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040B1 -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밀폐장치 - Google Patents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밀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040B1
KR101874040B1 KR1020170150522A KR20170150522A KR101874040B1 KR 101874040 B1 KR101874040 B1 KR 101874040B1 KR 1020170150522 A KR1020170150522 A KR 1020170150522A KR 20170150522 A KR20170150522 A KR 20170150522A KR 101874040 B1 KR101874040 B1 KR 101874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elevator
fire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170150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0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8Details of seals and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7Devices blocking doors or windows inside its frame in case of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밀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층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엘리베이터의 내부로 침입하는 연기와 유해가스 및 화염을 효율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각 층에 구비된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입구 상측과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문틀 프레임(10)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개폐되도록 문틀 프레임(20)에 설치되며 엘리베이터 도어(25)와 연동하여 개폐되는 한 쌍의 승강장 도어(30)와;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입구 하측에 설치되어 승강장 도어(3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40)과; 승강장 도어(30)의 상측에 설치되는 도어 상부 프레임(31)과; 승강장 도어(30)의 폭 방향 끝단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도어 측부 프레임(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비상구난용 엘리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승강장 도어(30)는, 내측 끝단이 도어 상부 프레임(31)의 중간 위치에서 맞닿아 지그재그 형태 또는 요철 형태로 결합됨과 아울러; 문틀 프레임(10)과 도어 상부 프레임(31) 사이에는 상측 밀폐부가, 문틀 프레임(10)과 도어 측부 프레임(33) 사이에 측면 밀폐부가, 승강장 도어(30)와 하부 프레임(40) 사이에 하측 밀폐부가 각각 형성되며; 각 밀폐부는 하나 이상의 씰링부재(50)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밀폐장치{Door Sealing Structure for Emergency Elevator}
본 발명은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밀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층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엘리베이터의 내부로 침입하는 연기와 유해가스 및 화염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화재 발생층과 그 상층의 사람이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를 통해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밀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층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화재가 발생한 층 및 그 상층의 사람을 안전하게 대피시키는 것은,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유해가스나 연기 및 화염으로 인하여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고층 건축물의 화재는 빠르게 번지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촌음을 다투는 화재의 초기 유효시간 내에 대피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장애인이나 노인, 임산부 및 의료 요양시설의 환자 등은 빠른 대피가 어려워 화재 발생시 인명피해가 커지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이는 실제 화재 현장의 여러 사례에서 나타나고 있다.
화재발생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대피할 수 있다면 더욱 빠르게 대피할 수 있지만, 고층 건축물의 화재시에는 엘리베이터가 화재가 번지는 통로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아, 대부분의 건축물에서는 화재 발생시 엘리베이터의 이용을 제한하고 비상계단을 통해 대피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축법, 소방법 및 승강기 관련법 등에서는 고층 건축물이라 하더라도 일정한 방화구역과 비상계단의 설치를 의무화하고, 화재시에도 사용할 수 있는 비상용 엘리베이터를 일정 대수 이상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화재 현장에서는 방화구역이나 비상계단으로 화재에 의해 발생한 유해가스나 연기 및 화염이 급속하게 확산되어, 방화구역이나 비상계단이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건축물의 외벽을 타고 순식간에 번지는 화재로 인해, 비상계단이나 옥상을 이용한 대피도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또한 현행 기준에 의한 비상용 엘리베이터(소방용 또는 피난용)는, 연기나 열 및 화염을 차단하여 화재 발생시에도 실질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성능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어서, 실제로는 각 층의 운행을 제한하고 소방관 전용 운전 통로로만 사용되고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각 층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설치되는 승강장 도어와, 각 층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정차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통로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카를 구비하며, 승강장 도어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승강통로에 설치되는 도어프레임과, 승강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각 층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수단과; 화재감지수단으로부터 화재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면서 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차단하는 틈새차단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화재발생시에 엘리베이터 내부로 침입하는 연기와 유독가스와 화염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엘리베이터의 탑승객을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한,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엘리베이터의 전면에서 양측으로 개폐되는 한 쌍의 제1도어와 제2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양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의 내측단에는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 전방 차단부와, 상기 전방 차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도어의 두께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연장된 중간 차단부와, 상기 중간 차단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도어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방 차단부(14)와 어긋난 위치에 배열된 후방 차단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도어의 내측단에는 상기 제1도어의 전방 차단부와 나란하도록 연장된 전방 차단부와, 상기 전방 차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제1도어의 중간 차단부와 나란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된 중간 차단부와, 상기 중간 차단부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도어의 상기 후방 차단부와 나란하도록 연장된 후방 차단부가 구비된, 양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엘리베이터 통로에 설치된 좌, 우 한쌍의 도어가 양쪽으로 슬라이딩 작동하면서 여닫게 되는 엘리베이터 도어와;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하부가이드프레임과 상부가이드프레임;으로 구성된 통상의 엘리베이터 도어에 있어서, 한 쌍의 도어 접촉면에는 단차를 이용한 접촉면밀폐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의 측면에는 엘리베이터 입구의 측벽에 고정 설치되는 측벽프레임에 절곡프레임을 형성하고, 이 절곡프레임에 삽입되는 측면보조프레임을 구성하여서 된 측면밀폐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도어 상면부에는 엘리베이터 입구의 상벽에 고정되는 상벽플레이트를 상부로 절곡하여 상부절곡프레임을 형성하고, 도어의 상면부에는 상면부결합프레임을 고정하되, 일단을 하부로 절곡하여 상부절곡부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절곡프레임이 삽입되도록 구성하여 외부와 차단하도록 한 상부밀폐수단;을 구비하고, 엘리베이터 입구의 하부 바닥에 장착되는 도어가이드레일과 결합하여 외부와 차단하도록 레일차단프레임을 구비한 하부밀폐수단;으로 구성되어,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엘리베이터 통로를 통하여 화염이 다른 층으로 유입되거나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 엘리베이터 도어가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승객이 엘리베이터 통로 안쪽으로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탈방지기능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방화 도어를 개시하고 있다.
KR 10-2009-0001349 A KR 10-0921713 B1 KR 10-2010-0104101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층 건축물이나 지하 건축물 및 의료 요양시설에서 화재 발생시, 화재감지기에 의한 상황 개시 신호에 따라 사람이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안전한 층으로 자력 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피가 완료된 화재 진행층을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많은 인명을 구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강장 출입구에 설치되는 내화도어 및 승강장 도어를 완벽한 밀폐구조로 형성하여, 유해가스와 열, 연기 및 화염이 탑승 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화도어 및 승강장 도어에 차연, 차염, 차열 성능을 갖는 패킹을 설치하여,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가 안전하게 운행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싱예에 따른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개폐장치는, 각 층에 구비된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입구 상측과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문틀 프레임과; 각 층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정차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의 엘리베이터 통로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개폐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도어가 설치된 탑승 카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개폐되도록 상기 문틀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와 연동하여 개폐되는 한 쌍의 승강장 도어와;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입구 하측에 설치되어 승강장 도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승강장 도어의 상측에 설치되는 도어 상부 프레임과;상기 승강장 도어의 폭 방향 끝단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도어 측부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승강장 도어는, 내측 끝단이 도어 상부 프레임의 중간 위치에서 맞닿아 지그재그 형태 또는 요철 형태로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문틀 프레임과 도어 상부 프레임 사이에는 상측 밀폐부가, 상기 문틀 프레임과 도어 측부 프레임 사이에 측면 밀폐부가, 상기 승강장 도어와 하부 프레임 사이에 하측 밀폐부가 각각 형성되며; 각 밀폐부는 씰링부재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장 도어의 결합면에 씰링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측 밀폐부는, 끝단부가 상측 문틀 프레임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이중 절곡된 상기 도어 상부 프레임에 형성된 좌우 방향의 수용부에 씰링부재가 삽입되어 상측 문틀 프레임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상측 문틀 프레임에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에 씰링부재가 삽입되어 승강장 도어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 밀폐부는,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도어 측부 프레임의 끝단부에 형성된 상하 방향의 수용부에 씰링부재가 삽입되어 측면 문틀 프레임의 끝단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측면 문틀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에 씰링부재가 삽입되어 승강장 도어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측 밀폐부는, 승강장 도어의 하부에 좌우 방향의 금속 차단판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금속 차단판의 양측에 각각 부착되는 씰링부재가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에 일정 폭의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씰링부재는 흑연바 또는 흑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밀폐장치는, 각 층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부와, 승강통로의 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화재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승강통로를 차단하며 사면에 각각 내열 패킹이 구비된 내화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화도어는, 상기 승강통로의 양쪽 측벽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중앙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맞물려 승강통로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화도어는, 여닫이 방식으로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벽체 마감선 안쪽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장 도어의 하부에 틈새차단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틈새차단수단은, 승강장 도어의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금속 차단판과, 상기 승강장 도어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금속 차단판이 통과하는 입구부와 일정 크기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도어 하부 프레임과,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상단 부분이 상기 금속 차단판의 하부에 밀착되는 내열 패킹과, 상기 도어 하부 프레임의 입구부에 밀착되도록 금속 차단판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장 도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도어 가이드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화도어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는 승강통로의 안쪽과 엘리베이터 외벽에 각각 설치되고, 각 스위치는 독립적으로 상기 내화도어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재 발생시 승강장 도어는 물론 승강장 도어의 프레임과 문틀 프레임 사이 또는 승강장 도어와 하부 프레임 사이로, 화재에 의한 화염이나 연기, 유해가스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화재 발생층이나 그 상층의 사람들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대피가 완료된 화재 진행층을 엘리베이터가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게 되어 실질적으로 많은 인명을 구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승강장 도어가 지그재그 결합 또는 요철 결합됨과 아울러 요철면에 씰링부재가 부착됨에 따라, 승강장 도어의 접촉면 사이가 완전히 밀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승강장 도어의 프레임과 문틀 프레임 사이에 위치한 상측 밀폐부 및 측면 밀폐부에서 이중 밀폐가 이루어지므로, 승강장 도어가 닫힐 경우 승강장 도어의 프레임과 문틀 프레임 사이가 완전히 밀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승강장 도어의 하부에 설치된 금속 차단판의 양측에 각각 씰링부재가 부착되어 하부 프레임의 수용공간 내측면에 밀착되어 이중 밀폐가 이루어지므로, 승강장 도어가 닫힐 경우 승강장 도어와 하부 프레임 사이가 완전히 밀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승강통로의 끝 부분에 설치되는 내화도어에 의해, 화재에 의한 화염이나 연기, 유해가스 등이 승강통로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평상시에는 내화도어가 벽체 마감선의 안쪽에 수용되어 있어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 프레임과 문틀 프레임 사이 및 승강장 도어의 하부에 각각 내열 패킹으로 이루어진 틈새차단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내화도어에 이상이 발생하여 승강통로로 연기나 유해가스가 유입되더라도 엘리베이터 통로로는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화재가 발생한 상층에서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대피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밀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 및 측단면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도어의 접촉부를 나타낸 평면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측 밀폐부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 밀폐부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측 밀폐부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화도어의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프레임과 문틀 프레임의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틈새차단수단의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밀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밀폐장치는, 각 층에 구비된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입구 상측과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문틀 프레임(10)과; 각 층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정차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의 엘리베이터 통로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개폐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도어(25)가 설치된 탑승 카(20)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개폐되도록 상기 문틀 프레임(20)에 설치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25)와 연동하여 개폐되는 한 쌍의 승강장 도어(30)와;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입구 하측에 설치되어 승강장 도어(3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40)과; 상기 승강장 도어(30)의 상측에 설치되는 도어 상부 프레임(31)과, 상기 승강장 도어(30)의 폭 방향 끝단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도어 측부 프레임(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승강장 도어(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끝단이 도어 상부 프레임(31)의 중간 위치에서 맞닿아 지그재그 형태 또는 요철 형태로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문틀 프레임(10)과 도어 상부 프레임(31) 사이에는 상측 밀폐부가, 상기 문틀 프레임(10)과 도어 측부 프레임(33) 사이에 측면 밀폐부가, 상기 승강장 도어(30)와 하부 프레임(40) 사이에 하측 밀폐부가 각각 형성되며, 각 밀폐부는 씰링부재(50)에 의해 밀폐된다.
여기서 상기 씰링부재(50)는 승강장 도어(30)의 결합면 중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승강장 도어(30)가 닫히게 되면 씰링부재(50)에 의해 틈새가 차단되어, 화재 현장의 화염이나 열, 연기 등이 승강통로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상기 상측 밀폐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부가 상측 문틀 프레임(11)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이중 절곡된 상기 도어 상부 프레임(31)에 형성된 좌우 방향의 수용부(32)에 씰링부재(50)가 삽입되어, 상측 문틀 프레임(11)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상측 문틀 프레임(11)에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12)에 씰링부재(50)가 삽입되어, 승강장 도어(3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삽입홈(12)의 씰링부재(50)가 승강장 도어(3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승강장 도어(30)의 상단이 상측 문틀 프레임(11)의 하단에 비해 100㎜ 이상 높은 위치에 있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승강장 도어(30)의 높이를 너무 높이면 제조 비용이 증가하게 되므로, 그 높이차의 상한은 1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상기 승강장 도어(30)가 닫히게 되면, 상측 문틀 프레임(11)과 승강장 도어(30) 및 도어 상부 프레임(31)이 2개소의 씰링부재(50)에 의해 이중으로 밀폐된다.
이에 따라 화재 현장의 화염이나 열, 연기 등이 탑승 카 쪽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상기 측면 밀폐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도어 측부 프레임(33)의 끝단부에 형성된 상하 방향의 수용부(34)에 씰링부재(50)가 삽입되어, 측면 문틀 프레임(13)의 끝단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측면 문틀 프레임(13)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14)에 씰링부재(50)가 삽입되어, 승강장 도어(3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상기 승강장 도어(30)가 닫히게 되면, 측면 문틀 프레임(13)과 승강장 도어(30) 및 도어 측부 프레임(33)이 2개소의 씰링부재(50)에 의해 이중으로 밀폐된다.
상기 하측 밀폐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 도어(30)의 하부에 좌우 방향의 금속 차단판(35)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금속 차단판(35)의 양측에 각각 부착되는 씰링부재(50)가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40)에 일정 폭의 수용공간(45)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금속 차단판(35)의 양측에 부착된 씰링부재(50)가 상기 하부 프레임(40)의 수용공간(45) 내측면 양측에 각각 밀착됨으로써, 상기 승강장 도어(30)가 닫혔을 때 이중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화재 현장의 화염이나 열, 연기 등이 승강장 도어(30)와 하부 프레임(40) 사이의 틈새를 통해 탑승 카 쪽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상기 씰링부재(50)로는 흑연바 또는 흑연판이 사용될 수 있는데, 상측 밀폐부나 측면 밀폐부에서는 흑연바를 씰링부재(50)로 사용하고, 하측 밀폐부에서는 흑연판을 씰링부재(50)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 도어(30)의 접촉면에 부착되는 씰링부재(30)는 흑연판을 적용할 수도 있지만 내열 패킹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밀폐장치는, 화재발생시 화염이나 연기, 유해가스 및 열이 엘리베이터 통로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게 한다.
또한 화재 발생층이나 그 상층의 대피가 완료되거나 화재진행층에서 화염 또는 연기가 엘리베이터 통로로 유입될 위험이 있는 경우, 대피가 완료된 층 또는 화재진행층에서는 탑승 카(20)가 멈추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해당 층의 승강장 도어(30)가 열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화염이나 연기, 유해가스 등이 엘리베이터 통로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승강장 도어(30)가 닫히게 되면, 맞물려 있는 승강장 도어(30)와, 승강장 도어(30)의 위쪽에 있는 상측 밀폐부, 승강장 도어(30)의 양쪽에 각각 위치한 측면 밀폐부 및 승강장 도어(30)의 하부에 위치한 하측 밀폐부가 화염이나 연기, 유해가스 등을 이중으로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통로의 안전이 확보되고, 사람들이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탑승 카(20)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된다.
통상적으로 고층 건축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승강통로는 방화구역으로 되어 있으나, 화재 발생시 당황한 피난자에 의해 방화문이 개방될 수도 있다.
또한 대부분의 방화구역이나 비상계단 구역에는 1시간 미만의 방화설비가 설치되어 있어 많은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피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화재가 빠르게 확산되는 고층 건축물에서 인명대피가 1시간 내에 완료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재 진행중에도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가능하게 할 수 있고, 화재 발생층은 물론 그 상층의 인명을 신속하게 구출하고 화재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 설비는, 승강장 도어의 전면에 내화도어를 더 구비한 것이다.
화재층의 인명을 모두 구난하였으나 화재 진압을 완전히 하지 못한 경우, 화재층 상층부의 많은 인명을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로 구하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가 화재층을 안전하게 통과하여 상층으로 상승하고 하강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화재층의 엘리베이터 외부 도어가 화염이나 열로부터 파괴거나 유해가스가 유입이 되면, 실질적으로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불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내화도어에 의해 승강기의 출입구와 출입문을 보호함으로써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승강장 도어의 앞쪽에 상기 내화도어와는 별개로 방화문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도 6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층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부(130)와, 승강통로(150)의 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화재감지부(130)의 신호에 따라 승강통로(150)를 차단하며 사면에 각각 내열 패킹이 구비된 내화도어(1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내화도어(140)는, 상기 승강통로(150)의 일측 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외문형 도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도어의 크기와 회전 반경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화도어(140)는, 양쪽 측벽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중앙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맞물려 승강통로(150)를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양문형 도어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화도어(140)는 여닫이 방식으로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벽체 마감선(155) 안쪽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내화도어(140)의 표면이 벽체 마감선(155)과 일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내화도어(140)를 설치하더라도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화도어(140)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는, 승강통로(150)의 안쪽과 엘리베이터 외벽에 각각 설치되고, 각 스위치는 독립적으로 상기 내화도어(14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화재 발생시에 엘리베이터 외벽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내화도어(140)를 개방하여 승강통로(150)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대피가 완료된 후에는 승강통로(150) 안쪽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내화도어(140)를 닫아 줌으로써, 화염이나 연기 및 유해가스가 승강통로(15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승강장 도어(110)에 내열 패킹이 설치되면, 승강통로(150)로 유입된 유해가스나 연기가 승강장 도어(110)와 내열 패킹에 의해 차단되어 엘리베이터 통로로는 유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통로를 따라 승강하는 탑승 카(120)에 탑승한 사람들이 유해가스나 연기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화재시 발생한 유해가스나 연기가 도어 프레임(111)과 문틀 프레임(151) 사이의 틈새를 통해 엘리베이터 통로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프레임(111)과 문틀 프레임(151)에도 유해가스와 연기를 차단할 수 있는 내열 패킹(111')(151')이 설치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프레임(111)과 승강장 통로의 양쪽 측벽에 설치된 문틀 프레임(151)이 출입구의 좌우 및 상부에서 각각 지그재그 형태로 맞물리고, 맞물리는 부분의 문틀 프레임(151) 끝단과 도어 프레임(111) 끝단에는 타측에 밀착되는 내열 패킹(151')(111')이 각각 설치된다.
또, 유해가스나 연기가 승강장 도어의 하부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장 도어(110)의 하부에 틈새차단수단(160)이 구비된다.
상기 틈새차단수단(16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 도어(110)의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금속 차단판(161)과, 상기 승강장 도어(1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금속 차단판(161)이 통과하는 입구부(162a)와 일정 크기의 수용공간(162b)이 형성된 도어 하부 프레임(162)과, 상기 수용공간(162b)에 설치되며 상단 부분이 상기 금속 차단판(161)의 하부에 밀착되는 내열 패킹(163)과, 상기 도어 하부 프레임(162)의 입구부(162a)에 밀착되도록 금속 차단판(161)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장 도어(110)의 이동을 안내하는 도어 가이드슈(164)를 포함한다.
고층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감지부(130)가 이를 감지하여 내화도어(140)가 작동되어 상기 승강통로(150)로 화재에 의한 화염이나, 연기, 유해가스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미처 대피하지 못한 사람은, 승강장 외벽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내화도어(140)를 개방하여 승강통로(150)로 대피한 후, 승강통로(150)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내화도어를 닫아주면 된다.
방화문이 더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방화문이 승강장 도어(110)의 앞쪽을 차단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내화도어(140)가 닫히게 되면, 내화도어(140)의 사면에 설치된 내열패킹(145)으로 인해 화염이나 연기 및 유해가스가 승강통로(150)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승강통로(150)로 대피한 사람들이 탑승 카(120)를 통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문틀 프레임
11...상측 문틀 프레임
12...삽입홈
13...측면 문틀 프레임
14...삽입홈
20...탑승 카
25...엘리베이터 도어
30...승강장 도어
31...도어 상부 프레임
32...수용부
33...도어 측부 프레임
34...수용부
35...금속 차단판
40...하부 프레임
45...수용공간
50...씰링부재
110...승강장 도어
111...도어 프레임
111'...내열 패킹
112...벽체
120...탑승 카
125...엘리베이터 도어
130...화재감지부
140...내화도어
145...내열 패킹
150...승강통로
151...문틀 프레임
151'...내열 패킹
155...벽체 마감선
160...틈새차단수단
161...금속 차단판
162...도어 하부 프레임
162a...입구부
162b...수용공간
163...내열 패킹
164...도어 가이드 슈

Claims (11)

  1. 각 층에 구비된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입구 상측과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문틀 프레임(10)과; 각 층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정차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의 엘리베이터 통로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개폐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도어(25)가 설치된 탑승 카(20)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개폐되도록 상기 문틀 프레임(10)에 설치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25)와 연동하여 개폐되는 한 쌍의 승강장 도어(30)와;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입구 하측에 설치되어 승강장 도어(3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40)과; 상기 승강장 도어(30)의 상측에 설치되는 도어 상부 프레임(31)과; 상기 승강장 도어(30)의 폭 방향 끝단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도어 측부 프레임(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승강장 도어(30)는, 내측 끝단이 도어 상부 프레임(31)의 중간 위치에서 맞닿아 지그재그 형태 또는 요철 형태로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문틀 프레임(10)과 도어 상부 프레임(31) 사이에는 상측 밀폐부가, 상기 문틀 프레임(10)과 도어 측부 프레임(33) 사이에 측면 밀폐부가, 상기 승강장 도어(30)와 하부 프레임(40) 사이에 하측 밀폐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 밀폐부는 하나 이상의 씰링부재(50)에 의해 밀폐되고,
    각 층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부(130)와,
    승강통로(150)의 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화재감지부(130)의 신호에 따라 승강통로(150)를 차단하며 사면에 각각 내열 패킹이 구비된 내화도어(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장 도어(30)의 하부에 틈새차단수단(160)이 더 구비되고,
    상기 틈새차단수단(160)은,
    승강장 도어(30)의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금속 차단판(161)과,
    상기 승강장 도어(3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금속 차단판(161)이 통과하는 입구부(162a)와 일정 크기의 수용공간(162b)이 형성된 도어 하부 프레임(162)과,
    상기 수용공간(162b)에 설치되며 상단 부분이 상기 금속 차단판(161)의 하부에 밀착되는 내열 패킹(163)과,
    상기 도어 하부 프레임(162)의 입구부(162a)에 밀착되도록 금속 차단판(161)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장 도어(30)의 이동을 안내하는 도어 가이드슈(1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밀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 도어(30)의 결합면에 씰링부재(50)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밀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밀폐부는, 끝단부가 상측 문틀 프레임(11)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이중 절곡된 상기 도어 상부 프레임(31)에 형성된 좌우 방향의 수용부(31')에 씰링부재(50)가 삽입되어, 상측 문틀 프레임(11)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상측 문틀 프레임(11)에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12)에 씰링부재(50)가 삽입되어, 승강장 도어(3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밀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밀폐부는,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도어 측부 프레임(33)의 끝단부에 형성된 상하 방향의 수용부(34)에 씰링부재(50)가 삽입되어, 측면 문틀 프레임(13)의 끝단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측면 문틀 프레임(13)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14)에 씰링부재(50)가 삽입되어, 승강장 도어(3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밀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밀폐부는, 승강장 도어(30)의 하부에 좌우 방향의 금속 차단판(35)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금속 차단판(35)의 양측에 각각 부착되는 씰링부재(50)가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40)에 일정 폭의 수용공간(4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밀폐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재(50)는 흑연바 또는 흑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밀폐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도어(140)는,
    상기 승강통로(150)의 양쪽 측벽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중앙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맞물려 승강통로(150)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밀폐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도어(140)는,
    여닫이 방식으로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벽체 마감선(155) 안쪽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밀폐장치.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도어(140)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는 승강통로(150)의 안쪽과 엘리베이터 외벽에 각각 설치되고,
    각 스위치는 독립적으로 상기 내화도어(14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밀폐장치.
KR1020170150522A 2017-11-13 2017-11-13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밀폐장치 KR101874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522A KR101874040B1 (ko) 2017-11-13 2017-11-13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밀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522A KR101874040B1 (ko) 2017-11-13 2017-11-13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밀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040B1 true KR101874040B1 (ko) 2018-08-02

Family

ID=63251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522A KR101874040B1 (ko) 2017-11-13 2017-11-13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밀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04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68540A (zh) * 2020-02-14 2020-06-12 聊城市高力金属材料有限公司 具有防火功能的电梯门套组件
US20220089411A1 (en) * 2020-09-18 2022-03-2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elevator car door and elevator system
KR20230045422A (ko) 2021-09-28 2023-04-04 (주)대명엘리베이터 연기유입방지모듈이 구비된 엘리베이터
KR20230124295A (ko) * 2022-02-18 2023-08-25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공동주택용 피난구 장치
KR102600017B1 (ko) * 2023-03-14 2023-11-08 (주)트라비스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하면부와 측면부의 차연구조
KR102600024B1 (ko) * 2023-03-14 2023-11-08 (주)트라비스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측면부의 차연구조
KR102600035B1 (ko) * 2023-03-14 2023-11-08 (주)트라비스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접면부와 하면부의 차연구조
KR102649735B1 (ko) * 2023-03-14 2024-03-20 (주)트라비스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7544A (ja) * 1998-03-05 1999-09-14 Komatsu Forklift Co Ltd 防火戸
JP2003293658A (ja) * 2002-04-03 2003-10-15 Mikishii:Kk 折戸および遮煙防火設備
JP2006137584A (ja) * 2004-11-15 2006-06-0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20090001349A (ko) 2007-06-29 2009-01-08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
KR100921713B1 (ko) 2008-12-31 2009-10-15 장병원 양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
KR20100104101A (ko) 2009-03-16 2010-09-29 (주)삼신엔지니어링 이탈방지기능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방화 도어
JP2016124631A (ja) * 2014-12-26 2016-07-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乗りかご
KR101643857B1 (ko) * 2016-04-01 2016-07-28 (주)삼신엔지니어링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7544A (ja) * 1998-03-05 1999-09-14 Komatsu Forklift Co Ltd 防火戸
JP2003293658A (ja) * 2002-04-03 2003-10-15 Mikishii:Kk 折戸および遮煙防火設備
JP2006137584A (ja) * 2004-11-15 2006-06-0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20090001349A (ko) 2007-06-29 2009-01-08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
KR100921713B1 (ko) 2008-12-31 2009-10-15 장병원 양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
KR20100104101A (ko) 2009-03-16 2010-09-29 (주)삼신엔지니어링 이탈방지기능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방화 도어
JP2016124631A (ja) * 2014-12-26 2016-07-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乗りかご
KR101643857B1 (ko) * 2016-04-01 2016-07-28 (주)삼신엔지니어링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68540A (zh) * 2020-02-14 2020-06-12 聊城市高力金属材料有限公司 具有防火功能的电梯门套组件
US20220089411A1 (en) * 2020-09-18 2022-03-2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elevator car door and elevator system
KR20230045422A (ko) 2021-09-28 2023-04-04 (주)대명엘리베이터 연기유입방지모듈이 구비된 엘리베이터
KR20230124295A (ko) * 2022-02-18 2023-08-25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공동주택용 피난구 장치
KR102609387B1 (ko) * 2022-02-18 2023-12-01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공동주택용 피난구 장치
KR102600017B1 (ko) * 2023-03-14 2023-11-08 (주)트라비스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하면부와 측면부의 차연구조
KR102600024B1 (ko) * 2023-03-14 2023-11-08 (주)트라비스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측면부의 차연구조
KR102600035B1 (ko) * 2023-03-14 2023-11-08 (주)트라비스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접면부와 하면부의 차연구조
KR102649735B1 (ko) * 2023-03-14 2024-03-20 (주)트라비스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040B1 (ko)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밀폐장치
US10843897B2 (en) Emergency elevator
KR101874042B1 (ko) 클린기능을 구비한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
KR102257464B1 (ko) 3시간 이상의 방화성능을 갖는 밀폐식 이중 홀 도어를 구비한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
KR102167186B1 (ko)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 장치
CN210131264U (zh) 一种高楼逃生装置
KR101030286B1 (ko)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KR101035081B1 (ko) 아파트의 난간을 이용한 완강기
KR101840434B1 (ko) 화재 대피용 난간
WO1998022381A1 (en) Elevator hoistway door seal structure and drainage system for a multiple level building
JP4789347B2 (ja) 避難安全区画システム
KR20210041760A (ko) 자동 방화문 장치
KR102037262B1 (ko)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KR100870141B1 (ko) 피신용 곤돌라
KR101297429B1 (ko) 연무 차단 장치
KR20120100452A (ko)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KR102089216B1 (ko) 차열 및 방염 공간을 갖는 화재 대비 건축물
JP2005213996A (ja) 避難梯子装置
JP4526668B2 (ja) 避難階段の区画システム
KR101790693B1 (ko) 화재발생시 이웃 두 세대가 공동으로 대피할 수 있는 건축물의 소방용 피난실
KR101564173B1 (ko) 비상탈출 시설
KR20020070028A (ko) 건물용 비상탈출기
JP4358358B2 (ja) 建築物の火災時用避難構造
JP2011174370A (ja) 避難安全区画システム
JP4010619B2 (ja) 通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