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735B1 -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735B1
KR102649735B1 KR1020230033330A KR20230033330A KR102649735B1 KR 102649735 B1 KR102649735 B1 KR 102649735B1 KR 1020230033330 A KR1020230033330 A KR 1020230033330A KR 20230033330 A KR20230033330 A KR 20230033330A KR 102649735 B1 KR102649735 B1 KR 102649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racket
pair
gap
marg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3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현
Original Assignee
(주)트라비스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트라비스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트라비스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230033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7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7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8Details of seals and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3Details of doo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6Details of door jamb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에 관한 것으로, 개폐되는 한 쌍의 홀도어(111, 112)와 문틀(115)과, 도어측면브래킷(116)과, 상부가이드레일(117)과, 도어상부브래킷(118)으로 이루어지는 승강장도어부재(110);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17)과 상기 도어상부브래킷(118)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차단하는 제1 레일차연부재(310a)와 제2 레일차연부재(310b)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레일차연부재(310); 상기 한 쌍의 홀도어(111, 112)의 맞닿는 접면부(530)에 형성되는 틈새를 차단하도록 맞닿는 면에 설치되는 도어차연부재(370);를 홀도어와 상부가이드레일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가이드레일차연부재에 의해 연기의 이동을 차단시키며, 문틀과 도어측면브래킷에 설치된 가스켓에 의해 연기의 차단뿐만 아니라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Smoke blocking structure of the upper and contact surfaces of the elevator platform do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와 함께 개폐되는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 틈새를 차연시키며, 엘리베이터의 도어와 함께 개폐되는 승강장 도어의 접면부 틈새를 차연시키며, 상면부와 접면부를 연결하는 코너부위의 틈새를 차연하여, 엘리베이터의 도어와 함께 개폐되는 승강장 도어의 측면 틈새를 차연시켜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의 승강구 내로 연기의 유입을 막아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연기가 승강구를 통하여 다른층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 발생시 직접적인 1차 피해는 화염으로 인해 발생하며 2차적인 피해로 연기 등 유독가스에 의한 피해가 발생한다.
이러한 화제로 인하여 발생하는 연기의 독성은 연소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우레아폼 등의 연소로 발생하는 독성가스는 농도에 따라 두, 세 번의 호흡으로도 혼수상태에 빠질 수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화재로 인해 발생하는 연기의 양은 수 분에서 수십 분 이내에 탈출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양이 발생하여 순식간에 건물 전체로 확산하며, 불로 인해 사망하는 경우보다 연기로 인한 질식사나 독성가스 호흡으로 인한 사망이 휠씬 더 많은 것은 화재 시 연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화재 발생시에 진화작업을 하는 인원을 제외하고는 신속하게 건물 밖으로 탈출하여야 한다. 시간을 지체하다 보면 연기에 막혀서 탈출할 수 없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고층 건물은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연기가 급속도로 확산하게 되는데, 이는 빌딩 내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로 인한 연기 및 유독 가스가 승강장 도어 내의 간극을 통해 승강기의 샤프트로 진입 및 승강장으로 유출되어 다른 층으로 퍼질 수 있어서 거주자를 위험에 노출시키게 되며 이러한 승강기 샤프트의 경우 연돌효과에 의해 연기가 더욱 빠르게 확산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승강장에 설치되는 승강장 도어는 승강장 도어와 승강장 문틀과의 간극을 통해 연기의 소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 바, 승강기 샤프트를 통해 유출되는 연기가 각층의 승강장으로 쉽게 유출되는 등 이에 따른 유독가스로 인한 대피로의 차단 및 인명의 피해가 확대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엘리베이터 승장 도어의 차연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장 도어의 차연 구조는 화재 시에 문틀과 도어의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차연부재가 조립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도어의 차연 구조에 있어서, 차연 승강장도어의 상부 문틀(JAMB) 사이로 단면이 "ㄴ "형상을 갖는 브라켓에 웨더 스트립이 조립되어 승장도어를 밀폐시키는 것으로, 차연 승강장도어의 하부보강에 모헤어(MOHAIR) 소재를 이용한 아스트라갈이 삽입되고, "ㄷ" 형상을 갖는 브라켓에 웨더 스트립이 조립되어 승강장도어와 승장실 틈새 사이를 이중으로 차단시키되, 차연 승강장도어의 측면부에는 단면이 "" 형상을 갖는 장착 브라켓에 승장도어의 측면과 맞닿는 부분은 우레탄 폼이라는 흡음재가 부착되고, 모헤어(MOHAIR) 소재를 이용한 아스트라갈이 삽입되면서, 측면부의 브라켓 끝단부에는 웨더 스트립이 삽입되어 측면 문틀(JAMB)과 승강장도어의 측면부의 틈새 사이를 이중으로 차단시킨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차연기능을 갖는 승강기용 방화도어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차연기능을 갖는 승강기용 방화도어의 구조는 승강기 입구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문설주와, 상기 문설주의 측방향에서 상기 문설주와 틈을 두고 좌우 기동하도록 설치되는 문짝을 포함하되, 승강기문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문설주와 문짝은 단부가 ""와 같이 미로를 형성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문설주 또는 문짝 중 어느 한곳 이상에, 상기 문짝 또는 문설주에 접촉하게 되는 차연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문짝은 상기 문짝 본체의 가장자리에 덧붙여져 고정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엘(L)자 형태로 일정하며, 자신의 길이방향을 따라 "Ω"의 형태로 결합홈이 마련되는 화염방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차연부재는 상기 결합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도브테일 형태로 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식모되어 끝이 상기 문설주의 측면에 지지되는 브러시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825942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946871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22-010800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도어와 함께 개폐되는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 틈새를 차연시키며, 엘리베이터의 도어와 함께 개폐되는 승강장 도어의 접면부 틈새를 차연시키며, 상면부와 접면부를 연결하는 코너부위의 틈새를 차연하여, 엘리베이터의 도어와 함께 개폐되는 승강장 도어의 측면 틈새를 차연시켜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의 승강구 내로 연기의 유입을 막아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연기가 승강구를 통하여 다른층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강장과 엘리베이터의 승강구 사이에 연기의 이동을 차단시켜 엘리베이터 내에 탑승한 탑승자를 연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승강장의 문틀과 상부가이드레일 사이로 연기의 유입을 차단시켜 연기의 이동을 제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는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개폐되는 한 쌍의 홀도어(111, 112)와, 한 쌍의 상기 홀도어(111, 112)의 전면에 설치되는 문틀(115)과, 한 쌍의 상기 홀도어(111, 112)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도어측면브래킷(116)과, 한 쌍의 상기 홀도어(111, 112)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도록 상기 문틀(115)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가이드레일(117)과, 한 쌍의 상기 홀도어(111, 112)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17)을 따라 한 쌍의 상기 홀도어(111, 112)와 연동하여 슬라이딩 되는 도어상부브래킷(118)으로 이루어지는 승강장도어부재(110);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17)과 상기 도어상부브래킷(118)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차단하도록 상기 도어상부브래킷(118)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1 레일차연부재(310a)와, 상기 도어상부브래킷(118)의 타면에 설치되는 제2 레일차연부재(310b)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레일차연부재(310); 상기 도어측면브래킷(116),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17) 및 상기 도어상부브래킷(118)의 측면에 형성되는 틈새를 차단하도록 상기 도어측면브래킷(116)에 설치되는 상부모서리차연유닛(320); 상기 문틀(115)과 상기 도어측면브래킷(116)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차단하도록 상기 문틀(115)의 양면에 설치되는 차연부재(350); 한 쌍의 상기 홀도어(111, 112)의 맞닿는 면에 형성되는 틈새를 차단하도록 한 쌍의 상기 홀도어(111, 112)의 맞닿는 면에 설치되는 도어차연부재(3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차연부재(310)는 상기 도어상부브래킷(118)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1 레일차연부재(310a)와, 상기 도어상부브래킷(118)의 타면에 설치되는 제2 레일차연부재(310b);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레일차연부재(310)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브래킷(311); 한 쌍의 브래킷(314, 315)이 결합될 수 있게 상기 고정브래킷(311)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홈부(312); 상기 한 쌍의 브래킷(314, 315)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내측홈부(312)의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돌기(313); 상기 내측홈부(312)와 결합돌기(313)에 결합되는 제1 브래킷(314); 상기 제1 브래킷(314)과 대칭되게 상기 내측홈부(312)와 결합돌기(313)에 결합되는 제2 브래킷(315); 상기 제1 브래킷(314)과 상기 제2 브래킷(315)에 각각 고정되는 제1 모헤어(3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브래킷(314)의 일면에는 제1 난연필름(319)을 설치할 수 있게 내측으로 필름고정홈부(317)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브래킷(315)의 일면에는 상기 제1 난연필름(319)을 설치할 수 있게 상기 필름고정홈부(317)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필름고정돌기(318)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난연필름(319)은 상기 필름고정홈부(317)와 상기 필름고정돌기(318)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모서리차연유닛(320)은 상기 도어측면브래킷(116)에 설치되는 상부고정브래킷(321); 상기 상부고정브래킷(321)이 상기 도어측면브래킷(116)에 끼워지도록 상기 상부고정브래킷(321)의 저면에 형성되는 상부고정홈부(322); 상기 홀도어(111, 112)와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17)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도록 상기 상부고정브래킷(321)에 형성되는 제2 모헤어(323); 상기 제2 모헤어(32)와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17)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도록 상기 제2 모헤어(323)의 일측에 보다 낮게 형성되는 제3 모헤어(324);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17)과 도어상부브래킷(118)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차단하도록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17)과 상기 도어상부브래킷(118) 사이에 설치되는 상부틈새차연유닛(32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연부재(350)는 상기 문틀(115)과 상기 도어측면브래킷(116)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도록 상기 문틀(115)의 선단에 설치되는 문틀가스켓(351); 상기 문틀(115)과 상기 도어측면브래킷(116)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도록 상기 도어측면브래킷(116)의 선단에 설치되는 브래킷가스켓(352); 상기 문틀(115)과 상기 도어측면브래킷(116)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틈새를 차단하도록 상기 문틀(115)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1 수직차연유닛(355); 상기 문틀(115)과 상기 홀도어(111, 11)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틈새를 차단하도록 상기 문틀(115)의 타면에 설치되는 제2 수직차연유닛(3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차연부재(370)는 제1홀도어(111)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도어차연유닛(371)과, 제2홀도어(112)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 도어차연유닛(37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도어차연유닛(371)은 제1홀도어(111)의 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차연돌기(372)와, 상기 제1 차연돌기(372)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2 차연돌기(37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도어차연유닛(375)은 상기 제1 차연돌기(372)와 대응되게 제2홀도어(112)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차연홈부(376)와, 상기 제2 차연돌기(373)와 대응되게 제2홀도어(112)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 차연홈부(377);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차연홈부(376)와 제2 차연홈부(377)에는 상기 제1 차연돌기(372)와 제2 차연돌기(373)의 밀착 시 긴밀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차연유닛(378)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차연부재(31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모헤어브래킷(391); 상기 모헤어브래킷(391)에 설치되는 제1 탄성체(392)와 제2 탄성체(393); 상기 모헤어브래킷(391)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4 모헤어(39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체(392)과 제2 탄성체(393)는 난연필름 또는 실리콘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탄성체(392)와 제2 탄성체(393)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차연부재(31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모헤어브래킷(391); 상기 모헤어브래킷(391)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4 모헤어(394); 상기 모헤어브래킷(391)의 중간 위치에 설치되는 제3 탄성체(395);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탄성체(395)는 상기 제4 모헤어(394)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차연부재(31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모헤어브래킷(391); 상기 모헤어브래킷(391)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4 모헤어(394); 상기 모헤어브래킷(391)의 중간 위치에 설치되는 제4 탄성체(396);를 포함하고,
상기 제4 탄성체(396) 양면에 설치되는 제3 난연필름(397)과 제4 난연필름(398)이 설치되고, 상기 제4 탄성체(396)에는 양측의 제4 모헤어(394)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탄성홈부(396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틈새를 차단시키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에서,
상기 틈새가 가이드레일차연부재(310), 차연부재(350)와 도어차연부재(370)로 차연하기에 부족할 경우, 간격보상부재(400)는 공간부(420)를 형성하고, 실리콘튜브(410)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탄성력을 가감할 수 있으며, 긴 봉형상의 간격보상부재(400)의 양측 가장자리 공간부(420)를 탄성을 가진 부재로 막아서 하나의 밀폐된 튜브형상을 유지하도록하여 차연을 유지하고자 하는 간격의 변화에도 유기적으로 변화하며 차연을 위한 밀폐가 가능하도록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차연부재(310), 차연부재(350)와 도어차연부재(370)의 접착면(440)을 간격보상부재(400)의 부착면(430)에 부착하여 차연하는 엘리베이터의 틈새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쌍의 홀도어(111, 112)의 상부면(520)에는 도어를 덮어주며, 상부가이드레일(117)을 따라 도어가 가이드되어 개폐가 되도록 하는 도어상부브래킷(118)이 결합되어 있고, 한 쌍의 상기 홀도어(111, 112)가 개폐될 때에 한 쌍의 홀도어(111, 112)의 측면부(530)은 밀폐하여 외부 연기를 차단하는 구성이 존재하고, 상기 도어상부브래킷(118)의 양면에는 연속하여 제1 레일차연부재(310a)와 제2 레일차연부재(310b)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 유입되는 연기를 차단할 수 있으나, 한 쌍의 홀도어(111, 112)의 상부면(520)에 설치된 도어상부브래킷(118)이 서로 접할 때에 금속으로 형성된 도어상부브래킷(118)의 측면에 연기의 유입을 막을 수 있는 부수적인 밀폐구조인 도어상부브래킷(118)의 측면마감실리콘(159)이 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에 의하면, 홀도어와 상부가이드레일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가이드레일차연부재에 의해 연기의 이동을 차단시키며, 문틀과 도어측면브래킷에 설치된 가스켓에 의해 연기의 차단뿐만 아니라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고, 모헤어와 함께 설치되는 난연필름에 의해 연기의 이동을 차단시킬 뿐만 아니라 고온의 연기에 의한 모헤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어측면브래킷과 상부가이드레일 및 도어상부브래킷에 형성되는 틈새를 모두 차단시켜 화재로 인해 발생된 연기의 이동을 차단시키고,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탑승자를 연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승강장과 엘리베이터 승강구 사이의 연기의 이동을 막아 연기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차연구조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차연구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차연구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코너부의 차연구조를 도시한 일부 확대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측면부가 접하는 코너부의 차연구조를 도시한 일부 확대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사용되는 차연구조의 차연부재를 도시한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사용되는 차연구조의 차연부재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차연구조인 차연부재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차연구조인 차연유닛을 도시한 확대 입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면부 차연구조의 차연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접면부 차연구조의 차연부재를 도시한 확대 입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연구조의 차연부재를 도시한 일부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간격보상부재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차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는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개폐되는 한 쌍의 홀도어(111, 112)와, 상기 홀도어(111, 112)의 전면에 설치되는 문틀(115)과, 상기 홀도어(111, 112)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도어측면브래킷(116)과, 상기 홀도어(111, 112)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도록 상기 문틀(115)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가이드레일(117)과, 상기 홀도어(111, 112)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17)을 따라 상기 홀도어(111, 112)와 연동하여 슬라이딩 되는 도어상부브래킷(118)으로 이루어지는 승강장도어부재(110)와,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17)과 상기 도어상부브래킷(118)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차단하도록 상기 도어상부브래킷(118)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1 레일차연부재(310a)와, 상기 도어상부브래킷(118)의 타면에 설치되는 제2 레일차연부재(310b)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레일차연부재(310)와, 상기 도어측면브래킷(116),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17) 및 상기 도어상부브래킷(118)의 측면에 형성되는 틈새를 차단하도록 상기 도어측면브래킷(116)에 설치되는 상부모서리차연유닛(320)과, 상기 문틀(115)과 상기 도어측면브래킷(116)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차단하도록 상기 문틀(115)의 양면에 설치되는 차연부재(350)와, 상기 한 쌍의 홀도어(111, 112)의 맞닿는 면에 형성되는 틈새를 차단하도록 상기 홀도어(111, 112)의 맞닿는 면에 설치되는 도어차연부재(37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차연구조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차연구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차연구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코너부의 차연구조를 도시한 일부 확대 입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측면부가 접하는 코너부의 차연구조를 도시한 일부 확대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은 홀도어(111, 112), 문틀(115), 도어측면브래킷(116), 상부가이드레일(117), 도어상부브래킷(118)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와 도 5는 상부가이드레일(117)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차연부재(310)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 도어의 상면 차연구조는 승강장도어부재(110)와, 상기 승강장도어부재(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홀도어(111, 112)와 상부가이드레일(117) 사이를 통해 연기의 유입을 차단시키는 가이드레일차연부재(310)와, 상기 도어측면브래킷(116)과 문틀(115) 사이의 틈새를 통해 연기의 유입을 차단시키는 차연부재(350)와, 상기 홀도어(111, 112)의 맞닿는 면에 설치되는 도어차연부재(370)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장도어부재(110)에는 제1 홀도어(111)와 제2 홀도어(112)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장도어부재(110)의 양측에는 건축물의 벽체에 문틀(115)이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홀도어(111, 112)의 일 측면에는 각각 도어측면브래킷(116)이 설치되고, 상기 홀도어(111, 112)의 상부 전면에는 상부가이드레일(117)이 설치되며, 상기 홀도어(111, 112)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17)을 따라 이동되는 도어상부브래킷(118)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17)은 전체적인 형상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17)에는 홀도어(111, 112)와 함께 이동되는 도어상부브래킷(118)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차연부재(310)는 상기 도어상부브래킷(118)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1 레일차연부재(310a)와, 상기 도어상부브래킷(118)의 타면에 설치되는 제2 레일차연부재(310b)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레일차연부재(310)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브래킷(311)과, 한 쌍의 브래킷(314, 315)이 결합될 수 있게 상기 고정브래킷(311)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홈부(312)와, 상기 한 쌍의 브래킷(314, 315)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내측홈부(312)의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돌기(313)와, 상기 내측홈부(312)와 결합돌기(313)에 결합되는 제1 브래킷(314)과, 상기 제1 브래킷(314)과 대칭되게 상기 내측홈부(312)와 결합돌기(313)에 결합되는 제2 브래킷(315)과, 상기 제1 브래킷(314)과 상기 제2 브래킷(315)에 각각 고정되는 제1 모헤어(316)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레일차연부재(310)는 상부가이드레일(117)과 도어상부브래킷(118)을 통해 유입되는 연기를 차단시키는 것으로, 상기 도어상부브래킷(118)의 양면에는 제1 레일차연부재(310a)와 제2 레일차연부재(310b)가 각각 설치된다.
즉, 상기 제1 레일차연부재(310a)와 제2 레일차연부재(310b)는 상부가이드레일(117)과 도어상부브래킷(118)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메워줌으로써, 연기의 유입 및 이동을 차단시키게 된다.
도 4를 참조하여, 홀도어(111, 112)가 열리고 닫칠 때에 홀도어(111, 112)가 닫치는 상부 모서리 부분의 연기 차단을 살펴보면, 홀도어(111, 112)의 상부면(520)에는 도어를 덮어주며, 상부가이드레일(117)을 따라 도어가 가이드되어 개폐가 되도록 하는 도어상부브래킷(118)이 결합되어 있고, 홀도어(111, 112)가 개폐될 때에 홀도어(111, 112)의 측면부(530)은 밀폐하여 외부 연기를 차단하는 구성이 존재하고, 상기 도어상부브래킷(118)의 양면에는 연속하여 제1 레일차연부재(310a)와 제2 레일차연부재(310b)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 유입되는 연기를 차단할 수 있으나, 홀도어(111, 112)의 상부면(520)에 설치된 도어상부브래킷(118)이 서로 접할 때에 금속으로 형성된 도어상부브래킷(118)의 측면에 연기의 유입을 막을 수 있는 부수적인 밀폐구조인 도어상부브래킷(118)의 측면마감실리콘(159)이 부착하여 기밀을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의 가이드레일차연부재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의 가이드레일차연부재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 가이드레일차연부재(310)의 제1 레일차연부재(310a)와 제2 레일차연부재(310b)는 도어상부브래킷(118)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311)과, 상기 고정브래킷(311)에 결합되는 제1 브래킷(311)과 제2 브래킷(315)과, 상기 브래킷(314, 315)의 일면에 설치되는 모헤어(316)와, 상기 제1 브래킷(314)과 제2 브래킷(315)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난연필름(319)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브래킷(311)에는 제1 브래킷(31)과 제2 브래킷(315)을 끼워 결합시킬 수 있게 내측홈부(312)와 결합돌기(313)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 브래킷(314)과 제2 브래킷(315)은 상기 내측홈부(312)와 결합돌기(313)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314, 315)의 일면에는 연기의 이동 및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게 제1 모헤어(316)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브래킷(314)의 일면에는 제1 난연필름(319)을 설치할 수 있게 내측으로 필름고정홈부(317)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브래킷(315)의 일면에는 상기 제1 난연필름(319)을 설치할 수 있게 상기 필름고정홈부(317)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필름고정돌기(318)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난연필름(319)은 상기 필름고정홈부(317)와 상기 필름고정돌기(318)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제2 브래킷(315)에 마주보는 제1 브래킷(314)의 일면에는 제1 난연필름(319)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게 필름고정홈부(317)가 형성되고, 제2 브래킷(315)에는 필름고정홈부(317)에 결합되는 필름고정돌기(318)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 브래킷(314)과 제2 브래킷(315) 사이에는 연기의 이동 및 유입을 차단함은 물론 제1 모헤어(316)를 보호할 수 있게 제1 난연필름(319)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1 난연필름(319)은 제1 브래킷(314)과 제2 브래킷(315)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제1 모헤어(316)의 양측에 제1 난연필름(316)을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제1 난연필름(316)은 연소에 의해 고온의 연기에 의해 제1 모헤어(316)의 손상 또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의 가이드레일차연부재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제1 난연필름(319)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1 난연필름(319)은 필름고정홈부(317)와 필름고정돌기(318)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필름고정돌기(318)에 대응되는 관통구멍(319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난연필름(319)에 관통구멍(319a)이 형성됨에 따라 제1 난연필름(319)은 제1 브래킷(314)과 제2 브래킷(315) 사이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의 상부모서리차연유닛을 도시한 확대 입체도이다.
도 9는 상부모서리차연유닛(320)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상부모서리차연유닛(320)은 도어측면브래킷(116), 상부가이드레일(117) 및 도어상부브래킷(118)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차단시키는 것으로, 상부틈새차연유닛(325)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모서리차연유닛(320)은 상기 도어측면브래킷(116)에 설치되는 상부고정브래킷(321)과, 상기 상부고정브래킷(321)이 상기 도어측면브래킷(116)에 끼워지도록 상기 상부고정브래킷(321)의 저면에 형성되는 상부고정홈부(322)과, 상기 홀도어(111, 112)와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17)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도록 상기 상부고정브래킷(321)에 형성되는 제2 모헤어(323)와, 상기 제2 모헤어(32)와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17)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도록 상기 제2 모헤어(323)의 일측에 보다 낮게 형성되는 제3 모헤어(324)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17)과 도어상부브래킷(118)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차단하도록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17)과 상기 도어상부브래킷(118) 사이에 설치되는 상부틈새차연유닛(325)을 더 포함한다.
도 4, 도 5 및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모서리차연유닛(320)은 도어측면브래킷(116)에 설치되는 상부고정브래킷(321)과, 상부고정브래킷(321)의 상면에 설치되어 도어측면브래킷(116)과 상부가이드레일(117) 및 도어상부브래킷(118)의 틈새를 차단시키는 제2 모헤어(323)와, 상기 도어측면브래킷(116)과 상부가이드레일(117) 사이의 틈새를 차단시키는 제3 모헤어(3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고정브래킷(321)은 전체적인 형상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지 상부고정브래킷(321)에는 도어측면브래킷(116)에 결합될 수 있게 상부고정홈부(322)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고정브래킷(321)의 상면에는 홀도어(111, 112)와 상부가이드레일(117) 및 도어측면브래킷(116)에서부터 도어상부브래킷(118) 사이의 틈새를 차단시키는 제2 모헤어(323)가 설치된다.
또 상기 제2 모헤어(323)의 일측에는 도어측면브래킷(116)과 상부가이드레일(117) 사이의 틈새를 메우는 제3 모헤어(324)가 설치되며, 홀도어(111, 112)의 표면을 따라 올라오던 연기가 상부가이드레일(117)에 막혀서 좌우로 연기가 이동하다가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17)과 도어상부브래킷(118)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엘리베이터가 승강하는 통로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17)과 도어상부브래킷(118) 사이의 틈새를 차단시키는 상부틈새차연유닛(325)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틈새차연유닛(325)은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면 차연구조의 상부차연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기 차연부재(350)는 상기 문틀(115)과 상기 도어측면브래킷(116)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도록 상기 문틀(115)의 선단에 설치되는 문틀가스켓(351)과, 상기 문틀(115)과 상기 도어측면브래킷(116)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도록 상기 도어측면브래킷(116)의 선단에 설치되는 브래킷가스켓(352)과, 상기 문틀(115)과 상기 도어측면브래킷(116)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틈새를 차단하도록 상기 문틀(115)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1 수직차연유닛(355)과, 상기 문틀(115)과 상기 홀도어(111, 11)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틈새를 차단하도록 상기 문틀(115)의 타면에 설치되는 제2 수직차연유닛(355)을 포함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연부재(350)는 문틀(115)과 도어측면브래킷(116)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차단하는 것으로, 상기 문틀(115)의 선단에는 연질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 문틀가스켓(351)이 설치되고, 상기 도어측면브래킷(116)의 선단에는 연질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 브래킷가스켓(352)이 설치된다.
상기 문틀가스켓(351)은 문틀(115)의 선단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게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홀도어(111, 112)에 밀착되게 일측을 두껍게 형성하며, 타측은 비교적 얇은 두께로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문틀가스켓(351)은 도어측면브래킷(116)이 접촉될 때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게 가스켓완충부(353)가 형성된다.
또 상기 브래킷가스켓(352)은 도어측면브래킷(116)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게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측면브래킷(116)의 접촉 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완충부(353)가 형성된다.
이들 가스켓(352, 353)은 문틀(115)과 도어측면브래킷(116)의 선단에 설치되어 연기의 유입 및 이동을 차단시킴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문틀(115)의 양면에는 도어차연부재(350)인 제1 수직차연유닛(355)과 제2 수직차연유닛(356)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 수직차연유닛(355)과 제2 수직차연유닛(356)은 가이드레일차연부재(31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접면부 차연구조의 차연부재를 도시한 확대 입체도이다.
도 11은 한 쌍의 홀도어(111, 112)의 마주보는 면에 설치되는 도어차연부재(370)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도어차연부재(370)는 홀도어(111, 112)의 틈새를 통해 연기의 유입 및 이동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어차연부재(370)는 제1홀도어(111)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도어차연유닛(371)과, 제2홀도어(112)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 도어차연유닛(37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도어차연유닛(371)은 제1홀도어(111)의 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차연돌기(372)와, 상기 제1 차연돌기(372)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2 차연돌기(37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도어차연유닛(375)은 상기 제1 차연돌기(372)와 대응되게 제2홀도어(112)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차연홈부(376)와, 상기 제2 차연돌기(373)와 대응되게 제2홀도어(112)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 차연홈부(377)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연홈부(376, 377)에는 상기 차연돌기(372, 373)의 밀착 시 긴밀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차연유닛(378)이 설치된다.
상기 도어차연부재(370)는 제1 홀도어(111)에 설치되는 제1 도어차연유닛(371)과 제2 홀도어(112)에 설치되는 제2 도어차연유닛(37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도어차연유닛(371)은 제1 홀도어(111)의 일면으로 돌출된 제1 차연돌기(372)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차연돌기(372)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제2 차연돌기(373)가 돌출 형성된다.
아울러 제2 도어차연유닛(375)은 제1 홀도어(111)의 제1 차연돌기(372)에 대응되는 제1 차연홈부(376)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차연돌기(373)에 대응되는 제2 차연홈부(377)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도어차연유닛(375)에는 실리콘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차연유닛(378)이 설치된다.
즉, 상기 제1 홀도어(111)와 제2 홀도어(112)가 슬라이딩에 의해 서로 접촉되면, 상기 제1 차연돌기(372)와 제2 차연돌기(373)에는 제1 차연홈부(376)와 제2 차연홈부(377)가 서로 맞물리며, 상기 차연홈부(376, 377)에 설치된 차연유닛(378)은 차연돌기(372, 373)에 밀착된다.
이에 연기는 제1 도어차연유닛(371)과 제2 도어차연유닛(375)에 의해 이동이 제한될 뿐만 아니라 연질의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차연유닛(378)에 의해 연기의 이동 및 유입이 차단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면 차연구조의 차연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연부재를 도시한 것으로, 도 12에 도시된 차연부재는 가이드레일차연부재(310), 차연부재(350)에 각각 적용될 수 있다.
도 12(a)는 모헤어브래킷(391)에 2개의 탄성체(392, 393)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 탄성체(392)와 제2 탄성체(393)는 일정 두께를 갖는 난연필름, 실리콘,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헤어브래킷(391)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탄성체(392)와 제2 탄성체(393)는 모헤어브래킷(391)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탄성체(392, 393)는 홀도어(111, 112) 등이 슬라이딩될 때 제4 모헤어(394)를 보다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줌으로써 제4 모헤어(394)가 틈새를 보다 긴밀하게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탄성체(392, 393)는 상부가이드레일(117) 및 문틀(115)과 도어측면브래킷(116) 등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연기의 이동을 차단하게 된다.
도 12(b)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연부재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가이드레일차연부재(310)와 차연부재(350)에 각각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모헤어브래킷(391)에는 제4 모헤어(394)가 설치되고, 상기 모헤어브래킷(391)의 중간에는 일정 두께를 갖는 제3 탄성체(395)가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3 탄성체(395)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며, 제4 모헤어(394)의 중간 위치에 위치되게 설치되며, 제3 탄성체(395)의 양측으로는 제4 모헤어(394)가 설치된다.
상기 제3 탄성체(395)는 제1 탄성체(392)와 제2 탄성체(393)에 비하여 보다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 양측에 설치된 제4 모헤어(394)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3 탄성체(395)는 난연필름, 실리콘,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12(c)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연부재를 도시한 것으로, 모헤어브래킷(391)의 중간에는 제4 탄성체(396)가 설치되며, 상기 제4 탄성체(396)의 하부에는 탄성홈부(396a)가 형성된다.
이러한 탄성홈부(396a)는 제4 탄성체(396)의 하단에서 소정 높이까지 형성되며, 상기 탄성홈부(396a)는 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4 탄성체(396)의 양 측면에는 각각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제3 난연필름(397)과 제4 난연필름(398)이 설치된다.
상기 제4 탄성체(396)는 난연필름, 실리콘,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4 탄성체(396)는 양측의 모헤어(394)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간격보상부재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3 a), b), c) 도면은 차연을 하기 위하여 차단하여야할 사이 공간의 폭이 넓은 경우에 차단을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차단하여야 할 폭이 넓어서 엘리베이터의 틈새가 가이드레일차연부재(310), 차연부재(350)와 도어차연부재(370)로 차연하기에 부족할 경우, 즉 모헤어(316) 만으로 차연을 실행하는 경우에 시간이 흐르면서 공기 및 연기의 흐름을 완전하게 막을 수 없어 미세하게 공기의 흐름이 진행이 되므로, 공기 또는 연기의 흐름은 줄이기 위하여 신축성이 있는 간격보상부재(400)를 채택하여 떨어져 있는 간격을 보상하고 모헤어(316)는 고정이 아닌 이동하는 밀폐간격을 차연하기 위하여 채택하는 구성이다.
도13 a)의 도면은 간격보상부재(400)의 윗면과 아랫면인 부착면(430)은 틈이 형성된 간격의 일면에 부착하고 아래의 부착면(430)은 세가지의 다른실시예의 접착면(440)과 접하여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6에서 설명된 구성을 채택하여 접착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간격보상부재(400)의 간격은 필요에 따라 간격을 위하여 크게 또는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도13 b)의 도면은 도6의 도면에 도시된 사항들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설명하는 것으로 요철을 형성하지 않고 바로 접착면(440) 만을 사용하여 차연부로로 사용하는 구성을 설명하고 있다.
도13 c)의 도면은 도13의 a)에서 설명하는 구성에서 암과 수돌기가 상호 바뀌는 구성을 설명하고 있다.
설치 장소에 따라 암과 수 돌기 결합방식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상기 틈새가 가이드레일차연부재(310), 차연부재(350)와 도어차연부재(370)로 차연하기에 부족할 경우, 간격보상부재(400)는 공간부(420)를 형성하고, 실리콘튜브(410)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탄성력을 가감할 수 있으며, 긴 봉형상의 간격보상부재(400)의 양측 가장자리 공간부(420)를 탄성을 가진 부재로 막아서 하나의 튜브형상을 유지하도록 하여 차연을 유지하고자 하는 간격의 변화에도 유기적으로 변화하며 차연을 위한 밀폐가 가능하도록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차연부재(310), 수직차연부재(350)와 도어차연부재(370)의 접착면(440)을 간격보상부재(400)의 부착면(430)에 부착하여 차연하는 엘리베이터의 틈새의 기밀을 유지하는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0: 승강장도어부재 111: 제1 홀도어
112: 제2 홀도어 115: 문틀
116: 도어측면브래킷 117: 상부가이드레일
118: 도어상부브래킷 130: 홀도어레일부재
159: 도어상부브래킷의 측면마감실리콘
310: 가이드레일차연부재 310a: 제1 레일차연부재
310b: 제2 레일차연부재 311: 고정브래킷
312: 내측홈부 313: 결합돌기
314: 제1 브래킷 315: 제2 브래킷
316: 제1 모헤어 317: 필름고정홈부
318: 필름고정돌기 319: 제1 난연필름
319a: 관통구멍
320: 상부모서리차연유닛 321: 상부고정브래킷
322: 상부고정홈부 323: 제2 모헤어
324: 제3 모헤어 325: 상부틈새차연유닛
350: 차연부재 351: 문틀가스켓
352: 브래킷가스켓 353: 가스켓완충부
355: 제1 수직차연유닛 356: 제2 수직차연유닛
370: 도어차연부재 371: 제1 도어차연유닛
372: 제1 차연돌기 373: 제2 차연돌기
375: 제2 도어차연유닛 376: 제1 차연홈부
377: 제2 차연홈부 378: 차연유닛
391: 모헤어브래킷 392: 제1 탄성체
393: 제2 탄성체 394: 제4 모헤어
395: 제3 탄성체 396: 제4 탄성체
396a: 탄성홈부 397: 제2 난연필름
398: 제3 난연필름
400: 간격보상부재 410: 실리콘튜브
420: 공간부 430: 부착면
440: 접착면
510: 측면부 520: 상면부
530: 접면부 540: 하면부

Claims (9)

  1. 엘리베이터를 탑승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에 있어서,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개폐되는 한 쌍의 홀도어(111, 112)와, 한 쌍의 상기 홀도어(111, 112)의 전면에 설치되는 문틀(115)과, 한 쌍의 상기 홀도어(111, 112)의 측면부(510)에 설치되는 도어측면브래킷(116)과, 한 쌍의 상기 홀도어(111, 112)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도록 상기 문틀(115)의 상면부(520)에 설치되는 상부가이드레일(117)과, 한 쌍의 상기 홀도어(111, 112)의 상면부(520)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17)을 따라 한 쌍의 상기 홀도어(111, 112)와 연동하여 슬라이딩 되는 도어상부브래킷(118)으로 이루어지는 승강장도어부재(110);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17)과 상기 도어상부브래킷(118)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차단하도록 상기 도어상부브래킷(118)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1 레일차연부재(310a)와, 상기 도어상부브래킷(118)의 타면에 설치되는 제2 레일차연부재(310b)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레일차연부재(310);
    한 쌍의 상기 홀도어(111, 112)의 맞닿는 접면부(530)에 형성되는 틈새를 차단하도록 한 쌍의 상기 홀도어(111, 112)의 맞닿는 면에 설치되는 도어차연부재(370);
    상기 문틀(115)과 상기 도어측면브래킷(116)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차단하도록 상기 문틀(115)의 양면에 설치되는 차연부재(350);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차연부재(31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모헤어브래킷(391);
    상기 모헤어브래킷(391)에 설치되는 제1 탄성체(392)와 제2 탄성체(393);
    상기 모헤어브래킷(391)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4 모헤어(39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체(392)과 제2 탄성체(393)는 난연필름 또는 실리콘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탄성체(392)와 제2 탄성체(393)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차연부재(310)는 상기 도어상부브래킷(118)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1 레일차연부재(310a)와, 상기 도어상부브래킷(118)의 타면에 설치되는 제2 레일차연부재(310b);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레일차연부재(310)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브래킷(311);
    한 쌍의 브래킷(314, 315)이 결합될 수 있게 상기 고정브래킷(311)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홈부(312);
    한 쌍의 상기 브래킷(314, 315)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내측홈부(312)의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돌기(313);
    상기 내측홈부(312)와 결합돌기(313)에 결합되는 제1 브래킷(314);
    상기 제1 브래킷(314)과 대칭되게 상기 내측홈부(312)와 결합돌기(313)에 결합되는 제2 브래킷(315);
    상기 제1 브래킷(314)과 상기 제2 브래킷(315)에 각각 고정되는 제1 모헤어(3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래킷(314)의 일면에는 제1 난연필름(319)을 설치할 수 있게 내측으로 필름고정홈부(317)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브래킷(315)의 일면에는 상기 제1 난연필름(319)을 설치할 수 있게 상기 필름고정홈부(317)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필름고정돌기(318)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난연필름(319)은 상기 필름고정홈부(317)와 상기 필름고정돌기(318)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차연부재(370)는 제1홀도어(111)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도어차연유닛(371)과, 제2홀도어(112)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 도어차연유닛(37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도어차연유닛(371)은 제1홀도어(111)의 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차연돌기(372)와, 상기 제1 차연돌기(372)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2 차연돌기(37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도어차연유닛(375)은 상기 제1 차연돌기(372)와 대응되게 제2홀도어(112)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차연홈부(376)와, 상기 제2 차연돌기(373)와 대응되게 제2홀도어(112)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 차연홈부(377);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차연홈부(376)와 상기 제2 차연홈부(377)에는 상기 제1 차연돌기(372)와 제2 차연돌기(373)의 밀착 시 긴밀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차연유닛(378)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
  5. 삭제
  6. 엘리베이터를 탑승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에 있어서,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개폐되는 한 쌍의 홀도어(111, 112)와, 한 쌍의 상기 홀도어(111, 112)의 전면에 설치되는 문틀(115)과, 한 쌍의 상기 홀도어(111, 112)의 측면부(510)에 설치되는 도어측면브래킷(116)과, 한 쌍의 상기 홀도어(111, 112)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도록 상기 문틀(115)의 상면부(520)에 설치되는 상부가이드레일(117)과, 한 쌍의 상기 홀도어(111, 112)의 상면부(520)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17)을 따라 한 쌍의 상기 홀도어(111, 112)와 연동하여 슬라이딩 되는 도어상부브래킷(118)으로 이루어지는 승강장도어부재(110);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모헤어브래킷(391)과, 상기 모헤어브래킷(391)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4 모헤어(394)와, 상기 모헤어브래킷(391)의 중간 위치에 설치되는 제3 탄성체(395);를 포함하는 가이드레일차연부재(310);
    한 쌍의 상기 홀도어(111, 112)의 맞닿는 접면부(530)에 형성되는 틈새를 차단하도록 한 쌍의 상기 홀도어(111, 112)의 맞닿는 면에 설치되는 도어차연부재(370);
    상기 문틀(115)과 상기 도어측면브래킷(116)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차단하도록 상기 문틀(115)의 양면에 설치되는 차연부재(350);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탄성체(395)는 상기 제4 모헤어(394)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
  7. 엘리베이터를 탑승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에 있어서,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개폐되는 한 쌍의 홀도어(111, 112)와, 한 쌍의 상기 홀도어(111, 112)의 전면에 설치되는 문틀(115)과, 한 쌍의 상기 홀도어(111, 112)의 측면부(510)에 설치되는 도어측면브래킷(116)과, 한 쌍의 상기 홀도어(111, 112)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도록 상기 문틀(115)의 상면부(520)에 설치되는 상부가이드레일(117)과, 한 쌍의 상기 홀도어(111, 112)의 상면부(520)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17)을 따라 한 쌍의 상기 홀도어(111, 112)와 연동하여 슬라이딩 되는 도어상부브래킷(118)으로 이루어지는 승강장도어부재(110);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모헤어브래킷(391)과, 상기 모헤어브래킷(391)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4 모헤어(394)와, 상기 모헤어브래킷(391)의 중간 위치에 설치되는 제4 탄성체(396)를 포함하는 가이드레일차연부재(310);
    한 쌍의 상기 홀도어(111, 112)의 맞닿는 접면부(530)에 형성되는 틈새를 차단하도록 한 쌍의 상기 홀도어(111, 112)의 맞닿는 면에 설치되는 도어차연부재(370);
    상기 문틀(115)과 상기 도어측면브래킷(116)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차단하도록 상기 문틀(115)의 양면에 설치되는 차연부재(350);를 포함하고,
    상기 제4 탄성체(396) 양면에 설치되는 제3 난연필름(397)과 제4 난연필름(398)이 설치되고, 상기 제4 탄성체(396)에는 양측의 제4 모헤어(394)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탄성홈부(396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에서,
    상기 틈새가 가이드레일차연부재(310), 상기 차연부재(350)와 상기 도어차연부재(370)로 차연하기에 부족할 경우, 간격보상부재(400)는 공간부(420)를 형성하고, 실리콘튜브(410)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탄성력을 가감할 수 있으며, 긴 봉형상의 간격보상부재(400)의 양측 가장자리 공간부(420)를 탄성을 가진 부재로 막아서 하나의 밀폐된 튜브형상을 유지하도록하여 차연을 유지하고자 하는 간격의 변화에도 유기적으로 변화하며 차연을 위한 밀폐가 가능하도록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차연부재(310), 차연부재(350)와 도어차연부재(370)의 접착면(440)을 간격보상부재(400)의 부착면(430)에 부착하여 차연하는 엘리베이터의 틈새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홀도어(111, 112)의 상부면(520)에는 도어를 덮어주며, 상부가이드레일(117)을 따라 도어가 가이드되어 개폐가 되도록 하는 도어상부브래킷(118)이 결합되어 있고, 한 쌍의 상기 홀도어(111, 112)가 개폐될 때에 한 쌍의 홀도어(111, 112)의 측면부(530)은 밀폐하여 외부 연기를 차단하는 구성이 존재하고, 상기 도어상부브래킷(118)의 양면에는 연속하여 제1 레일차연부재(310a)와 제2 레일차연부재(310b)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 유입되는 연기를 차단할 수 있으나, 한 쌍의 홀도어(111, 112)의 상부면(520)에 설치된 도어상부브래킷(118)이 서로 접할 때에 금속으로 형성된 도어상부브래킷(118)의 측면에 연기의 유입을 막을 수 있는 부수적인 밀폐구조인 도어상부브래킷(118)의 측면마감실리콘(159)이 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
KR1020230033330A 2023-03-14 2023-03-14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 KR102649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3330A KR102649735B1 (ko) 2023-03-14 2023-03-14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3330A KR102649735B1 (ko) 2023-03-14 2023-03-14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735B1 true KR102649735B1 (ko) 2024-03-20

Family

ID=90483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3330A KR102649735B1 (ko) 2023-03-14 2023-03-14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73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2365A (ja) * 1998-09-01 2000-03-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エレベータ乗場の気密構造
KR101825942B1 (ko) 2016-10-31 2018-02-06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승장 도어의 차연 구조
KR101874040B1 (ko) * 2017-11-13 2018-08-02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밀폐장치
KR101946871B1 (ko) 2018-10-01 2019-02-12 윤병희 차연기능을 갖는 승강기용 방화도어의 구조
KR102257464B1 (ko) * 2020-12-08 2021-05-31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3시간 이상의 방화성능을 갖는 밀폐식 이중 홀 도어를 구비한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
KR20220108003A (ko) 2022-07-12 2022-08-02 엄태경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차연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2365A (ja) * 1998-09-01 2000-03-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エレベータ乗場の気密構造
KR101825942B1 (ko) 2016-10-31 2018-02-06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승장 도어의 차연 구조
KR101874040B1 (ko) * 2017-11-13 2018-08-02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밀폐장치
KR101946871B1 (ko) 2018-10-01 2019-02-12 윤병희 차연기능을 갖는 승강기용 방화도어의 구조
KR102257464B1 (ko) * 2020-12-08 2021-05-31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3시간 이상의 방화성능을 갖는 밀폐식 이중 홀 도어를 구비한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
KR20220108003A (ko) 2022-07-12 2022-08-02 엄태경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차연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6424A (en) Multiple level building with elevator hoistway seal structure
US7921970B2 (en) Sealing device for elevator
US20060191749A1 (en) Hall door apparatus of elevator
KR102493970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차연 구조
KR101825942B1 (ko) 엘리베이터 승장 도어의 차연 구조
KR101828276B1 (ko) 창문의 기밀성을 유지하는 미서기 창호 시스템
JP4913511B2 (ja) エレベータ乗降口の扉装置
KR102649735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접면부의 차연구조
KR102600035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접면부와 하면부의 차연구조
KR102600024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측면부의 차연구조
KR20210052826A (ko) 기밀 방화 자동문의 밀폐구조
KR102600017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하면부와 측면부의 차연구조
JP4876713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102600038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차연용 패드구조
JP2020133156A (ja) オーバーヘッドドア下端の断熱構造
EP1687191A1 (en) Fireproof sliding door assembly for a fire protection wall
JP2005015157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CN112424107B (zh) 电梯的层站出入口装置
JP2004196451A6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4196451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20210055302A (ko) 기밀성 및 단열성을 향상한 미서기 창호
JPH01139492A (ja) エレベータの乗場出入口装置
WO1999031002A1 (en) Hoistway door seal structure
JP7496795B2 (ja) 建具
KR20190000526U (ko) 방풍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