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1459B1 - 전천후 무결로 도어 - Google Patents

전천후 무결로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1459B1
KR101561459B1 KR1020140051047A KR20140051047A KR101561459B1 KR 101561459 B1 KR101561459 B1 KR 101561459B1 KR 1020140051047 A KR1020140051047 A KR 1020140051047A KR 20140051047 A KR20140051047 A KR 20140051047A KR 101561459 B1 KR101561459 B1 KR 101561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eating film
film unit
power
temperature dif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1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홍제
Original Assignee
(주)삼선씨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선씨에스에이 filed Critical (주)삼선씨에스에이
Priority to KR1020140051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4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나 일반 주택에서 사용되는 세대 문, 대피실문 , 실외기실문 등 외기와 접촉하는 방화문에, 내/외부 온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문(도어)의 실내에 면하는 판의 안쪽에 발열체를 설치하여, 실내온도와 내부 문의 표면의 온도 차이를 줄여주는 전천후 무결로 도어를 얻기 위한 것인 바,
외부판재와 내부판재의 사이에 단열재를 형성하고, 상시 외부판재와 내부판재의 결합면에는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도록 열차단 및 밀폐부재를 형성한 도어;
상기 도어의 내외의 온도 차이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를 형성하고, 상기 온도 차이가 설정된 범위에서 벗어날 경우에 내부판재의 배면에 장착된 난방필름 단위체에 온도차가 발생되는 부분을 선별하여 전원을 공급하도록 분배부를 형성하고, 제어부는 내외부온도의 차이가 설정된 범위에 도달시 단열필름 단위체에 전원공급을 공급하여 결로가 발생되는 취약한 부분에 선별적으로 제어하도록 형성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전천후 무결로 도어{Statment dew condensation Outdoor}
본 발명은 전천후 무결로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나 일반 주택에서 사용되는 세대 문, 대피실문 등 외기와 접촉하는 방화문에, 내/외부 온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문(도어)의 실내에 면하는 판의 안쪽에 발열체(난방필름 단위체)를 설치하여, 실내온도와 내부 문의 표면의 온도 차이를 줄여주는 전천후 무결로 도어에 관한 것이다.
통상, 아파트의 세대별 출입문이나 빌딩의 현관문, 실외기실 문, 대피공간 방화문, 실내 발코니 출입문 등에는 철판을 절곡하여 성형되는 도어(D)와 문틀(F)이 설치되는데, 화재시 난연과 방화를 유지하는 기능성과 함께 실 내외의 인테리어와 조화되는 장식성을 구비하도록 설계된다. 이때, 각종 건축물의 출입문은 외ㆍ내부 간에 온도 차이에 의한 결로현상을 제대로 방지하지 못할 뿐 아니라, 방풍 및 단열 성능 등에 있어서도 일반적인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건축기술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소비자는 보다 높은 성능과 기능성을 갖춘 도어를 요구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이러한 수준의 도어 개발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종전까지의 결로 방지 도어는 외부 온도가 내부로 전도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고효율 단열재를 사용하며, 철판을 소재로 하는 방화문의 경우, 철을 통한 온도전달을 막기 위해, 외부와 맞닿는 철판과 내부에 맞닿는 철판 사이에 열 저항이 높은 소재를 통해 접합함으로써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려하였으나 내부외 외부의 온도차가 커짐에 따라 내부면에 결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결로현상은 내부도어의 표면 전체에 발생이 되는 것이 아니라 측면 또는 결로가 생기는 부분의 온도차이가 가장 많이 발생되는 것을 선별적으로 처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공개실용신안 20-2010-0011143(2010,11,1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과제는 외부온도와 내부온도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방화문의 내부면에 발열체(난방필름)을 형성하여 내부면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한 전천후 무결로 도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문의 실내에 면하는 철판의 안쪽에 난방필름을 설치하여 도어와 실내의 온도 차이가 설정된 온도이상 발생할 경우, 발생이 되는 위치에 집중적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난방필름 단위체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하여 결로현상을 막는 전천후 무결로 도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은
외부판재와 내부판재의 사이에 단열재를 형성하고, 상시 외부판재와 내부판재의 결합면에는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도록 열차단 및 밀폐부재를 형성한 도어본체; 상기 도어본체 내외의 온도 차이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를 형성하고, 상기 온도 차이가 설정된 범위에서 벗어날 경우에 내부판재의 배면에 장착된 난방필름 단위체에 선별하여 전원을 공급하도록 분배부를 형성하고, 상기 분배부는 발열 단위체에 전원을 선별하여 공급하도록 각 난방필름 단위체에 전선을 연결하고, 제어부는 내외부온도의 차이가 설정된 범위에 도달시 난방필름 단위체에 전원공급을 공급하여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형성하도록 달성하였다.
본 발명의 전천후 무결로 도어는 겨울철 낮은 외부 온도와, 내부 난방으로 높은 온도로 인해 발생하는 온도차에 의해, 세대 문, 대피실문 등 외기와 접촉하는 문의 내부 표면 온도가 이슬점 온도 이하로 떨어짐으로서, 내부에 물방울이 맺히는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효과가 있으며, 특히 문의 부분적으로 발생되는 부분을 감지하여 각각의 난방필름 단위체에 전원을 분배하여 공급하도록 형성하여 불필요한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전기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전천후 무결로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천후 무결로 도어의 제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천후 무결로 도어를 도시한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내부판재에 난방필름 단위체를 배열한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전천후 무결로 도어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전천후 무결로 도어는
일반적으로 방음 방화문는 문틀(100), 내외부 판재(110,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외부 판재의 결합부분에 열차단 및 밀폐부재(130)를 포함한 도어(문,20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열차단 및 밀폐부재(130)는 서로 단절된 내외부 판재와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며, 상기 열차단 및 밀폐부재의 고정력을 보강하기 위해 별도의 보강 브라켓을 판재 사이에 배치하는 것도 좋은데, 이때 보강 브라켓의 재질은 열전도율이 낮은 불연재질로 하여 화재시 내외부의 화기가 인접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재질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겨울철 낮은 외부온도와, 실내의 난방으로 높은 온도로 인해 발생하는 온도차에 의해 내부에 물방울이 맺히는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 내에 결로방지를 위한 난방필름 단위체를 형성하였다.
상기 도어(문)는 문틀과 연결하는 힌지와, 도어락과, 손잡이가 형성되며, 도어 내의 난방필름 단위체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개별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분할설치되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난방필름 단위체에 선택하여 전원을 공급하도록 형성하기 위해, 분배부(240), 온도감지센서, 제어부(210)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상기 난방필름 단위체(250)는 필름과 필름 사이에 발열체 층을 형성하여 전원을 공급하면 발열되도록 형성하고 있으며, 얇은 판으로 형성하여 플렉시블하여 다양한 곡선과 유동이되는 부분에 설치가 가능하면 각각의 별개로 분리하여 설치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결로방지 발열수단으로 불연소재가 코팅된 발열체 원단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불연소재가 코팅된 발열체 원단은 불연소재로 코팅하여 화재시에 불에 견딜 수 있는 재질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차단 및 밀폐부재(130)는 외부판재의 냉기를 내부판재에 전달되지 않도록 내부판재와 결합되는 부분에 합성수지재 성형물을 제작하여 결합하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난방필름 단위체(250)는 도어의 내부판재(110)의 배면에 장착하되 제1 난방필름 단위체(10), 제2 난방필름 단위체(20), 제3 난방필름 단위체(30), 제4 난방필름 단위체(40), 제5 난방필름 단위체(50), 제6 난방필름 단위체(60), 제7 난방 단위체(70), 제8 난방필름 단위체(80), 제9 난방필름 단위체를 형성하여 각 난방필름 단위체에는 각각의 온도감지센서(10-,20-1,30-1,40-1,50-1,60-1,70-1,80-1,90-1)를 형성하였다. 상기 9개의 단위체로 형성하였으나, 4개의 단위로 구획하여 설정이 가능하며, 본 발명은 각 구역의 구획을 2개 내지 9개로 형성이 가능하다.
상기 난방필름 단위체(250)는 온도감지센서가 부착되어 각 구획부분의 온도를 감지하여 실내의 온도와 비교할 수 있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분배부(240)는 문(도어)의 부분별로 구획화하여 제1 난방필름 단위체(10), 제2 난방필름 단위체(20), 제3 난방필름 단위체(30), 제4 난방필름 단위체(40), 제5 난방필름 단위체(50), 제6 난방필름 단위체(60), 제7 난방필름 단위체(70), 제8 난방필름 단위체(80), 제9 난방필름 단위체(90)를 형성하여 각 난방필름 단위체에는 온도감지센서(10-1,20-1,30-1,40-1,50-1,60-1,70-1,80-1,90-1)가 형성되어 내부온도와 도어의 온도차이가 클 경우에 개별적으로 각 난방필름 단위체에 공급하여 결로가 생기는 부분에 집중적으로 열공급을 할 수 있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제어부(190)는 외부전원을 공급과 차단하는 전원스위치(170)와, 접점스위치(180)와 선택스위치(160)으로 형성되며, 실내와 도어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온도감지센서에서 감지하여 온도차이가 10도 이상 시에 난방필름 단위체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형성하여 결로가 생기지 않도록 형성하였다. 또한, 문의 개폐여부에 따라 전원이 차단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접점스위치(180)를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는 선택스위치(160)를 선택하여 전체모드와 개별모드를 형성하여 난방필름 단열체의 전체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거나 각 난방필름 단위체에 개별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권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문틀 110 : 내부판재
120 : 외부판재 130 : 열차단 및 밀폐부재
140 : 손잡이 150 : 경첩
160 : 선택스위치 170 : 전원스위치
180 : 접점스위치 190 : 제어부

Claims (5)

  1. 외부판재와 내부판재의 사이에 단열재를 형성하고, 상시 외부판재와 내부판재의 결합면에는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도록 열차단 및 밀폐부재를 형성한 도어;
    상기 도어의 내외의 온도 차이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를 형성하고, 상기 온도 차이가 설정된 범위에서 벗어날 경우에 내부판재의 배면에 장착된 난방필름 단위체에 온도차가 발생되는 부분을 선별하여 전원을 공급하도록 분배부를 형성하고,
    제어부는 내외부온도의 차이가 설정된 범위에 도달시 난방필름 단위체에 전원공급을 공급하여 결로가 발생되는 취약한 부분에 선별적으로 제어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천후 무결로 도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필름 단위체는
    발열체가 불연소재가 코팅된 발열체 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천후 무결로 도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전원을 공급과 차단하는 전원스위치와, 내외부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온도감지센서에서 실내와 도어의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차이가 10도 이상 시에 난방필름 단위체에 전원을 공급하여 결로가 생기지 않도록 형성하고, 문의 모서리면에 접점스위치를 장착하여, 문이 닫히면 전원을 공급하고 열리면 전원을 차단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천후 무결로 도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부는
    문의 부분별로 구획화하여 난방필름 단위체를 2개 내지 9개를 설치하여 난방필름 단위체에는 각각 온도감지센서가 형성되어 내외부온도와의 차이가 생길 경우에 전원을 개별적으로 각 난방필름 단위체에 공급하여 결로가 생기는 부분에 집중적으로 열공급을 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천후 무결로 도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선택스위치를 선택하여 전체모드와 개별모드로 형성하여 난방필름 단열체의 전체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거나 각 난방필름 단위체에 개별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선택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천후 무결로 도어.
KR1020140051047A 2014-04-28 2014-04-28 전천후 무결로 도어 KR101561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047A KR101561459B1 (ko) 2014-04-28 2014-04-28 전천후 무결로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047A KR101561459B1 (ko) 2014-04-28 2014-04-28 전천후 무결로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1459B1 true KR101561459B1 (ko) 2015-10-30

Family

ID=54431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047A KR101561459B1 (ko) 2014-04-28 2014-04-28 전천후 무결로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14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215B1 (ko) * 2019-03-06 2019-09-17 이원용 결로 방지용 방화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1401A (ja) 2006-02-07 2007-08-23 Daioo:Kk
JP2012144925A (ja) 2011-01-13 2012-08-02 Toyota Home Kk 建物の床加熱システム
JP2013249706A (ja) 2012-06-04 2013-12-12 Sumio Uehara 窓の結露防止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1401A (ja) 2006-02-07 2007-08-23 Daioo:Kk
JP2012144925A (ja) 2011-01-13 2012-08-02 Toyota Home Kk 建物の床加熱システム
JP2013249706A (ja) 2012-06-04 2013-12-12 Sumio Uehara 窓の結露防止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215B1 (ko) * 2019-03-06 2019-09-17 이원용 결로 방지용 방화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46379A1 (en) Insulation configuration for thermal appliances
KR102022215B1 (ko) 결로 방지용 방화문
CN207977652U (zh) 一种室外弱电设备箱
KR101561459B1 (ko) 전천후 무결로 도어
KR101599729B1 (ko) 무결로 기능성 도어
CN104763297A (zh) 一种自行打开或关闭的自动落锁防火门
CN207559366U (zh) 新型开关柜的改进结构
CN206724290U (zh) 一种电热地板砖及采用该电热地板砖的供暖系统
CN207299119U (zh) 一种地暖导热结构
KR101844093B1 (ko) 결로방지 창호
KR101284634B1 (ko) 누수 및 결로로 인한 통신장애 및 기계적 오류를 보완한 직접 디지털 제어기기 및 건물용 시스템
CN203869140U (zh) 一种玻璃面板的电暖器
KR200416574Y1 (ko) 난방기능을 가지는 조립식건물
KR20130097897A (ko) 발열수단이 내장된 도어 프레임
CN203821782U (zh) 基于空气隔热的储热型地暖地板
KR20120108270A (ko) 결로 방지부를 구비한 창호
CN206313306U (zh) 一种智能恒温恒湿配电柜
CN105430967A (zh) 一种服务器控制柜
CN104019485A (zh) 一种玻璃面板的电暖器及其制造方法
CN206469595U (zh) 改良的恒温烘烤房
CN206932498U (zh) 一种rtu通讯柜
KR102146929B1 (ko) 다용도 난방 및 건조챔버
CN108731086A (zh) 一种远红外温热理疗内隔墙
CN205878308U (zh) 一种安全型淋浴房暖风机系统
CN212935283U (zh) 一种防水配电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