-05 2002-06-05 목재 방화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306U KR200287624Y1 (ko) 2002-06-05 2002-06-05 목재 방화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624Y1 true KR200287624Y1 (ko) 2002-08-30

Family

ID=73124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306U KR200287624Y1 (ko) 2002-06-05 2002-06-05 목재 방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762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920B1 (ko) * 2015-04-07 2016-02-22 (주)윈가람 추가 발포를 이용한 단열재 충전방법
KR20170060228A (ko) * 2015-11-23 2017-06-01 이교준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
KR20190088767A (ko) 2018-01-19 2019-07-29 주식회사 다한종합건설 목재 방화문
KR20210119039A (ko) 2020-03-24 2021-10-05 (주)선블루 목재 난연방화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920B1 (ko) * 2015-04-07 2016-02-22 (주)윈가람 추가 발포를 이용한 단열재 충전방법
KR20170060228A (ko) * 2015-11-23 2017-06-01 이교준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
KR101865030B1 (ko) * 2015-11-23 2018-06-11 앤에스티 주식회사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
KR20190088767A (ko) 2018-01-19 2019-07-29 주식회사 다한종합건설 목재 방화문
KR20210119039A (ko) 2020-03-24 2021-10-05 (주)선블루 목재 난연방화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46932A (ja) 防火定格アセンブリに使用するための防火耐久性定格プラスチック物品
JP2019060235A (ja) 意匠性を付与した熱膨張材
JPS60215091A (ja) シ−ル材
KR200287624Y1 (ko) 목재 방화문
JP2005351009A (ja) 合成樹脂製窓枠
KR101398423B1 (ko) 뒤틀림 방지 불연성 패널을 적용한 방화문
JPH08158743A (ja) 防火断熱サッシ
CN210685101U (zh) 一种保温防火幕墙板
KR101963296B1 (ko) 목재 방화문
KR200326136Y1 (ko) 방문
JPH0734140Y2 (ja) 防火ドアの構造
JPH078775Y2 (ja) 開閉ガラス戸付木製サッシの防火装置
KR20160053606A (ko) 방화용 조립식 패널
KR200269634Y1 (ko) 방화 방염 난연성 도어
JP2565931Y2 (ja) 耐火目地ガスケット
JPH0551365U (ja) 防火ドアの構造
KR20090005451U (ko) 차열문
CN206942562U (zh) 一种具有隔音阻燃防火门
JP3992562B2 (ja) 有孔天井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83493Y1 (ko) 방화기능을 갖는 실내도어
JP2019143307A (ja) ガラス板の保持構造
CN215408292U (zh) 一种隔热型防火门
CN219638713U (zh) 一种钢质隔热防火门
CN107143268A (zh) 一种多功能灭火功能的阻燃门
KR200347437Y1 (ko) 방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