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315Y1 - 출입문의 차연구조물 - Google Patents

출입문의 차연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315Y1
KR200396315Y1 KR20-2005-0019819U KR20050019819U KR200396315Y1 KR 200396315 Y1 KR200396315 Y1 KR 200396315Y1 KR 20050019819 U KR20050019819 U KR 20050019819U KR 200396315 Y1 KR200396315 Y1 KR 2003963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frame
smoke
flame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8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혜정
Original Assignee
동방노보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방노보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방노보펌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98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3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3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3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4Sealing arrangements between the door or window and its frame, e.g. intumescent sea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화재시 문틀과 도어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는 유해가스를 차단하는 출입문의 차연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차연구조물은 화재시 문틀과 도어의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부피가 팽창되는 차연부재가 문틀과 도어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출입문의 차연구조물{STRUCTURE FOR SHUTTING SMOKE IN A DOOR}
본 고안은 출입문의 차연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시 문틀과 도어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부피가 팽창되는 차연부재가 문틀과 도어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화재시 발생하는 유해가스가 문틀과 도어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출입문 차연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fire door)이란, 주택, 아파트, 공장, 사무실, 조립식 가설건물 등에 있어서, 화재가 이면으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되는 현관 출입문 또는 비상문 등의 구조물로서, 이러한 방화문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방화문 결합구조물을 도 9에 도시하였다.
이는 먼저 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사각 형상의 문틀(20)과, 이러한 문틀(20)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 측이 하나 이상의 힌지(40a, 40b) 등의 결합수단으로 문틀(20)과 결합하는 방화문(10)을 포함하는데, 통상 방화문(10)의 전 후면에는 각각 돌출된 손잡이(30)가 설치되어, 사용자는 손잡이(30)를 잡고 방화문(10)을 젖혀 열거나 닫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방화문(10)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방화문(10)을 닫을 경우 이웃하는 문틀(20)과의 사이 공간을 가릴 수 있도록 일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된 걸림턱(16)을 가지고 있어, 화재 시 연기나 열을 차단함과 동시에 방화문(10)이 일 방향으로만 젖혀질 수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문틀(20) 및 방화문(10)의 재질로는 통상 높은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금속 재질이 사용된다.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한 방화문 결합구조물(1)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방화문(10)에 있어서 도면부호 12a를 부여한 면을 전면, 12b를 후면이라 이하 지칭하며, 문틀(2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화문(10)의 내 측면 즉, 상면과 하면 및 양 측면을 감싸는 사각 문틀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방화문(10)은 전면(12a)과 후면(12b) 및 상기 전면(12a)과 후면(12b)을 각각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측면(14a, 14b)을 포함하여 그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방화문(10)은 전술한 양 측면(14a, 14b)과 각각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면(22a, 22b)을 포함하는 문틀(2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문틀(20)의 제 1 면(22a)과 제 2 면(22b) 상에는, 각각 방화문(10)의 후면(12b)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방화문(10)의 후면(12b) 양 가장자리 내부로 인입된 제 1 및 제 2 돌출단(24a, 24b)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방화문(10)의 전면(12a) 일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어 문틀(20) 상에 오버랩되는 걸림턱(16)과 함께 방화문(10)이 일 방향으로만 젖혀지도록 하며, 화재의 발생 시 이면으로 연기 및 열등이 전달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전술한 방화문(10)의 전면(12a)에 설치된 걸림턱(16)에 대응하는 타 가장자리 부분에는, 이와 근접한 문틀(20)과 상기 방화문(10)을 연결하는 힌지(40a, 40b) 등의 결합수단이 부설됨으로써 상기 방화문(10)이 부채꼴 형상을 그리며 젖혀지면서 개폐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힌지(40a, 40b)로는 경첩이나 도어용 댐퍼 등의 다양한 부재가 사용될 수 있지만 그 역할은 모두 방화문(10)의 일측면을 문틀(20)에 고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방화문(10)이 젖혀 개폐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일 가장자리가 힌지(40a, 40b) 등의 결합수단으로 문틀(20)에 결합하는 방화문(10)은, 상기 방화문(10)이 가지는 걸림턱(16) 및 문틀(20)의 제 1 및 2 돌출단(24a, 24b)에 의해 후면(12b) 방향으로는 열리지 않고 전면(12a) 방향으로만 젖혀지게 되는데, 통상 문틀(20)이 가지는 제 1 및 제 2 돌출단(24a, 24b)과 방화문(10)의 후면(12b) 사이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제 1 및 제 2 패킹(50a, 50b)이 개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패킹(50a, 50b)은 각각 문틀(20)의 제 1 및 제 2 돌출단(24a, 24b)의 내면에 각각 본드 등으로 부착되어, 방화문(10)의 개폐시 문틀(20)과의 충격을 완화하고, 방화문(10)과 문틀(20) 사이 간격을 메워 방음 및 방풍의 효과를 얻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일반적인 방화문 결합구조물(1)은 화재시 발생하는 열기에 의해 방음 및 방풍 등의 목적으로 설치된 고무재질의 패킹(50a,50b)이 소실되어, 화재시 발생하는 유해가스가 방화문(10)과 문틀(2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실내 측으로 유입되어 인명에 피해를 주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화재시 발생하는 유해가스가 문틀과 도어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출입문의 차연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화재시 문틀과 도어의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부피가 팽창되는 차단부재가 문틀과 도어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출입문의 차연구조물에 의하면, 화재시 발생하는 유해가스가 도어 와 문틀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 따른 출입문의 차연구조물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인 출입문의 차연구조물을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출입문의 차연구조물을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출입문의 차연구조물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인 출입문의 차연구조물은, 문틀(200)과 도어(100) 사이에 구비되는 차연부재(130)로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차연부재(130)는 화재시 열에 의해 부피가 팽창되어 문틀(200)과 도어(100) 사이를 밀폐시켜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 테두리부(140)를 이루는 내측패널(120)이 문틀(200)측으로 개구되도록 다중절곡되어 형성된 설치홈(142)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차연부재(130)는 가열되어 일정한 온도 이상이 되면 부피가 팽창되는 아민계의 합성수지, 방화제, 발포제, 단열 탄화 형성제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화재시 발생하는 뜨거운 열 및 유해가스가 대기 중에서 일어나는 공기의 흐름을 따라 문틀(200)과 도어(100) 사이의 틈새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동되는 열은 도어 테두리부(140)의 설치홈(142)에 삽입되는 차연부재(130)를 가열하게 된다. 동시에 화재시 발생한 열은 도어(100)의 외측패널(110)을 가열하게 되고, 외측패널(110)을 가열하는 열은 외측패널(110)의 끝단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외측패널(110)의 끝단부측으로 이동된 열은 외측패널(110)의 끝단부와 접촉되어 있는 내측패널(120)로 이동하게 되고, 내측패널(120)을 따라 이동하는 열은 도어 테두리부(140)에 형성된 설치홈(142)측으로 이동되어 설치홈(142)에 삽입된 차연부재(130)를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문틀(200)과 도어(100) 사이로 이동되는 열과 도어(100)의 외측패널(110)을 가열하여 차연부재(130)에 전달되는 열에 의해 차연부재(13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계속해서 차연부재(130)의 온도가 상승하여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차연부재(130)는 설치홈(142)의 외측방향으로 부피가 팽창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200)과 도어(100)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키게 된다.
따라서, 화재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차연부재(130)의 부피가 팽창하여 문틀(200)과 도어(100) 사이를 밀폐시켜 문틀(200)과 도어(100)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인 출입문의 차연구조물을 도시한 횡단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인 출입문의 차연구조물은, 도어(100)를 이루는 외측패널(110)과 내측패널(120)의 끝단부가 다중 절곡되어 형성되는 공간부(122)에 차연부재(130)가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이때, 공간부(122)에는 설치되는 차연부재(1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돌기(124)가 형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공간부(122)는 차연부재(130)가 설치되기 위한 것으로, 도어(100)의 내측을 이루는 내측패널(120)과 도어(100)의 외측을 이루는 외측패널(110)의 끝단부가 문틀(200)의 단턱부(210) 방향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공간부(122)에는 차연부재(130)가 설치된다.
걸림돌기(124)는 차연부재(1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공간부(122)를 이루도록 다중 절곡된 내측패널(120)의 끝단부가 도어 테두리부(140) 방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출입문의 차연구조물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화재시 발생하는 열 및 유해가스는 문틀(200)과 도어(100) 사이의 틈새로 이동하게 되며, 도어(100)의 끝단부가 다중 절곡되어 형성되는 공간부(122)에 설치된 차연부재(130)를 가열하게 되고, 동시에 도어(100)의 외측패널(110)을 가열하게 된다. 외측패널(110)을 가열하는 열은 외측패널(110)의 끝단부측으로 이동하여 도어(100)의 끝단부에 형성된 공간부(122)에 설치되는 차연부재(130)를 가열하게 된다. 이렇게 문틀(200)과 도어(100) 사이로 이동되는 열과 도어(100)의 외측패널(110)과 내측패널(120)을 가열하여 차연부재(130)에 전달되는 열에 의해 차연부재(130)는 부피가 팽창하여 문틀(200)의 단턱부(210)에 밀착되면서 문틀(200)과 도어(100) 사이를 밀폐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어(100)의 외측패널(110)과 내측패널(120)의 끝단부가 다중 절곡되어 형성된 공간부(122)에 설치된 차연부재(130)의 팽창에 의해 문틀(200)과 도어(100) 사이가 밀폐됨으로써, 유해가스가 실내로 유입거나 실내에서 발생한 가스가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실시 예인 출입문의 차연구조물을 도시한 횡단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실시 예인 출입문의 차연구조물은, 도어 테두리부(140)에 형성되는 설치홈(142)에 차연부재(130)가 설치되고, 도어(100)를 이루는 외측패널(110)과 내측패널(120)의 끝단부가 다중 절곡되어 형성된 공간부(122)에 차연부재(130a)가 더 설치된 것이다. 즉, 도어 테두리부(140)에 형성된 설치홈(142) 및 공간부(122)에 차연부재(130, 130a)가 각각 설치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실시 예에 따른 출입문의 차연구조물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화재시 발생하는 뜨거운 열기 및 유해가스는 문틀(200)과 도어(100) 사이의 틈새로 이동하며 도어(100) 끝단부의 공간부(122)에 설치된 차연부재(130a)를 가열하게 되고, 계속해서 도어 테두리부(140)의 설치홈(142)에 설치된 차연부재(130)를 가열하게 된다. 동시에 화재시 발생된 열은 도어(100)의 외측패널(110)을 가열하게 된다. 외측패널(110)의 표면을 가열하는 열은 외측패널(110)의 끝단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외측패널(110)과 내측패널(120)을 다중 절곡시켜 형성된 공간부(122)에 설치된 차연부재(130a)를 가열하고, 계속해서 이동하여 도어 테두리부(140)에 설치된 차연부재(130)를 가열하게 된다. 이렇게 문틀(200)과 도어(100) 사이의 틈새로 이동하는 열과 외측패널(110)을 통하여 이동되는 열은 동시에 차연부재(130a)를 가열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차연부재(130a)가 가열되어 일정한 온도 이상이 되면, 도어(100)의 끝단 공간부(122)에 설치된 차연부재(130a)가 문틀(200)의 단턱부(210) 방향으로 부피가 팽창하여 문틀(200)과 도어(100)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키게 되고, 또한, 도어 테두리부(140)에 설치된 차연부재(130)가 문틀(200)의 내측면 방향으로 부피가 팽창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200)과 도어(100) 사이를 밀폐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문틀(200)과 도어(100) 사이는 설치홈(142)과 공간부(122)에 설치되어 가열에 의해 팽창되는 차연부재(130, 130a)가 밀폐시켜 다중 차단하게 되므로 유해가스의 유입/유출이 차단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4실시 예인 출입문의 차연구조물을 도시한 횡단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4실시 예인 출입문의 차연구조물은 도어 테두리부(140)와 접촉되는 문틀(200)의 내측면(220)에 형성되는 설치홈(240)에 설치되는 차연부재(130)로 구성된다.
설치홈(240)은 차연부재(130)가 설치되기 위한 것으로, 문틀(200)의 일부가 도어 테두리부(140)측으로 개구되도록 다중 절곡되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설치홈(240)에는 차연부재(13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화재시 발생하는 뜨거운 열기 및 유해가스는 문틀(200)과 도어(100) 사이의 틈새로 이동하게 되고, 문틀(200)의 내측면에 다중 절곡되어 형성된 설치홈(240)에 삽입된 차연부재(130)를 가열하게 된다. 동시에 뜨거운 열은 금속의 재질로 이루어진 문틀(200)을 가열하게 되고, 문틀(200)을 가열하는 열은 문틀(200)을 따라 이동하여 문틀(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설치홈(240)을 가열하게 되어 설치홈(240)에 설치된 차연부재(13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문틀(200)과 도어(100) 사이로 이동되는 열과 문틀(200)을 가열하여 차연부재(130)에 전달되는 열에 의해 차연부재(130)는 부피가 팽창하여 설치홈(240)의 외측방향, 즉 도어 테두리부(140) 방향으로 부피가 팽창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200)과 도어(100) 사이를 밀폐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화재시 발생하는 유해가스가 문틀(200)과 도어(100)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5실시 예인 출입문의 차연구조물을 도시한 횡단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5실시 예인 출입문의 차연구조물은, 도어(100)를 이루는 외측패널(110)과 내측패널(120)의 끝단부가 다중 절곡되어 형성되는 공간부(122)에 설치되는 차연부재(130)와 차연부재(130)의 일면에 차연패킹(150)이 고정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 내지 제 4실시 예와 같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차연패킹(150)은 평상시 문틀(200)과 도어(100) 사이로 연기 및 각종 이물질이 통과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을 갖는 고무재,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지며, 도어(100)의 공간부(122)에 설치되는 차연부재(130)의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부(152)와 고정부(152)의 일단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자체 탄성에 의해 문틀(200)에 밀착되는 날개부(154)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도어(100)와 멀리 떨어진 곳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화재시 발생하는 유해가스는 대기 중에서 일어나는 공기의 흐름을 따라 이동하여 도어(100)와 문틀(200) 사이의 틈새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도어(100)와 문틀(200) 사이의 틈새로 이동하는 유해가스는 차연부재(130)의 일면에 설치되어 도어(100)와 문틀(200)을 밀폐시키는 차연패킹(150)에 의해 차단되어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는 게 되는 것이다.
또한, 화재가 확산되어 도어(100)와 문틀(200) 사이의 틈새로 이동하는 열은 도어(100) 끝단 공간부(122)에 설치되는 차연부재(130)를 가열하여 차연부재(13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동시에 도어(100)의 외측패널(110)을 가열하여 도어(100)의 끝단부측으로 전도되는 열에 의해 차연부재(130)의 온도가 더욱 상승하게 된다. 계속해서 이동되며 전도되는 열에 의해 차연부재(130)의 온도가 상승하여 차연부재(130)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차연부재(130)는 문틀(200) 방향으로 부피가 팽창되며 도어(10)와 문틀(200) 사이를 밀폐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화재시 발생하는 유해가스와 열이 문틀(200)과 도어(100)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6실시 예인 출입문의 차연구조물을 도시한 횡단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6실시 예인 출입문의 차연구조물은, 고정부(162)의 일측에 반구형의 밀착부(164)가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5실시 예와 같다.
이와 같은 구조의 차연구조물은 반구형의 밀착부(164)가 탄성에 의해 문틀(200)에 밀착되므로 평상시 또는 화재시 발생하는 유해가스가 문틀(200)과 도어(100)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출입문의 차연구조물은 화재시 문틀과 도어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부피가 팽창되는 차연부재가 문틀과 도어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화재시 문틀과 도어 사이를 밀폐시켜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출입문의 차연구조물을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출입문의 차연구조물을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출입문의 차연구조물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실시 예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4실시 예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5실시 예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6실시 예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9는 종래 출입문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종래 출입문의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도어 110 : 외측패널
120 : 내측패널 122: 공간부
124 : 걸림돌기 130 : 차연부재
140 : 도어 테두리부 142, 240 : 설치홈
150, 160 : 차연패킹 200 : 문틀

Claims (10)

  1. 화재시 문틀과 도어의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부피가 팽창되는 차연부재가 문틀과 도어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의 차연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연부재는 아민계의 합성수지, 방화제, 발포제, 단열탄화 형성제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의 차연구조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연부재는 도어 테두리부측의 내측패널이 문틀측으로 개구되도록 다중 절곡되어 형성되는 설치홈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의 차연구조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외측패널과 내측패널의 단부가 상기 문틀의 단턱부 방향으로 다중 절곡되어 형성된 공간부에 차연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의 차연구조물.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연부재는 도어의 외측패널과 내측패널의 단부가 상기 문틀의 단턱부 방향으로 다중 절곡되어 형성되는 공간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의 차연구조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에는 내측패널의 일부가 상기 도어 테두리부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차연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의 차연구조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연부재의 외측에는 문틀에 밀착되어 평상시 문틀과 도어 사이로 연기가 통과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연패킹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의 차연구조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차연패킹은 자체 탄성을 갖도록 고무재, 합성수지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연부재의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단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자체 탄성에 의해 문틀에 밀착되는 날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의 차연구조물.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차연패킹은 자체 탄성를 갖도록 고무재, 합성수지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연부재의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외측면에서 반구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자체 탄성에 의해 문틀에 밀착되는 밀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의 차연구조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연부재는 문틀의 내측면 일부가 도어 테두리부측으로 개구되도록 다중 절곡되어 형성되는 설치홈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의 차연구조물.
KR20-2005-0019819U 2005-07-07 2005-07-07 출입문의 차연구조물 KR2003963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819U KR200396315Y1 (ko) 2005-07-07 2005-07-07 출입문의 차연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819U KR200396315Y1 (ko) 2005-07-07 2005-07-07 출입문의 차연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315Y1 true KR200396315Y1 (ko) 2005-09-20

Family

ID=43697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819U KR200396315Y1 (ko) 2005-07-07 2005-07-07 출입문의 차연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315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747Y1 (ko) * 2008-12-05 2010-05-12 (주)금강이엠씨 단열 및 기밀성이 향상된 도어
KR101651107B1 (ko) * 2016-03-28 2016-08-25 권일혁 방열문
KR20170060228A (ko) * 2015-11-23 2017-06-01 이교준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
KR101792971B1 (ko) * 2017-02-22 2017-11-20 문홍정 방열기능이 강화된 방화문
KR101918148B1 (ko) 2018-06-18 2018-11-14 (주)영남유리산업 발포 차열단열재를 갖는 방화문
KR102362519B1 (ko) * 2021-04-08 2022-02-14 김정호 잠금수단이 개선된 화재 대피실용 차열 방화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747Y1 (ko) * 2008-12-05 2010-05-12 (주)금강이엠씨 단열 및 기밀성이 향상된 도어
KR20170060228A (ko) * 2015-11-23 2017-06-01 이교준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
KR101865030B1 (ko) * 2015-11-23 2018-06-11 앤에스티 주식회사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
KR101651107B1 (ko) * 2016-03-28 2016-08-25 권일혁 방열문
KR101792971B1 (ko) * 2017-02-22 2017-11-20 문홍정 방열기능이 강화된 방화문
KR101918148B1 (ko) 2018-06-18 2018-11-14 (주)영남유리산업 발포 차열단열재를 갖는 방화문
KR102362519B1 (ko) * 2021-04-08 2022-02-14 김정호 잠금수단이 개선된 화재 대피실용 차열 방화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6315Y1 (ko) 출입문의 차연구조물
KR101840760B1 (ko) 방화문과 그 제작방법
KR200390271Y1 (ko) 방화문
KR20200079859A (ko) 방화문 장치
KR20200001031U (ko) 방화문의 투시창 프레임 구조
KR102313725B1 (ko) 내화 발포 가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댐퍼
JP2020112026A (ja) シャッター建具
JP2014034862A (ja) 戸体、及び開口部装置
KR102034978B1 (ko) 단열 및 결로방지 도어
JP6385661B2 (ja) ドア
KR20190002640U (ko) 현관 방화문 장치
JP2005351008A (ja) 合成樹脂製引違い窓
KR20170112500A (ko) 결로 방지용 방화문
JPH09184373A (ja) 断熱建具の装着構造
JP5209956B2 (ja) 換気装置
KR102126939B1 (ko) 전후방 결로방지부가 구비된 방화문
KR20220013883A (ko) 이중 단열 방화 유리문
KR200296712Y1 (ko) 단열창호
JP6700076B2 (ja) 風止め板付窓装置
JP6744832B2 (ja) 建具
KR101951918B1 (ko) 차열 기능을 향상시킨 방화문
KR101580874B1 (ko) 창호시스템
KR100754921B1 (ko) 방화셔터용 비상탈출문 브래킷
JP6843684B2 (ja) 建具
KR20100025039A (ko) 도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