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291U -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 - Google Patents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291U
KR20100009291U KR2020090002887U KR20090002887U KR20100009291U KR 20100009291 U KR20100009291 U KR 20100009291U KR 2020090002887 U KR2020090002887 U KR 2020090002887U KR 20090002887 U KR20090002887 U KR 20090002887U KR 20100009291 U KR20100009291 U KR 2010000929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liding
frame
emergency escape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8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문수
이운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월드
Priority to KR20200900028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9291U/ko
Publication of KR201000092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29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2Wings made completely of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4Disengag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 E05Y2800/252Emergency conditions the elements functioning only in case of emergenc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비상시 자동문을 통해 비상탈출을 할 수 있는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에 관한 것 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은 구동유닛에 의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는 슬라이딩 도어가 설치된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 상기 구동유닛에 연결되어 슬라이딩 되는 프레임, 비상시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주의 일측에 결합된 비상탈출 도어, 및 상기 비상탈출 도어에 설치되는 방화유리 창을 포함한다.
자동문, 도어, 방화유리, 비상문, 제연, 방화벽

Description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fire glass automatic door of sliding type}
본 고안은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에 관한 것으로서, 비상시 자동문을 통해 비상탈출을 할 수 있는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문은 구동 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문으로 작동 방식에 따라 회전 자동문 및 미닫이식 자동문 등이 있다.
회전 자동문은 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설치된 문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자동문의 회전 반경이 커 대형 건물의 로비 등에 많이 설치된다. 그리고, 미닫이식 자동문은 미닫이식으로 자동문이 개폐되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건물에서는 미닫이식 자동문을 설치하고 있다.
종래의 미닫이식 자동문은 구동수단에 의해 도어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미닫이식 자동문은 도어가 모터에 의해 작동되기 때문에 닫힌 상태에서 고장 시 도어를 열기가 쉽지 않으며, 특히 화재 시 사람이 출입할 때 도어가 완전 개방되고, 도어가 열리고 닫히는 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연기 및 화염이 유입되어 화재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상시 자동문이 닫혔을 경우에도 탈출이 가능하며, 화재 시 제연 및 방화벽 역할을 할 수 있는 미닫이식 자동문을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은 구동유닛에 의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는 슬라이딩 도어가 설치된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 상기 구동유닛에 연결되어 슬라이딩 되는 프레임, 비상시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주의 일측에 결합된 비상탈출 도어, 및 상기 비상탈출 도어에 설치되는 방화유리 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비상탈출 도어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거나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해제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은 평상시에는 상기 비상탈출 도어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고, 비상시에는 상기 비상탈출 도어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비상탈출 도어는 힌지로 연결되고, 상기 힌지에는 상기 비상탈출 도어의 회동 시 초기 위치로 상기 비상탈출 도어를 복귀시키는 복귀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비상탈출 도어의 테두리 부 분이 안착되어 상기 프레임과 상기 비상탈출 도어 사이의 틈을 밀폐하는 밀폐 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전자식 고정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비상시 미닫이식 자동문이 닫힌 상태에서도 비상탈출 도어를 통해 외부로 탈출할 수 있고, 특히 화재 시 방열유리로 형성되어 자동문의 내부 및 외부 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복귀유닛에 의해 저절로 닫혀지므로 제연 및 방화벽 기능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의 슬라이딩 도어에 설치된 비상탈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100)은 문틀(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문틀(110)은 슬라이딩 도어(150)를 설치하기 위한 기초가 되는 틀로서, 문틀(110)의 하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11)이 형성 또는 설치될 수 있으며, 상부에는 슬라이딩 도어(150)를 구동할 수 있도록 구동유닛(170)을 수납하는 수납 케이스(113)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100)은 고정 창(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고정 창(130)은 출입구의 일부를 폐쇄하여 개방된 곳으로만 사람이 출입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고정 창(130)은 평상시에는 시야확보를 통해 개방감을 얻을 수 있고, 화재 시에는 화염 및 연기를 차단할 수 있는 방화유리로 제작될 수 있다.
아울러,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100)은 슬라이딩 도어(150)를 포함한다. 이 슬라이딩 도어(150)는 고정 창(130)에 의해 일부 폐쇄된 출입구의 개방된 부분을 개방 및 폐쇄하여 사람이 출입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한편, 슬라이딩 도어(150)는 구동유닛(170)에 의해 고정 창(130)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도어(150)는 프레임(151), 비상탈출 도어(153) 및 방열유리 창(157)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51)은 슬라이딩 도어(150)의 외곽 틀로서, 하단에는 복수의 바퀴(151b)가 설치되어 레일(111)에 가이드 되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51)의 상부는 구동유닛(170)과 브라켓(179)으로 연결되어 구동유닛(170)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151)의 내주에는 비상탈출 도어(153)가 설치된다.
이 비상탈출 도어(153)는 비상시 출입자가 비상탈출 도어(153)를 통해 출입구의 외부 또는 내부로 출입할 수 있는 문으로서, 프레임(151)의 내주에 설치되며, 프레임(151)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153a) 결합된다. 한편, 힌지(153a)는 비상탈출 도어(153)의 일측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되어 프레임(151)과 비상탈출 도어(153)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51)에는 밀폐 턱(15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밀폐 턱(151a)은 프레임(151)의 내주를 따라 돌출 형성되고, 밀폐 턱(151a)에는 비상탈출 도어(153)의 테두리 부분이 안착된다. 밀폐 턱(151a)을 형성함으로써 비상탈출 도어(153)와 프레임(151) 사이의 틈을 밀폐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 시 상기 틈으로 연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비상탈출 도어(153)에는 회동 시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복귀유닛(153b)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초기 위치는 프레임(151)에 비상탈출 도어(153)가 닫힌 상태, 더 구체적으로는 프레임(151)과 비상탈출 도어(153)가 일직선 상에 위치할 때를 의미한다.
한편, 복귀유닛(153b)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비상탈출 도어(153)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공지의 오토힌지(auto-hinge)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비상탈출 도어(153)에는 방화유리 창(157)이 설치될 수 있다. 이 방화유리 창(157)은 출입구의 내부 또는 외부의 상황을 방화유리 창(157)을 통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창이다. 한편, 방화유리 창(157)은 비상탈출 도어(153)에 일정형상의 창을 형성하고 그 창 내주에 방화유리를 설치하는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방화유리는 고정 창(130)에 사용되는 방화유리와 동일하게 화재 시에는 화염 및 연기를 차단할 수 있는 유리이다.
또한, 방화유리 창(157)은 본 실시예와 같이 시야확보를 위해 상기 비상탈출 도어(153)를 테두리 부분만을 형성하고 내주에 방화유리를 설치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방화유리 창(157)에 설치되는 방화유리는 화염 및 연기를 차단할 수 있는 방화실리콘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51)에는 고정유닛(155)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고정유닛(155)은 비상탈출 도어(153)를 프레임(151)에 회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하거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유닛(155)은 비상탈출 도어(153)의 힌지(153a)가 설치된 반대방향 즉, 비상탈출 도어(153)의 회동 단을 고정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데드볼트(deadbolt)가 출몰하도록 구성된 공지의 데드볼트 타입 고정유닛(155)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고정유닛(155)은 평상시에는 비상탈출 도어(153)를 프레임(151)에 고정하고, 비상시에만 비상탈출 도어(153)가 회동 가능하도록 프레임(151)에서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유닛(155)은 전기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전자식 고정유닛일 수 있다. 전자식 고정유닛을 사용함으로써, 예컨대, 가정의 전기를 제어할 수 있는 홈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 시스템 또는 화재 감지센서 등과 연결되어 비상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으로 제어하거나 화재 감지센서의 작동으로 비상탈출 도어(153)가 회동 가능하게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100)은 구동유닛(1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구동유닛(170)은 문틀(110)에 설치되는 구동유닛 케이스(113)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도어(150)를 개폐할 수 있다. 한편, 구동유닛(170)은 케이스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풀리(171), 양측 풀리(171)를 서로 연결하는 구동벨트(173), 양측 풀리(173) 중 어느 하나의 풀리(171)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75) 및 구동모터(175)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구동유닛(170)은 슬라이딩 도어(150)를 구동벨트(173)에 브라켓(179)으로 연결하고, 구동모터(175)로 풀리(171)을 회전시켜 풀리(171)와 연결된 구동벨트(173)을 회전 시킴으로써, 슬라이딩 도어(150)를 개폐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미도시)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이나 감지센서(115) 등과 연결되어 슬라이딩 도어(15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100)은 감지센서(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감지센서(115)는 레이저(laser) 또는 적외선으로 사람의 유무를 판단하여 슬라이딩 도어(115)를 개폐할 수 있다.
한편, 감지센서(115)는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100)의 출입구 상부에 설치하고, 구동유닛(170)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사람이 감지되면 슬라이딩 도어(150)를 개방하고, 사람이 감지되지 않으면 슬라이딩 도어(150)를 폐쇄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100)은 잠금유닛(117)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잠금유닛(117)은 슬라이딩 도어(150)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납 케이 스(113)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도어(150)가 이동되지 않도록 선택적으로 잠글 수 있다.
한편, 잠금유닛(117)은 데드볼트(deadbolt)가 출몰하도록 구성된 공지의 데드볼트 타입 잠금유닛(117)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잠금유닛(117)은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전자식 잠금유닛일 수 있다. 이 잠금유닛(117)을 전자식으로 사용함으로써, 예컨대 아파트와 같은 곳에 가정의 전기를 제어할 수 있는 홈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 시스템 또는 비밀번호 버튼과 연결되어 출입 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에서 제어하거나 비밀번호 버튼을 눌러 비밀번호가 일치될 때에만 잠금유닛(117)이 해제되어 슬라이딩 도어(150)가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100)은 출입구에 문틀(110)을 설치하고, 문틀(110)의 일측에는 고정 창(130)을 설치하며 타측에는 슬라이딩 도어(150)를 설치한다. 그리고, 문틀(110)의 하부에는 슬라이딩 도어(150)가 가이드 되어 슬라이딩할 수 있는 레일(111)이 설치되며, 문틀(110)의 상부에는 구동유닛(170)이 설치되는 수납 케이스(113)가 설치된다.
또한, 수납 케이스(133)에는 구동유닛(170)을 설치하고 슬라이딩 도어(150)와 구동유닛(170)의 구동벨트(173)를 브라켓(179)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슬라이딩 도어(150)가 설치되는 문틀(110)의 상부에는 감지센서(115)를 설치한다.
아울러, 수납 케이스(113)에는 슬라이딩 도어(150)를 선택적으로 잠글 수 있는 잠금유닛(117)을 설치하고, 슬라이딩 도어(150)에는 비상탈출 도어(153)를 선택 적으로 고정 시킬 수 있는 고정유닛(155)을 설치한다.
여기서, 잠금유닛(117) 및 고정유닛(155)은 예컨대, 홈오토메이션 시스템과 같은 제어 시스템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실시예의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100)은 평상시에는 감지센서(115)가 사람을 감지하면 감지센서(115)와 연결된 제어부(미도시)에서 구동유닛(170)을 작동시켜 슬라이딩 도어(150)를 작동하는 형태로 출입구를 개방하거나 예컨대, 잠금유닛(117)에 의해 잠궈진 슬라이딩 도어(150)를 홈오토메이션 시스템과 같은 제어 시스템으로 잠금유닛(117)을 해제한 후 구동유닛(170)을 작동시켜 슬라이딩 도어(150)가 출입구를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비상탈출 도어(150)는 슬라이딩 도어(155)에 설치된 고정유닛(155)에 의해 프레임(151)에 고정되어 슬라이딩 도어(155)와 함께 슬라이딩하게 된다.
한편, 비상시 특히 화재 시에는 슬라이딩 도어(150)가 닫힌 상태에서 화재 감지센서 또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에 의해 비상탈출 도어(157)가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유닛(155)을 해제함으로써, 비상탈출 도어(157)를 통해 비상탈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비상탈출 도어(157)는 회동될 때 복귀유닛(153b)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되므로 화재 시 제연 및 화염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비상탈출 도어(157)에는 방화유리 창(157)이 설치되어 있어 출입구 내부나 외부의 상황을 감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 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실시예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의 슬라이딩 도어에 설치된 비상탈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의 정면도이다.
도 4은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 부호의 설명>
100: 미닫이식 도어 110: 문틀
111: 레일 113: 수납 케이스
115: 감지센서 117: 잠금유닛
130: 고정 창 150: 슬라이딩 도어
151: 프레임 151a: 밀폐 턱
153: 비상탈출 도어 153a: 힌지
153b: 복귀유닛 157: 방열유리 창
155: 고정유닛 170: 구동유닛
171: 풀리 173: 구동벨트
175: 구동모터 179: 브라켓

Claims (5)

  1. 구동유닛에 의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는 슬라이딩 도어가 설치된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
    상기 구동유닛에 연결되어 슬라이딩 되는 프레임,
    비상시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주의 일측에 결합된 비상탈출 도어, 및
    상기 비상탈출 도어에 설치되는 방화유리 창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비상탈출 도어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거나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해제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은 평상시에는 상기 비상탈출 도어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고, 비상시에는 상기 비상탈출 도어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비상탈출 도어는 힌지로 연결되고, 상기 힌지에는 상기 비상탈출 도어의 회동 시 초기 위치로 상기 비상탈출 도어를 복귀시키는 복귀유닛 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비상탈출 도어의 테두리 부분이 안착되어 상기 프레임과 상기 비상탈출 도어 사이의 틈을 밀폐하는 밀폐 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전자식 고정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
KR2020090002887U 2009-03-13 2009-03-13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 KR2010000929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887U KR20100009291U (ko) 2009-03-13 2009-03-13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887U KR20100009291U (ko) 2009-03-13 2009-03-13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291U true KR20100009291U (ko) 2010-09-27

Family

ID=44199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887U KR20100009291U (ko) 2009-03-13 2009-03-13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9291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557B1 (ko) * 2013-08-19 2013-10-17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자동문의 비상개방장치
WO2018008962A1 (ko) * 2016-07-05 2018-01-11 조두희 재난안전 미디어 승강문
KR20190101233A (ko) 2018-02-22 2019-08-30 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가발전 자동문
KR20200133408A (ko) * 2019-05-20 2020-11-30 임종필 풀오픈형 비상탈출용 자동문
KR102218063B1 (ko) * 2020-03-10 2021-02-23 이용규 방화 자동문
KR102336573B1 (ko) 2021-05-26 2021-12-07 하민메탈주식회사 방화 자동문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557B1 (ko) * 2013-08-19 2013-10-17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자동문의 비상개방장치
WO2018008962A1 (ko) * 2016-07-05 2018-01-11 조두희 재난안전 미디어 승강문
KR20190101233A (ko) 2018-02-22 2019-08-30 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가발전 자동문
KR20200133408A (ko) * 2019-05-20 2020-11-30 임종필 풀오픈형 비상탈출용 자동문
KR102218063B1 (ko) * 2020-03-10 2021-02-23 이용규 방화 자동문
KR102336573B1 (ko) 2021-05-26 2021-12-07 하민메탈주식회사 방화 자동문
KR20220159870A (ko) 2021-05-26 2022-12-05 하민메탈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는 방화 자동문
KR20220159869A (ko) 2021-05-26 2022-12-05 하민메탈주식회사 개방이 용이한 자동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9291U (ko)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
KR100661605B1 (ko) 아파트의 화재 비상탈출장치
AU721399B2 (en) Fire protection door
US20100242368A1 (en) Electrical door operator
KR102055095B1 (ko) 방화구획시스템
KR20100094084A (ko) 고정도어가 개폐되는 방화 자동문
KR100734925B1 (ko)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
KR100846747B1 (ko) 안전 게이트 유닛
KR100695878B1 (ko) 방화스크린장치
KR20060116144A (ko) 도어의 열림각을 조정 및 제어할 수 있는 경첩
KR102299403B1 (ko) 방화 기능을 구비한 풀 오픈 도어 및 이의 제어 시스템
KR200419727Y1 (ko) 방화문 개방유지 및 폐쇄장치.
KR101203392B1 (ko) 피난문 연동 방화셔터 구동시스템
KR200410354Y1 (ko) 방화문 개방유지 및 폐쇄장치
KR101826906B1 (ko) 방화용 통풍형 개폐장치
JP5391179B2 (ja) 建具
JP5254567B2 (ja) 侵入監視領域の開閉システム
KR100527035B1 (ko) 화재 시 비상대피를 위한 건축용 도어구조
KR101733551B1 (ko)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
KR200391475Y1 (ko) 도어의 열림각을 조정 및 제어할 수 있는 경첩
KR20190017412A (ko) 제연용 창호의 개폐장치
JP2000008679A (ja) クレセント
EP3623560B1 (en) Displacement system comprising locking system
JP2010068946A (ja) 吊下げ式引戸用防火装置
KR102356043B1 (ko) 끼움 방식의 순차 접이 방화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