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030B1 -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5030B1 KR101865030B1 KR1020150164173A KR20150164173A KR101865030B1 KR 101865030 B1 KR101865030 B1 KR 101865030B1 KR 1020150164173 A KR1020150164173 A KR 1020150164173A KR 20150164173 A KR20150164173 A KR 20150164173A KR 101865030 B1 KR101865030 B1 KR 1018650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power supply
- door
- building
- fl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7—Devices blocking doors or windows inside its frame in case of fire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7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immersion heating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7—Heating plates with temperature control mea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내에서 화재 발생시 화재연기가 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의 틈 공간을 통하여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건물에 구비된 창문 및 출입문을 포함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도어프레임 중 하나 이상에서 상기 도어와 상기 도어 프레임이 마주하는 부분인 대향부분에 띠 형상으로 구비되며, 화재 발생시 상기 대향부분에서 도어와 상기 도어 프레임 사이의 틈 공간을 밀폐하는 난연성 밀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는 기설정된 온도 이상의 온도의 열이 가해지면 부피 팽창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건물에 구비된 창문 및 출입문을 포함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도어프레임 중 하나 이상에서 상기 도어와 상기 도어 프레임이 마주하는 부분인 대향부분에 띠 형상으로 구비되며, 화재 발생시 상기 대향부분에서 도어와 상기 도어 프레임 사이의 틈 공간을 밀폐하는 난연성 밀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는 기설정된 온도 이상의 온도의 열이 가해지면 부피 팽창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건물 내에서 화재 발생시 화재연기가 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의 틈 공간을 통하여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의 인명 피해는 일반적으로 화염에 의한 피해보다 화재연기로 인한 피해(질식사 또는 일산화탄소 중독 등)가 더 크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건물 내에서 화염의 전파 속도보다 화재연기의 확산속도가 월등히 빠르기 때문이다.
특히, 이러한 화재연기는 화재가 발생한 장소로부터 건물 내 주변 실내공간으로 빠르게 확산하는데, 주로 건물 내에서 창문과 창문틀 또는 개폐문과 문틀 사이의 틈을 통하여 화염보다 빠르게 확산된다.
빌딩과 같은 건물의 경우에는, 건축규정이나 소방규정 등의 적용을 받아 방화문 등의 설치가 의무적이어서 화재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어느 정도 감소시킬 수는 있으나, 이러한 방화문 또한 방화문과 방화문틀 사이에 틈 공간이 형성될 수 밖에 없으므로 화재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여 왔다.
게다가, 빌딩과 같은 건물 이외의 주택의 경우, 창문 및 창틀 그리고 방문 및 방문틀이 목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일반 목재 문과 문틀의 경우 화재연기가 문과 문틀 사이를 통하여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전혀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여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내의 화재 발생 장소에서 이웃하는 실내공간으로 화재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로 구현되는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건물에 구비된 창문 및 출입문을 포함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도어프레임 중 하나 이상에서 상기 도어와 상기 도어 프레임이 마주하는 부분인 대향부분에 띠 형상으로 구비되며, 화재 발생시 상기 대향부분에서 도어와 상기 도어 프레임 사이의 틈 공간을 밀폐하는 난연성 밀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는 기설정된 온도 이상의 온도의 열이 가해지면 부피 팽창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와 상기 도어 프레임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대향부분에서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향부분에는, 그물망 구조 또는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홈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향부분에는,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도어프레임과 동일한 재질 또는 동일한 색상 및 형태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홈의 상부를 덮는 덮개용 시트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는,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의 내부에 또는 하부에 구비되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를 상기 기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급속 가열하는 전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열부는, 띠 형상의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 길이로 분할되도록 구성되는 복수 개의 단위 전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전열부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동시에 전력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는,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의 양단으로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가 자체적으로 저항열을 발생시켜 두께방향으로 팽창하는 고(高) 전기저항성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전열부로의 전력 공급(ON) 및 전력 차단(OFF)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 상기 도어 프레임 및 상기 도어프레임의 인접한 건물의 벽체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고,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전열부로의 전력 공급(ON) 입력신호를 상기 건물 내부의 재실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전력 공급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전열부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물 내부에 위치하는 재실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전열부로의 전력 공급(ON) 입력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모듈을 통하여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전력 공급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전열부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물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건물 사용자 또는 건물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전열부로의 전력 공급(ON) 입력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컴퓨터와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관리서버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전력 공급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전열부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물 내부에 구비되며, 화재발생사실을 감지하여 화재발생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상기 화재발생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전열부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싱부는 상기 건물에 구비되는 연기감지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싱부는 상기 건물에 구비되는 열감지 센서 또는 온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상기 화재발생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화재발생 감지신호를 수신한 때로부터 기설정된 시간(또는, 대피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전열부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난연성 밀폐부재를 포함함으로써, 화재발생시 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의 틈 공간을 밀폐하여 화재연기가 화재가 발생한 장소에서 이웃하는 건물 내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화재연기로 인한 인명피해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화재발생시 화재연기로 인해 가시거리(可視距離)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건물 내 재실자의 대피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난연성 밀폐부재에 전열부를 포함시킴으로써, 건물 내 재실자 또는 건물의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난연성 밀폐부재를 임의로 급속 가열시켜 화재가 발생한 장소를 밀폐시켜 화재연기가 화재 발생 장소와 이웃하는 다른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신속하게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만약 도어 및/또는 도어프레임에 전열부 없이 난연성 밀폐부재만 구비된 경우, 화재발생시의 열기가 직접 난연성 밀폐부재에 전달되어야만 난연성 밀폐부재가 부피 팽창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화재가 어느 정도 진행된 이후여야 하므로(즉, 난연성 밀폐부재의 가열시간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그 사이에 화재연기가 도어와 도어프레임의 틈 공간 사이로 상당량 유출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난연성 밀폐부재를 급속 가열시키는 전열부를 구비함으로써, 화재 발생 초기에 신속하게 화재발생장소를 밀폐함으로써 화재연기가 다른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입력부 또는 통신부를 포함함으로써, 재실자 또는 건물 내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전열부에 전력을 공급시키고자 하는 전력 공급 입력신호를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센싱부를 포함함으로써, 화재 발생 초기에 전열부에 전력을 인가하여 난연성 밀폐부재를 신속히 가열시킬 수 있으므로, 화재 발생 초기에 화재 발생 장소를 자동으로 밀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열부를 복수 개의 단위 전열부로 구성함으로써, 도어 및 도어프레임 사이의 틈 공간 전체가 난연성 밀폐부재에 의해 전체적으로 (거의) 동시에 밀폐되도록 할 수 있어, 화재연기가 틈 공간을 확산되는 것을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및/또는 도어프레임에 수용홈을 형성 및 가공함으로써, 기존의 도어 및/또는 도어프레임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를 추가 장착할 수 있으므로,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의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수용홈을 덮는 덮개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도어 및/또는 도어프레임의 외관 미감이 저해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화재연기 확산방지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 및 화재연기 확산방지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다.
도 4는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가 구비된 도어 및 도어프레임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Ⅰ-Ⅰ선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Ⅰ-Ⅰ선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및 전열부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Ⅰ-Ⅰ선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열부의 추가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가 구비된 실내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가 작동하기 전 상태일 때 도 9의 Ⅱ-Ⅱ선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가 작동한 후 상태일 때 도 9의 Ⅱ-Ⅱ선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 및 화재연기 확산방지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다.
도 4는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가 구비된 도어 및 도어프레임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Ⅰ-Ⅰ선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Ⅰ-Ⅰ선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및 전열부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Ⅰ-Ⅰ선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열부의 추가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가 구비된 실내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가 작동하기 전 상태일 때 도 9의 Ⅱ-Ⅱ선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가 작동한 후 상태일 때 도 9의 Ⅱ-Ⅱ선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화재연기 확산방지 시스템(1000)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화재연기 확산방지 시스템(1000)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100)와, 상기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100)가 설치되는 건물 또는 실내공간(R) 내에 위치하는 재실자 또는 건물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100)와, 상기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100)가 설치되는 건물 또는 실내공간(R) 내에 위치하는 재실자 또는 건물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 및/또는 상기 재실자, 상기 관리자 또는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C)(예를 들어, 데스크탑, 노트북 등)와, 상기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100)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T) 및 상기 컴퓨터(C)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100)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T) 및 상기 컴퓨터(C) 사이의 입력신호 및 출력신호를 데이터 통신방식으로 연결 및/또는 중계하는 관리서버(S)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화재연기 확산방지 시스템(1000)이 상기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100)와, 상기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100)가 설치되는 건물 또는 실내공간 내에 위치하는 재실자 또는 건물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T)(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화재연기 확산방지 시스템(1000)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T)와 상기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100)가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으로 상호 입력신호 및 출력신호를 송수신한다. 즉, 상기 화재연기 확산방지 시스템(1000)은 상기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100)가 재실자의 이동통신 단말기(T)를 통하여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건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 발생 장소 내에 있는 재실자 또는 건물 내에서 화재 발생 장소 근처에 있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화재발생사실을 인지하게 된 때,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T)에 저장된 관련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화재연기(G) 확산방지 서비스에 관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T)에 내장된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100)를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화재연기 확산방지 시스템(1000)이 상기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100)와, 상기 관리서버(S)와, 상기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100)가 설치되는 건물 또는 실내공간 외부에 위치하는 건물의 관리자 또는 건물의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T)(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화재연기 확산방지 시스템(1000)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T)와 상기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100)가 상기 관리서버(S)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으로 상호 입력신호 및 출력신호를 송수신한다. 즉, 상기 화재연기 확산방지 시스템(1000)은 상기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100)가 건물 외부 또는 화재 발생 장소의 외부에 위치하는 건물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T)와 상기 관리서버(S)를 통하여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추가 실시예로서, 상기 화재연기 확산방지 시스템(1000)은, 상기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100)와, 상기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100)가 설치되는 건물 또는 실내공간 내에 위치하는 재실자 또는 건물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T)와, 상기 관리서버(S)와, 상기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100)가 설치되는 건물 또는 실내공간 외부에 위치하는 건물의 관리자 또는 건물의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T)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화재연기 확산방지 시스템(1000)에 대한 제어 알고리즘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1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100)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100) 및 화재연기 확산방지 시스템(1000)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고, 도 4는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100)가 구비된 도어(D) 및 도어프레임(F)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Ⅰ-Ⅰ선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Ⅰ-Ⅰ선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및 전열부(140)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Ⅰ-Ⅰ선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열부(140)의 추가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100)가 구비된 실내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100)가 작동하기 전 상태일 때 도 9의 Ⅱ-Ⅱ선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100)가 작동한 후 상태일 때 도 9의 Ⅱ-Ⅱ선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100)는, 도어(D) 및 도어프레임(F)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난연성 밀폐부재(110)와,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110)를 급속 가열하기 위한 전열부(140)와, 상기 전열부(140)에 대해 전력 공급 및 전력 차단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50)과, 건물 내 재실자 또는 건물의 관리자 또는 건물의 사용자로부터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160)와, 화재발생사실을 감지하는 센싱부(17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150)은 제어부(151)와, 메모리부(157)와, 통신부(153)와, 상기 전열부(14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55)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110)는 띠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110)는 건물에 구비된 도어(D) 및 도어프레임(F)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상기 도어(D)와 상기 도어프레임(F)이 서로 마주하는 부분인 대향부분에 배치된다.
즉,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110)는 상기 도어(D)의 대향부분에만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도어프레임(F)의 대향부분에만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도어(D)의 대향부분 및 상기 도어프레임(F)의 대향부분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D)란 건물에 구비되는 창문, 출입문 등 건물의 실내공간 및 건물의 공동공간(예를 들어, 복도 등)의 벽체에 구비되는 모든 문의 종류를 포함하는 의미이고, 상기 도어프레임(F)이란 상기 창문, 출입문 등과 같은 상기 도어(D)를 벽체에 대해 지지하는 모든 지지구조체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D)가 여닫이 출입문(hinged door)인 경우 그리고 상기 도어프레임(F)이 여닫이 출입문(hinged door)의 문틀인 경우를 기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100)에 대해 기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대향부분이란 상기 도어(D)와 상기 도어프레임(F)이 서로 마주하는 부분과, 상기 도어(D)가 2개의 단위 도어(D)로 구성되는 경우(즉, 2개의 미닫이문(sliding door)가 하나의 출입문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2개의 단위 도어(D)가 서로 마주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4 내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D)에서의 대향부분은 상기 도어(D)의 테두리 측면 전체 또는 일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프레임(F)에서의 대향부분은 상기 도어프레임(F)의 내측면 테두리 전체 또는 일부분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대향부분에는 일반적으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틈 공간이 형성될 수 밖에 없어 화재 발생시 화재연기(G)의 확산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110)는 상기 도어(D)의 테두리 측면 및/또는 상기 도어프레임(F)의 내측면 테두리 전체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며, 화재 발생시 상기 도어(D)와 상기 도어프레임(F) 사이의 틈 공간을 밀폐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110)는 대향부분을 향하는 면인 하면에서 접착부재(141)에 의해 상기 도어(D) 및/또는 상기 도어프레임(F)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110)는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110)의 자체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면 발포되면서 적게는 수배에서 많게는 수십배까지 부피 팽창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110)는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110)의 자체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 길이방향 팽창은 최소화 또는 방지되고, 두께방향 팽창이 주로 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110)는 예를 들어 주로 그라파이트(graphite)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110)는 열에 의해 자신이 함유하고 있던 물과 산화 화합물이 가스를 발생하여, 그 결과 비늘조각 모양의 그라파이트가 팽창하며, 이렇게 팽창한 그라파이트 층은 열이나 화학품에 안정된 층을 형성함으로써 난연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9,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110)는 기설정된 온도 이상의 온도의 열이 가해지면 부피 팽창하도록 구성되어 화재 발생시 상기 대향부분에서 도어(D)와 상기 도어프레임(F) 사이의 틈 공간을 밀폐할 수 있고, 그 결과 도어(D)와 도어프레임(F) 사이의 틈 공간을 통하여 화재연기(G)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도 4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110)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도어(D)와 상기 도어(D) 프레임 중 하나 이상의 대향부분에는, 수용홈(101)이 구비된다. 상기 수용홈(101)은 상기 도어(D)의 테두리 측면 전체에 및/또는 상기 도어(D) 프레임의 내측 테두리 전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홈(101)은 바닥부(101a)와 상기 바닥부(101a)의 양단부에서부터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양측면부(10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101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110)와 면접촉되는 부분이다. 상기 양측면부(101b)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110)와 비접촉되되 후술할 복수개의 단위 전열부(140a)에 전원을 공급하는 다수개의 전원공급선(130)이 서로 비간섭되게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상기 바닥부(101a)의 양측 부위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공급선(130)이 고정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보다 더 넓게 확보될 수 있고, 작업자가 전원공급선의 고정 또는 설치과정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향부분에는 상기 수용홈(101)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재는 그물망 구조 또는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변형 실시예로서, 상기 대향부분에는 상기 수용홈(101)의 상부를 덮는 덮개용 시트가 부착되며, 상기 덮개용 시트는 상기 도어(D) 또는 상기 도어프레임(F)과 동일한 재질 또는 동일한 색상 및 형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상기 도어(D) 및 상기 도어프레임(F)의 외관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부재 또는 상기 덮개용 시트는, 상기 덮개부재 또는 상기 덮개용 시트가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110)의 부피팽창에 의한 팽창력에 의해 상기 대향부분으로부터 박리 또는 분리되는 접착력으로 상기 대향부분에 부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열부(140)는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110)를 급속 가열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전열부(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110)의 내부에 매립된 전열선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110)의 하면에 배치되는 전열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열부(140)가 도 6과 같이 전열패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전열부(140)는 절연물질로 구성된 패드부(143)와, 상기 패드부(143)의 일면 또는 상기 패드부(143)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열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열부(140)는 난연성 밀폐부재(110)에서 난연성 밀폐부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거나, 또는 난연성 밀폐부재(110)에서 도 6과 같이 좌우로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열부(1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 형상의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 길이로 분할되도록 구성되는 복수 개의 단위 전열부(140a)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전열부(140)는 복수 개의 단위 전열부(140a)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전열부(140a)는 각각의 전원공급선(130)에 의해 전원공급부(15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로 인해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전열부(140a)는 상기 전원공급부(155)로부터 동시에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전열부(140)는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전열부(140a)를 통해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110)를 구간 별로 전체적으로 동시에 급속 가열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하나의 전열부(140)로만 구성되는 경우 전원공급부(155)로부터 먼저 전력을 공급받는 곳에 위치하는 난연성 밀폐부재(110)의 일단부 부분의 팽창속도와 전원공급부(155)로부터 이후에 전력을 공급받는 곳에 위치하는 난연성 밀폐부재(110)의 타단부 부분의 팽창속도 사이에 차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의 추가 실시예로서,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는 전기전도성, 고(高) 전기저항성 및 고온 발포성(또는 열 발포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된다. 즉,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의 양단으로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가 자체적으로 저항열을 발생시켜 두께방향으로 팽창하는 고(高) 전기저항성 물질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는 박리성 흑연(exfoliating graphite)을 포함하는 발포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별도의 전열부 없이 난연성 밀폐부재의 양단과 전원공급부를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주기만 하면 되므로, 구조가 간단해 지고 본 발명의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의 시공 또는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50)은 실내 인테리어 미감을 훼손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내에서 도어 및 도어 프레임에 인접한 이중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50)은, 상기 전원공급부(155)에서 상기 전열부(140)로의 전력 공급(ON) 및 전력 차단(OFF)을 제어하는 제어부(151)와, 메모리부(157)와, 이동통신 단말기(T) 및/또는 관리서버(S)와 데이터 통신하는 통신부(153)와, 전력공급원(예를 들어, 콘센트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열부(140)의 발열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55)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150)은 건물 내에 설치된 센싱부(170)와, 건물 내에 설치된 입력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151)는 상기 통신부(153), 상기 입력부(160) 및 상기 센싱부(17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전원공급부(155)로부터 전열부(140)로 전력이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155)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51)는 복잡한 제어회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단순히 릴레이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입력부(160)는 상기 전원공급부(155)에서 상기 전열부(140)로의 전력 공급(ON) 입력신호를 상기 건물 내부의 재실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51)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부(160)는 상기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100)가 설치되는 건물 또는 실내공간(R)의 외측 벽체에서 상기 도어 및 상기 도어프레임 부근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화재발생시 재실자가 화재가 발생한 실내공간(R)을 탈출하고 도어를 닫은 후에 난연성 밀폐부재를 급속 가열하여 팽창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160)는 상기 도어(D), 상기 도어(D) 프레임 및 상기 도어프레임(F)의 인접한 건물의 벽체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160)는 스위치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입력부(160)는 비상스위치일 수 있고, 화재가 발생하지 않는 평상시에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영 덮개 및/또는 잠금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재실자로부터 상기 입력부(160)를 통하여 전력 공급 입력신호가 수신되어 상기 전력 공급 입력신호가 제어부(151)로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151)는 상기 전원공급부(155)에서 상기 전열부(140)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155)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53)는 건물 내부에 위치하는 재실자의 이동통신 단말기(T)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전원공급부(155)에서 상기 전열부(140)로의 전력 공급(ON) 입력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T)의 통신모듈을 통하여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51)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부(153)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모듈 및/또는 지그비(ZIGBEE) 통신모듈 및/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실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T)에 저장된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상기 재실자의 이동통신 단말기(T)는 상기 통신부(153)와 대응되는 내장된 근거리 통신모듈을 활성화한 후, 상기 재실자의 이동통신 단말기(T)의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100)의 제어모듈(150)에 구비된 통신부(153)에 전력 공급 입력신호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51)는 상기 통신부(153)로부터 상기 전력 공급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원공급부(155)에서 상기 전열부(140)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155)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153)는 관리서버(S)를 통하여 상기 건물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건물 사용자 또는 건물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T) 또는 컴퓨터(C)와 데이터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관리서버(S)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T) 또는 상기 컴퓨터(C)와 상기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100)의 통신부(153)를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연결 또는 중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51)는, 상기 건물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건물 사용자 또는 건물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T) 또는 컴퓨터(C)로부터, 상기 관리서버(S)를 경유하여, 상기 통신부(153)를 거친 상기 전력 공급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155)에서 상기 전열부(140)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155)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싱부(170)는 건물 내에서의 화재발생사실을 감지하여 화재발생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151)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센싱부(170)는 상기 건물의 천정에 구비되는 연기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기감지 센서는 건물 내에 기설치되어 있던 기존의 연기감지 센서를 그대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센싱부(170)는 열감지 센서 또는 온도 센서일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싱부(170)는 건물 내의 콘센트 부근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옥내 화재의 경우 콘센트 부근에서의 화재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상기 제어부(151)는 상기 센싱부(170)로부터 상기 화재발생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155)에서 상기 전열부(140)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155)를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화재 발생시 상기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100)는 사용자 또는 재실자의 수동 조작없이 자동으로 난연성 밀폐부재(110)를 급속 가열시켜 화재발생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변형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151)는 상기 센싱부(170)로부터 상기 화재발생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화재발생 감지신호를 수신한 때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전원공급부(155)에서 상기 전열부(140)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155)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난연성 밀폐부재(110)의 팽창으로 도어(D) 및 도어프레임(F) 사이의 틈 공간이 밀폐되는 경우 도어(D)의 개방이 용이하지 않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화재발생시 기설정된 시간 간격을 두어 재실자가 용이하게 도어(D)를 개방한 후 쉽게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상기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10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100)는 난연성 밀폐부재(110)를 포함하는 제1 타입과; 난연성 밀폐부재와, 전열부와, 입력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2 타입과; 난연성 밀폐부재와, 전열부와, 통신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3 타입과; 난연성 밀폐부재와, 전열부와, 센싱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4 타입과; 난연성 밀폐부재와, 전열부와, 센싱부와, 통신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5 타입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난연성 밀폐부재를 포함함으로써, 화재발생시 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의 틈 공간을 밀폐하여 화재연기가 화재가 발생한 장소에서 이웃하는 건물 내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화재연기로 인한 인명피해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화재발생시 화재연기로 인해 가시거리(可視距離)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건물 내 재실자의 대피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난연성 밀폐부재에 전열부를 포함시킴으로써, 건물 내 재실자 또는 건물의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난연성 밀폐부재를 임의로 급속 가열시켜 화재가 발생한 장소를 밀폐시켜 화재연기가 화재 발생 장소와 이웃하는 다른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신속하게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만약 도어 및/또는 도어프레임에 전열부 없이 난연성 밀폐부재만 구비된 경우, 화재발생시의 열기가 직접 난연성 밀폐부재에 전달되어야만 난연성 밀폐부재가 부피 팽창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화재가 어느 정도 진행된 이후여야 하므로(즉, 난연성 밀폐부재의 가열시간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그 사이에 화재연기가 도어와 도어프레임의 틈 공간 사이로 상당량 유출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난연성 밀폐부재를 급속 가열시키는 전열부를 구비함으로써, 화재 발생 초기에 신속하게 화재발생장소를 밀폐함으로써 화재연기가 다른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입력부 또는 통신부를 포함함으로써, 재실자 또는 건물 내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전열부에 전력을 공급시키고자 하는 전력 공급 입력신호를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센싱부를 포함함으로써, 화재 발생 초기에 전열부에 전력을 인가하여 난연성 밀폐부재를 신속히 가열시킬 수 있으므로, 화재 발생 초기에 화재 발생 장소를 자동으로 밀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열부를 복수 개의 단위 전열부로 구성함으로써, 도어 및 도어프레임 사이의 틈 공간 전체가 난연성 밀폐부재에 의해 전체적으로 (거의) 동시에 밀폐되도록 할 수 있어, 화재연기가 틈 공간을 확산되는 것을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및/또는 도어프레임에 수용홈을 형성 및 가공함으로써, 기존의 도어 및/또는 도어프레임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를 추가 장착할 수 있으므로,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의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수용홈을 덮는 덮개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도어 및/또는 도어프레임의 외관 미감이 저해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D : 도어
F : 도어프레임
1000 : 화재연기 확산방지 시스템
100 :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
101 : 수용홈
101a : 바닥부
101b : 양측면부
110 : 난연성 밀폐부재
130 : 전원공급선
140 : 전열부
140a : 단위 전열부
150 : 제어모듈
151 : 제어부
153 : 통신부
155 : 전원공급부
157 : 메모리부
160 : 입력부
170 : 센싱부
F : 도어프레임
1000 : 화재연기 확산방지 시스템
100 :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
101 : 수용홈
101a : 바닥부
101b : 양측면부
110 : 난연성 밀폐부재
130 : 전원공급선
140 : 전열부
140a : 단위 전열부
150 : 제어모듈
151 : 제어부
153 : 통신부
155 : 전원공급부
157 : 메모리부
160 : 입력부
170 : 센싱부
Claims (15)
- 건물에 구비된 창문 및 출입문을 포함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도어프레임 중 하나 이상에서 상기 도어와 상기 도어 프레임이 마주하는 부분인 대향부분에 띠 형상으로 구비되며, 화재 발생시 상기 대향부분에서 도어와 상기 도어 프레임 사이의 틈 공간을 밀폐하는 난연성 밀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는 기설정된 온도 이상의 온도의 열이 가해지면 부피 팽창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도어와 상기 도어 프레임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대향부분에서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구비되고,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는,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의 내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를 상기 기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급속 가열하는 전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열부는, 띠 형상의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 길이로 분할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동시에 전력을 공급받는 복수 개의 단위 전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는,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의 양단으로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가 자체적으로 저항열을 발생시켜 두께방향으로 팽창하는 고(高) 전기저항성 물질로 구성되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와 접촉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양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난연성 밀폐부재와 비접촉되되 상기 복수개의 단위 전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다수개의 전원공급선이 서로 비간섭되게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양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부분에는,
그물망 구조 또는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홈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부분에는,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도어프레임과 동일한 재질 또는 동일한 색상 및 형태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홈의 상부를 덮는 덮개용 시트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전열부로의 전력 공급(ON) 및 전력 차단(OFF)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상기 도어 프레임 및 상기 도어프레임의 인접한 건물의 벽체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고,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전열부로의 전력 공급(ON) 입력신호를 상기 건물 내부의 재실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전력 공급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전열부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 내부에 위치하는 재실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전열부로의 전력 공급(ON) 입력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모듈을 통하여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전력 공급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전열부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건물 사용자 또는 건물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전열부로의 전력 공급(ON) 입력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컴퓨터와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관리서버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전력 공급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전열부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 내부에 구비되며, 화재발생사실을 감지하여 화재발생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상기 화재발생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전열부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건물에 구비되는 연기감지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건물에 구비되는 열감지 센서 또는 온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상기 화재발생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화재발생 감지신호를 수신한 때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전열부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4173A KR101865030B1 (ko) | 2015-11-23 | 2015-11-23 |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4173A KR101865030B1 (ko) | 2015-11-23 | 2015-11-23 |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0228A KR20170060228A (ko) | 2017-06-01 |
KR101865030B1 true KR101865030B1 (ko) | 2018-06-11 |
Family
ID=59221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64173A KR101865030B1 (ko) | 2015-11-23 | 2015-11-23 |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6503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79166B1 (ko) | 2020-07-28 | 2021-07-16 | 이철 | 화재 확산방지 도어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20891A (ja) | 2001-01-24 | 2002-08-09 | Michihiro Oe | 通気層火炎遮断体 |
KR200287624Y1 (ko) * | 2002-06-05 | 2002-08-30 | 주식회사 신흥강판 | 목재 방화문 |
JP2003207046A (ja) * | 2002-01-10 | 2003-07-25 | Ask Technica Corp | 発熱機構を有する加熱膨張体及び隙間シール装置 |
KR200396315Y1 (ko) * | 2005-07-07 | 2005-09-20 | 동방노보펌 주식회사 | 출입문의 차연구조물 |
KR100934258B1 (ko) * | 2009-09-17 | 2009-12-29 | 주식회사 토펙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의 인입전선 절연형 분전함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54521B1 (ko) * | 2010-09-10 | 2012-06-13 | 주식회사 다스 코리아 |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 |
-
2015
- 2015-11-23 KR KR1020150164173A patent/KR101865030B1/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20891A (ja) | 2001-01-24 | 2002-08-09 | Michihiro Oe | 通気層火炎遮断体 |
JP2003207046A (ja) * | 2002-01-10 | 2003-07-25 | Ask Technica Corp | 発熱機構を有する加熱膨張体及び隙間シール装置 |
KR200287624Y1 (ko) * | 2002-06-05 | 2002-08-30 | 주식회사 신흥강판 | 목재 방화문 |
KR200396315Y1 (ko) * | 2005-07-07 | 2005-09-20 | 동방노보펌 주식회사 | 출입문의 차연구조물 |
KR100934258B1 (ko) * | 2009-09-17 | 2009-12-29 | 주식회사 토펙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의 인입전선 절연형 분전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0228A (ko) | 2017-06-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89842B2 (en) | Smart-home security system with keypad device resistant to anomalous treatment | |
KR20140015873A (ko) | 커튼월 | |
CN107924598A (zh) | 安全自动化系统 | |
KR101589054B1 (ko) | 단열 방화문 설치구조 | |
CN104700550A (zh) | 一种智能消防烟感器系统 | |
EP3636324B1 (en) | Fire extinguishing capsule and capsule-type fire extinguishing device including same | |
KR101933612B1 (ko) | 친환경 변전소의 무인 관리시스템 | |
KR101865030B1 (ko) |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 | |
CN104879047A (zh) | 门密封装置 | |
CN105427523A (zh) | 一种智能家居安防系统 | |
KR102555150B1 (ko) | 인클로저 밀폐효과·냉기 공기순환효과·IoT형 스마트센싱효과로 이루어진 쓰리이펙트형 토탈케어식 제어반 부품 부식방지장치 및 방법 | |
CN104571232B (zh) | 一种宽工况型电控箱及其内部温湿度控制方法 | |
JPH08158743A (ja) | 防火断熱サッシ | |
KR101844093B1 (ko) | 결로방지 창호 | |
KR20190066457A (ko) | 방화도어 | |
KR101599729B1 (ko) | 무결로 기능성 도어 | |
JP2017133234A (ja) | ドア | |
KR200296712Y1 (ko) | 단열창호 | |
KR20170000100A (ko) | 다중영역 관리용 소화시스템 | |
US20220065704A1 (en) | Temperature sensor isolation in smart-home devices | |
KR101661229B1 (ko) | 케이블 배치를 간소화한 감시카메라 장치 | |
EP3794696A1 (en) | Electrical user | |
CN215717552U (zh) | 橇装一体化阀室设备间 | |
JP6635474B2 (ja) | Aed収容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aed収容装置管理システム | |
KR101561459B1 (ko) | 전천후 무결로 도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