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929B1 - 다용도 난방 및 건조챔버 - Google Patents

다용도 난방 및 건조챔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929B1
KR102146929B1 KR1020180165224A KR20180165224A KR102146929B1 KR 102146929 B1 KR102146929 B1 KR 102146929B1 KR 1020180165224 A KR1020180165224 A KR 1020180165224A KR 20180165224 A KR20180165224 A KR 20180165224A KR 102146929 B1 KR102146929 B1 KR 102146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panel
heating
bent por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6279A (ko
Inventor
조성기
Original Assignee
조성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기 filed Critical 조성기
Priority to KR1020180165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929B1/ko
Publication of KR20200076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4/00Buildings for combinations of different purposes not covered by any single one of main groups E04H1/00-E04H13/00 of this subclass, e.g. for double purpose; Buildings of the drive-in typ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04C2/52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24D13/024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in walls, floors, cei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판넬에 의해 외부와 공간을 구획하고 단열을 제공하며, 제1 판넬의 내부면에 탄소 에너지 판넬인 제2 판넬을 결합시킴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난방 또는 건조를 위한 공간에 복사열을 제공하여 단시간에 원하는 실내온도에 도달하여 유지할 수 있는 다용도 난방 및 건조챔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난방 또는 건조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외부와의 공간 구획 및 단열을 위해 설치되는 제1 판넬; 제1 판넬의 내부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복수개 조합하여 장착되어 난방 또는 건조를 위한 공간에 복사열을 제공하는 제2 판넬; 및 제1 판넬 및 탄소 판넬의 일측에 구비된 출입문을 포함하는, 다용도 난방 및 건조챔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용도 난방 및 건조챔버{Multi-use heating and drying chamber}
본 발명은 난방 및 건조챔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탄소 에너지 판넬을 이용한 다용도 난방 및 건조챔버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 실내난방 또는 농업용 건조를 위해 다양한 난방장치 및 건조장치가 출시된 바 있다.
실내를 난방하기 위해 과거부터 사용된 것으로 보일러 난방이 있다.
보일러 난방은 바닥 철거 후 배관설치로 공사기간과 건축비용이 증가하고, 열전도가 상대적으로 느리며 단열효과가 저하되어 연료비가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보일러 난방은 하자요인 발생 가능성이 있고 하자 발생시 보수가 어려우며, 열손실이 많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일러 난방은 현재에도 아파트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니크롬선과 같은 발열체에 전기를 공급하여 줄열에 의한 난방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니크롬선이나 세라믹을 이용한 발열체는 정해진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서미스터와 같은 별도의 소자가 필요하다.
이러한 종래의 난방 발열체는 정해진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온도감지센서, 리드선 등이 추가로 필요하고, 이러한 추가 설비가 손상되면 온도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니크롬선과 같은 난방 발열체는 전자파 발생 가능성이 있고, 바닥 등에 설치하고 시멘트 등으로 시공한 후 시멘트에 크랙이 갈 경우 피복이 탈피되어 단선될 위험이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난방 발열체는 바닥의 온도만 높이므로 상층부의 공기를 데우기 어렵고, 금속성 소재로 동절기에 동파 위험이 있다.
한편, 건조장치는 피건조물의 형상과 물성, 용도에 따라 열풍건조, 동결건조 등 여러가지 방식이 있다. 열풍건조는 타 건조방식에 비해 건조시간이 길고, 고른 건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가열건조 방식이 등장하였으나, 건조장치의 제작 및 유지비용이 크고 전자파 발생 때문에 실내 난방 겸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단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 KR등록특허공보 제1483930호(2015.01.20.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발열 효율을 극대화하고, 난방 및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단위 유닛 조합에 의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다용도 난방 및 건조챔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난방 및 건조챔버는 내부에 난방 또는 건조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외부와의 공간 구획 및 단열을 위해 설치되는 제1 판넬; 제1 판넬의 내부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복수개 조합하여 장착되어 난방 또는 건조를 위한 공간에 복사열을 제공하는 제2 판넬; 및 제1 판넬 및 탄소 판넬의 일측에 구비된 출입문을 포함한다.
또한, 제2 판넬의 내부면으로 이루어진 공간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는 내부에 소금이 수용된 파이프가 바닥면으로부터 천장면 방향으로 배치되되, 파이프의 상단은 천장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단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판넬은, 평판 형상의 금속판; 금속판의 가장자리와 연결되면서 금속판에 대해 절곡된 제1 절곡부; 제1 절곡부의 가장자리와 연결되면서 제1 절곡부에 대해 절곡되어 금속판과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금속판과의 사이에 제1 절곡부의 높이만큼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절곡부; 금속판과 제1 절곡부 및 제2 절곡부가 이루는 공간에 금속판과 접하도록 배치되는 탄소분말과 합성수지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히팅 라인; 각 히팅 라인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어 전원으로부터 히팅 라인에 전류를 인가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절곡부에 각각 배치되는 전선; 히팅 라인과 전선이 금속판에 밀착되고 히팅 라인에 전류 인가시 발생하는 열이 금속판 방향으로 복사되도록 히팅 라인과 전선 전체를 커버하는 알루미늄 박막; 가장자리가 제2 절곡부에 접착되고, 알루미늄 박막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되, 알루미늄 박막과 마주보는 제1 면은 표면 상태가 상대적으로 거칠고 제1 면의 이면인 제2 면은 제1 면에 비해 표면 상태가 상대적으로 매끈하며 광택을 띄어 바닥이나 벽으로부터의 습기가 히팅 라인과 전선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포; 및 알루미늄 박막과 방수포 사이에 충진되어 알루미늄 박막을 금속판 방향으로 밀착시키고 히팅 라인에서 발생하여 알루미늄 박막에 의해 금속판 방향으로 복사되는 열이 방수포 방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복사열을 보온하는 우레탄 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판넬은 금속판의 일측에 한 쌍 구비되며, 개방되어 전선의 가장자리 한 쌍을 금속판 외부로 인출시키는 단자 인출공; 단자 인출공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며 단자 인출공의 가장자리가 알루미늄 박막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금속판과 단자 인출공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는 단턱; 단자 인출공의 일측에 구비되되 단자 인출공에 인접한 금속판과 제1 절곡부의 일부에 걸쳐 개방되어 전선의 단부를 제1 절곡부 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인출공; 보조 인출공이 구비된 제1 절곡부와 인접한 제1 절곡부에 형성되며, 알루미늄 박막과 방수포 사이에 우레판 폼을 주입할 수 있도록 출입구를 제공하는 한 쌍의 주입구; 및 단턱에 내주면이 끼워져 위치가 고정되며 금속판과 방수포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고, 원주면에 전선 인입홀이 구비되는 원통 형상의 부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판넬에 의해 외부와 공간을 구획하고 단열을 제공하며, 제1 판넬의 내부면에 탄소 에너지 판넬인 제2 판넬을 결합시킴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난방 또는 건조를 위한 공간에 복사열을 제공하여 단시간에 원하는 실내온도에 도달하여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소금이 수용된 파이프를 코너부에 설치하여 실내의 중앙부에 비해 복사열과 대류열의 열회전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코너를 가열하여 열손실을 막고 실내 공간 전체가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적인 열선 발열체와 달리 가열된 탄소의 복사열에 의해 난방을 수행하므로 실내의 바닥뿐만 아니라 상층부의 공기까지 빠른 시간에 데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판넬의 단위 유닛을 조합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실내의 바닥은 물론, 벽과 천정에도 설치하여 일정 온도에 이르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발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판넬의 히팅 라인에 알루미늄 박막을 부착하여 히팅 라인에 전류 인가시 발생하는 열이 금속판 방향으로 복사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판넬의 단자 인출공과 단턱, 보조 인출공과 부스의 결합구조를 통해 히팅 라인에 전류를 인가할 전선의 단부를 깔끔하고 안정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판넬의 알루미늄 박막과 방수포 사이에 알루미늄 박막을 충진하여 알루미늄 박막을 금속판 방향으로 밀착시키고, 히팅 라인에서 발생하여 알루미늄 박막에 의해 금속판 방향으로 복사되는 열이 방수포 방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복사열을 보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판넬의 알루미늄 박막과 마주보는 면은 상대적으로 거칠도록 하여 우레탄 폼과의 결속력을 증진시키고, 그 이면은 상대적으로 매끈하면서 광택을 띄도록 하여 바닥이나 벽으로부터의 습기가 히팅 라인과 전선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판넬의 탄소 소재의 히팅 라인이 그 자체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써미스터와 같은 소자가 불필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난방 및 건조챔버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난방 및 건조챔버의 A-A' 수직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좌측면도,
도 5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6은 도 1 중 제2 판넬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1 중 제 2판넬의 전개도,
도 9 내지 도 14는 제2 판넬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제2 판넬의 실제 설치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난방 및 건조챔버는 다양한 규격으로 제조되어 가정용 및 산업용 난방, 농축수산물 및 임산물 건조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난방 및 건조챔버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난방 및 건조챔버의 A-A' 수직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좌측면도, 도 5는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면에는 편의상 다용도 난방 및 건조챔버가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난방 및 건조챔버는 직육면체 이외에도 정육면체 또는 여러 형상의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면에는 제1 판넬과 제2 판넬이 각각 바닥, 천장, 전후좌우의 총 6장으로 구성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제2 판넬은 제1 판넬의 내부면 중 일부에만 장착될 수도 있다. 예컨대, 바닥을 제외한 5방향에 제2 판넬이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어느 한 방향의 제1 판넬 또는 제2 판넬은 여러 장의 판넬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좌측면은 3장의 제1 판넬이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제2 판넬의 경우에도 도 15와 같이 직사각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복수개의 제2 판넬을 조합하여 체결 등의 방식으로 서로 결합하면 다양한 규격의 다용도 난방 및 건조챔버를 만들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난방 및 건조챔버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판넬(102), 제2 판넬(104), 출입문(106), 파이프(108), 흡입구(110), 및 배출구(112, 1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판넬(102)은 내부에 난방 또는 건조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외부와의 공간 구획 및 단열을 위해 설치된다. 일례로 제1 판넬은 샌드위치 판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판넬의 구체적인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판넬이 바닥, 천장, 전후좌우의 6방향에 모두 설치된다. 각 방향의 제1 판넬은 단일 또는 복수개가 조합될 수 있음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제2 판넬(104)은 제1 판넬(102)의 내부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복수개 조합하여 장착된다. 제2 판넬(104)은 난방 또는 건조를 위한 공간에 복사열을 제공한다. 제2 판넬(104)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출입문(106)은 제1 판넬(102) 및 제2 판넬(104)의 일측에 구비된다. 도면에서는 여닫이 형태의 출입문이 도시되어 있으나, 미닫이를 포함한 다른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파이프(108)는 제2 판넬(104)의 내부면으로 이루어진 공간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예컨대, 파이프(108)는 도 1과 같이 공간의 네 코너에 위치할 수 있다. 파이프(108)는 금속 재질, 특히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파이프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파이프(108)는 바닥면으로부터 천장면 방향으로 배치된다. 파이프(108)의 상단은 도 2와 같이 천장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단은 개구되어 상단 개구부를 갖는다. 이러한 파이프(108)의 구조는 파이프 내부에 수용된 소금의 표면이 실내의 열기에 노출되도록 하고, 천장 방향의 제2 판넬(104)로부터 복사열이 직접 파이프(108)의 상단 개구부로 입사되도록 하고 파이프의 내부를 거쳐 하부에 수용된 소금까지 열기가 미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실내의 열기가 대류에 의해 순환하면서 파이프(108)의 상단 개구부로 들어가 내부의 소금을 가열하기도 한다.
또한, 스테인리스 재질의 파이프는 접촉 또는 근접해 있는 제2 판넬로부터 직접 복사열을 받아 열을 전도하면서 내부의 소금을 가열한다. 파이프(108) 내부의 소금은 비열과 열용량이 커서 많은 양의 열을 머금고 파이프(108)를 데움으로써, 실내의 중앙부에 비해 복사열과 대류열의 열회전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코너를 가열하여 열손실을 막고 실내 공간 전체가 균일하게 가열하도록 한다.
흡입구(110)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공급한다. 흡입구(110)는 도 3과 같이 정면 하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흡입구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흡입구(110)에는 밸브가 구비되어 외기 유입량을 개폐하거나 조절할 수 있다.
배출구(112, 114)는 실내의 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난방용인 경우에는 실내의 습기를 배출할 필요가 없으나, 건조용인 경우에는 농산물 등의 건조시 발생하는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야 한다. 배출구(112, 114)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좌측면과 우측면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배출구의 위치와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제2 판넬(104)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1 중 제2 판넬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 중 제 2판넬의 전개도이며, 도 9 내지 도 14는 제2 판넬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제2 판넬의 실제 설치 사진이다.
제2 판넬은 실내의 바닥, 벽, 천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금속판(2)은 방수포(50) 또는 방수처리된 알루미늄판으로 막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방수포가 적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제2 판넬은 금속판(2), 제1 절곡부(4), 제2 절곡부(6), 단자 인출공(10), 단턱(12), 보조 인출공(14), 주입구(16), 부스(20), 히팅 라인(30), 전선(32), 고정 테이프(34), 알루미늄 박막(40), 방수포(50), 및 인출공 커버(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금속판(2)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금속판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도면에는 직사각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금속판(2)은 다양한 색상으로 도색될 수 있으며, 실내난방용인 경우 바닥, 벽, 천정 등 사용자가 접하는 표면에 컬러를 띄어 미감을 형성할 수 있다.
금속판(2)의 네 변에는 제1 절곡부(4)와 제2 절곡부(6)가 형성된다. 제1 절곡부(4)와 제2 절곡부(6)는 금속판(2)과 방수포(5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절곡부(4)는 금속판(2)의 가장자리와 연결되면서 금속판(2)에 대해 절곡된다. 일례로 제1 절곡부(4)는 금속판(2)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도 8 기준으로 제1 절곡부(4)는 지면에서 수직으로 나오는 방향으로 접혀진다.
제2 절곡부(6)는 제1 절곡부(4)의 가장자리와 연결되면서 제1 절곡부(4)에 대해 절곡되어 금속판(2)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2 절곡부(6)는 금속판(2)과의 사이에 제1 절곡부(4)의 높이만큼 공간을 형성한다.
제2 절곡부(6)의 양측 단부는 모따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의 전개도에서 제1 절곡부(4)와 제2 절곡부(6)를 접어올리면 제1 절곡부(4) 끼리는 서로 만나서 간섭되는 부분이 없으며, 제2 절곡부(6)의 단부끼리는 서로 간섭되므로 인접한 제2 절곡부(6)끼리 모따임에 의해 서로 겹치지 않고 도 7과 같이 접촉되도록 한다.
단자 인출공(10)은 금속판(2)의 일측에 한 쌍 구비되며, 개방되어 전선(32)의 가장자리 한 쌍을 금속판 외부로 인출시킨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일례로 단자 인출공(10)은 금속판(2)의 어느 한 단변의 양단에 원형으로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단자 인출공의 형상과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단턱(12)은 단자 인출공(1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며, 단자 인출공(10)의 가장자리가 알루미늄 박막(4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금속판(2)과 단자 인출공(10) 사이에 단차를 형성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단턱(12)에는 부스(20)가 삽입되며, 단턱(12)은 부스(2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보조 인출공(14)은 단자 인출공(10)의 일측에 구비된다. 보조 인출공(14)은 단자 인출공(10)에 인접한 금속판(2)과 제1 절곡부(4)의 일부(도 6 내지 도 9 참조)에 걸쳐 개방되어 전선(32)의 단부를 제1 절곡부(4) 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선(32)을 제1 절곡부(4) 방향으로 인출하면 탄소 난방 에너지 판넬의 설치시 배선 라인을 깔끔하고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주입구(16)는 보조 인출공(14)이 구비된 제1 절곡부와 인접한 제1 절곡부에 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보조 인출공(14)은 장변에 위치한 제1 절곡부(4)에 형성되고, 주입구(16)는 장변과 인접한 단변에 위치한 제1 절곡부에 형성된다. 주입구(16)는 알루미늄 박막(40)과 방수포(50) 사이에 우레탄 폼(미도시)을 주입할 수 있도록 출입구를 제공한다.
주입구(16)는 한 쌍 구비되어 전체 공간에 골고루 우레탄 폼이 주입될 수 있도록 한다.
부스(20)는 단턱(12)에 내주면이 끼워져 위치가 고정되며 금속판(2)과 방수포(50) 사이에 공간을 확보한다. 부스(2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부스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부스(20)의 원주면에는 전선 인입홀(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전선(32) 단부가 전선 인입홀을 관통한 후 부스(20) 내부로 인출된다. 전선 인입홀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의 하부에 위치한 확대도에서 부스(20)의 상부에는 전선 단부가 부스 내부로 인입하는 전선 인입홀이 형성되고 부스의 우측에는 부스 외부로 인출시키는 전선 인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부스 외부로 인출된 전선 단부는 보조 인출공(14)으로 빠져 나간다.
히팅 라인(30)은 금속판(2)과 제1 절곡부(4) 및 제2 절곡부(6)가 이루는 공간에 금속판(2)과 접하도록 복수개 배치된다. 일례로 도 11과 같이 직사각형의 단변에 서로 나란하도록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전선(32)은 각 히팅 라인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어 전원으로부터 히팅 라인에 전류를 인가한다. 전선(32)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절곡부에 각각 배치되며, 일례로 도 11과 같이 직사각형의 장변에 배치될 수 있다.
히팅 라인(30)은 탄소분말과 합성수지의 혼합물로 이루어져 전류 인가시 복사열을 방출시킨다. 예컨대, 히팅 라인은 탄소분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믹싱기 등을 이용하여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탄소분말과 혼합하여 막대 형태로 압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탄소 격자가 폴리머 매트릭스 내부로 확산되어 도전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이에 따라 전기전도도가 커지며 비저항 값이 최소가 되고, 온도가 계속 증가할 경우 열팽창으로 탄소 격자의 입자간 거리가 멀어지면서 다시 비저항이 증가하고 전기전도도가 작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탄소 소재의 히팅 라인이 그 자체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써미스터와 같은 소자가 불필요하다.
고정 테이프(34)는 알루미늄 박막(40)을 금속판(2)에 부착하기 전에 임시로 히팅 라인(30)을 금속판(2)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알루미늄 박막(40)은 히팅 라인(30)과 전선(32)이 금속판(2)에 밀착되고 히팅 라인(30)에 전류 인가시 발생하는 열이 금속판(2) 방향으로 복사되도록 히팅 라인(30)과 전선(32) 전체를 커버한다. 알루미늄 박막(40)의 부착면에는 금속판(2)과의 접착이 가능하도록 접착 물질이 도포되어 있다.
방수포(50)는 금속판(2)의 개방부를 커버한다.
방수포(50)의 가장자리는 제2 절곡부(6)에 접착된다. 방수포(50)는 알루미늄 박막(40) 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방수포(50)가 종이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양 표면이 다른 성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 박막(40)과 마주보는 제1 면은 표면 상태가 상대적으로 거친 것이 우레탄 폼과의 결속력 증진을 위해 바람직하다. 제1 면의 이면인 제2 면은 제1 면에 비해 표면 상태가 상대적으로 매끈하면서 광택을 띄는 것이 바닥이나 벽으로부터의 습기가 히팅 라인과 전선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인출공 커버(60)는 우레탄 폼 주입작업을 완료하고 전선 단부를 보조 인출공으로 인출한 후 단자 인출공(10)과 보조 인출공(14) 일부를 커버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2 판넬이 실내 바닥에 설치되어 있으며, 인출공 커버(60)에 의해 단자 인출공과 보조 인출공 일부가 폐쇄되어 있다.
도 15와 같이 단자 인출공이 위치한 금속판은 실내 난방용 또는 건조용에서 사용자와 접하거나 마주보는 바닥면, 벽면, 천정면을 향하고, 방수포 또는 방수처리된 알루미늄판은 사용자와 접하거나 마주보는 면과 반대 방향(제1 판넬이 위치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다음으로, 제2 판넬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평판 형상의 금속판에 단자 인출공과 단턱, 보조 인출공과 주입구를 형성하고, 제1 절곡부와 제2 절곡부를 형성한 후, 단자 인출공의 단턱에 원통 형상의 부스를 삽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부스의 원주면에 드릴 등을 이용하여 전선 인입홀을 형성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금속판과 제1 절곡부 및 제2 절곡부가 이루는 공간에 탄소분말과 합성수지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히팅 라인과 각 히팅 라인의 양측 단부에 연결된 전선을 배치한다. 이때 고정 테이프를 이용하여 히팅 라인을 금속판에 임시로 고정시킨다. 한편, 전선의 단부는 부스에 형성된 전선 인입홀에 관통시켜 부스 내부 또는 보조 인출공으로 빼낸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히팅 라인과 전선이 금속판에 밀착되고 히팅 라인에 전류 인가시 발생하는 열이 금속판 방향으로 복사되도록 히팅 라인과 전선 전체를 커버하는 알루미늄 박막을 부착한다.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작업은 영역을 나누어 복수회 수행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방수포의 가장자리를 제2 절곡부에 접착시켜 방수포와 알루미늄 박막 사이에 공간을 형성시킨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절곡부의 주입구를 통해 알루미늄 박막과 방수포 사이에 우레탄 폼을 충진하여 알루미늄 박막을 금속판 방향으로 밀착시키고 히팅 라인의 복사열을 보온한다.
우레탄 폼의 충진이 완료되면 도 15과 같이 인출공 커버를 씌우고, 주입구는 알루미늄 박막 등으로 밀봉시킨다.
제2 판넬은 설치하고자 하는 면적에 따라 단위 유닛 복수개를 적절히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 금속판 4 - 제1 절곡부
6 - 제2 절곡부 10 - 단자 인출공
12 - 단턱 14 - 보조 인출공
16 - 주입구 20 - 부스
30 - 히팅 라인 32 - 전선
34 - 고정 테이프 40 - 알루미늄 박막
50 - 방수포 60 - 인출공 커버
102 - 제1 판넬 104 - 제2 판넬
106 - 출입문 108 - 파이프
110 - 흡입구 112, 114 - 배출구

Claims (4)

  1. 내부에 난방 또는 건조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외부와의 공간 구획 및 단열을 위해 설치되는 제1 판넬;
    제1 판넬의 내부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복수개 조합하여 장착되어 난방 또는 건조를 위한 공간에 복사열을 제공하는 제2 판넬; 및
    제1 판넬 및 제2 판넬의 일측에 구비된 출입문
    을 포함하고,
    제2 판넬의 내부면으로 이루어진 공간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는 내부에 소금이 수용된 파이프가 바닥면으로부터 천장면 방향으로 배치되되, 파이프의 상단은 천장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단 개구부를 갖는, 다용도 난방 및 건조챔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제2 판넬은,
    평판 형상의 금속판;
    금속판의 가장자리와 연결되면서 금속판에 대해 절곡된 제1 절곡부;
    제1 절곡부의 가장자리와 연결되면서 제1 절곡부에 대해 절곡되어 금속판과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금속판과의 사이에 제1 절곡부의 높이만큼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절곡부;
    금속판과 제1 절곡부 및 제2 절곡부가 이루는 공간에 금속판과 접하도록 배치되는 탄소분말과 합성수지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히팅 라인;
    각 히팅 라인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어 전원으로부터 히팅 라인에 전류를 인가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절곡부에 각각 배치되는 전선;
    히팅 라인과 전선이 금속판에 밀착되고 히팅 라인에 전류 인가시 발생하는 열이 금속판 방향으로 복사되도록 히팅 라인과 전선 전체를 커버하는 알루미늄 박막;
    가장자리가 제2 절곡부에 접착되고, 알루미늄 박막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되, 알루미늄 박막과 마주보는 제1 면은 표면 상태가 상대적으로 거칠고 제1 면의 이면인 제2 면은 제1 면에 비해 표면 상태가 상대적으로 매끈하며 광택을 띄어 바닥이나 벽으로부터의 습기가 히팅 라인과 전선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포; 및
    알루미늄 박막과 방수포 사이에 충진되어 알루미늄 박막을 금속판 방향으로 밀착시키고 히팅 라인에서 발생하여 알루미늄 박막에 의해 금속판 방향으로 복사되는 열이 방수포 방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복사열을 보온하는 우레탄 폼
    을 포함하는, 다용도 난방 및 건조챔버.
  4. 제3항에 있어서,
    금속판의 일측에 한 쌍 구비되며, 개방되어 전선의 가장자리 한 쌍을 금속판 외부로 인출시키는 단자 인출공;
    단자 인출공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며 단자 인출공의 가장자리가 알루미늄 박막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금속판과 단자 인출공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는 단턱;
    단자 인출공의 일측에 구비되되 단자 인출공에 인접한 금속판과 제1 절곡부의 일부에 걸쳐 개방되어 전선의 단부를 제1 절곡부 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인출공;
    보조 인출공이 구비된 제1 절곡부와 인접한 제1 절곡부에 형성되며, 알루미늄 박막과 방수포 사이에 우레판 폼을 주입할 수 있도록 출입구를 제공하는 한 쌍의 주입구; 및
    단턱에 내주면이 끼워져 위치가 고정되며 금속판과 방수포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고, 원주면에 전선 인입홀이 구비되는 원통 형상의 부스
    를 더 포함하는, 다용도 난방 및 건조챔버..
KR1020180165224A 2018-12-19 2018-12-19 다용도 난방 및 건조챔버 KR102146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224A KR102146929B1 (ko) 2018-12-19 2018-12-19 다용도 난방 및 건조챔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224A KR102146929B1 (ko) 2018-12-19 2018-12-19 다용도 난방 및 건조챔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279A KR20200076279A (ko) 2020-06-29
KR102146929B1 true KR102146929B1 (ko) 2020-08-21

Family

ID=71401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224A KR102146929B1 (ko) 2018-12-19 2018-12-19 다용도 난방 및 건조챔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9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445Y1 (ko) * 1997-02-18 1999-10-15 박진수 보일러용 온수x-l파이프에 알루미늄방열판을 붙인 조립식 온돌 판넬
KR101483446B1 (ko) * 2014-04-04 2015-01-16 진우건철(주) 발포우레탄을 이용한 컨테이너 하우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0710U (ja) * 1991-10-24 1993-06-01 松下電工株式会社 床暖房パネ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445Y1 (ko) * 1997-02-18 1999-10-15 박진수 보일러용 온수x-l파이프에 알루미늄방열판을 붙인 조립식 온돌 판넬
KR101483446B1 (ko) * 2014-04-04 2015-01-16 진우건철(주) 발포우레탄을 이용한 컨테이너 하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279A (ko) 202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374B1 (ko) 탄소 난방 에너지 판넬 및 그 제조방법
CN204670653U (zh) 封闭式送餐车
US4205719A (en) Building module for a ceiling
US20170227239A1 (en) Heating system
CN107091490A (zh) 发热组件和取暖器
KR102146929B1 (ko) 다용도 난방 및 건조챔버
US2012001788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ulating an appliance
CN106049805A (zh) 多功能地暖模块
US2084468A (en) Thermoradiant heating unit
KR101399710B1 (ko) 발열시트를 이용한 작물 건조장치 및 그 건조장치를 이용한 작물 건조방법
KR100846465B1 (ko)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패널형 난방기구
KR200416574Y1 (ko) 난방기능을 가지는 조립식건물
CN207299119U (zh) 一种地暖导热结构
CN206618113U (zh) 一种恒温加热箱
US20180328595A1 (en) Appliance thermal management systems
CN206226742U (zh) 空调室内机的ptc电加热器及空调室内机
JP2006045783A (ja) 電熱建材、電熱壁暖房装置及び電熱床暖房装置並びに施工方法
CN211204193U (zh) 一种防火墙暖结构
JP6541740B2 (ja) 床下空調装置
CN203334575U (zh) 纳米远红外线暖芯瓷砖
CN206669851U (zh) 一种热利用效率高的发热地板
KR101561459B1 (ko) 전천후 무결로 도어
JP2009299989A (ja) 床暖房パネル及びその施工方法
CN104019485A (zh) 一种玻璃面板的电暖器及其制造方法
KR200424476Y1 (ko) 전자파가 없는 조립식 전기온돌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