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403B1 - 방화 기능을 구비한 풀 오픈 도어 및 이의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화 기능을 구비한 풀 오픈 도어 및 이의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403B1
KR102299403B1 KR1020200180266A KR20200180266A KR102299403B1 KR 102299403 B1 KR102299403 B1 KR 102299403B1 KR 1020200180266 A KR1020200180266 A KR 1020200180266A KR 20200180266 A KR20200180266 A KR 20200180266A KR 102299403 B1 KR102299403 B1 KR 102299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
fire
full open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일
Original Assignee
이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일 filed Critical 이영일
Priority to KR1020200180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4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06B3/505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where the sliding and rotating movements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 E06B3/5081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where the sliding and rotating movements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at least two wings have a different kind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방화 기능을 구비한 풀 오픈 도어 및 이의 제어 시스템이 개시되며,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기능을 구비한 풀 오픈 도어는,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구동 수단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도어,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개방 위치에 배치된 후 상기 제1도어와 함께 선회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제2도어 및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의 상측에 상기 구동 수단을 포위하도록 구비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구동 수단과 상기 제1도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가 개재되도록 개구된 통로를 형성하되, 상기 통로는 상기 제2도어의 상단 대비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방화 기능을 구비한 풀 오픈 도어 및 이의 제어 시스템{FULL OPEN DOOR WITH FIRE PROTECTION FUNCTION AND CONTROL SYSTEM FOR THE SAME}
본원은 방화 기능을 구비한 풀 오픈 도어 및 이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항, 병원, 마트, 호텔, 아파트 등의 다중이용시설의 경우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비용 절감을 위한 무인 경비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해 자동 도어의 보급이 확산되었다.
종래에는 단순 슬라이딩 방식만으로 개폐되는 자동 도어가 사용되었으나, 최근 들어 설치 장소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개폐 방식이 적용된 자동 도어가 도입되고 있다. 예시적으로, 슬라이딩 방식에 회동(또는 스윙(swing)) 방식이 결합된 패닉 도어가 있다. 일 예로, 패닉 도어는 지하철 역사의 스크린 도어에도 적용되고 있다. 한편, 패닉 도어는 회동 방식이 결합됨으로써 도어의 전면이 완전히 개방될 수 있기 때문에 풀 오픈 도어로 달리 지칭되기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풀 오픈 도어 시스템은 평상시에는 자동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사용되되, 비상시에는 도어의 출입 공간을 최대한으로 확장시켜 한정된 공간을 극대화시키도록 스윙(swing) 방식으로 도어를 선회하여 개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풀 오픈 도어 시스템은 평상시와 비상시에 다르게 제어될 필요성이 있으며, 나아가, 다양한 비상 상황(화재 상황)에 대해 상황 별로 정밀한 제어를 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의 구현과 함께 화염, 연기 등의 침입으로 인해 비상시에 도어의 구동 및 제어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불측의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견고한 설계가 필요하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98096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풀 오픈 도어를 이루는 슬라이딩 도어와 스윙 도어의 구동을 위한 구동 수단을 둘러싼 하우징을 화염 및 연기의 침입에 견고한 구조로 설계하여 화재 상황에 강인한 방화 기능을 구비한 풀 오픈 도어 및 이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재 상황 별로 풀 오픈 도어 시스템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방화 기능을 구비한 풀 오픈 도어 및 이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기능을 구비한 풀 오픈 도어는,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구동 수단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도어,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개방 위치에 배치된 후 상기 제1도어와 함께 선회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제2도어 및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의 상측에 상기 구동 수단을 포위하도록 구비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구동 수단과 상기 제1도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가 개재되도록 개구된 통로를 형성하되, 상기 통로는 상기 제2도어의 상단 대비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는, 적어도 2회 이상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와 상기 통로 사이의 이격 공간은 상기 하우징으로 화재 시의 연기 및 화염이 상기 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침입하지 않도록 하는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기능을 구비한 풀 오픈 도어는, 상기 제2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상기 출입구가 개폐되는 상태인 정상 상태에서, 상기 제2도어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의 선회 개폐가 필요한 비상 상태에서 잠금 해제되어 상기 제2도어를 선회시키기 위한 힌지 부재의 회동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1도어의 사이 공간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2도어의 사이 공간 중 적어도 하나에는 화재 시의 연기 및 화염의 침임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방화 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기능을 구비한 풀 오픈 도어의 제어 시스템은, 상기 풀 오픈 도어, 사용자로부터 상기 풀 오픈 도어의 개폐에 관한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풀 오픈 도어가 구비되는 건물에 구비된 비상 상태 감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비상 상태를 감지하는 비상 상태 감지부, 상기 입력 정보 및 상기 비상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풀 오픈 도어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는 판단부 및 상기 결정된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풀 오픈 도어의 제1도어 및 제2도어 중 적어도 하나의 잠금 설정 및 구동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입력 정보 및 상기 비상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도어의 개폐 여부 및 상기 제2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도어의 개폐 여부는 상기 제1도어의 슬라이딩 동작 실시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도어만 개방하도록 결정하거나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를 함께 개방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개폐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도어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 제1도어의 잠금 설정만을 해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제1도어의 잠금 설정을 해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도어가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개방되도록 상기 제1도어에 대한 구동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개폐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2도어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 제2도어의 잠금 설정만을 해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풀 오픈 도어를 이루는 슬라이딩 도어와 스윙 도어의 구동을 위한 구동 수단을 둘러싼 하우징을 화염 및 연기의 침입에 견고한 구조로 설계하여 화재 상황에 강인한 방화 기능을 구비한 풀 오픈 도어 및 이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화재 상황 별로 풀 오픈 도어 시스템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방화 기능을 구비한 풀 오픈 도어 및 이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오픈 도어의 폐쇄 상태에서의 개략적인 구성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영역 A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영역 B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의 영역 C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복수의 풀 오픈 도어를 포함하는 풀 오픈 도어 시스템의 복합 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예 따른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에 관련된 용어(좌우 방향, 상단, 하단, 상부, 하부, 폭방향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1에서 보았을 때 좌우 방향은 3시에서 9시방향이고, 상하 방향은 12시에서 6시방향이고, 폭방향은 도면의 법선 방향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향 설정은 본원 장치의 배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서는 도 1 기준 상향이 수평 방향(좌우 방향)을 향하도록 본원 장치가 배치될 수 있고, 다른 예로 도 1 기준 상향이 비스듬한 경사 방향을 향하도록 본원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본원은 방화 기능을 구비한 풀 오픈 도어 및 이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1)은 좌우 슬라이딩 개폐되는 제1도어(10) 및 선회 개폐되는 제2도어(20)를 포함하는 풀 오픈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도어(10)는 좌우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제1도어(10)는 모터, 벨트 등을 포함하는 구동 수단(31)에 의해 슬라이딩 구동될 수 있다. 참고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도어(10)는 슬라이딩 도어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제2도어(20)는 어느 일 측이 고정된 상태로 고정된 축을 중심으로 선회(회전)되어 개폐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는 제2도어(20)가 전면 방향으로 선회 개폐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도어(20)는 후면 방향으로도 개폐되어, 전후면 양방향으로 모두 개폐 가능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참고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도어(20)는 스윙 도어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제2도어(20)는 평상시에는 폐쇄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필요한 경우(비상시 등)에 개방될 수 있다. 한편, 도 1및 도2를 참조하면, 제2도어(20)가 개방되는 경우, 제2도어(20)와 연결되어 있는 제1도어(10)가 함께 개방될 수 있다. 이 때, 제1도어(10)는 개방된 상태로 즉, 제2도어(20)와 포개어진 상태로 선회되어 개방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1)은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되, 건물의 외부에서 내부로 또는 내부에서 외부로 들어가는 출입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건물 내부에서 서로 다른 공간을 출입하는 출입구에도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건물에 복수개의 풀 오픈 도어가 설치될 수 있고,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1)은 건물에 설치된 모든 풀 오픈 도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오픈 도어의 폐쇄 상태에서의 개략적인 구성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오픈 도어는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구동 수단(31)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도어(10), 제1도어(10)가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개방 위치에 배치된 후(달리 말해, 제1도어(10)의 개방 상태에서) 제1도어(10)와 함께 선회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제2도어(20),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의 상측에 구동 수단(31)을 포위하도록 구비되는 하우징(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영역 A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원에서 개시하는 풀 오픈 도어의 하우징(30)은 구동 수단(31)과 제1도어(10)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40)가 개재되도록 개구된 통로(P)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하우징(30)에 형성되는 통로(P)는 제2도어(20)의 상단 대비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해,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30)의 하측으로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가 나란히 배치되되, 제1도어(10)의 상단의 높이가 제2도어(20)의 상단 대비 높게 배치되도록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가 하우징(30)에 대하여 배치됨으로써, 하우징(30)에 구동 수단(31)과 제1도어(10)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연결 부재(40)가 개재되도록 형성되는 통로(P)가 제2도어(20) 대비 상측으로 치우치게 위치함으로써, 화재 발생 등의 비상 상황에 통로(P)의 개구된 영역을 통해 연기, 화염 등 불측의 위험 물질이 하우징(30) 내부로 인입(침입)하여 하우징(30) 내의 구동 수단(31)을 손상시키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통로(P) 내에 배치되는 연결 부재(40)는 적어도 2회 이상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부재(40)는 'ㄹ'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렇듯, 통로(P) 내에 배치되는 연결 부재(40)가 적어도 2회 이상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됨으로써, 전술한 화재 발생 상황 등에서 불측의 위험 불질이 하우징(30) 내부로 인입(침입)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40)와 통로(P) 사이의 이격 공간은 하우징(30)으로 화재 시의 연기 및 화염이 통로(P)를 통과하여 하우징(30)의 내부로 침입하지 않도록 하는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기 및 화염이 하우징(30)의 내부로 침입하지 않도록 하는 간격은 화재에 의해 발생 가능한 위독 물질의 유체 흐름 수준, 점도 등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영역 B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원에서 개시하는 풀 오픈 도어는 제1도어(10)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1도어(10)가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1고정 수단(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풀 오픈 도어는 제2도어(20)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1도어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출입구가 개폐되는 상태인 정상 상태에서, 제2도어(20)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제2고정 수단(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후술하는 입력부(110)로 인가된 사용자 입력 또는 비상 상태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제1고정 수단(11)을 제어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제1도어(10)가 출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상태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입력부(110)로 인가된 사용자 입력 또는 비상 상태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제2고정 수단(21)을 제어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가 함께 선회 개방되어 출입구를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제2고정 수단(21)은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의 선회 개폐가 필요한 비상 상태에서 잠금 해제되어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를 선회시키기 위한 제2도어(20)의 힌지 부재(미도시)의 회동을 허용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영역 C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30)과 제1도어(10)의 사이 공간, 하우징(30)과 제2도어(20)의 사이 공간 및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의 사이 공간 중 적어도 하나에는 화재 시의 연기 및 화염의 침임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방화 부재(15)가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화 부재(15)는 방화천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방화 부재(15)는 하우징(30)과 제1도어(10)의 사이 공간, 하우징(30)과 제2도어(20)의 사이 공간 및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의 사이 공간 중 적어도 하나에서 연기 및 화염의 침입을 방해하도록 격벽을 형성하는 단단한 재질의 격벽 형성 부재일 수 있다.
도 7은 복수의 풀 오픈 도어를 포함하는 풀 오픈 도어 시스템의 복합 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풀 오픈 도어는 하나의 건물에 복수개의 풀 오픈 도어가 설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층을 가진 건물에 각 층마다 하나 이상의 풀 오픈 도어가 설치될 수 있으며,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1)은 상기 복수개의 층을 가진 건물에 설치된 모든 풀 오픈 도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복수개의 풀 오픈 도어(a1 내지 c4)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에 따르면, 화재 상태 감지 센서는 각각 소정의 담당 구역을 가질 수 있으므로,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화재 발생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담당 구역과 연계하여 화재 상태 감지 센서를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화재 상태 감지 센서의 센싱 결과가 정상 범위를 벗어남으로써 화재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해당 화재 상태 감지 센서의 담당 구역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담당 구역은 화재 상태 감지 센서의 위치로부터 가장 근접한 풀 오픈 도어 및 그 위치와 연계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화재의 발생 위치를 풀 오픈 도어(b4)의 근방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화재 발생 위치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풀 오픈 도어 중 적어도 하나의 풀 오픈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화재 발생 위치와 가장 근접한 풀 오픈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화재 발생 위치와 가장 근접한 풀 오픈 도어의 제1도어(10)를 개방하는 경우(제1도어(10) 및 제2도어(20)를 모두 개방하는 경우 포함)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화재 발생 위치와 가장 근접한 풀 오픈 도어(b4)를 포함하는, 화재 발생 위치를 기반으로 한 화재 대피 경로 상의 풀 오픈 도어(b4, b3, b2, b1, c1)의 개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화재 대피 경로는 화재 발생 위치로부터 건물 외부로 통하는 최종 출입구까지의 최단 경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화재 대피 경로 상의 풀 오픈 도어(b4, b3, b2, b1, c1)는 화재 대피 경로를 따라 대피하는 경우 사용자가 통과(출입)해야 하는 풀 오픈 도어 또는 화재 대피 경로를 따라 대피하는 경우 개방되어야 하는 풀 오픈 도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화재 발생 위치와 가장 근접한 풀 오픈 도어(b4)를 포함하는, 화재 발생 위치를 기반으로 한 화재 대피 경로 상의 풀 오픈 도어(b4, b3, b2, b1, c1)를 개방하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화재 대피 경로 상의 풀 오픈 도어의 개폐 여부는, 제1도어(10)의 개폐 동작 실시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제1도어(10)를 개방하는 경우로 판단하고 제1도어(10)가 폐쇄 상태인 경우, 제1도어(10)의 개방 동작을 실시하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화재 대피 경로 상의 풀 오픈 도어의 제1도어(10)를 개방하도록 화재 대피 경로 상의 풀 오픈 도어의 제1도어(10)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31)을 제어할 수 있다.
달리 말해,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화재 대피 경로 상의 풀 오픈 도어에 대해서는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를 모두 개방하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고, 이 때, 제1도어(10)를 개방하는 것은 제1도어(10)의 개방 동작을 실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화재 대피 경로 상의 풀 오픈 도어에 대해, 제1도어(10)의 잠금 설정을 해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뿐만 아니라, 제1도어(10)가 개방되도록 제1도어의 구동 수단(31)을 제어할 수 있고, 제2도어(20)의 잠금 설정을 해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화재 대피 경로 상의 풀 오픈 도어에 포함되지 않는 풀 오픈 도어에 대해서는 제2도어(20)만 개방하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화재 대피 경로 상의 풀 오픈 도어에 포함되지 않는 풀 오픈 도어에 대해 제2도어(20)의 잠금 설정을 해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화재 대피 경로 상의 풀 오픈 도어에 포함되지 않는 풀 오픈 도어에 대해, 제1도어(10)의 잠금 설정 및 구동을 모두 제어하지 않거나, 제1도어(10)의 잠금 설정만 해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되, 제1도어(10)가 개방 동작을 실시하는 제1도어의 구동 수단(31)은 제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도 7에 적용하여 설명하면,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에 의해 화재가 감지된 경우,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화재 대피 경로 상의 풀 오픈 도어(b4, b3, b2, b1, c1)에 대해서는 제2도어(20) 및 제1도어(10)를 모두 개방하는 경우로 판단하고, 화재 대피 경로 상의 풀 오픈 도어에 포함되지 않는 풀 오픈 도어(a1, a2, a3, a4, c2, c3, c4)에 대해서는 제2도어(20)만 개방하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화재 대피 경로 상의 풀 오픈 도어(b4, b3, b2, b1, c1)에 대해, 제2도어(20)의 잠금 설정을 해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제1도어(10)의 잠금 설정을 해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제1도어(10)가 개방되도록 제1도어의 구동 수단(31)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화재 대피 경로 상의 풀 오픈 도어에 포함되지 않는 풀 오픈 도어(a1, a2, a3, a4, c2, c3, c4)에 대해, 제2도어(20)의 잠금 설정만을 해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화재 대피 경로 상의 풀 오픈 도어에 포함되지 않는 풀 오픈 도어(a1, a2, a3, a4, c2, c3, c4)에 대해, 제1도어(10)의 잠금 설정 및 구동을 제어하지 않거나, 제1도어(10)의 잠금 설정만을 해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이러한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의 제어에 의하면, 화재 대피 경로 상의 풀 오픈 도어(b4, b3, b2, b1, c1)에 대하여, 제2도어(20)는 사용자가 힘을 가함으로써 개방될 수 있는 상태일 수 있고, 제1도어(10)는 사용자가 지나갈 수 있도록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화재 대피 경로 상의 풀 오픈 도어에 포함되지 않는 풀 오픈 도어(a1, a2, a3, a4, c2, c3, c4)에 대하여, 제2도어(20)만 사용자가 힘을 가함으로써 개방될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제1도어(10)는 사용자가 지나갈 수 없도록 폐쇄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폐쇄된 상태란, 제1도어(10)의 잠금 설정은 해제 상태이나, 개방되어 있지는 않은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수동으로 제1도어(10)를 개방할 수 있는 상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화재 대피 경로 상의 풀 오픈 도어에 대해서는 제2도어(20) 및 제1도어(10)가 모두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화재 대피 시에 사용자들이 보다 넓은 대피로를 확보할 뿐만 아니라, 제1도어(10)가 개방되어 있음으로 인해 대피로에 대해 신속하고도 직관적인 인식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이동하면서 제1도어(10)가 열려있는 곳을 통과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대피로를 통해 대피하는 것이 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복수개의 풀 오픈 도어 각각으로부터 알림음 및 알림조명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알림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화재 대피 경로 상의 풀 오픈 도어로부터 알림음 및 알림조명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되도록 알림부(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화재 대피 경로 상의 풀 오픈 도어에서는 알림음 및 알림조명이 발생하고, 화재 대피 경로 상의 풀 오픈 도어에 포함되지 않는 풀 오픈 도어에서는 알림음 및 알림조명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대피로에 대해 제1도어(10)가 단순히 개방된 상태로 있는 경우에 비해 보다 더 직관적으로 대피로임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화재 대피 경로 상의 풀 오픈 도어로부터 알림음 및 알림조명이 순차적으로 발생되도록 알림부를 제어할 수 있다.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대상체의 위치 및 경로를 고려하여 대상체와 가장 근접한 풀 오픈 도어로부터 우선적으로 알림음 및 알림조명이 발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시에 여러 군데에서 알림음 및 알림조명이 발생하는 경우에 비해 사용자의 대피 경로에 대한 혼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예 따른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입력부(110), 비상 상태 감지부(120), 판단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1)의 개폐에 관한 입력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직접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1)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1)이 아파트 현관에 설치되는 경우,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호수 및 비밀번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1)이 생체 인식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 입력부(110)는 지문을 스캔하거나, 안면 또는 홍채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입력부(110)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입력부(110)에는 입력 정보의 종류에 따라 필요한 경우 각종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는 주로 제1도어(10)의 개폐를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호수 및 그에 대응되는 비밀번호가 알맞게 입력된 경우, 제1도어(10)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0)는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1)의 개폐에 관하여 직접적인 입력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직접적인 입력 정보란,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1)의 개방 및 폐쇄에 대한 명령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직접적인 입력 정보는 제1도어(10)를 개방하라는 입력 정보, 제2도어(20)를 개방하라는 입력 정보,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를 모두 개방하라는 입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사 시에 부피가 큰 이삿짐을 운반하기 위해 넓은 공간이 확보되어야 할 필요성에 따라, 사용자는 비록 비상시가 아니더라도 제2도어(20)를 개방하라는 입력 정보 또는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를 모두 개방하라는 입력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정리하면, 입력부(110)는 제1도어(10)의 개폐를 위한 입력 정보 및 제2도어(20)의 개폐를 위한 입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1도어(10)의 개폐를 위한 입력 정보 및 제2도어(20)의 개폐를 위한 입력 정보는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의 개폐에 대한 명령을 포함하는 직접적인 입력 정보이거나, 비밀번호 등의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의 개폐에 관한 권한(또는 출입 권한)을 확인하기 위한 간접적인 입력 정보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1)의 개폐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1)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정보에 기초한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1)의 개폐 여부의 판단은 후술하는 판단부(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판단 결과에 기초한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1)의 개폐 제어는 후술하는 제어부(1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입력 정보에 기초한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1)의 제어는 사용자의 입력 행위에 기인하므로, 주로 화재 등의 비상 상태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에 이루어지는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1)의 제어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 행위 외에도 화재 등의 비상 상태를 감지하여, 비상 상태를 고려하여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1)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특히 화재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의 입력 행위에 기초하지 않고도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1)을 화재 상황 별로 최적의 개폐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는, 화재 시의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비상 상태 감지부(120)는 건물에 구비된 화재 상태 감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화재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화재 상태 감지 센서는 열, 빛, 공기질, 온도, 압력, 소리, 영상 정보 등을 입력 받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의 종류는, 예를 들어, 광전스위치, 에어센서, 전자석 스위치, 온도 센서, 압력 센서, 자기 센서, 광 센서, 음향 센서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재 상태 감지 센서는 건물 내의 복수의 위치에 구비되어 실시간으로 센싱할 수 있다. 이 때, 화재 상태 감지 센서는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되며, 화재 상태 감지 센서 각각은 소정의 담당 구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비상 상태 감지부(120)는 화재 발생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상 상태 감지부(120)는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화재 상태 여부 및 화재 상태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비상 상태 감지부(120)는 화재 상태 감지 센서로부터 수집된 센싱 결과가 정상 범위 내인 경우 정상 상태라고 판단하고,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화재 상태라고 판단함으로써 화재 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정상 범위는 화재 상태 감지 센서 별로 평균값(또는 이상값)과 오차범위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비상 상태 감지부(120)는 화재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화재 상태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 상태 유형은 정전을 동반하지 않은 화재, 정전을 동반한 화재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화재 상태 감지부(120)는 열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스프링클러(sprinkler) 작동 감지 센서 등으로부터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화재 상태 감지부(120)는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1)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의 연결을 감지하는 센서 등으로부터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정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130)는 입력 정보 및 화재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1)의 개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단부(130)는 입력 정보 및 화재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도어(10)의 개폐 여부 및 제2도어(20)의 개폐 여부를 각각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130)는 제1도어(10)의 개폐를 위한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제1도어(10)의 개폐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제2도어(20)의 개폐를 위한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제2도어(20)의 개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순 출입을 위해 호수 및 비밀번호를 입력한 경우, 호수 및 비밀번호는 제1도어(10)의 개폐를 위한 입력 정보에 해당하며, 판단부(130)는 제1도어(10)만을 개방하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부피가 큰 이삿짐 운반을 위해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1)의 완전 개방에 관한 스위치 조작을 실시한 경우, 이러한 스위치 조작은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의 개폐를 위한 입력 정보에 해당하며, 판단부(130)는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를 모두 개방하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경우에 따라, 판단부(130)는 제2도어(20)만 개방하는 경우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비상 상태 감지부(120)에 의해 화재 상태가 감지된 경우, 화재 상태 유형에 따라 판단부(130)는 제2도어(20)만을 개방하는 경우 및 제2도어(20) 및 제1도어(10)를 모두 개방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할 수 있다.
종합하면, 판단부(130)에 의한 판단 결과는, 제1도어(10)만 개방하는 경우,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를 모두 개방하는 경우 또는 제2도어(20)만 개방하는 경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의 개폐 여부는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의 요구되는 개폐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제1도어(10)의 개폐 여부는 제1도어(10)의 개폐 동작 실시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도어(10)의 개폐 여부는 제1도어(10)의 개폐 동작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도어(10)의 개폐에 관한 현 상태와 요구되는 상태가 다른 경우, 제1도어(10)의 개폐 동작을 실시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도어(10)가 현재 폐쇄되어 있고, 판단부(130)에 의해 제1도어(10)의 요구되는 상태가 개방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판단부(130)는 제1도어(10)의 개방 동작을 실시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1)의 개폐 여부에 따라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의 잠금 설정 및 구동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1)의 개폐 여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도어(10)의 개폐 여부 및 제2도어(20)의 개폐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잠금 설정을 제어한다는 것은, 잠금 설정을 잠금 상태 또는 해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잠금 방식의 일 예로는,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 각각의 도어 틀에 구비된 삽입부가 잠금 해제 상태에서는 도어 틀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가, 잠금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에는 상기 삽입부가 도어 틀 내부에서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 각각에 구비된 삽입홀 내로 이송되어 삽입됨으로써 잠금 설정 상태가 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잠금 설정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에는 반대 방향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의 이송은 예시적으로 렉기어, 피니언기어 및 피니언기어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동 수단은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 각각에 구비될 수 있고, 제어부(140)는 제1도어(10)의 잠금 구동 수단(미도시) 및 제2도어(20)의 잠금 구동 수단(미도시)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구동을 제어한다는 것은, 제1도어(10)의 슬라이딩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제1도어(10)의 구동 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제1도어(10)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가 개방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제어부(14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가 폐쇄되는 경우에는 개방되는 경우와 반대 방향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판단부(130)에 의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제1도어(10)를 개방하는 경우, 제1도어(10)의 잠금 설정만을 해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1도어(10)의 잠금 설정을 해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제1도어(10)가 개방되도록 제1도어의 구동 수단(31)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판단부(130)에 의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제2도어(20)를 개방하는 경우, 제2도어(20)의 잠금 설정을 해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에 의해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의 잠금 설정이 해제 상태로 되는 것은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가 수동으로 개폐가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가 수동으로 개폐가 가능한 상태라 함은, 소정 크기 이하의 힘으로 밀어냄으로써 개방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소정 크기는 예시적으로 200N일 수 있다. 200N은 보호자의 관리를 요하지 않는 주체적인 판단과 독립적인 행동을 할 수 있는 어린아이에 의해서도 가해질 수 있는 힘의 크기에 해당한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1) 및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또한,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1) 및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자체적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배터리는 충전된 한도 내에서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1) 및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일반적으로 전원을 통해 전력을 공급 받아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1)의 개폐 여부를 제어할 수 있으나, 상기 전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에는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1)에 구비되되, 자체적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이 때,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마저 전부 소모되는 경우,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더 이상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1)의 개폐 여부를 제어할 수 없게 된다. 즉, 전력 공급이 완전히 차단된 이후에는 제1도어(10) 또는 제2도어(20)를 개방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비상 상태 감지부(120)는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1)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의 연결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비상 상태 감지부(120)는 전원이 연결된 경우 정전이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전원이 차단된 경우 정전이 일어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달리 말해, 비상 상태 감지부(120)는 전원이 연결된 경우 비상 상태 유형을 정전 또는 정전을 동반한 경우로 판단할 수 있고, 전원이 차단된 경우 비상 상태 유형을 정전을 동반하지 않은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상 상태 감지부(120)는 비상 상태 유형을 정전을 동반하지 않은 화재(단순 화재로 달리 지칭될 수 있음) 및 정전을 동반한 화재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비상 상태 감지부(120)는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1)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의 연결 여부와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1)에 구비되며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1)에 전원과는 별도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의 잔여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비상 상태 감지부(120)는 전원의 연결 여부와 배터리의 잔여 정도를 고려하여 화재 상태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재 상태 유형은, 전원이 차단된 상태이나 배터리의 잔여 정도가 미리 설정된 수준을 초과하는 제1 화재 상태 및 전원이 차단된 상태이고 배터리의 잔여 정도가 미리 설정된 수준 이하인 제2 화재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배터리의 잔여 정도에 대해 미리 설정된 수준은 10%, 10분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전력 공급이 완전히 차단되기 전에 미리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1)(제1도어(10) 및 제2도어(20) 중 적어도 하나)을 개방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
비상 상태 감지부(120)에 의해 제1 화재 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판단부(130)는 제2도어(20)만 개방하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비상 상태 감지부(120)에 의해 제2 화재 상태로 판단된 경우, 판단부(130)는 제2도어(20) 및 제1도어(10)를 모두 개방하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제1도어(10) 또는 제2도어(20)를 개방하는 경우 제1도어(10) 또는 제2도어(20)의 잠금 설정을 해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제어부(140)는 제2도어(20)만 개방하는 경우 제2도어(20)의 잠금 설정을 해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제2도어(20) 및 제1도어(10)를 모두 개방하는 경우 제2도어(20)의 잠금 설정 및 제1도어(10)의 잠금 설정을 모두 해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제1도어(10)를 개방하는 경우 제1도어(10)가 개방되도록 제1도어의 구동 수단(31)을 더 제어할 수도 있다.
즉,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는 전력 공급이 완전히 차단되기 전에 미리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를 모두 개방함으로써 전력 공급이 완전히 차단된 경우에도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1)이 완전히 개방될 수 있도록 대비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1)은 복수개의 풀 오픈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앞서 설명된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S11에서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풀 오픈 도어의 개폐에 관한 입력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단계 S11에서 비상 상태 감지부(120)는 건물에 구비된 비상 상태 감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비상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2에서 판단부(130)는 입력 정보 및 비상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풀 오픈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3에서 제어부(140)는 판단된 풀 오픈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인 제1도어(10) 및 스윙 도어인 제2도어(20)의 잠금 설정 및 구동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내지 S13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풀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
10: 제1도어
11: 제1고정 수단
15: 방화 부재
20: 제2도어
21: 제2고정 수단
30: 하우징
31: 구동 수단
40: 연결 부재
P: 통로
100: 풀 오픈 도어 제어 장치
110: 입력부
120: 비상 상태 감지부
130: 판단부
140: 제어부

Claims (10)

  1. 방화 기능을 구비한 풀 오픈 도어로서,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구동 수단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도어;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개방 위치에 배치된 후 상기 제1도어와 함께 선회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제2도어; 및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의 상측에 상기 구동 수단을 포위하도록 구비되는 하우징,
    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구동 수단과 상기 제1도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가 개재되도록 개구된 통로를 형성하되, 상기 통로는 상기 제2도어의 상단 대비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좌우 방향과 직교하며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가 나란히 배치되는 방향인 폭방향을 기준으로 절곡되는 ㄹ자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통로는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ㄹ자 형상에 의해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구획되되, 상기 연결 부재와 상기 통로 사이의 이격 공간은 상기 하우징으로 화재 시의 연기 및 화염이 상기 통로를 통과하여 침입하지 않도록, 화재에 의해 발생 가능한 위독 물질의 점도를 고려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인, 풀 오픈 도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상기 출입구가 개폐되는 상태인 정상 상태에서, 상기 제2도어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고정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인, 풀 오픈 도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의 선회 개폐가 필요한 비상 상태에서 잠금 해제되어 상기 제2도어를 선회시키기 위한 힌지 부재의 회동을 허용하는 것인, 풀 오픈 도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1도어의 사이 공간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2도어의 사이 공간 중 적어도 하나에는 화재 시의 연기 및 화염의 침임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방화 부재가 개재되는 것인, 풀 오픈 도어.
  7. 방화 기능을 구비한 풀 오픈 도어의 제어 시스템으로서,
    제1항에 따른 풀 오픈 도어;
    사용자로부터 상기 풀 오픈 도어의 개폐에 관한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풀 오픈 도어가 구비되는 건물에 구비된 비상 상태 감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비상 상태를 감지하는 비상 상태 감지부;
    상기 입력 정보 및 상기 비상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풀 오픈 도어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는 판단부; 및
    상기 결정된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풀 오픈 도어의 제1도어 및 제2도어 중 적어도 하나의 잠금 설정 및 구동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입력 정보 및 상기 비상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도어의 개폐 여부 및 상기 제2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제1도어의 개폐 여부는 상기 제1도어의 슬라이딩 동작 실시 여부를 포함하는 것인,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도어만 개방하도록 결정하거나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를 함께 개방하도록 결정하는 것인,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개폐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도어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 제1도어의 잠금 설정만을 해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제1도어의 잠금 설정을 해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도어가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개방되도록 상기 제1도어에 대한 구동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결정된 개폐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2도어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 제2도어의 잠금 설정만을 해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인,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
KR1020200180266A 2020-12-21 2020-12-21 방화 기능을 구비한 풀 오픈 도어 및 이의 제어 시스템 KR102299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266A KR102299403B1 (ko) 2020-12-21 2020-12-21 방화 기능을 구비한 풀 오픈 도어 및 이의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266A KR102299403B1 (ko) 2020-12-21 2020-12-21 방화 기능을 구비한 풀 오픈 도어 및 이의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403B1 true KR102299403B1 (ko) 2021-09-06

Family

ID=77782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266A KR102299403B1 (ko) 2020-12-21 2020-12-21 방화 기능을 구비한 풀 오픈 도어 및 이의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4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665B1 (ko) * 2021-11-22 2022-07-11 (주)이노씨앤에스 생체 인식을 이용한 대피용 비상 탈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762A (ko) * 2006-07-06 2008-01-10 박종문 풀오픈 도어시스템
KR100944392B1 (ko) * 2009-11-10 2010-02-26 효진건설(주) 비상탈출용 여닫이 문을 구비한 미서기식 방화유리 자동문
KR101738308B1 (ko) * 2016-08-12 2017-05-23 지엘에스이 주식회사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 도어 구동장치
KR20190055668A (ko) * 2017-11-15 2019-05-23 (주) 벽두도어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762A (ko) * 2006-07-06 2008-01-10 박종문 풀오픈 도어시스템
KR100944392B1 (ko) * 2009-11-10 2010-02-26 효진건설(주) 비상탈출용 여닫이 문을 구비한 미서기식 방화유리 자동문
KR101738308B1 (ko) * 2016-08-12 2017-05-23 지엘에스이 주식회사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 도어 구동장치
KR20190055668A (ko) * 2017-11-15 2019-05-23 (주) 벽두도어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665B1 (ko) * 2021-11-22 2022-07-11 (주)이노씨앤에스 생체 인식을 이용한 대피용 비상 탈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23335B (zh) 智能门岗系统及其门禁检测方法
KR102299403B1 (ko) 방화 기능을 구비한 풀 오픈 도어 및 이의 제어 시스템
JP5088362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01785810B1 (ko) 방화문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09291U (ko)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
KR102521344B1 (ko) 이중 밀폐방식 방화장치
KR101749465B1 (ko) 화재 대피를 위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시스템
KR102197074B1 (ko) 화재 시의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203392B1 (ko) 피난문 연동 방화셔터 구동시스템
JP5225713B2 (ja) 扉装置
KR102197073B1 (ko) 풀 오픈 도어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12037176A (ja) 換気システム
JPH10196221A (ja) 自動ドアの開閉装置および不正入室防止方法
KR200419727Y1 (ko) 방화문 개방유지 및 폐쇄장치.
JPH11311060A (ja) 自動ドアの開閉制御方法
KR101958912B1 (ko) 제연용 창호의 개폐장치
KR200401735Y1 (ko)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
JP3370893B2 (ja) 電気錠制御装置
JP5092079B2 (ja) 自動ドア制御システム
KR20180074546A (ko) 화재 대피를 위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시스템
JPH08138173A (ja) 無人店舗における閉じ込め防止システム
KR100919465B1 (ko) 자동문 로킹제어 시스템
JP2010068946A (ja) 吊下げ式引戸用防火装置
KR101748759B1 (ko) 비상문 자동 개폐 시스템 및 방법
JP3742424B1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