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107B1 - 방열문 - Google Patents

방열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107B1
KR101651107B1 KR1020160036765A KR20160036765A KR101651107B1 KR 101651107 B1 KR101651107 B1 KR 101651107B1 KR 1020160036765 A KR1020160036765 A KR 1020160036765A KR 20160036765 A KR20160036765 A KR 20160036765A KR 101651107 B1 KR101651107 B1 KR 101651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door
deformable member
wall
layer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6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일혁
Original Assignee
권일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일혁 filed Critical 권일혁
Priority to KR1020160036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1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 E05Y2800/416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smoke or g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지연시키는 방열문에 관한 것으로서, 계단형 밀폐 구조로 인해 화재의 확산을 직접적으로 지연시킬 수 있고, 가변부재를 통해 산소가 발화점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발화점에서 발생하는 유독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화재가 발생할 때 자동으로 도어부에 소정의 결속력을 부여할 수 있어 문이 개방됨으로써 발화점으로 대량의 산소가 유입되어 폭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어부 및 방열문은 전면 및 후면 방향의 복수개 구성으로 구획되고 이를 조립함으로써 도어부 및 방열문을 구성하기 때문에 일 방향에서 발생한 열기가 반대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지연시키거나, 도어에 붙은 불씨가 반대 방향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방열문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방열문{FIRE DOOR}
본 발명은 방열문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 시 화재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지연시킴으로써 인명 및 재산 피해를 낮출 수 있는 방열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또는 외부에서 발생한 화재의 확산을 지연시키고, 화재로 인해 발생하는 유독가스의 배출을 차단하는 방열문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화재의 확산 및 초기 진화를 위하여 건물 등의 문에 방열문을 사용하곤 한다. 방열문은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유독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지연하는 목적을 가진다. 방열문은 일반적으로 30분 내지 1시간의 화재의 확산 지연시간을 충족시켜야 한다. 한편, 오늘날 규제로 인해 방열문을 필수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부분도 존재한다.
종래의 방열문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플렌지와 같이 계단형상의 도어 및 문틀을 구성하여 도어와 문틀이 밀폐되는 면적을 넓힘으로써 열기 등을 차단한다. 더 나아가, 유독가스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고무 또는 실리콘 그 외의 연질 재질을 패킹으로 형성하여 유독가스를 차단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열문은, 내열제 등을 통해 화재를 지연시킬 수 있으나, 전해진 열기로 인해 고무 같은 재질의 패킹이 녹아 유독가스를 용이하게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06571호는 매립형 도어 힌지를 가지는 안전 방화문 문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 힌지부에 소정의 홈을 형성하고 그 안에 돔 형상의 고무 밀폐 패킹을 구비함으로써 화재로 발생하는 유독가스를 차단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선행문헌의 경우 유독가스를 차단할 수 있는 수단이 고무 밀폐 패킹 만이 존재하고,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연질 패킹의 경우 화재의 열로 녹아 더 해로운 유독가스를 배출하고, 밀폐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유독가스가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06571호 (2015.01.19.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3994호 (2012.09.12.공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화재 발생시 화재를 진압하거나, 지연하거나, 유독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방열문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계단형 또는 플렌지가 형성되는 도어 및 문틀을 구성하여 열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지연할 수 있는 방열문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도어 및 문틀 사이로 기체가 통과되는 것을 차단하여 외부에서 발화점으로 산소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화재를 진압하거나,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방열문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도어 및 문틀 사이로 유독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열문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문틀 및 도어의 구성을 구획하여 전면 방향 또는 후면 방향에서 반대되는 방향으로 화재 열이 전달되는 것을 지연시키거나 차단할 수 있는 방열문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내화재와 더불어 도어 내부의 열 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고, 소정의 내화재가 연소되더라도, 다른 내화재에 열이 전달되거나, 불씨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열문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방열문에 불씨가 옮겨 붙거나, 열이 전달되더라도, 반대되는 방향으로 손쉽게 불씨가 전달되거나, 열기가 전달되지 않는 도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문틀부의 전면 방향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계단형 제 1 층면, 도어부의 후면 방향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제 1 층면과 마주보는 계단형 제 2 층면, 제 1 층면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 2 층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ㄷ”형상의 제 1 홈부를 형성하는 제 1 벽부, 제 2 층면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 1 층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ㄷ”형상의 제 2 홈부를 형성하는 제 2 벽부, 제 1 벽부의 내측 벽면에 구비되어 온도 변화에 따라 제 1 홈부 방향으로 휘어지는 제 1 가변부재 및 제 2 벽부의 내측 벽면에 구비되어 온도 변화에 따라 제 2 홈부 방향으로 휘어지는 제 2 가변부재를 포함하고, 제 1 가변부재 및 제 2 가변부재는 온도 변화에 따라 상호 마주보는 면이 서로 접하게 됨으로써 문틀부 및 도어부를 밀폐시키며, 문틀부 도어부의 각 구성이 전면 방향 및 후면 방향을 기준으로 구획되고 각 구성을 조립함으로써 문틀부 및 도어부 형상을 갖는 방열문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를 진압하거나, 지연하거나, 유독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계단형 또는 플랜지가 형성되는 도어부 및 문틀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화재 열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지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홈부에 패킹부가 더 구비될 수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발화점으로 산소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화재를 진압하거나,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패킹부가 더 구비될 수 있기 때문에 도어부 및 문틀부 사이로 유독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온도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가변부재로 인해 열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의 산소가 발화점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유독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변부재는 서로 포개어지기 때문에 소정의 결속력을 갖게 되고 이로 인해 외부에서 발화점이 되는 곳의 문을 개방하여 폭발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문틀부 및 도어부는 전면 방향 및 후면 방향으로 구획되는 복수의 구성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화재의 열기가 반대되는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도어부의 내부 공간이 전면 방향 및 후면 방향으로 구획될 수 있기 때문에 내화재에 불씨가 옮겨 붙더라도 불씨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문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틀부 및 도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틀부의 각 구성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의 각 구성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부재 및 패킹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문은 테 형상의 문틀부(10), 문틀부(10)와 힌지부를 통해 힌지 연결되는 판 형상의 도어부(20)를 포함한다. 상세하게, 문틀부(10)는 내주면에 계단 성형되는 제 1 층면(100), 제 1 층면(100)에 형성되는 제 1 벽부(110) 및 제 1 벽부(110)에 구비되는 제 1 가변부재(300)를 포함하고, 도어부(20)는 외주면에 계단 성형되는 제 2 층면(200), 제 2 층면(200)에 형성되는 제 2 벽부(210) 및 제 2 벽부(210)에 구비되는 제 2 가변부재(310)를 포함한다. 이제부터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문틀부(10)는 직사각형으로 구비될 수 있고, 테 형상으로 구비된다. 테 형상으로 구비되는 문틀부(10)는 일측에 도어부(20)와 힌지부를 통해 힌지 연결된다. 문틀부(10)의 개구된 공간은 도어부(20)가 들어맞도록 도어부(20)의 크기와 동일한 공간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도어부(20)가 힌지 운동을 통해 수월하게 밀폐 또는 개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는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문틀부(10) 및 도어부(20)가 전면 방향에 구비되는 힌지부를 통해 체결되고, 도어부(20)는 전면 방향으로 개방되고, 후면 방향으로 밀폐되는 것을 기준 방향성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문틀부(10)는 제 1 층면(1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문틀부(10)는 전면 방향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 1 층면(100)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문틀부(10)는 내주면에 전면 방향으로 계단형 제 1 층면(100)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더 상세하게, 문틀부(10)는 후면 방향 내주면을 따라 플렌지가 형성되어 계단 형상을 갖는 제 1 층면(100)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테 형상의 문틀부(10)는 내주면에 소정 높이 또는 깊이를 갖는 제 1 층면(100)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층면(100)과 제 1 층면(100)에 구비되는 각 구성요소는 하나가 구비되는 것을 일례로 하였지만, 복수의 층면이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층면에 각각 구성요소가 구비되어 보다 방열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어부(20)는 제 2 층면(2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도어부(20)는 후면 방향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 2 층면(200)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어부(20)는 외주면에 후면 방향으로 계단형 제 2 층면(200)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더 상세하게, 도어부(20)는 전면 방향 외주면을 따라 플렌지가 형성되어 계단 형상을 갖는 제 2 층면(20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층면(200)과 제 2 층면(200)에 구비되는 각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제 1 층면(100)과 동일한 개수 및 위치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층면(100) 및 제 2 층면(200)을 기준 방향으로 구비하면, 문틀부(10)의 제 1 층면(100)과 도어부(20)의 제 2 층면(200)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갖는다. 또한, 제 1 층면(100) 및 제 2 층면(200)의 계단형상으로 인해 도어부(20)는 힌지 운동으로 인해 밀폐 시에 문틀부(10)를 후면 방향으로 넘어갈 수 없게 된다. 구체적으로, 문틀부(10)에 형성되는 플렌지 또는 계단형상의 제 1 층면(100)과 도어부(20)에 형성되는 플렌지 또는 계단형상의 제 2 층면(200)은 문틀부(10) 및 도어부(20)가 밀폐되었을 때 서로 마주보며 포개어진다.
제 1 벽부(110)는 제 1 층면(100) 상에 형성된다. 상세하게, 제 1 벽부(110)는 제 1 층면(100)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 2 층면(20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벽부(110)는 제 1 층면(100)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됨으로써 제 1 층면(100) 상에 “ㄷ”형상의 제 1 홈부(120)가 형성된다. 한편, 제 1 벽부(110)는 도어부(20)에 형성되는 제 2 홈부(220) 내측으로 삽입된다.
제 2 벽부(210)는 제 2 층면(200) 상에 형성된다. 상세하게, 제 2 벽부(210)는 제 2 층면(200)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 1 층면(10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 2 벽부(210)는 제 2 층면(200)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됨으로써 제 2 층면(200) 상에 “ㄷ”형상의 제 2 홈부(220)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벽부(110)는 도어부(20)에 형성되는 제 2 홈부(220)로 삽입되고, 제 2 벽부(210)는 문틀부(10)에 형성되는 제 1 홈부(120)로 삽입된다.
제 1 가변부재(300)는 온도 변화에 따라 일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구비된다. 상세하게, 제 1 가변부재(300)는 제 1 홈부(120)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가변부재(300)는 제 1 벽부(110)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더 상세하게, 제 1 가변부재(300)는 제 1 벽부(110)의 제 1 홈부(120) 방향 벽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가변부재(300)는 제 1 벽부(110)의 내측 벽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 1 가변부재(300)는 소정의 면 만이 제 1 벽부(110)와 체결되고, 나머지 소정 면은 제 1 벽부(110)에 부착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제 1 가변부재(300)는 제 1 벽부(110)의 내측 벽면에 설치되되, 제 1 층면(100) 방향의 소정의 면은 제 1 벽부(110)에 고정 체결되고, 제 1 벽부(110)의 돌출된 방향의 나머지 소정의 면은 제 1 벽부(110)에 고정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 1 가변부재(300)는 온도 변화에 따라 제 1 홈부(120)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제 1 가변부재(300)는 제 1 층면(100) 방향의 일단은 제 1 벽부(110)에 고정되고, 온도 변화에 따라 타단이 제 1 홈부(120) 방향으로 휘어진다.
제 2 가변부재(310)는 도어부(20)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제 1 가변부재(300) 및 문틀부(10)와 대응되는 방향 및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2 가변부재(310)는 온도 변화에 따라 일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구비된다. 상세하게, 제 2 가변부재(310)는 제 2 홈부(220)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 2 가변부재(310)는 제 2 벽부(210)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 2 가변부재(310)는 제 2 벽부(210)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더 상세하게, 제 2 가변부재(310)는 제 2 벽부(210)의 제 2 홈부(220) 방향 벽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가변부재(310)는 제 2 벽부(210)의 내측 벽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 2 가변부재(310)는 소정의 면 마ㄴ이 제 2 벽부(210)와 체결되고, 나머지 소정 면은 제 2 벽부(210)에 부착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제 2 가변부재(310)는 제 2 벽부(210)의 내측 벽면에 설치되되, 제 2 층면(200) 방향의 소정의 면은 제 2 벽부(210)에 고정 체결되고, 제 2 벽부(210)의 돌출된 방향의 나머지 소정의 면은 제 2 벽부(210)에 고정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 2 가변부재(310)는 온도 변화에 따라 제 2 홈부(220)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제 2 가변부재(310)는 제 2 층면(200) 방향의 일단은 제 2 벽부(210)에 고정되고, 온도 변화에 따라 타단이 제 2 홈부(220) 방향으로 휘어진다. 즉, 문틀부(10) 및 도어부(20)가 서로 포개어져 밀폐되었을 때 제 1 가변부재(300) 및 제 2 가변부재(310)는 각각 제 1 벽부(110) 및 제 2 벽부(210)에 체결되어 각각 제 1 홈부(120) 및 제 2 홈부(220)에 위치된다. 상세하게, 문틀부(10) 및 도어부(20)가 밀폐되었을 때, 제 1 벽부(110)에 구비되는 제 1 가변부재(300)는 제 2 홈부(220)에 위치되고, 제 2 벽부(210)에 구비되는 제 2 가변부재(310)는 제 1 홈부(120)에 위치된다. 또한, 문틀부(10) 및 도어부(20)가 밀폐되었을 때 온도가 변화하게 되면, 제 1 가변부재(300) 및 제 2 가변부재(310)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휘어진다. 따라서, 제 1 가변부재(300) 및 제 2 가변부재(310)는 상호 대칭되는 형상 및 위치로 구비되기 때문에 온도 변화 시 제 1 가변부재(300) 및 제 2 가변부재(310)의 각 타단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휘어지고, 상호 마주보는 면이 서로 접하게 됨으로써 문틀부(10) 및 도어부(20)의 소정의 틈이 밀폐된다.
제 1 가변부재(300) 및 제 2 가변부재(310)는 온도 변화에 따라 일방향으로 휘어지도록 구비된다. 상세하게, 제 1 가변부재(300) 및 제 2 가변부재(310)는 각각 열 팽창률이 상이한 제 1 금속(301) 및 제 2 금속(302)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1 가변부재(300) 및 제 2 가변부재(310)는 각각 열 팽창률이 상이한 제 1 금속(301) 및 제 2 금속(302)이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이메탈(bimetal)로 구비될 수 있다. 제 1 가변부재(300) 및 제 2 가변부재(310)는 각각 온도변화에 따라 일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일 방향에 위치되는 제 1 금속(301)의 열 팽창률보다 타 방향에 위치되는 제 2 금속(302)의 열 팽창률이 높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되는 제 1 가변부재(300) 및 제 2 가변부재(310)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각각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되는 제 1 금속(301)의 열 팽창률보다 서로 대항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 2 금속(302)의 열 팽창률이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제 1 홈부(120) 및 제 2 홈부(220)에는 패킹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1 홈부(120) 및 제 2 홈부(220)는 고무와 같이 연질 재질로 구비되어 기체가 지나가지 못하도록 문틀부(10) 및 도어부(20)를 밀폐시키는 패킹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1 홈부(120)는 제 2 벽부(210)에 의해 가압되는 제 1 패킹부(400)가 구비될 수 있고, 제 2 홈부(220)는 제 1 벽부(110)에 의해 가압되는 제 2 패킹부(41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문틀부(10)와 도어부(20)가 서로 포개어져 밀폐되었을 때, 제 1 벽부(110)는 제 2 패킹부(410)를 가압하고 제 2 벽부(210)는 제 2 패킹부(410)를 가압하기 때문에 보다 견고하게 밀폐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또 다른 일례로서, 제 1 패킹부(400)는 제 1 층면(100) 및 제 1 가변부재(300)와 접하는 “ㄴ”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1 패킹부(400)는 “ㄴ”형상으로 구비되어 제 1 가변부재(300) 및 제 1 층면(100)에 접하도록 구비되고, 제 1 가변부재(300)가 온도 변화에 따라 일 방향으로 휘어짐에 따라 제 1 패킹부(400)의 일면도 제 1 가변부재(300)와 함께 휘어질 수 있다. 제 2 패킹부(410)도 제 1 패킹부(400)와 마찬가지로 제 2 층면(200)과 제 2 가변부재(310)와 접하도록 “ㄱ”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패킹부(400) 및 제 2 패킹부(410)는 제 1 가변부재(300) 및 제 2 가변부재(31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휘어져 상호 타단이 접하게 될 때, 제 1 패킹부(400) 및 제 2 패킹부(410)도 이와 함께 이동되어 접하기 때문에 보다 견고하게 밀폐될 수 있다. 이때, 제 1 패킹부(400)의 제 1 가변부재(300)의 제 1 층면(100)과 접하는 타면과 제 2 패킹부(410)의 제 2 가변부재(310)의 제 2 층면(200)과 접하는 타면에 각각 제 1 벽부(110)와 제 2 벽부(210)에 가압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 1 패킹부(400)의 일면 및 제 2 패킹부(410)의 일면도 각 타면과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제 1 가변부재(300) 및 제 2 가변부재(310)의 가변에 따라 함께 수월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얇은 두께로 구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제 1 패킹부(400) 및 제 2 패킹부(410)는 소정 영역이 각 벽부(110, 210)에 가압되어 밀폐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 영역의 에어캡 또는 소정 공간이 구비되는 아치 형 패킹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문틀부(10) 및 도어부(20)는 전면 방향 및 후면 방향이 서로 단열되고, 각 부재의 내부 열 전달을 낮추되, 내부에 구비되는 제 1 가변부재(300) 및 제 2 가변부재(310)로의 열 전달은 높일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문틀부(10)는 제 1 문틀프레임(11) 및 제 2 문틀프레임(12)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문틀부(10)는 전면 방향에 위치되는 제 1 문틀 프레임 및 후면 방향에 위치되는 제 2 문틀프레임(12)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문틀프레임(11) 및 제 2 문틀프레임(12)이 체결됨에 따라 문틀부(10)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문틀프레임(11)은 단면이
Figure 112016029428129-pat00001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주면에 제 1 벽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문틀프레임(12)은 단면이
Figure 112016029428129-pat00002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단면이
Figure 112016029428129-pat00003
형상을 갖는 제 1 문틀프레임(11)은 전면 방향에 위치되고, 단면이
Figure 112016029428129-pat00004
형상을 갖는 제 2 문틀프레임(12)은 후면 방향에 위치되며, 제 1 문틀프레임(11) 및 제 2 문틀 프레임이 서로 체결되어 문틀부(10)를 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문틀프레임(11)은 내주면에 제 1 벽부(110)를 포함하는데, 제 2 문틀프레임(12)의 내주면 방향 일단(112)이 제 1 벽부(110) 내측(111)으로 삽입되어 문틀부(10)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문틀프레임(11) 및 제 2 문틀프레임(12)의 결합을 통해 문틀부(10)를 구성하기 때문에 전면 방향의 제 1 문틀프레임(11)과 후면 방향의 제 2 문틀프레임(12)이 서로 단열되어 한 쪽 방향에서 발생한 화재의 열기가 반대 방향으로 신속하게 절단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또한, 제 1 벽부(110)에 부착되는 제 1 가변부재(300)는 볼트(500)와 같은 관통 체결수단 등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1 벽부(110) 및 제 1 가변부재(300)는 볼트(500)를 통해 관통되어 체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벽부(110), 제 1 벽부(110) 내부에 삽입되는 제 2 문틀프레임(12) 및 제 1 가변부재(300)는 볼트(500)를 통해 관통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벽부(110)를 포함하는 제 1 문틀프레임(11), 제 2 문틀프레임(12) 및 제 1 가변부재(300)는 볼트(500)를 통해 관통 체결된다. 즉, 전면 방향에 위치되는 제 1 문틀프레임(11) 및 후면 방향에 위치되는 제 2 문틀프레임(12)은 서로 단열되는 특징을 갖는다. 반면, 제 1 가변부재(300)는 방열문 내측 방향에 위치되기 때문에 열 전달이 용이하지 않아 온도 변화에 따라 가변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볼트(500)를 통해 전면 방향 또는 후면 방향에서 발생한 화재의 열기가 제 1 가변부재(300)로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어 화재가 발생한 후 빠른 시간 내에 신속하게 제 1 가변부재(300)가 가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전면 방향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전면 방향에 위치한 제 1 문틀프레임(11)의 온도가 높아지는데, 높아진 온도가 볼트(500)를 통해 제 1 가변부재(300)로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후면 방향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후면 방향에 위치한 제 2 문틀프레임(12)의 온도가 높아지는데, 높아진 온도가 볼트(500)를 통해 제 1 가변부재(300)로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다. 즉, 전면 방향 또는 후면 방향의 화재로 인해 온도가 높아지게 되면,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한 제 1 문틀프레임(11) 또는 제 2 문틀프레임(12)에는 하나의 문틀부(10)로 이루어졌을 때 보다 온도 전달이 늦은 반면, 내부에 위치한 제 1 가변부재(300)에는 온도 전달이 비교적 신속하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밀폐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도어부(20)는 제 1 도어프레임(21), 제 2 도어프레임(22) 및 제 3 도어프레임(2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도어부(20)는 전면 방향에 위치되는 제 1 도어프레임(21), 제 1 도어프레임(21) 내부에 위치되는 제 2 도어프레임(22) 및 후면 방향에 위치되는 제 3 도어프레임(23)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도어프레임(21) 및 제 3 도어프레임(23)은 서로 체결됨에 따라 도어부(20)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 제 2 도어프레임(22)이 제 1 도어프레임(21) 내부에 더 구비됨에 따라 열 전도성을 낮춤과 더불어, 도어부(20)의 내부가 제 2 도어프레임(22)으로 인해 두 개로 구획되기 때문에 보다 단열 효과가 높다. 구체적으로, 제 1 도어프레임(21)은
Figure 112016029428129-pat00005
형상으로 구비되어 외주면에 제 2 벽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도어프레임(22)은 단면이
Figure 112016029428129-pat00006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3 도어프레임(23)은 단면이
Figure 112016029428129-pat00007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단면이
Figure 112016029428129-pat00008
형상을 갖는 제 1 도어프레임(21)은 전면 방향에 위치되고, 단면이
Figure 112016029428129-pat00009
형상을 갖는 제 2 도어프레임(22)은 제 1 도어프레임(21) 내부에 위치하며, 단면이
Figure 112016029428129-pat00010
형상을 갖는 제 3 도어프레임(23)은 후면 방향에 위치되며, 제 1 도어프레임(21), 제 2 도어프레임(22) 및 제 3 도어프레임(23)이 서로 체결되어 도어부(20)를 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주면에 제 2 벽부(210)를 포함하는 제 1 도어프레임(21), 제 1 도어프레임(21) 내부로 삽입되는 제 2 도어프레임(22) 및 제 3 도어프레임(23) 외주면 방향 일단(212)이 제 2 벽부(210) 내측(211)으로 삽입되어 도어부(20)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도어프레임(21), 제 2 도어프레임(22) 및 제 3 도어프레임(23)의 결합을 통해 도어부(20)를 구성하기 때문에 전면 방향의 제 1 도어프레임(21)과 후면 방향의 제 3 도어프레임(23)이 서로 단열되어 한 쪽 방향에서 발생한 화재의 열기가 신속하게 전달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더 나아가, 제 1 도어프레임(21) 및 제 3 도어프레임(23)의 결합에 의해 생성되는 내부 공간은 단열제로 채워지는데, 단열제는 제 2 도어프레임(22)에 의해 구획되기 때문에 열 전달을 늦출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제 2 벽부(210)에 부착되는 제 2 가변부재(310)는 볼트(500)와 같은 관통 체결수단 등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2 벽부(210) 및 제 2 가변부재(310)는 볼트(500)를 통해 관통되어 체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 2 벽부(210) 및 제 2 가변부재(310)는 볼트(500)를 통해 관통되어 체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 2 벽부(210), 제 2 벽부(210) 내부에 삽입되는 제 3 도어프레임(23) 및 제 2 가변부재(310)는 볼트(500)를 통해 관통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벽부(210)를 포함하는 제 1 도어프레임(21), 제 3 도어프레임(23) 및 제 2 가변부재(310)는 볼트(500)를 통해 관통 체결된다 즉, 전면 방향에 위치되는 제 1 도어프레임(21) 및 후면 방향에 위치되는 제 3 도어프레임(23)은 서로 단열되는 특징을 갖는다. 반면, 제 2 가변부재(310)는 방열문 내측 방향에 위치되기 때문에 열 전달이 용이하지 않아 온도 변화에 따라 가변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볼트(500)를 통해 전면 방향 또는 후면 방향에서 발생한 화재의 열기가 제 2 가변부재(310)로 신속하게 전달 될 수 있어 화재가 발생한 후에 빠른 시간내에 신속하게 제 2 가변부재(310)가 가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구체적인 일레로, 전면 방향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전면 방향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전면 방향에 위치한 제 1 도어프레임(21)의 온도가 높아지는데, 높아진 온도가 볼트(500)를 통해 제 2 가변부재(310)로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후방 방향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후면 방향에 위치한 제 3 도어프레임(23)의 온도가 높아지는데, 높아진 온도가 볼트(500)를 통해 제 2 가변부재(310)로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다. 즉, 전면 방향 또는 후면 방향의 화재로 인해 온도가 높아지게 되면,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한 제 1 문틀프레임(11) 또는 제 2 문틀프레임(12)에는 하나의 문틀부(10)로 이루어졌을 때 보다 온도 전달이 늦은 반면, 내부에 위치한 제 2 가변부재(310)는 온도 전달이 비교적 신속하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밀폐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방열문의 도어부(20) 및 문틀부(10) 내부의 공간에는 불연재 또는 내화재 등의 다양한 화학 성질을 갖는 내자제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 문틀부 20: 도어부
11: 제 1 문틀프레임 12: 제 2 문틀프레임
21: 제 1 도어프레임 22: 제 2 도어프레임
23: 제 3 도어프레임
100: 제 1 층면 110: 제 1 벽부
120: 제 1 홈부 200: 제 2 층면
210: 제 2 벽부 220: 제 2 홈부
300: 제 1 가변부재 310: 제 2 가변부재
301: 제 1 금속 302: 제 2 금속
400: 제 1 패킹부 410: 제 2 패킹부
500: 볼트

Claims (7)

  1. 테 형상의 문틀부(10) 및 상기 문틀부(10)와 힌지 연결되는 판 형상의 도어부(20)를 포함하는 방열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문틀부(10)의 전면 방향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계단형 제 1 층면(100);
    상기 도어부(20)의 후면 방향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 1 층면(100)과 마주보는 계단형 제 2 층면(200);
    상기 제 1 층면(100)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 2 층면(200) 방향으로 돌출되어 “ㄷ”형상의 제 1 홈부(120)를 형성하는 제 1 벽부(110);
    상기 제 2 층면(200)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 1 층면(100) 방향으로 돌출되어 “ㄷ”형상의 제 2 홈부(220)를 형성하는 제 2 벽부(210);
    상기 제 1 벽부(110)의 내측 벽면에 구비되어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제 1 홈부(120) 방향으로 휘어지는 제 1 가변부재(300); 및
    상기 제 2 벽부(210)의 내측 벽면에 구비되어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제 2 홈부(220) 방향으로 휘어지는 제 2 가변부재(31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변부재(300) 및 상기 제 2 가변부재(310)는 온도 변화에 따라 상호 마주보는 면이 서로 접하게 됨으로써 상기 문틀부(10) 및 상기 도어부(20)를 밀폐시키며,
    상기 제 1 가변부재(300)는 상기 제 1 층면(100) 방향의 소정 영역이 상기 제 1 벽부(110)와 체결되고,
    상기 제 2 가변부재(310)는 상기 제 2 층면(200) 방향의 소정 영역이 상기 제 2 벽부(210)와 체결되며,
    상기 제 1 가변부재(300) 및 상기 제 2 가변부재(310)는 온도 변화에 따라 가변 시 상호 타단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휘어지고,
    상기 제 1 홈부(120)는 상기 제 2 벽부(210)에 가압되는 제 1 패킹부(400)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홈부(220)는 상기 제 1 벽부(110)에 가압되는 제 2 패킹부(410)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패킹부(400)는 상기 제 1 층면(100) 및 상기 제 1 가변부재(300)와 접하도록 “ㄴ”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2 패킹부(410)는 상기 제 2 층면(200) 및 상기 제 2 가변부재(310)와 접하도록 “ㄱ”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 1 가변부재(300) 및 상기 제 2 가변부재(310)는 각각 열 팽창률이 상이한 제 1 금속(301) 및 제 2 금속(302)을 접한 바이메탈로 구비되고,
    상기 제 1 가변부재(300) 및 상기 제 2 가변부재(310)는 각각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 1 금속(301)의 열 팽창률 보다 서로 대항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 2 금속(302)의 열 팽창률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부(10)는,
    단면이
    Figure 112016029428129-pat00011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주면에 상기 제 1 벽부(110)를 포함하는 제 1 문틀프레임(11) 및
    단면이
    Figure 112016029428129-pat00012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 2 문틀프레임(12)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문틀프레임(11)은 상기 전면 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문틀 프레임은 상기 후면 방향에 위치되어 상기 제 2 문틀프레임(12)의 내주면 방향 일단(112)이 상기 제 1 벽부(110) 내측(111)으로 삽입되어 상기 문틀부(10)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20)는,
    상기 전면 방향에 위치되고 단면이
    Figure 112016029428129-pat00013
    형상으로 구비되어 외주면에 상기 제 2 벽부(210)를 포함하는 제 1 도어프레임(21),
    단면이
    Figure 112016029428129-pat00014
    형상을 갖는 제 2 도어프레임(22) 및
    단면이
    Figure 112016029428129-pat00015
    형상을 갖고 상기 후면 방향에 위치되는 제 3 도어프레임(23)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어프레임(21)은 상기 전면 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도어프레임(22)은 상기 제 1 도어프레임(21)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 3 도어프레임(23)은 상기 후면 방향에 위치되며, 상기 제 3 도어프레임(23)의 끝단(212)이 상기 제 2 벽부(210) 내측(211)으로 삽입되어 상기 도어부(20)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문.
KR1020160036765A 2016-03-28 2016-03-28 방열문 KR101651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765A KR101651107B1 (ko) 2016-03-28 2016-03-28 방열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765A KR101651107B1 (ko) 2016-03-28 2016-03-28 방열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1107B1 true KR101651107B1 (ko) 2016-08-25

Family

ID=56884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765A KR101651107B1 (ko) 2016-03-28 2016-03-28 방열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1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65554A (zh) * 2017-06-28 2017-09-15 杭州华博消防设备有限公司 隔热防火门及其制造方法
CN107178290A (zh) * 2017-06-28 2017-09-19 杭州华博消防设备有限公司 免漆隔热防火门及其制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271Y1 (ko) * 2005-04-14 2005-07-22 조현식 방화문
KR200396315Y1 (ko) * 2005-07-07 2005-09-20 동방노보펌 주식회사 출입문의 차연구조물
KR101009746B1 (ko) * 2010-08-13 2011-01-19 김봉명 3중 밀폐형 방화문
KR101253994B1 (ko) 2011-03-02 2013-04-11 최원겸 화염속도진행 저지용 방화문
KR20150006571A (ko) 2013-07-09 2015-01-19 장승철 매립형 도어 힌지를 가지는 안전 방화문 문틀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271Y1 (ko) * 2005-04-14 2005-07-22 조현식 방화문
KR200396315Y1 (ko) * 2005-07-07 2005-09-20 동방노보펌 주식회사 출입문의 차연구조물
KR101009746B1 (ko) * 2010-08-13 2011-01-19 김봉명 3중 밀폐형 방화문
KR101253994B1 (ko) 2011-03-02 2013-04-11 최원겸 화염속도진행 저지용 방화문
KR20150006571A (ko) 2013-07-09 2015-01-19 장승철 매립형 도어 힌지를 가지는 안전 방화문 문틀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65554A (zh) * 2017-06-28 2017-09-15 杭州华博消防设备有限公司 隔热防火门及其制造方法
CN107178290A (zh) * 2017-06-28 2017-09-19 杭州华博消防设备有限公司 免漆隔热防火门及其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65302B (zh) 照明设备及其改进
KR101651107B1 (ko) 방열문
US8517568B2 (en) Embedded type lamp with heat radiating device
MX2011004412A (es) Unidad de iluminacion.
KR101769009B1 (ko) 내화용 폼 패드와 차열재에 의해 복합 열화 차단 구조를 갖는 전기 케이블 방화 시스템
JP2012140785A (ja) 複層ガラス窓の防火構造
JP6262965B2 (ja) 建具
KR101646704B1 (ko) 방열문 제조 방법
US10363443B2 (en) Passive ductwork intumescent fire damper
JP2015209933A (ja) 防火区画壁貫通孔に使用する耐火処理具および耐火処理構造
KR101663462B1 (ko) 화기배출구조를 갖는 방화문
KR101580874B1 (ko) 창호시스템
KR20170112500A (ko) 결로 방지용 방화문
KR101985631B1 (ko)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CN209146909U (zh) 一种嵌入式防火天花灯
KR101505114B1 (ko) 방화문
JP6162037B2 (ja) 防火戸構造
JP2008510943A (ja) 隔壁の設置構造用の火災保護構造
GB2563040A (en) Downlight assembly
KR102147021B1 (ko) 냉동고용 슬라이드식 방열차단 구조를 갖춘 도어 프레임
JPH1111839A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戸
FR2681635A1 (fr) Chambranle de porte avec garniture coupe-feu.
KR20190110392A (ko) 방화문용 실링부재
KR102477848B1 (ko) 커튼월창틀프레임
KR20210071407A (ko) 결로 방지용 방화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